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664A -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664A
KR20160045664A KR1020160046649A KR20160046649A KR20160045664A KR 20160045664 A KR20160045664 A KR 20160045664A KR 1020160046649 A KR1020160046649 A KR 1020160046649A KR 20160046649 A KR20160046649 A KR 20160046649A KR 20160045664 A KR20160045664 A KR 2016004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menu
area
displayed
execution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영
Original Assignee
이프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프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프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5664A/ko
Publication of KR2016004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를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에 있어서, 스크린부 내의 소정의 터치 영역에 배열되는 복수의 실행명령 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되는 경우에, 원터치되는 상기 실행명령 아이콘에 해당하는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고, 스크린부 내의 터치 영역이 메인 메뉴가 변하지 않고 항상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과, 실행 메뉴 또는 하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과, 실행 메뉴 또는 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과,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이를 이용하여 디지탈 제어 데이터를 싣은 SMS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SMS 전송 방법에 의하면 남녀노소 누구나 디스플레이되는 실행명령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쉽게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단말기들의 소정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각국에서 호환 가능한 SMS 이동 통신 모듈을 적용하면 세계인 모두 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발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graphic user interface for remote control and thereof method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service}
본 발명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간단히 'GUI' 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하에서 스크린부 내의 소정의 터치 영역에 배열되는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되는 경우에, 원터치되는 실행명령 아이콘에 해당하는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는 GUI과, GUI에 의하여 원 터치되는 경우에 제어 데이터용 문자 메세지(이하, 간단히 'SMS'라 한다)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 단말기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기능 면에서 음성 통화나 SMS와 같은 전통적인 통신 기능 외에 멀티미디어, 무선 인터넷, 근거리 무선 통신, 이동 방송 수신 등 매우 다양한 기능들이 새롭게 부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 디자인, 해상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측면에서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스크린에서 수행하는 입력 장치 겸 표시 장치이다. 터치 스크린은 기존의 키패드의 일부나 혹은 전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키패드를 없앨 수 있으므로 표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에 휴대 단말기 제조업체마다 터치 스크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관련 연구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다양한 단말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SMS를 전송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는 본 출원인의 선 출원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5194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5194호에는 휴대 단말기의 메서지 보내기 란에서 다양한 단말기들을 제어할 디지털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고 있다. 또한 NCB의 실행명령은 트리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다양한 단말기들을 제어할 때에 일일이 트리구조에 맞는 디지털 제어 데이터를 SMS의 형식으로 작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다루기가 쉽지 않아 사용 면에서 소비자에게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빠른 제어의 실행을 하지 못하였었다. 특히, 각국마다 언어가 상이하여 각국 언어마다 트리구조의 실행명령의 정보 데이터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하에서 작동하고 스크린부 내에서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GUI를 구현하여서, 소정의 터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행 아이콘이 원터치되는 경우에, 다양한 단말기들을 제어할 디지털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를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에 있어서, 스크린부 내의 소정의 터치 영역에 배열되는 복수의 실행명령 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되는 경우에, 원터치되는 상기 실행명령 아이콘에 해당하는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과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실행명령 아이콘들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하에 작동되는 스크린부 내의 실행 메뉴영역에서 상기 실행명령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서,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부 내의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 될 때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디지털 제어 데이터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제어 본체, 홈서버, 홈비디오, 비디오폰, 디스플레이 방송 수신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은 상기 소정의 터치 영역은 디스플레이부가 메인 메뉴가 변하지 않고 항상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과, 실행 메뉴 또는 하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과, 실행 메뉴 또는 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과,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은 운영체제하에 작동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 될 때에, 상기 실행명령 아이콘에 해당하는 디지털 제어 데이터를 싣은 문자 메세지(SMS)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하에 작동하는 실행 메뉴영역에 배열되는 복수의 실행명령 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 되는 경우에, 원터치 되는 상기 실행명령 아이콘에 해당하는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과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실행명령 아이콘들과, 스크린부 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하에 작동하는 실행 메뉴영역에서 상기 실행명령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소정의 터치 영역을 구비하고,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크린부 내의 소정의 터치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 될 때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디지털 제어 데이터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제어 본체, 홈서버, 홈비디오, 비디오폰, 디스플레이 방송 수신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스크린부는 메인 메뉴가 변하지 않고 항상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과, 실행 메뉴 또는 하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과, 실행 메뉴 또는 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과,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하에서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 될 때에, 상기 실행명령 아이콘에 해당하는 디지털 제어 데이터를 싣은 문자 메세지(SMS)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터치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SMS 전송 방법에 의하면, 남녀노소 누구나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원터치하여 쉽게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단말기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국에서 호환 가능한 SMS 이동 통신 모듈을 적용하면 세계인 모두 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발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GUI에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GUI에서 터치 스크린에 배열되는 다수의 메뉴정보(아이콘 등) 및 데이터들을 표시한 상태를 보인 도로서,
(a)는 제어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b)는 제어 아이콘을 한번 더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c)는 제어 아이콘을 다시 한번 더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d)는 제품1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e)는 제품2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f)는 제품3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
(g)는 제품3 아이콘을 한번 더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h)는 도 4(e)의 촬영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i)는 도 4(e)의 모니터링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며,
(j)는 도 3(a)의 데이터 감지(Sensing)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GUI에서 터치 스크린에 배열되는 다른 다수의 메뉴정보(아이콘 등) 및 데이터들을 표시한 상태를 보인 도로서,
(a)는 메뉴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b)는 도 3(a)의 사용자 관리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GUI에서 터치 스크린에 배열되는 또 다른 다수의 메뉴정보(아이콘 등) 및 데이터들을 표시한 상태를 보인 도로서,
(a)는 도 3(b)의 사용자 정보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b)는 도 3(b)의 기기 정보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c)는 도 3(b)의 정보 관리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d)는 도 3(b)의 우선 순위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e)는 도 3(a)의 영상신호 전송(Discovery)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f)는 도 4(e)의 전송 요구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g)는 도 4(e)의 영상 데이터 관리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고,
(h)는 도 2(j)의 센서 1 아이콘에 이어서, 센서 1 아이콘과 연관되는 전송요구 아이콘을 계속하여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며,
(i)는 설정 아이콘을 한번 터치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태를 보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GUI를 이용한 SMS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GUI 및 이를 이용한 SMS 전송 방법의 구성 및 그에 의하여 발휘되는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GUI는 원격제어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CB, 홈서버, 홈비디오, 비디오폰, 디스플레이 방송 수신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GUI 및 이를 이용한 SMS 전송 방법에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는 셀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한 CDMA, GSM , TDMA, SDMA 또는 FDMA 방식의 통신 모듈 뿐만 아니라 SMS를 실현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들을 의미한다.
