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622A -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622A
KR20160045622A KR1020157022206A KR20157022206A KR20160045622A KR 20160045622 A KR20160045622 A KR 20160045622A KR 1020157022206 A KR1020157022206 A KR 1020157022206A KR 20157022206 A KR20157022206 A KR 20157022206A KR 20160045622 A KR20160045622 A KR 20160045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wall portion
cyclon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하타노
도시후미 미야하라
신이치 호시데
요헤이 이코마
도시유키 가네코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다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다스킨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먼지가 집적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상기 먼지의 유입을 허용하는 제 1 유입구를 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먼지를 모으기 위한 집진 기구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를 향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호스를 구비하는 집진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단부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선단부가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호스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단부는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상기 보지부에 의해서 보지된 상기 호스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와, 상기 집진 기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상기 기류 및 상기 제 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먼지를 안내한다.

Description

집진 장치{DUST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먼지를 모으기 위한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진 장치는 청소 작업의 효율화에 크게 공헌한다. 특허문헌 1은, 기류를 이용하고, 맙(mop)으로부터 먼지를 흡인하는 집진 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인 청소기와는 달리, 사용자는, 집진 장치가 아니며, 맙을 집진 장치의 주위에서 이동시켜, 맙에 부착된 먼지를 없앤다.
제진 처리를 받는 대상물(예를 들면, 맙)이, 집진 장치의 주위에서, 이동하므로, 대상물이 집진 장치에 충돌한다면, 집진 장치는 전도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청소 작업을 비효율적으로 만든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9-225906 호 공보
본 발명은 청소 작업의 효율화에 공헌할 수 있는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집진 장치는, 먼지가 집적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상기 먼지의 유입을 허용하는 제 1 유입구를 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먼지를 모으기 위한 집진 기구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를 향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호스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단부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선단부가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호스를 보지하는 보지부와, 마루면에 접지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천벽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벽부의 사이에 상기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주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천벽부 또는 상기 주벽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속부보다 하우징 후방에 형성된다. 상기 선단부는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상기 보지부에 의해서 보지된 상기 호스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와, 상기 집진 기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상기 기류 및 상기 제 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먼지를 안내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집진 장치는, 먼지가 집적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상기 먼지의 유입을 허용하는 제 1 유입구를 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먼지를 모으기 위한 집진 기구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를 향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호스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단부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선단부가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호스를 보지하는 보지부와, 마루면에 접지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천벽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벽부의 사이에 상기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주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천벽부 또는 상기 주벽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속부보다 하우징 후방에 형성된다. 상기 선단부는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상기 보지부에 의해서 보지된 상기 호스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와, 상기 집진 기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상기 기류 및 상기 제 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먼지를 안내한다. 상기 주벽부는, 상기 제 1 유입구를, 상기 마루면과 협동하여 규정하는 전방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 기구는 상기 제 1 유입구를 향하여 개구된 제 2 유입구를 규정하는 유입 단부와, 상기 선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단부를 포함하는 내부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덕트는 상기 기준 평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장치는 청소 작업의 효율화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진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집진 장치의 설계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의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되는 집진 장치의 전방외각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되는 전방외각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되는 A-A선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되는 A-A선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되는 집진 장치의 내부 덕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되는 집진 장치의 벨로우즈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되는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되는 집진 장치의 집진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되는 집진 유닛의 보지 상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되는 집진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집진 장치에 관한 여러 가지 실시형태가 이하에 설명된다. 집진 장치의 원리는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 가능하다. "상", "하", "좌"나 "우"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단순히 설명의 명료화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는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설계 원리가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집진 장치(100)의 설계 원리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집진 장치(100)가 설명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실선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집진 장치(100)는 하우징(200)과, 집진 기구(300)와, 호스(400)와, 보지부(500)를 구비한다. 하우징(200)은 먼지가 집적되는 내부 공간(201)을 규정한다. 집진 기구(300)는 내부 공간(201) 내에 배치된다. 집진 기구(300)는, 기류를 이용하여, 먼지를 모은다. 하우징(200)은 내부 공간(201)으로의 먼지의 유입을 허용하는 유입구(202)를 규정한다. 집진 기구(300)는 호스(400)와 같은 공기의 유동 경로 내의 기압을 저감시켜, 유입구(202)로부터 먼지를 흡인한다. 먼지는 유입구(202)로부터 내부 공간(201)에 침입하고, 집진 기구(300) 내를 통과한다. 그 후, 먼지는 호스(400)를 통과해서, 하우징(200)의 외부로 유출되며, 재차 내부 공간(201)에 유입된다. 먼지는, 최종적으로, 집진 기구(300)에 의해서 집적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입구(202)는 제 1 유입구로서 예시된다.
