KR20160046891A -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891A
KR20160046891A KR1020167007869A KR20167007869A KR20160046891A KR 20160046891 A KR20160046891 A KR 20160046891A KR 1020167007869 A KR1020167007869 A KR 1020167007869A KR 20167007869 A KR20167007869 A KR 20167007869A KR 20160046891 A KR20160046891 A KR 20160046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ing
power
parameter information
controll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징 왕
야오광 가오
지에 판
용 루오
지엔핑 주오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4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비접촉식 변압기와 탐지 장치가 포함된 조절 시스템에 사용되고, 비접촉식 변압기에는 송신단과 수신단이 포함되며, 상기 방법에는,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하고, 송신단 제어기가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 수신단 제어기가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비접촉식 변압기 작동 상태 하에 탐지된 공극 파라미터와 비정렬 파라미터에 의하여 전력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 설정을 조절하여, 시스템을 제어하여 바람직한 파라미터 구간에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CONTACTLESS TRANSFORMER}
본 발명은 비접촉 변압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전기 에너지 전송 방식은 플러그-소켓 등 전기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 에너지 전송을 구현한다. 이러한 전송 방식은 간단하고 간편하나, 단지 작은 전류의 전송 상황에 적합하다. 큰 전류의 전송 상황에서는 소호 방법과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하고, 또한 도체가 외부에 노출되어 안전하지 못하다. 여러 차례의 삽입/인출은 기계적 마모를 일으키고 접촉이 헐거워져 전기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없게된다. 비접촉식 변압기는 1차측과 2차측을 일정한 거리 이격되도록 하고, 자기 결합을 통하여 전기 에너지 전송을 구현한다. 무선 충전 시스템 기술은 비접촉식 변압기의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종래에 도선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의 결함을 해결하였다.
일반적인 변압기의 1차측/2차측 사이의 공극은 0에 가깝고, 1차측에서 2차측으로 전송되는 에너지는 1차측/2차측 권수비를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하지만 비접촉식 변압기의 1차측/2차측 사이에는 비교적 큰 공극이 존재하고, 비접촉식 변압기의 파라미터에 대한 공극의 영향이 비교적 크며, 특히 비접촉식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와 결합 시스템에 대한 영향이 가장 현저하고, 나아가 비접촉식 변압기의 전력 전송에 영향을 미친다. 다른 공극 크기에 대하여, 비접촉식 변압기는 다른 파라미터 설정을 사용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무선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비접촉식 변압기의 1차측/2차측 코일이 완전히 정렬되지 않을 때, 즉 일정한 비정렬이 존재할 때, 마찬가지로 시스템의 전송 효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른 비정렬 크기에 대하여, 비접촉식 변압기는 역시 다른 파라미터 설정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비접촉식 변압기가 전력 전송을 진행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자체 적응 최적화 전력 전송을 진행하기 위하여, 1차측/2차측 사이의 공극과 비정렬 크기에 대하여 탐지를 진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는 전력 전송을 최적화할 수 있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바, 비접촉식 변압기와 탐지 장치가 포함된 조절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에는 송신 코일, 전력 송신단 회로 및 송신단 제어기가 구비된 송신단과 수신 코일, 전력 수신단 회로 및 수신단 제어기가 구비된 수신단이 포함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탐지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하는 바,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에는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공극 및/또는 비정렬 정보가 포함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며; 및/또는 상기 수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탐지 장치에는 신호 송신단과 신호 수신단이 포함되고, 상기 신호 송신단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수신단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되며; 또는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되며;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신호 송신단이 송신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 취득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될 때, 상기 신호 수신단이 탐지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수신단 제어기로 송신하고, 다시 상기 수신단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송신단 제어기로 송신하며; 또는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될 때, 상기 신호 수신단이 탐지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송신단 제어기로 송신하고, 다시 상기 송신단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수신단 제어기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에는,
상기 송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및/또는
상기 수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에는,
상기 수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작동 상태 하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비접촉식 변압기가 포함되고,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에는 송신 코일, 전력 송신단 회로 및 송신단 제어기가 구비된 송신단과 수신 코일, 전력 수신단 회로 및 수신단 제어기가 구비된 수신단이 포함되며, 상기 조절 시스템에는 또한 탐지 장치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탐지 장치는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하는 바,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는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공극 및/또는 비정렬 정보가 포함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송신단 제어기는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수신단 제어기는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탐지 장치에는 신호 송신단과 신호 수신단이 포함되고, 상기 신호 송신단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수신단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되며; 및
상기 신호 수신단은 상기 신호 송신단이 송신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 취득하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수신단은 또한,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될 때, 상기 신호 수신단이 탐지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수신단 제어기로 송신하고, 다시 상기 수신단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 제어기로 전달하며; 또는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될 때, 상기 신호 수신단이 탐지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송신단 제어기로 송신하고, 다시 상기 송신단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수신단 제어기로 전달하도록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단 제어기는 하기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도록 설정되는 바, 즉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며; 및
상기 수신단 제어기는 하기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도록 설정되는 바, 즉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작동 상태 하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이다.