다양한 단말기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로부터 디지탈 제어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SMS가 NCB로 전송된다. 이때에 NCB로 전송될 SMS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상의 아이콘의 원 터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GUI에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의 구성도이다.
터치 스크린은 정보입력과 정보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린부(10)와, 다수의 메뉴정보(아이콘 등) 및 데이터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된 메뉴정보(아이콘 등) 또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30)와, 감지부(30)에서 감지된 터치 위치(X좌표 값 및 Y좌표 값)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터치 패널 컨트롤러(40),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터치 스크린 제어 프로그램, 문자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을, 그리고 둘 이상의 입력신호의 상대 위치에 대응하는 실행명령 및 트리구조의 디지털 제어 데이터 등의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는 저장부(50)와, 터치의 입력 후에 이에 대응하는 실행명령을 수행할 때까지 상기 터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60)와, 터치 스크린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것을 가정했을 때의 각 영역의 순차적인 조합으로 구성된 영역 시퀀스를 등록하여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 저장부(70)와, 터치 패널 컨트롤러(40)의 터치 위치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받아 XY좌표의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실행명령을 저장부(50)로부터 검색하여 실행명령을 실행시키는 제어부(80)와, 제어부(80)에 의하여, 저장부(50)로부터 읽어낸 실행명령에 대응하는 트리구조의 디지털 제어 데이터를 이동 통신 네트워크상의 공중으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90)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을 구현하는 방식은 예를 들면,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Electrostatic Capacitive),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Integral Strain Gauge), 피에조 효과 방식(Piezo Electric)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의 구현 방식은 모두 공지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50)에 저장되는 실행명령은 입력신호의 연속 입력 횟수, 입력신호들의 상대 위치에 따라 구분된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입력신호의 연속 입력 횟수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연속된 입력의 횟수이다.
매핑 테이블 저장부(70)는 각 영역 시퀀스마다 실행명령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이와 같이 영역 시퀀스 및 그에 따른 실행명령은 일종의 매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에, 매핑 테이블 저장부(70)에 등록되는 영역 시퀀스는 스크린 영역을 4개 메뉴영역들이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에 4개의 분할 메뉴영역들에 속하는 복수 개의 메뉴영역의 순차적인 시퀀스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현재 3.3인치 터치 스크린의 스크린부(10) 상에서 구현할 수 있는 메뉴정보(아이콘 등)의 개수는 12 ~ 16개이다. 여기에서 4개 메뉴영역들은 제1 메뉴영역, 제2 메뉴영역 및, 제3 메뉴영역 및, 제4 메뉴영역을 포함한다. 제1 메뉴영역은 메인 메뉴영역이고, 제2 메뉴 영역은 하위 메뉴영역이거나 혹은 실행 메뉴영역이며, 제3 메뉴영역은 상위 메뉴영역이거나 혹은 실행 메뉴영역이다. 또한 제4 메뉴영역은 상위 메뉴영역이거나 혹은 하위 메뉴영역이다. 각 메뉴영역의 크기는 동시에 실행되는 상대 메뉴영역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상세히는 각각의 상대 메뉴영역의 조합에 따라 그 비율이 정해지게 된다.
제1 메뉴영역, 제2 메뉴영역, 제3 메뉴영역 및, 제4 메뉴영역의 배열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GUI에서 터치 스크린에 배열되는 다수의 메뉴정보(아이콘 등) 및 데이터들을 표시한 상태를 보인 도이다.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메뉴영역(100)은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의 최상부 부위에 위치하고 제2 메뉴영역(200)은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의 상부 부위에 위치하며, 제3 메뉴영역(300)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의 중간 부위에 위치한다. 또한 제4 메뉴영역(400)은 하위 부위에 위치한다.
제1 메뉴영역(100)은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을 포함하고 있다.
메뉴 아이콘(110)의 메뉴에는 제어 서비스(Service), 사용자 관리(Management), 영상신호 전송(Discovery) , 데이터 감지(Sensing)가 있다.
설정 아이콘(120)의 설정에는 착신지, 시간, 온도, 회전 각도가 있다.
제어 아이콘(130)은 제2 메뉴영역(200)의 실행명령 아이콘들 및 제3 메뉴영역(300)의 실행 아이콘들과 제4 메뉴영역(400)의 제어기기 아이콘들과 연관되어 있다.
제2 메뉴영역(200)은 실행명령1-1 아이콘(211), 실행명령1-2 아이콘(212) 및, 실행명령1-3 아이콘(213)을 포함하고 있다.
제3 메뉴영역(300)은 실행명령1-4 아이콘(311), 실행명령1-5 아이콘(312) 및, 실행명령1-6 아이콘(313)을 포함하고 있다.
제4 메뉴영역(400)은 제어기기1 아이콘(410), 제어기기2 아이콘(420) 및, 제어기기3 아이콘(430)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에, 제2 메뉴영역(200)에 위치한 실행명령1-1아이콘(211), 실행명령1-2 아이콘(212) 및, 실행명령1-3 아이콘(213)과 제3 메뉴영역(300)에 위치한 실행명령1-4 아이콘(311), 실행명령1-5 아이콘(312) 및, 실행명령1-6 아이콘(313)은 제4 메뉴영역(400)에 위치한 제어기기1 아이콘(410)과 연관되는 아이콘들이다.
따라서 제2 메뉴영역(200) 및 제3 메뉴영역(300)은 실행명령군 영역이고 제4 메뉴 영역(400)은 제품군 영역이다.
다시 말하면, 트리구조에서 실행명령군 영역은 최하위에 위치하고 제품군 영역은 하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트리구조에서 제품군 영역은 실행명령군 영역보다 한 단계 낮은 위치에 놓여 있다.