호스(400)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하류에 위치하는 하류단(410)과, 하류단(410)과는 반대의 상류단(420)을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하류단(410)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210)와, 상류단(420)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부(220)를 포함한다. 호스(400)는 상류단(420)으로부터 하류단(410)을 향하는 기류를 안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류단(410)은 기단부로서 예시된다. 상류단(420)은 선단부로서 예시된다.
상류단(420)은 제 2 접속부(22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류단(420)을 제 2 접속부(220)로부터 분리한다면, 먼지는 상류단(420)으로부터 흡인된다. 사용자가 상류단(420)을 제 2 접속부(220)에 접속한다면, 상술하는 바와 같이, 먼지는 유입구(202)로부터 흡인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류단(420)이 제 2 접속부(220)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보지부(500)는 호스(400)를 보지한다.
도 1에는 집진 기구(300)의 중심(GC)이 도시되어 있다. 중심(GC)과 제 1 접속부(210)를 통과하는 가상적인 평면과 중첩되도록 제 2 접속부(220)의 위치는 정해진다. 그 결과, 상류단(420)이 제 2 접속부(220)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호스(400)는 가상적인 평면을 따라서, 기류 및 유입구(202)로부터 유입된 먼지를 안내할 수 있다. 집진 기구(300)는 흡인 팬이나 기류를 일으키게 하는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지만, 중심(GC)이 수평 방향에서 내부 공간(201)에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집진 기구(300)를 설계하는 것은 용이하다. 이 경우, 제 2 접속부(220)의 상류에 있어서의 공기의 유동 경로를, 상술의 가상적인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설계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상적인 평면은 기준 평면으로서 예시된다. 제 1 접속부(210) 및 제 2 접속부(220)의 위치는 기준 평면상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 1 접속부(210)는 마루면에 접지되는 하우징의 부위(즉,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천벽부에 형성되어도 된다. 대체적으로, 제 1 접속부(210)는 바닥부와 천벽부의 사이에 내부 공간(201)을 규정하는 주벽부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접속부(220)는, 기준 평면에 있어서, 제 1 접속부(210)보다 하우징(200)의 후방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전방"의 방향적 용어는 유입구(202)의 개구 방향을 의미하여도 된다. "후방"의 방향적 용어는 유입구(202)의 개구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의미하여도 된다.
상류단(420)이 제 2 접속부(220)로부터 분리된다면, 사용자는 호스(400)를 이동하여, 집진 장치(100)의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호스(400)를 인장하는 경우도 있다. 호스(400)에 가해지는 장력은 하우징(200)을 전도시키도록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호스(400)의 하류단(410)이 접속되는 제 1 접속부(210)는 중심(GC)과 공통의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호스(400)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서 특정 방향으로 쓰러지기 쉬워지는 것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성질은 생기기 어려워진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집진 장치(100)는 사용자가 유입구(202)로부터의 먼지의 흡인과 상류단(420)으로부터의 먼지의 흡인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맙의 에지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희망한다면, 사용자는 유입구(202)로부터의 먼지의 흡인을 선택하면 된다. 사용자가 유입구(202)의 주위에서 맙을 이동한다면, 맙의 털끝에 부착된 먼지는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사용자가 맙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희망한다면, 사용자는 상류단(420)으로부터의 먼지의 흡인을 선택하면 된다. 사용자는, 상류단(420)을 맙의 중앙 영역에 근접시킨다면, 맙의 중앙 영역에 부착된 먼지는 효율적으로 흡인된다. 부가하여, 사용자는 호스(400)의 상류단(420)을 움직여, 맙으로부터의 먼지의 제거 처리 중에 집진 장치(100)의 주위에 산란된 먼지를 효율적으로 모을 수도 있다.