상기 방안은 비접촉식 변압기 작동 상태 하에 탐지된 공극 파라미터와 비정렬 파라미터에 의하여 전력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 설정을 조절하여, 시스템을 제어하여 바람직한 파라미터 구간에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조절 시스템의 구조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조절 방법의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공극과 비정렬 정보의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조절 방법의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조절 시스템의 구조도.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유의하여야 할 바로는, 상충되지 않는 상황 하에서, 본 출원 중의 실시예 및 실시예 중의 특징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바, 비접촉식 변압기와 탐지 장치(2)를 포함하는 조절 시스템에 사용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절 시스템에는,
송신단(11)과 수신단(12)이 포함되고, 송신단(11)에는 송신 코일(111), 전력 송신단 회로(112) 및 송신단 제어기(113)가 구비되고, 수신단(12)에는 수신 코일(121), 전력 수신단 회로(122) 및 수신단 제어기(123)가 구비되며; 그 중에서 송신단 제어기(113)은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전력 송신단 회로(112)의 작동 파라미터, 예를 들면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며, 수신단 제어기(123)은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전력 수신단 회로(122)의 작동 파라미터, 예를 들면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비접촉식 변압기;
신호 송신단(21)과 신호 수신단(22)이 포함되고, 신호 송신단(21)은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11) 또는 수신단(12)에 설치되고, 신호 수신단(22)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타단에 설치되는 탐지 장치(2)가 포함된다. 신호 수신단(22)은 신호 송신단(11)이 송신하는 신호에 의하여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 코일(111)과 수신 코일(121)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 취득한다. 신호 수신단(22)은 탐지 취득한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단 제어기(123)로 전송하고, 다시 수신단 제어기(123)에 의하여 송신단 제어기(113)로 전달한다. 그 중에서,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는 송신 코일(111)과 수신 코일(121) 사이의 공극 및/또는 비정렬 정보가 포함된다.
도1에서, 탐지 장치의 신호 송신단은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되고, 신호 수신단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S101 단계: 비접촉식 변압기가 작동 상태에 처할 때, 탐지 장치의 신호 송신단이 신호 수신단으로 신호를 송신하며;
신호 송신단은 적외선 또는 전자기파를 통하여 신호 수신단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S102 단계: 신호 수신단은 신호 송신단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에 의하여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 취득하며 또한 탐지 취득한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단 제어기로 송신한다.
그 중에서,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작동 상태 하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이다. 하지만 기타 실시예에서는 비작동 상태 하에서 탐지할 수도 있다.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공극 및/또는 비정렬 정보가 포함된다. 공극 파라미터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공극 크기일 수 있는 바, 도3 중의 c와 같다. 비정렬 정보에는 축 방향 비정렬 크기와 폭 방향 비정렬 크기가 포함되며, 도3 중의 a, b와 같다.
S103 단계: 수신단 제어기가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단 제어기로 전달한다.
S104 단계: 수신단 제어기가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바, 그 중에서 작동 파라미터에는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S105 단계: 송신단 제어기가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바, 그 중에서 작동 파라미터에는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조절 방법 중의 S103, S104와 S105 단계의 순서는 다를 수 있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서, 탐지 장치의 신호 송신단은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되고, 신호 수신단은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2 중의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S201 단계: 비접촉식 변압기가 작동 상태에 처할 때, 탐지 장치의 신호 송신단이 신호 수신단으로 신호를 송신하며;
S202 단계: 신호 수신단이 신호 송신단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에 의하여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 취득하며 또한 탐지 취득한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단 제어기로 송신한다.