도 2(a)의 스크린 상태하에서 제1 메뉴영역(100)의 메뉴 아이콘(11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1 메뉴영역(100), 제2 메뉴영역(200), 제3 메뉴영역(300) 및, 제4 메뉴영역(400)의 배열은 도 3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GUI에서 터치 스크린에 배열되는 다른 다수의 메뉴정보(아이콘 등) 및 데이터들을 표시한 상태를 보인 도이다.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메뉴영역(100)은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의 최상부 부위에 위치하고 제2 메뉴영역(200)은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의 상부 부위에 위치하며, 제3 메뉴영역(300)은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의 중간 부위에 위치한다. 또한 제4 메뉴영역(400)은 하위 부위에 위치한다.
제1 메뉴영역(100)은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을 포함하고 있다.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은 메인 메뉴에 속한다.
제2 메뉴영역(200)은 가전기기 아이콘(250), 헬스케어 아이콘(260), 보안기기 아이콘(270)을 포함하고 있다. 가전기기 아이콘(250), 헬스케어 아이콘(260), 보안기기 아이콘(270)는 하위 메뉴에 속한다.
제3 메뉴영역(300)은 제어 서비스(Service) 아이콘(350), 사용자 관리(Management) 아이콘(360), 영상신호 전송(Discovery) 아이콘(450)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 서비스(Service) 아이콘(350) 및, 사용자 관리(Management) 아이콘(360)은 상위 메뉴에 속한다.
제4 메뉴영역(400)은 영상신호 전송(Discovery) 아이콘(450) 및, 데이터 감지(Sensing) 아이콘(460)을 포함하고 있다. 영상신호 전송(Discovery) 아이콘(450) 및, 데이터 감지(Sensing) 아이콘(460)도 상위 메뉴에 속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메뉴영역(300)의 일부 및 제4 메뉴영역(400)의 일부는 제2 메뉴영역(200)에 속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제3 메뉴영역(300)의 우측영역 및 제4 메뉴영역(400)의 우측영역은 제 2 메뉴영역(200)에 속하게 된다.
그리하여 제3 메뉴영역(300)의 우측영역은 리빙 라이프 아이콘(280)을 포함하고 있고 제4 메뉴영역(400)의 우측영역은 원격 검침 아이콘(290)을 포함하고 있다. 리빙 라이프 아이콘(280) 및 원격 검침 아이콘(290)도 하위 메뉴에 속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대기화면으로부터 주 메뉴 화면으로 들어가면 주 메뉴 화면에서 원격제어 아이콘이 보인다. 사용자가 주 메뉴 화면에서 원격제어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도 2(a)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만약에 도 2(a)과 같은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1 메뉴영역(100)에 속하는 메뉴 아이콘(110)을 터치하는 경우에, 도 3(a)과 같은 화면으로 바뀐다.
또한 만약에 도 2(a)과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1 메뉴영역(100)에 속하는 제어 아이콘(13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속하는 실행 아이콘들과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이 동시에 바뀌게 된다. 다시 말하면, 초기에 도 2과 같은 화면에 있었다면 그 후에 사용자가 제1 메뉴영역(100)에 속하는 제어 아이콘(130)을 연속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터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1 메뉴영역(100)에 속하는 제어 아이콘(130)을 터치할 때마다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속하는 실행 아이콘들과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이 동시에 바뀌게 된다. 여기에서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속하는 실행 아이콘들과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이 동시에 바뀔 때에,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속하는 실행 아이콘들은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일 왼쪽에 존재하는 제품 아이콘과 연관된 실행 아이콘들이다. 다시 말하면,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속하는 실행 아이콘들은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일 왼쪽에 존재하는 제품 아이콘과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할 아이콘들이다.
예를 들면, 도 2(a)과 같은 화면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로 제1 메뉴영역(100)에 속하는 제어 아이콘(13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메뉴영역(200)에 실행명령4-1 아이콘(241), 실행명령4-2 아이콘(242) 및, 실행명령4-3 아이콘(243)이, 그리고 제3 메뉴영역(300)에 실행명령4-4 아이콘(341), 실행명령4-5 아이콘(342) 및, 실행명령4-6 아이콘(343)이 도 2(b)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동시에 제 4 메뉴영역(400)에는 제어기기4 아이콘(440), 제어기기5 아이콘(450) 및, 제어기기6 아이콘(460)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에 실행명령4-1 아이콘(241), 실행명령4-2 아이콘(242), 실행명령4-3 아이콘(243), 실행명령4-4 아이콘(341), 실행명령4-5 아이콘(342) 및, 실행명령4-6 아이콘(343)은 제어기기4 아이콘(44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한번 제1 메뉴영역(100)에 속하는 제어 아이콘(13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4 영역(400)에는 제어기기7 아이콘(470), 제어기기8 아이콘(470), 제어기기9 아이콘(49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는 각각 실행명령7-1 아이콘(271), 실행명령7-2 아이콘(272), 실행명령7-3 아이콘(273), 실행명령7-4 아이콘(371), 실행명령7-5 아이콘(372) 및, 실행명령7-6 아이콘(373)이 도 2(c)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에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서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실행명령7-1 아이콘(271), 실행명령7-2 아이콘(272), 실행명령7-3 아이콘(273), 실행명령7-4 아이콘(371), 실행명령7-5 아이콘(372) 및, 실행명령7-6 아이콘(373)은 제4 메뉴영역(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어기기7 아이콘(47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제1 메뉴영역(100)에 속하는 제어 아이콘(130)을 터치할 때마다,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서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과 제4 메뉴영역(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품 아이콘들이 바꾸게 되는데, 이때에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서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은 제4 메뉴영역(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일 왼쪽의 제품 아이콘, 즉 왼쪽 첫 번째의 제품 아이콘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다.
만약에 사용자가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속하는 아이콘들을 터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터치한 실행명령 아이콘에 속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명령이 제어부(80)에 제공된다.