집진 장치(100)는 맙으로부터의 먼지의 제거 이외의 용도에도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빗자루에 모인 먼지에 유입구(202)를 접근시킨다면, 집진 장치(100)는 쓰레받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형태의 원리는 집진 장치(100)의 사용 용도에 의해서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설계 원리에 근거하여 구축된 예시적인 집진 장치가 설명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설계 원리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집진 장치가 구축 가능하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의 집진 장치를 이용하여 나타나는 상세한 구조, 형상이나 치수는, 집진 장치의 원리를 조금도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의 집진 장치(100A)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집진 장치(100A)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집진 장치(100A)는 하우징(200A)과 벨로우즈관(400A)을 구비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00A)은 먼지를 흡인 및 집적하기 위한 기구를 수용한다. 벨로우즈관(400A)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호스(400)에 대응한다.
하우징(200A)은 마루면에 접지되는 바닥부(230)와, 바닥부(230)와는 반대측의 천벽부(240)와, 바닥부(230)와 천벽부(240)의 사이에 먼지를 흡인 및 집적하기 위한 기구를 둘러싸는 주벽부(250)를 포함한다. 천벽부(24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상부접속부(210A)를 포함한다. 벨로우즈관(400A)은 기단부(410A)를 포함한다. 기단부(410A)는 상부접속부(210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기단부(410A)는 마루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상부접속부(210A)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제 1 접속부(210)에 대응한다.
하우징(200A)은 천벽부(24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아치형상의 보지 아암(500A)을 포함한다. 보지 아암(500A)은 벨로우즈관(400A)을 보지한다. 보지 아암(500A)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된 보지부(500)에 대응한다.
도 2에는 가상적인 평행 평면(PP1, PP2)이 도시되어 있다. 평행 평면(PP1, PP2)은 대략 원통 형상의 상부접속부(210A)에 접하도록 묘사되어 있다. 또한, 평행 평면(PP2)은 평행 평면(PP1)에 대하여 평행이다.
보지 아암(500A)에 의해서 보지된 벨로우즈관(400A)은, 평행 평면(PP1, PP2)의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기단부(410A)를 향하는 기류를 안내한다. 먼지를 흡인 및 집적하기 위한 기구의 중심이 평행 평면(PP1, PP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먼지를 흡인 및 집적하기 위한 기구는 설계된다.
도 2에는 평행 평면(PP1, PP2)의 사이에 수직 평면(VP)이 묘사되어 있다. 수직 평면(VP)은 하우징(200A)이 놓이는 마루면에 대하여 수직이다. 먼지를 흡인 및 집적하기 위한 기구의 중심은 수직 평면(VP) 상에 존재하고 있다. 수직 평면(VP)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가상적인 평면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직 평면(VP)은 보지 아암(500A)에 의해서 보지된 벨로우즈관(400A)을 흐르는 공기의 유동 경로의 중심을 통과한다. 대체적으로, 수직 평면은 유동 경로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설정되어도 된다.
하우징(200A)은 수직 평면(VP)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다. 또한, "대칭적"이라는 용어는 수학적으로 완전한 "대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200A)이, 수직 평면(VP)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적으로 보인다면, 하우징(200A)은 수직 평면(VP)에 대하여 대칭적이다.
주벽부(250)는 전방벽부(251)와, 전방벽부(251)와는 반대측의 후방벽부(252)를 포함한다. 하우징(200A)은 전방외각편(260)과, 후방외각편(270)과, 상부외각편(280)과, 하부외각편(290)을 포함한다. 전방외각편(260)은 전방벽부(251)를 주로 형성한다. 후방외각편(270)은 후방벽부(252)를 주로 형성한다. 상부외각편(280)은 전방외각편(260) 및 후방외각편(270)의 상부가장자리에 접속된다. 하부외각편(290)은 바닥부(230)를 주로 형성한다. 부가하여, 하부외각편(290)은 전방벽부(251)의 하부와 후방벽부(252)의 하부를 형성한다.