그 중에서,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작동 상태 하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이고,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공극 및/또는 비정렬 정보가 포함된다.
S203 단계: 송신단 제어기가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단 제어기로 전달한다.
S204 단계: 수신단 제어기가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바, 그 중에서 작동 파라미터에는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S205 단계: 송신단 제어기가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바, 그 중에서 작동 파라미터에는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조절 방법 중의 S203, S204와 S205 단계의 순서는 다를 수 있다.
상응하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2에서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비접촉식 변압기와 탐지 장치(2)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비접촉식 변압기에는 송신단(11)과 수신단(12)이 포함되며, 송신단(11)에는 송신 코일(111), 전력 송신단 회로(112) 및 송신단 제어기(113)가 구비되고, 수신단(12)에는 수신 코일(121), 전력 수신단 회로(122) 및 수신단 제어기(123)가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2에서 제공하는 탐지 장치(2)에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되는 신호 송신단(21);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되는 신호 수신단(22);이 포함된다.
신호 수신단(22)은 신호 송신단(21)의 신호에 의하여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 취득하고, 신호 수신단(22)은 탐지 취득한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단 제어기(113)로 전송하고, 다시 송신단 제어기(113)에 의하여 수신단 제어기(123)로 전달한다.
당업계의 기술인원들은 상기 방법 중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는 프로그램 명령을 통하여 관련 하드웨어로 하여금 완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예를 들면 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음을 이해여야 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분 단계는 하나 또는 다수의 직접 회로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상응하게, 상기 실시예 중의 각 모듈/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어떠한 특정된 형식의 하드웨어와 소프웨어의 결합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상기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인원들로 놓고 말하면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개변과 변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사상과 원칙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수정, 등가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방안은 비접촉식 변압기 작동 상태 하에 탐지된 공극 파라미터와 비정렬 파라미터에 의하여 전력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 설정을 조절하여, 시스템을 제어하여 선택가능한 파라미터 구간에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비교적 강한 산업상 활용성을 구비한다.

Claims (10)

  1.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에 있어서, 비접촉식 변압기와 탐지 장치가 포함된 조절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에는 송신 코일, 전력 송신단 회로 및 송신단 제어기가 구비된 송신단과 수신 코일, 전력 수신단 회로 및 수신단 제어기가 구비된 수신단이 포함되며, 상기 방법에는,
    상기 탐지 장치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하는 바,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에는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공극 및/또는 비정렬 정보가 포함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며; 및/또는 상기 수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 장치에는 신호 송신단과 신호 수신단이 포함되고, 상기 신호 송신단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수신단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되며; 또는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되며;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신호 송신단이 송신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 취득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될 때, 상기 신호 수신단이 탐지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수신단 제어기로 송신하고, 다시 상기 수신단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송신단 제어기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될 때, 상기 신호 수신단이 탐지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송신단 제어기로 송신하고, 다시 상기 송신단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수신단 제어기로 송신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에는,
    상기 송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및/또는
    상기 수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에는,
    상기 수신단 제어기가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작동 상태 하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6.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시스템에 있어서, 비접촉식 변압기가 포함되고,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에는 송신 코일, 전력 송신단 회로 및 송신단 제어기가 구비된 송신단과 수신 코일, 전력 수신단 회로 및 수신단 제어기가 구비된 수신단이 포함되며, 상기 조절 시스템에는 또한 탐지 장치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탐지 장치는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하는 바,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는 상기 송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 사이의 공극 및/또는 비정렬 정보가 포함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송신단 제어기는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도록 설정되며; 및/또는
    상기 수신단 제어기는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 장치에는 신호 송신단과 신호 수신단이 포함되고, 상기 신호 송신단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수신단은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신호 송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되며; 및
    상기 신호 수신단은 상기 신호 송신단이 송신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탐지 취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단은 또한,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수신단에 설치될 때, 상기 신호 수신단이 탐지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수신단 제어기로 송신하고, 다시 상기 수신단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 제어기로 전달하며; 또는
    상기 신호 수신단이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송신단에 설치될 때, 상기 신호 수신단이 탐지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송신단 제어기로 송신하고, 다시 상기 송신단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수신단 제어기로 전달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시스템.