만약에 사용자가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하나의 제품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제품 아이콘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만약에 도 2(a)과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어기기1 아이콘(41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제어기기1 아이콘(41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 실행명령1-7 아이콘(214), 실행명령1-8 아이콘(215) 및, 실행명령1-9 아이콘(216), 실행명령1-10 아이콘(314), 실행명령1-11 아이콘(315) 및, 실행명령1-12 아이콘(316)이 도 2(d)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에 디스플레이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 실행명령1-7 아이콘(214), 실행명령1-8 아이콘(215), 실행명령1-9 아이콘(216), 실행명령1-10 아이콘(314), 실행명령1-11 아이콘(315) 및, 실행명령1-12 아이콘(316)은 도 2과 같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제어기기1 아이콘(41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다. 사용자가 연속하여 제어기기1 아이콘(410)을 계속 터치하는 경우에는 제어기기1 아이콘(41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 연속하여 바뀌어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디스플레이된다. 제어기기1 아이콘(410)을 계속 터치할 때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실행명령 아이콘들이 바뀌어 돌아가면서 순차적으로 자기 메뉴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 2(a)과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4 메뉴영역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어기기2 아이콘(42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및 3 메뉴영역(200), (300)에서는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어기기1 아이콘(41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 실행명령1-1 아이콘(211), 실행명령1-2 아이콘(212) 및, 실행명령1-3 아이콘(213), 실행명령1-4 아이콘(311), 실행명령1-5 아이콘(312) 및, 실행명령1-6 아이콘(313)로부터 제어기기2 아이콘(42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 실행명령2-1 아이콘(221), 실행명령2-2 아이콘(222) 및, 실행명령2-3 아이콘(223), 실행명령2-4 아이콘(321), 실행명령2-5 아이콘(322) 및, 실행명령2-6 아이콘(323)로 도 2(e)와 같이 바뀌게 된다.
이어서 계속하여 사용자가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어기기2 아이콘(420)을 연속하여 터치할 때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서도 연속하여 제어기기2 아이콘(42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 바뀌어 돌아가면서 순차적으로 자기 메뉴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도 2(a)과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어기기3 아이콘(430)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어기기1 아이콘(41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 실행명령1-1 아이콘(211), 실행명령1-2 아이콘(212) 및, 실행명령1-3 아이콘(213), 실행명령1-4 아이콘(311), 실행명령1-5 아이콘(312) 및, 실행명령1-6 아이콘(313)로부터 제어기기3 아이콘(43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 실행명령3-1 아이콘(231), 실행명령3-2 아이콘(232) 및, 실행명령3-3 아이콘(233), 실행명령3-4 아이콘(331), 실행명령3-5 아이콘(332) 및, 실행명령3-6 아이콘(333)로 도 2(f)와 같이 바뀌게 된다.
또한 만약에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제어기기2 아이콘(42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 실행명령2-1 아이콘(221), 실행명령2-2 아이콘(222) 및, 실행명령2-3 아이콘(223), 실행명령2-4 아이콘(321), 실행명령2-5 아이콘(322) 및, 실행명령2-6 아이콘(323)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어기기3 아이콘(43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은 각각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어기기2 아이콘(42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 실행명령2-1 아이콘(221), 실행명령2-2 아이콘(222) 및, 실행명령2-3 아이콘(223), 실행명령2-4 아이콘(321), 실행명령2-5 아이콘(322) 및, 실행명령2-6 아이콘(323)로부터 제어기기3 아이콘(43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 실행명령3-1 아이콘(231), 실행명령3-2 아이콘(232) 및, 실행명령3-3 아이콘(233), 실행명령3-4 아이콘(331), 실행명령3-5 아이콘(332) 및, 실행명령3-6 아이콘(333)로 바뀌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품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터치한 제품 아이콘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 제2 및 제3 영역(200), (300)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제4 메뉴영역(400)에 속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이미 터치한 제품 아이콘을 연속하여 계속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서도 연속하여 이미 터치한 제품 아이콘과 연관하여 디스플레이된 실행명령 아이콘들을 제외하고서 이미 터치한 제품 아이콘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 바뀌어 돌아가면서 순차적으로 자기 메뉴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이미 터치한 제품 아이콘과 연관하여 제2 및 제3 메뉴영역에서 실행명령3-1 아이콘(231), 실행명령3-2 아이콘(232) 및, 실행명령3-3 아이콘(233), 실행명령3-4 아이콘(331), 실행명령3-5 아이콘(332) 및, 실행명령3-6 아이콘(333)이 디스플레이되었을 경우에 연속하여 이미 터치한 제품 아이콘을 사용자가 또 터치할 때에는 이미 터치한 제품 아이콘과 연관하여 제2 및 제3 메뉴영역에서는 실행명령3-7 아이콘(234), 실행명령3-8 아이콘(235) 및, 실행명령3-9 아이콘(236), 실행명령3-10 아이콘(334), 실행명령3-11 아이콘(335) 및, 실행명령3-12 아이콘(336)이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2(a)과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1 메뉴영역(100)에 속하는 메뉴 아이콘(110)을 터치하여, 도 3(a)과 같은 화면으로 바뀐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위 메뉴 중에서 제3 메뉴영역(300)에 있는 제어 서비스(Service) 아이콘(35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메뉴영역(200)에 가전기기 아이콘(250), 헬스케어 아이콘(260), 보안기기 아이콘(27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3 메뉴영역(300)의 우측영역에 리빙 라이프 아이콘(280)이, 그리고 제4 메뉴영역(400)의 우측영역에 원격 검침 아이콘(290)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도 2(a)와 같은 화면으로부터 도 3(a)과 같은 화면으로 바뀐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3 메뉴영역(300)에 있는 제어 서비스(Service) 아이콘(350)을 터치할 때에 제어 서비스(Service) 아이콘(350)에 연관되는 하위 메뉴가 가전기기 아이콘(250), 헬스케어 아이콘(260), 보안기기 아이콘(270), 리빙 라이프 아이콘(280) 및, 원격 검침 아이콘(290)을 제외하고는 없는 경우에 화면의 변화없이 가전기기 아이콘(250), 헬스케어 아이콘(260), 보안기기 아이콘(270), 리빙 라이프 아이콘(280) 및, 원격 검침 아이콘(290)이 그대로 디스플레이되고 제어 서비스(Service) 아이콘(350)에 연관되는 하위 메뉴가 가전기기 아이콘(250), 헬스케어 아이콘(260), 보안기기 아이콘(270), 리빙 라이프 아이콘(280) 및, 원격 검침 아이콘(290) 이외에 다른 하위 메뉴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다른 하위 메뉴 아이콘들을 제2 메뉴영역(200) 또는 제3 메뉴영역(300)의 우측영역이나 혹은 제4 메뉴영역(400)의 우측영역에 디스플레이시킨다.