집진 장치(100A)는 집진 유닛(310)을 구비한다. 집진 유닛(310)은 하우징(200A) 내에 삽입되며, 또한 전방벽부(251) 상에서 노출된다. 벨로우즈관(400A)을 통하여 하우징(200A) 내에 유입된 공기는 집진 유닛(310)을 통과한다. 집진 유닛(310)은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한다. 그 결과, 먼지는 집진 유닛(310) 내에 집적되게 된다. 따라서, 집진 유닛(310)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집진 기구(300)의 일부의 기능을 담당한다.
도 3a는 전방외각편(26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b는 전방외각편(260)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전방외각편(260)이 설명된다.
전방외각편(260)은 전방벽부(251)의 일부를 형성하는 주벽부(261)와, 주벽부(261)로부터 후방외각편(270)을 향하여 돌출되는 통 형상의 실벽(室壁)(262)을 포함한다. 실벽(262)은 집진 유닛(31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63)을 규정한다. 수용 공간(26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내부 공간(201)의 일부에 대응한다.
실벽(262)은 하부벽(264)과, 상부벽(265)과, 우측벽(266)과, 좌측벽(267)과, 후방벽(268)을 포함한다. 하부벽(264)은 집진 유닛(310)의 하방에 위치한다. 상부벽(265)은 집진 유닛(310)과 상부외각편(280)의 사이에 위치한다. 우측벽(266)은 집진 유닛(310)의 오른쪽에 위치한다. 좌측벽(267)은 집진 유닛(310)의 왼쪽에 위치한다. 후방벽(268)은 후방외각편(270)에 대향한다.
상부벽(265)에는, 개구부(269)가 형성된다. 벨로우즈관(400A)을 통하여 하우징(200A)에 유입된 공기는 개구부(269)를 통과한다. 그 후, 공기는 수용 공간(263) 내에 삽입된 집진 유닛(310)에 유입된다. 집진 유닛(310)은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한다.
전방외각편(260)은 상부칸막이판(322)과, 하부칸막이판(323)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부칸막이판(322) 및 하부칸막이판(323)은 함께 주벽부(261)로부터 후방외각편(270)을 향하여 돌출된다. 상부칸막이판(322)과 하부벽(264)의 사이에는, 제 1 공간(331)이 형성된다. 상부칸막이판(322)과 하부칸막이판(323)의 사이에는, 제 2 공간(332)이 형성된다. 제 1 공간(331) 및 제 2 공간(332)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내부 공간(201)의 일부에 대응한다.
도 4a는 집진 장치(100A)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되는 A-A선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도 3a,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집진 장치(100A)가 추가로 설명된다.
집진 장치(100A)는 집진 유닛(310)의 하방의 제 1 공간(331) 내에 배치된 흡인 팬(320)을 구비한다. 흡인 팬(320)의 상방의 하부벽(264)에는, 개구 메쉬부(321)가 형성된다. 공기는, 흡인 팬(320)에 의해서, 개구 메쉬부(321)를 통하여 흡인되므로, 흡인 팬(320)은 벨로우즈관(400A)으로부터 집진 유닛(310)을 향하는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인 팬(320)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집진 기구(300)의 일부의 기능을 담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인 팬(320)은 기류 생성부로서 예시된다.
흡인 팬(320)이 작동하고 있는 동안, 공기는 하우징(200A)의 상부접속부(210A)에 접속된 벨로우즈관(400A)의 기단부(410A)로부터 개구 메쉬부(321)를 향하여 흐른다. 상부접속부(210A)와 흡인 팬(320)의 사이에 배치된 집진 유닛(310)은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 및 집적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집진 유닛(310)은 집진부로서 예시된다.
흡인 팬(320)은 집진 유닛(310)보다 무겁다. 따라서, 집진 유닛(310)과 흡인 팬(320)에 의해서 구축된 집진 구조체의 중심은 마루면(F)의 근방에 설정되게 된다. 그 결과, 하우징(200A)은 전도하기 어려워진다.