  9. 제6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제어기는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송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도록 설정되며; 및/또는
    상기 수신단 제어기는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주파수 파라미터 및/또는 위상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는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전력 수신단 회로의 작동 파라미터에 대하여 조절을 진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시스템.
  10. 제6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비접촉식 변압기의 작동 상태 하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전력 전송 파라미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시스템.
KR1020167007869A 2013-09-27 2014-06-18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468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451294.5 2013-09-27
CN201310451294.5A CN104518674A (zh) 2013-09-27 2013-09-27 一种非接触变压器的调节方法及系统
PCT/CN2014/080223 WO2015043249A1 (zh) 2013-09-27 2014-06-18 一种非接触变压器的调节方法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891A true KR20160046891A (ko) 2016-04-29

Family

ID=5274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869A KR20160046891A (ko) 2013-09-27 2014-06-18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36729B2 (ko)
EP (1) EP3046222B1 (ko)
JP (1) JP2016535563A (ko)
KR (1) KR20160046891A (ko)
CN (1) CN104518674A (ko)
WO (1) WO2015043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8891B (zh) * 2019-12-02 2022-02-15 浙江升豪机械有限公司 一种小型化电磁共振耦合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3151A (ja) * 2000-07-25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充電用トランス及び充電式電動機器セットの製造方法
CN2713659Y (zh) * 2004-07-21 2005-07-27 昆盈企业股份有限公司 变频式感应充电装置
US8427100B2 (en) * 2009-02-06 2013-04-23 Broadcom Corporation Increasing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transfer
CN101814749B (zh) * 2009-02-20 2013-10-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充电装置
JP5559665B2 (ja) * 2010-11-30 2014-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非接触給電装置のインピーダンス整合方法とそれを用いた非接触給電装置
CN103283110B (zh) * 2010-12-27 2016-01-13 日产自动车株式会社 非接触充电装置
EP2677627B1 (en) * 2011-02-15 2018-04-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on-contact power receiving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non-contact power receiving apparatus mounted therein and non-contact power supply equipment
JP5879748B2 (ja) * 2011-05-27 2016-03-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車両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8798537B2 (en) * 2011-06-27 2014-08-05 Lg Electronics Inc. Two-way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KR20130007173A (ko) 2011-06-29 2013-0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EP2735083A4 (en) 2011-07-21 2015-10-07 Ut Battelle Llc INSTALLATION AND TOOL FOR VALIDATING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EQUIPMENT WITH WIRELESS POWER TRANSFER
JP5010061B1 (ja) * 2011-09-21 2012-08-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非接触電力送電装置、非接触電力受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9515515B2 (en) * 2011-10-25 2016-12-06 Seon Seob Kim Contactless charging system and contactless charg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6222A1 (en) 2016-07-20
US20160226318A1 (en) 2016-08-04
US10236729B2 (en) 2019-03-19
WO2015043249A1 (zh) 2015-04-02
CN104518674A (zh) 2015-04-15
EP3046222A4 (en) 2016-10-12
JP2016535563A (ja) 2016-11-10
EP3046222B1 (en)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9618B1 (ko)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KR101831993B1 (ko)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122668B (zh) 感应共振整合型无线充电发射器的线圈结构及控制方法
EP31325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protection in wireless charging
JP2011142748A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KR20170042944A (ko) 가변 스위칭 주파수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US9590454B2 (en) Power transmitter, repeater,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659183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
KR20160046891A (ko) 비접촉식 변압기의 조절 방법 및 시스템
JP2017005796A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140112780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50057984A (ko)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장치 및 비접촉 방식 전력 공급 방법
KR20160040354A (ko) 자기장의 다중 동기를 이용한 광역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193642B1 (ko) 공명 전력 신호 및 유도 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2017028844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2016011880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ing power wirelessly, and system for supplying power wirelessly using the same
RU27965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энергии
KR102086859B1 (ko) 하이브리드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하이브리드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의 무선 전력 신호 제어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자기 공명식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2150521B1 (ko) 유도 전력 신호 및 공명 전력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396721B1 (ko) 하이브리드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하이브리드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의 무선 전력 신호 제어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자기 공명식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2297354B1 (ko) 유도 전력 신호 및 공명 전력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WO2017130422A1 (ja) 磁気共鳴式給電システム
JP2014050302A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150030018A (ko) 무선전력 송수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