계속하여 상기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메뉴영역(200)에 존재하는 가전기기 아이콘(250)을 터치하는 경우에, 도 2(a)과 같은 화면으로 되돌아 간다. 이후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만약에 계속하여 사용자가 하위 메뉴 중에서 제2 메뉴영역(200)에 있는 헬스케어 아이콘(260)을 터치하는 경우에 변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도 2(a)와 같은 배열을 가진 화면을 가지되, 제4 영역(400)에는 헬스케어 아이콘(260)과 연관되는 제품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는 제4 영역(400)의 헬스케어 아이콘(260)과 연관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일 왼쪽의 제품 아이콘, 즉 왼쪽 첫 번째의 제품 아이콘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만약에 계속하여 사용자가 하위 메뉴 중에서 제2 메뉴영역(200)에 있는 보안기기 아이콘(270)을 터치하는 경우에 변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도 2(a)와 같은 배열을 가진 화면을 가지되, 제4 영역(400)에는 보안기기 아이콘(270)과 연관되는 제품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는 제4 영역(400)의 보안기기 아이콘(270)과 연관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일 왼쪽의 제품 아이콘, 즉 왼쪽 첫 번째의 제품 아이콘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만약에 계속하여 사용자가 하위 메뉴 중에서 제2 메뉴영역(200)에 있는 보안기기 아이콘(270), 리빙 라이프 아이콘(280), 또는 원격 검침 아이콘(290)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화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도 2(a)와 같은 배열을 가진 화면을 가지되, 제4 영역(400)에는 사용자가 터치한 상기 어느 하나의 아이콘과 연관되는 제품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는 제4 영역(400)의 사용자가 터치한 상기 어느 하나의 아이콘과 연관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일 왼쪽의 제품 아이콘, 즉 왼쪽 첫 번째의 제품 아이콘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메뉴영역(200) 또는 제3 메뉴영역
(300)의 우측영역이나 혹은 제4 메뉴영역(400)의 우측영역에 존재하는 하위 메뉴, 가전기기 아이콘(250), 헬스케어 아이콘(260), 보안기기 아이콘(270), 리빙 라이프 아이콘(280) 및, 원격 검침 아이콘(29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하위 메뉴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에, 도 2(a)와 같은 배열을 가진 화면을 가지되, 제4 영역(400)에는 터치한 하위 메뉴 아이콘과 연관되는 제품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는 제4 메뉴영역(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품 아이콘들 중에서 제일 왼쪽의 제품 아이콘, 즉 왼쪽 첫 번째의 제품 아이콘과 연관되는 실행명령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만약에 도 2(a)과 같은 화면으로부터 도 3(a)과 같은 화면으로 바뀐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위 메뉴 중에서 제3 메뉴영역(300)에 있는 사용자 관리(Management) 아이콘(36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메뉴영역(200), 제3 메뉴영역(300)의 우측영역 및, 제4 메뉴영역(400)의 우측영역이 변화되어 제2 메뉴영역(200)에 사용자 정보 아이콘(2100), 기기 정보 아이콘(2110) 및, 정보 관리 아이콘(212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3 메뉴영역(300)의 우측영역에 우선 순위 아이콘(2130)이, 그리고 제4 메뉴영역(400)의 우측영역에 프로그램 다운 아이콘(2140)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도 2(a)와 같은 화면으로부터 도 3(a)과 같은 화면으로 바뀐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3 메뉴영역(300)에 있는 사용자 관리(Management) 아이콘(360)을 터치할 때에 사용자 관리(Management) 아이콘(360)에 연관되는 하위 메뉴가 사용자 정보 아이콘(2100), 기기 정보 아이콘(2110), 정보 관리 아이콘(2120), 우선 순위 아이콘(2130) 및, 프로그램 다운 아이콘(2140)을 제외하고는 없는 경우에 화면의 변화없이 사용자 정보 아이콘(2100), 기기 정보 아이콘(2110), 정보 관리 아이콘(2120), 우선 순위 아이콘(2130) 및, 프로그램 다운 아이콘(2140)이 그대로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관리(Management) 아이콘(360)에 연관되는 하위 메뉴가 사용자 정보 아이콘(2100), 기기 정보 아이콘(2110), 정보 관리 아이콘(2120), 우선 순위 아이콘(2130) 및, 프로그램 다운 아이콘(2140) 이외에 다른 하위 메뉴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다른 하위 메뉴 아이콘들이 제2 메뉴영역(200) 또는 제3 메뉴영역(300)의 우측영역이나 혹은 제4 메뉴영역(400)의 우측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계속하여 상기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메뉴영역(200)에 존재하는 사용자 정보 아이콘(2100)을 터치하는 경우에, 도 4(a)과 같은 화면으로 변한다.
도 4(a)의 화면에서 제1 메뉴영역(100)은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의 최상부 부위에 위치하고 제2 메뉴영역(200)은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의 상부 부위에 위치하며, 제3 메뉴영역(300)은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의 중간 부위에 위치한다. 또한 제4 메뉴영역(400)은 하위 부위에 위치한다.
제1 메뉴영역(100)은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을 포함하고 있다.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은 메인 메뉴에 속한다.
제2 메뉴영역(200)은 등록 아이콘(2101) 및 변경 아이콘(2102)을 포함하고 있다. 등록 아이콘(2101) 및 변경 아이콘(2102)은 서브 메뉴에 속한다.
제3 메뉴영역(300)도 서브 메뉴에 속한다. 만약 제3 메뉴영역(300)에 디스플레이할 사용자 정보 아이콘(2100)의 서브 메뉴가 더 이상 없는 경우에는 빈 공간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제4 메뉴영역(400)은 이전 아이콘(910), 주 메뉴 아이콘(920) 및, 다음 아이콘(930)을 포함하고 있다. 이전 아이콘(910), 주 메뉴 아이콘(920) 및, 다음 아이콘(930)은 선택 메뉴에 속한다.