도 5는 집진 장치(100A)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1,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집진 장치(100A)가 추가로 설명된다.
집진 장치(100A)는 흡인 팬(320)의 하방의 제 2 공간(332) 내에 배치된 릴 기구(340)를 추가로 구비한다. 릴 기구(340)는 흡인 팬(320)으로의 전력의 전달에 이용된다. 흡인 팬(320)은 릴 기구(340)에 의해서 전달된 전력에 의해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릴 기구(340)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집진 기구(300)의 일부의 기능을 담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릴 기구(340)는 전달부로서 예시된다.
릴 기구(340)는 플러그(341)와, 코드(342)와, 회전식의 릴부(343)와, 조작 버튼(344)을 구비한다. 플러그(341)는 후방외각편(270)으로부터 노출되며,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코드(342)는 플러그(341)로부터 연장되며, 릴부(343)에 감긴다. 사용자가 집진 장치(100A)를 전원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사용한다면, 코드(342)는 릴부(343)로부터 권출된다. 사용자가 플러그(341)를 전원으로부터 분리하고, 후방외각편(270)으로부터 노출된 조작 버튼(344)을 누르면, 릴부(343)는 회전하며, 코드(342)를 권취한다.
흡인 팬(320)과 마찬가지로, 릴 기구(340)는 집진 유닛(310)보다 무겁다. 따라서, 집진 유닛(310)과 흡인 팬(320)과 릴 기구(340)에 의해서 구축된 집진 구조체의 중심은 마루면(F)의 근방에 설정되게 된다. 그 결과, 하우징(200A)은 전도하기 어려워진다.
주벽부(250)는, 바닥부(230)와 천벽부(240)의 사이에서, 수용 공간(263)과 제 1 공간(331)과 제 2 공간(332)을 규정한다. 집진 유닛(310)은 수용 공간(263) 내에 배치된다. 흡인 팬(320)은 제 1 공간(331) 내에 배치된다. 릴 기구(340)는 제 2 공간(332) 내에 배치된다. 수용 공간(263) 내의 집진 유닛(310), 제 1 공간(331) 내의 흡인 팬(320) 및 제 2 공간(332) 내의 릴 기구(340)는 형상적 및 중량적으로 수직 평면(VP)에 대하여 대략 대칭이다.
도 6a는 집진 장치(100A)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되는 A-A선을 따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집진 장치(100A)가 설명된다.
후방벽부(252)를 형성하는 후방외각편(270)은 코너외각(271)과, 배기벽(272)을 포함한다. 코너외각(271)은 수직 평면(VP)에 대하여 대칭적인 곡면 윤곽을 갖고, 전방벽부(251)와는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다. 배기벽(272)은 우측배기벽(273)과, 좌측배기벽(274)과, 반통벽(275)을 포함한다. 우측배기벽(273)은 코너외각(271)의 오른쪽에 배치된다. 좌측배기벽(274)은 코너외각(271)의 왼쪽에 배치된다. 반통벽(275)은 우측배기벽(273)과 좌측배기벽(274)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외각편(260)은 원통벽(324)을 포함한다. 원통벽(324)은 하부벽(264)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통벽(324)은 흡인 팬(320)을 둘러싼다. 원통벽(324)에는, 배출구(325)가 형성된다. 배출구(325)는 전방외각편(260)을 향하여 개구된다.
우측배기벽(273)에는, 다수의 배기 구멍(276)이 형성된다. 우측배기벽(273)과 마찬가지로, 좌측배기벽(274)에도, 다수의 배기 구멍(277)이 형성된다. 흡인 팬(320)이 벨로우즈관(400A)을 통하여 흡인한 공기는 배출구(325)로부터 취출된다. 벨로우즈관(400A)과 흡인 팬(320)의 사이에는 집진 유닛(310)이 존재하므로, 먼지는 배출구(325)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로부터 제거되어 있다.
원통벽(324)과 전방외각편(260)의 사이, 원통벽(324)과 우측배기벽(273)의 사이 및 원통벽(324)과 좌측배기벽(274)의 사이에는, 배출구(325)로부터 취출된 공기를 배기 구멍(276, 277)에 안내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최종적으로 배기 구멍(276, 277)으로부터 배기된다.