만약에 계속하여 상기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메뉴영역(200)에 존재하는 기기 정보 아이콘(2110)을 터치하면 도 4(b)과 같은 화면으로 변한다. 이때의 도 4(b)의 화면에서 제1 메뉴영역(100)은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메뉴영역(200)은 등록 아이콘(2111) 및 변경 아이콘(2112)이 디스플레이되며, 제4 메뉴영역(400)은 이전 아이콘(910), 주 메뉴 아이콘(920) 및, 다음 아이콘(930)이 디스플레이된다. 등록 아이콘(2111) 및 변경 아이콘(2112)은 서브 메뉴에 속한다.
만약에 계속하여 상기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메뉴영역(200)에 존재하는 정보 관리 아이콘(2120)을 터치하면 도 4(c)과 같은 화면으로 변한다. 이때의 도 4(c)의 화면에서 제1 메뉴영역(100)은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메뉴영역(200)은 찾기 아이콘(2121), 추가 아이콘(2122) 및, 선택 아이콘(2123)이 디스플레이되며, 제3 메뉴 영역(300)에서도 삭제 아이콘(3121)이 디스플레이된다. 찾기 아이콘(2121), 추가 아이콘(2122), 선택 아이콘(2123), 삭제 아이콘(3121)은 서브 메뉴에 속한다.
만약에 계속하여 상기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3 메뉴영역(300)의 우측영역에 존재하는 우선 순위 아이콘(2130)을 터치하면 도 4(d)과 같은 화면으로 변한다. 이때의 도 4(d)의 화면에서 제1 메뉴영역(100)은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메뉴영역(200)은 등록 아이콘(3131), 설정 아이콘(3132) 및, 해제 아이콘(3133)이 디스플레이되며, 제4 메뉴영역(400)은 이전 아이콘(910), 주 메뉴 아이콘(920) 및, 다음 아이콘(930)이 디스플레이된다. 등록 아이콘(3131), 설정 아이콘(3132) 및, 해제 아이콘(3133)은 서브 메뉴에 속한다.
만약에 계속하여 상기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4 메뉴영역(400)의 우측영역에 존재하는 프로그램 다운 아이콘(2140) 을 터치하면 도 4과 같은 화면으로 변한다. 이때의 도 4 화면에서 제1 메뉴영역(100)은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메뉴영역(200)은 다운로드 아이콘(2141), 프로그램 선택 아이콘(2142) 및, 실행 아이콘(2143)이 되며, 제3 영역(300)은 삭제 아이콘(3141)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제4 메뉴영역(400)은 이전 아이콘(910), 주 메뉴 아이콘(920) 및, 다음 아이콘(930)이 디스플레이된다.
만약에 도 2(a)과 같은 화면으로부터 도 3(a)과 같은 화면으로 바뀐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위 메뉴 중에서 제3 메뉴영역(300)에 있는 영상신호 전송(Discovery) 아이콘(45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메뉴영역(200), 제3 메뉴영역(300)의 우측영역 및, 제4 메뉴영역(400)의 우측영역이 변화되어 제2 메뉴영역(200)에 촬영 아이콘(2150), 모니터링 아이콘(2160) 및, 전송 요구 아이콘(217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3 메뉴영역(300)의 우측영역에 영상 데이터 관리 아이콘(3170)이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촬영 아이콘(2150), 모니터링 아이콘(2160), 전송 요구 아이콘(2170) 및, 영상 데이터 관리 아이콘(3170)은 하위 메뉴에 속한다.
계속하여 상기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메뉴영역(200)에 존재하는 촬영 아이콘(2150)을 터치하는 경우에, 도 2(h)과 같은 화면으로 변한다. 이때의 도 2(h)의 화면에서는 제1 메뉴영역(100)에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3 및 제4 메뉴영역(300), (400)에 제품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며, 제2 메뉴영역(200)에 실행명령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의 제품 메뉴는 기기 1(3190), 기기 2(3200), 기기 3(3210), 기기 4(4190), 기기 5(4200) 및, 기기 6(4210)을 포함한다. 기기 1(3190), 기기 2(3200) 및, 기기 3(3210)은 제3 메뉴영역(3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기기 4(4190), 기기 5(4200) 및, 기기 6(4210)은 제4 메뉴영역(400)에서 디스플레이된다. 기기 1(3190), 기기 2(3200), 기기 3(3210), 기기 4(4190), 기기 5(4200) 및, 기기 6(4210)은 하위 메뉴에 속한다.
그리고 제2 메뉴영역(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실행명령 메뉴는 실행 아이콘(2151), 중지 아이콘(2152) 및, 계속 아이콘(2153)을 포함한다.
실행 아이콘(2151), 중지 아이콘(2152) 및, 계속 아이콘(2153)은 기기 1(319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들이다.
이어서 사용자가 제2 메뉴 영역에 속하는 실행 아이콘(2151), 중지 아이콘(2152) 및, 계속 아이콘(2153)을 터치하는 경우에 터치한 아이콘에 해당하는 실행명령을 제어부(80)에 제공한다.
만약에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메뉴영역(200)에 존재하는 모니터링 아이콘(2160)을 터치하는 경우에, 촬영 아이콘(2150)을 터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2(i)과 같은 화면으로 변한다. 다시 말하면, 제3 메뉴영역(300)에 기기 1(3190), 기기 2(3200) 및, 기기 3(3210)가 디스플레이되고 제4 메뉴영역(400)에 기기 4(4190), 기기 5(4200) 및, 기기 6(4210)가 디스플레이되는 한편에, 제2 메뉴영역(200)에 실행 아이콘(2151), 중지 아이콘(2152) 및, 계속 아이콘(2153)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제2 메뉴 영역에 속하는 실행 아이콘(2151), 중지 아이콘(2152) 및, 계속 아이콘(2153)을 터치하는 경우에 터치한 아이콘에 해당하는 실행명령을 제어부(80)에 제공한다.
만약에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기 1(3190)를 한번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메뉴영역(200)에 전송 요구 아이콘(2170) 및 영상 데이터 관리 아이콘(3180)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에 제2 메뉴영역(200)에 존재하는 전송 요구 아이콘(2170)을 터치하는 경우에, 도 4(f)와 같은 화면으로 변한다.
이때의 도 4(f)의 화면에는 제1 메뉴영역(100)에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며, 제4 영역(400)에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의 서브 메뉴는 전체 아이콘(2171), 현재 방문자 아이콘(2172), 일부 아이콘(2173) 및, 설정 아이콘(3171)을 포함한다. 전체 아이콘(2171), 현재 방문자(2172), 일부 아이콘(2173)은 제2 메뉴영역(200)에 디스플레이되고 설정 아이콘(3171)은 제3 메뉴영역(300)에 디스플레이된다. 일부 아이콘(2173)을 터치하면 시작일과 종료일을 입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만약에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메뉴영역(200)에 존재하는 영상 데이터 관리 아이콘(318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전송 요구 아이콘(2170)을 터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4(g)와 같은 화면으로 변한다.
이때의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서브 메뉴는 삭제 아이콘(2181), 프린트 아이콘(2182) 및, 컴퓨터 전송 아이콘(2183)을 포함한다.
삭제 아이콘(2181), 프린트 아이콘(2182) 및, 컴퓨터 전송 아이콘(2183)을 터치하면 해당 실행명령이 제어부(80)에 제공된다.
만약에 도 2(a)과 같은 화면으로부터 도 3(a)과 같은 화면으로 바뀐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위 메뉴 중에서 제4 메뉴영역(400)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감지(Sensing) 아이콘(460)을 터치하는 경우에, 모니터링 아이콘(2160)을 터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메뉴영역(100)에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3 및 제4 메뉴영역(300), (400)에 제품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며, 제2 메뉴영역(400)에 실행명령 메뉴가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의 제품 메뉴는 센서 1(4500), 센서 2(4510), 센서 3(4520), 센서 4(4530), 센서 5(4540) 및, 센서 6(4550)을 포함한다. 센서 1(4500), 센서 2(4510) 및, 센서 3(4520)은 제3 메뉴영역(3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센서 4(4530), 센서 5(4540) 및, 센서 6(4550)은 제4 메뉴영역(400)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2 메뉴영역(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실행명령 메뉴는 실행 아이콘(2151), 중지 아이콘(2152) 및, 계속 아이콘(2153)을 포함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제2 메뉴 영역에 속하는 실행 아이콘(2151), 중지 아이콘(2152) 및, 계속 아이콘(2153)을 터치하는 경우에 터치한 아이콘에 해당하는 실행명령을 제어부(80)에 제공한다.
만약에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센서 1(4500)를 한번 터치하는 경우에 제2 메뉴영역(200)에 전송 요구 아이콘(3151) 및, 데이터 관리 아이콘(31542)이 디스플레이된다. 실행 아이콘(2151), 중지 아이콘(2152) 및, 계속 아이콘(2153)은 센서 1(4500)과 연관되는 실행명령들이다. 전송 요구 아이콘(3151) 및, 데이터 관리 아이콘(31542)은 실행명령 메뉴에 속해 있지만 사실은 서브 메뉴에 해당한다.
만약에 전송 요구 아이콘(3151)을 터치하는 경우에, 도 4(h)와 같은 화면으로 변한다.
이때의 도 4(h)의 화면에는 제1 메뉴영역(100)에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며, 제4 영역(400)에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의 서브 메뉴는 전체 데이터 아이콘(3151-1), 현재 데이터 문자(3151-2), 일부 데이터 아이콘(3151-3) 및, 설정 아이콘(3151-4)을 포함한다. 전체 데이터 아이콘(3151-1), 현재 데이터 아이콘(3151-2) 및, 일부 데이터 아이콘(3151-3)은 제2 메뉴영역(200)에 디스플레이되고 설정 아이콘(3151-4)은 제3 메뉴영역(300)에 디스플레이된다. 일부 데이터 아이콘(3151-3)을 터치하면 시작일과 종료일을 입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만약에 도 2(a)과 같은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제1 메뉴영역(100)에 속하는 설정 메뉴(420)를 터치하는 경우에, 도 4(i)과 같은 화면으로 바뀐다.
이때의 도 4(i)의 화면에는 제1 메뉴영역(100)에 메뉴 아이콘(110), 설정 아이콘(120) 및, 제어 아이콘(13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및 제3 메뉴영역(200), (300)에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며, 제4 영역(400)에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의 서브 메뉴는 외출 설정 아이콘(2190), 착신지 설정 아이콘(2200), 시간 설정 아이콘(2210), 온도 설정 아이콘(2220) 및, 회전각 설정 아이콘(2230)을 포함한다.
제2 메뉴영역(200)에는 외출 설정 아이콘(2190), 착신지 설정 아이콘(2200) 및, 시간 설정 아이콘(2210)이 디스플레이되고 제3 메뉴영역(300)에는 온도 설정 아이콘(2220) 및, 회전각 설정 아이콘(2230)이 디스플레이된다.
외출 설정 아이콘(2190)을 터치하면, 사진 아이콘, 실행 아이콘, 전송 요구 아이콘, 현재 방문자 아이콘 모두를 연속적으로 터치한 경우와 동일한 실행명령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방문자의 사진을 찍어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송부하도록 하는 실행명령이 제어부(80)에 제공된다.
착신지 설정 아이콘(2200)을 터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착신번호를 임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화면이 이루어진다.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 착신번호와 함께 실행명령이 제어부(80)에 제공된다.