우측배기벽(273) 및 코너외각(271)의 우측반분은 전방외각편(260)의 우측 단부로부터 수직 평면(VP)에 근접하는 윤곽을 묘사한다. 마찬가지로, 좌측배기벽(274) 및 코너외각(271)의 좌측반분도 전방외각편(260)의 좌측 단부로부터 수직 평면(VP)에 근접하는 윤곽을 묘사한다. 이들 윤곽에 의해서 규정되는 각도(θ)는 예각이다. 예를 들면, 각도(θ)는 약 60°로 설정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우측배기벽(273) 및 좌측배기벽(274) 중 한쪽은 제 1 벽부로서 예시된다. 우측배기벽(273) 및 좌측배기벽(274) 중 다른쪽은 제 2 벽부로서 예시된다. 우측배기벽(273)이 제 1 벽부로서 예시된다면, 코너외각(271)의 우측반분은 제 1 벽부로서 예시되는 한편, 코너외각(271)의 좌측반분은 제 2 벽부로서 예시된다. 우측배기벽(273)이 제 2 벽부로서 예시된다면, 코너외각(271)의 우측반분은 제 2 벽부로서 예시되는 한편, 코너외각(271)의 좌측반분은 제 1 벽부로서 예시된다. 각도(θ)는 협각으로서 예시된다.
전방외각편(260)을 향하여 만곡된 반통벽(275)은, 제 1 공간(331)을, 유동 공간(333)과 접속 공간(334)으로 나눈다. 배출구(325)로부터 취출된 공기는 유동 공간(333) 내에서 흐르고, 최종적으로 배기 구멍(276, 277)으로부터 배기된다. 접속 공간(334)은 벨로우즈관(400A)과 하우징(200A)의 접속에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 공간(334)은 코너부로서 예시된다.
도 7은 수직 평면(VP)을 따르는 집진 장치(100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도 4a,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집진 장치(100A)가 설명된다.
주벽부(250)를 형성하는 배기벽(272)은 천벽부(240)로부터 코너외각(271)의 상단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벽(278)을 포함한다. 보지 아암(500A)은 천벽부(24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만곡되며, 경사벽(278)에 접속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관(400A)은 기단부(410A)와는 반대측의 선단부(420A)를 포함한다. 선단부(420A)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상류단(420)에 대응한다.
경사벽(278)과 코너외각(271)의 상단은 상방에 개구된 하부접속부(220A)를 형성한다. 하부접속부(220A)는 선단부(420A)와 하우징(200A)의 접속에 이용된다. 하부접속부(220A)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제 2 접속부(220)에 대응한다.
집진 장치(100A)는 L자 형상의 유동 경로를 규정하는 내부 덕트(350)를 추가로 구비한다. 보지 아암(500A)이 벨로우즈관(400A)을 보지하고 있는 동안, 하우징(200A)의 외부의 공기는, 내부 덕트(350)를 통하여, 벨로우즈관(400A)에 유입된다. 보지 아암(500A)에 의해서 보지된 벨로우즈관(400A)과 마찬가지로, 내부 덕트(350)는 수직 평면(VP)을 따라서 배치된다. 내부 덕트(350)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집진 기구(300)의 일부에 대응한다.
도 8은 내부 덕트(35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집진 장치(100A)가 설명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벽부(251)는 마루면(F)으로부터 이격된 하단가장자리(253)를 포함한다. 그 결과, 하우징(200A)의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200A) 내에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외측유입구(202A)가 하단가장자리(253)와 마루면(F)의 사이에 형성된다. 외측유입구(202A)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유입구(202)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유입구(202A)는 제 1 유입구로서 예시된다.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측유입구(202A)는 마루면(F)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이다. 따라서, 집진 장치(100A)는 전방벽부(251)의 앞의 넓은 영역으로부터 공기 및 먼지를 흡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맙을 외측유입구(202A)의 근방에 배치한다면, 먼지는 맙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거되게 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덕트(350)는 수평 덕트(351)와, 직립 덕트(352)를 포함한다. 수평 덕트(351)는 외측유입구(202A)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마루면(F)을 따라서 안내한다. 직립 덕트(352)는 수평 덕트(351)의 하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굴곡되며, 접속 공간(334)(도 6b를 참조)을 따라서 연장된다. 직립 덕트(352)의 상단은 벨로우즈관(400A)의 선단부(420A)에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평 덕트(351)는 제 1 덕트로서 예시된다.
수평 덕트(351)는 외측유입구(202A)를 향하여 개구된 내측유입구(354)를 규정하는 개구단(355)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측유입구(354)는 제 2 유입구로서 예시된다. 개구단(355)은 유입 단부로서 예시된다.
외측유입구(202A)로부터 하우징(200A) 내에 유입된 공기는 내측유입구(354)를 통하여 수평 덕트(351)로 도입된다. 그 후, 공기는 수평 덕트(351)로부터 직립 덕트(352)로 유입된다. 직립 덕트(352)는 벨로우즈관(400A)의 선단부(420A)로 안내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립 덕트(352)는 제 2 덕트로서 예시된다. 직립 덕트(352)의 상단은 연결 단부로서 예시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 덕트(351)는 개구단(355)으로부터 직립 덕트(352)의 하단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 유로를 규정한다. 따라서, 내부 덕트(350)는 외측유입구(202A)로부터 유입된 공기 및 먼지를 벨로우즈관(400A)에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덕트(350)는 분리편(356)을 포함한다. 분리편(356)은 수평 덕트(351)와 직립 덕트(352)의 사이의 굴곡부에 배치된다. 분리편(356)은 내부 덕트(350)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사용자가 분리편(356)을 분리하면, 사용자는 수평 덕트(351) 및 직립 덕트(352)의 내부 공간에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부 덕트(350) 내에서 막힌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벨로우즈관(400A)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벨로우즈관(400A)이 설명된다.
벨로우즈관(400A)은 선단부(420A)로부터 기단부(410A)까지 연장되는 신축관(430)을 포함한다. 벨로우즈관(400A)의 선단부(420A)는 고정통(421)과 선단통(422)을 포함한다. 고정통(421)은 신축관(430)의 외면에 치합한다. 선단통(422)은 고정통(421)에 연결된다. 선단통(422)에는 누출 구멍(423)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벨로우즈관(400A)이 하부접속부(220A)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선단부(420A)에 삽입된 직립 덕트(352)는 누출 구멍(423)을 막는다. 따라서, 공기는 내부 덕트(350)로부터 벨로우즈관(400A)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축관(430) 및 선단통(422)은 관벽으로서 예시된다.
집진 장치(100A)는 벨로우즈관(400A)의 선단부(420A)에 장착되는 장착 부재(600)를 구비한다. 장착 부재(600)는 장착통(610)과 주걱부(620)를 포함한다. 고정통(421) 및 선단통(422)은 장착통(610)에 끼워진다. 주걱부(620)는 신축관(430)을 따라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착통(610)은 통부로서 예시된다.
주걱부(620)는 개구부(621)가 형성된 선단부(622)를 포함한다. 신축관(430)은 변형 가능한 한편, 주걱부(620)는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벨로우즈관(400A)이 하부접속부(220A)에 접속되며, 신축관(430)이 보지 아암(500A)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는 동안, 선단부(622)는 신축관(430)으로부터 이격된다. 사용자는 선단부(622)를 용이하게 악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벨로우즈관(400A)을 하부접속부(220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단부(622)는 주걱 단부로서 예시된다.
도 10은 집진 장치(100A)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집진 장치(100A)가 설명된다.
상술과 같이, 사용자는 벨로우즈관(400A)의 선단부(420A)를 하부접속부(220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벨로우즈관(400A)의 기단부(410A)는 상부접속부(210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벨로우즈관(400A)을 상부접속부(210A) 주위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동안, 벨로우즈관(400A)은 주걱부(620)와는 반대측으로 자유롭게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벨로우즈관(400A)을 굴곡시켜, 먼지를 다양한 영역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착 부재(600)의 장착통(610)에는, 연통 구멍(611)이 형성된다. 연통 구멍(611)은 누출 구멍(423)에 연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벨로우즈관(400A)의 선단부(420A)를 하부접속부(220A)로부터 분리하면, 연통 구멍(611) 및 누출 구멍(423)은 개방된다.