시간 설정 아이콘(2210), 온도 설정 아이콘(2220), 또는 회전각 설정 아이콘(2230)을 터치하면, 해당 조크셔틀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서 동시에, 시간 설정 아이콘(2210)의 경우에 시간, 분, 초를, 온도 설정 아이콘(2220)의 경우 난방, 냉방, 온도를, 그리고 회전각 설정 아이콘(2230)의 경우에 각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화면이 이루어진다. 또한 조크셔틀의 작동시키면 자동 입력된다.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 데이터와 함께 실행명령이 제어부(80)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실행명령들이 제어부(80)에 제공됨에 따라 NCB, 홈서버, 홈비디오, 비디오폰, 디스플레이 방송 수신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원터치 명령제어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용 GUI를 이용한 SMS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행명령은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터치 스크린의 원터치에 의하여 발생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80)가 터치패널 컨트롤러(40)를 통하여 실행명령을 수신하게 되면(단계 5001) 수신한 실행명령이 SMS 메세지 전송할 실행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5002). 만약 수신한 실행명령이 SMS 메세지 전송할 실행명령이 아니라면 다시 실행명령을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단계 5002에서 수신한 실행명령이 SMS 메세지 전송할 실행명령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80)는 저장부(50)로부터 문자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을 가져와 이를 실행시켜 SMS 메세지 작성 폼을 가져온다(단계 5003). 이후에 버퍼 저장부(60)에 저장된 실행명령을 가져와서 매칭 데이블 저장부(70)의 시퀸스에 의하여 저장부(50)로부터 수신 실행명령에 대응하는 트리구조의 디지털 제어 데이터를 읽어 내어 그의 임시 저장 수단에 저장한다(단계 5004). 이어서 제어부(80)는 그의 임시 저장 수단에 저장한 트리구조의 디지털 제어 데이터를 SMS 메세지 작성 폼의 메세지 작성 란에다 자동으로 써 넣어 SMS 메세지를 작성한다(단계 5005).
*그리고 저장부(50)의 사용자 정보 란 및 기기 정보 란에서 비밀번호 및 기기 전화번호를 각각 불러와서 그의 임시 저장 수단에 저장한 다음에(단계 5006) SMS 메세지 작성 폼의 발신자 란에는 사용자 정보의 "비밀번호"를 SMS 메세지 작성 폼의 수신자 란에는 기기 정보의 "기기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써 넣는다(단계 5007). 그리고 SMS 메세지 작성 폼에다 SMS 메세지의 트리구조의 디지털 제어 데이터, 발신자의 "비밀번호", 수신자의 "기기 전화번호"로 이루어지는 SMS 문자 메세지의 작성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5008). 또한 제어부(80)는 단계 5008에서 SMS 메세지 작성 폼 중에서 SMS 메세지의 트리구조의 디지털 제어 데이터, 발신자의 "비밀번호", 수신자의 "기기 전화번호"의 어느 하나가 생략되어 SMS 문자 메세지의 작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에러처리 후에 다시 단계 5003으로 가서 SMS 메세지 작성 폼을 불러온다.
만약에 제어부(80)는 단계 5008에서 SMS 문자 메세지의 작성이 완료되었다면 작성 완료된 SMS 문자 메세지가 무선 통신 모듈(90)을 통하여 공중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단계 5009).
100 : 메인 영역 110 : 메뉴 아이콘
120 : 설정 아이콘 130 : 제어 아이콘
200 : 제2 영역 300 : 제3 영역

Claims (7)

  1.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를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에 있어서,
    스크린부 내의 소정의 터치 영역에 배열되는 복수의 실행명령 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되는 경우에, 원터치되는 상기 실행명령 아이콘에 해당하는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제어 본체, 홈서버, 홈비디오, 비디오폰, 디스플레이 방송 수신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 스크린부는 메인 메뉴가 변하지 않고 항상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과, 실행 메뉴 또는 하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과, 실행 메뉴 또는 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과,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
  4.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과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실행명령 아이콘들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운영체제하에 작동되는 스크린부 내의 실행 메뉴영역에서 상기 실행명령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서,
    소정의 단말기 장치의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부 내의 상기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 될 때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디지털 제어 데이터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제어 본체, 홈서버, 홈비디오, 비디오폰, 디스플레이 방송 수신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실현되는 스크린부가 메인 메뉴가 변하지 않고 항상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과, 실행 메뉴 또는 하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과, 실행 메뉴 또는 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과, 하위 메뉴 또는 상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7. 운영체제하에 작동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어느 하나의 실행명령 아이콘이 원터치 될 때에, 상기 실행명령 아이콘에 해당하는 디지털 제어 데이터를 싣은 문자 메세지(SMS)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
KR1020160046649A 2016-04-17 2016-04-17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 KR20160045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649A KR20160045664A (ko) 2016-04-17 2016-04-17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649A KR20160045664A (ko) 2016-04-17 2016-04-17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954A Division KR20100104502A (ko) 2009-03-18 2009-03-18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664A true KR20160045664A (ko) 2016-04-27

Family

ID=5591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649A KR20160045664A (ko) 2016-04-17 2016-04-17 원격 제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메세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56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5925A (zh) * 2018-09-14 2019-02-22 厦门天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程序离线卸载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5925A (zh) * 2018-09-14 2019-02-22 厦门天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程序离线卸载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809B2 (en) Customized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ir conditioner operation mode
CN106030487B (zh) 用于控制屏幕的组成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11575636B2 (en) Method of managing processing progress of a message in a group communication interface and terminal
US20200371685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276846B1 (ko) 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07992244A (zh) 一种应用程序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5683894A (zh) 显示设备的应用执行方法及其显示设备
CN106375179B (zh) 一种显示即时通信消息的方法和装置
CN111078076A (zh) 一种应用程序切换方法及电子设备
WO2016197697A1 (zh) 手势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7992263A (zh) 一种信息分享方法及移动终端
EP29475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KR102004986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WO2020001358A1 (zh) 图标的整理方法及终端设备
WO2019127439A1 (zh) 一种计算器的运行方法以及终端
CN108920069A (zh) 一种触控操作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EP2899986B1 (en)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WO2020135269A1 (zh) 会话创建方法及终端设备
CN109542311B (zh) 一种文件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8881742B (zh) 一种视频生成方法及终端设备
US9525905B2 (en) Mapping visual display screen to portable touch screen
KR101759935B1 (ko) 영상통화 단말기의 전환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통화 단말기
CN109491964A (zh) 一种文件分享方法及终端
KR101422003B1 (ko)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CN109800095B (zh) 通知消息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3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10

Effective date: 2019052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1005010;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1005010;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02

Effective date: 2020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