벨로우즈관(400A)의 선단부(420A)가 하부접속부(220A)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내부 덕트(350)는 기류에 대하여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흡인 팬(320)은 높은 흡인력을 달성하도록 설계된다. 누출 구멍(423) 및 연통 구멍(611)의 부존재하에서, 사용자가 벨로우즈관(400A)의 선단부(420A)를 하부접속부(220A)로부터 분리한다면, 선단부(420A)에 있어서, 과도하게 높은 흡인력이 발생한다. 사용자가 과도하게 높은 흡인력이 생기고 있는 선단부(420A)를 맙에 근접시킨다면, 선단부(420A)는 원활히 이동하게 되지 않기도 한다. 누출 구멍(423) 및 연통 구멍(611)은 하부접속부(220A)로부터 분리된 벨로우즈관(400A)의 선단부(420A)에서 과도하게 높은 흡인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벨로우즈관(400A)을 원활히 이동시켜, 청소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11은 집진 장치(100A)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집진 유닛(3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집진 장치(100A)가 설명된다.
전방외각편(260)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삽입구(311)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집진 유닛(310)을 삽입구(311)에 삽입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집진 유닛(310)을 삽입구(311)로부터 인출할 수도 있다.
집진 유닛(310)은 보지 상자(370)와 집진 봉투(380)를 포함한다. 보지 상자(370)는 집진 봉투(380)를 보지한다.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집진 봉투(380)를 보지 상자(37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3은 보지 상자(37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집진 유닛(310)이 설명된다.
보지 상자(370)는 메인판(371)과 보지 프레임(372)을 포함한다. 메인판(371)은 외면(373)을 포함한다. 집진 유닛(310)이 하우징(200A) 내에 수용되었을 때, 외면(373)은 전방외각편(260)에 대략 면일이 된다. 외면(373)에는, 볼록부(374)가 형성된다. 메인판(371)은 볼록부(374)에 배치된 노브(375)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노브(375)를 악지하고, 집진 유닛(310)을 하우징(200A)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또는 하우징(200A)에 삽입하여도 된다.
보지 프레임(372)은 메인판(371)으로부터 후방외각편(270)을 향하여 돌출된다. 보지 프레임(372)은 상부판(376)과, 하부판(377)과, 우측판(378)과, 좌측판(379)을 포함한다. 하부판(377)은 개구 메쉬부(321)가 형성된 하부벽(264)에 인접한다. 하부판(377)에는, 개구 메쉬부(321)에 연통하는 메쉬 영역(391)이 형성된다. 우측판(378)은 하부판(377)의 우측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굴곡된다. 좌측판(379)은 하부판(377)의 좌측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굴곡된다. 상부판(376)은 우측판(378) 및 좌측판(379)의 상부가장자리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부판(376)은 우측레일부(392)와 좌측레일부(393)를 포함한다. 우측레일부(392) 및 좌측레일부(393)는 메인판(371)으로부터 후방외각편(270)을 향하여 연장된다. 우측레일부(392)와 좌측레일부(393)의 사이에 있어서, 상부판(376)에는, 집진 봉투(38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공간(394)이 형성된다. 집진 봉투(380)는 먼지를 집적하는 주머니부(381)와, 주머니부(381)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직사각형판(382)을 포함한다. 직사각형판(382)의 우측가장자리는 우측레일부(392)에 치합한다. 직사각형판(382)의 좌측가장자리는 좌측레일부(393)에 치합한다. 사용자는 직사각형판(382)을 우측레일부(392) 및 좌측레일부(393)를 따라서 미끄럼운동시켜, 집진 봉투(380)를 보지 상자(37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4는 집진 유닛(3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b,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여, 집진 유닛(310)이 설명된다.
직사각형판(382)에는, 개구부(383)가 형성된다. 집진 유닛(310)이 하우징(200A)에 수용되어 있는 동안, 개구부(383)는 벨로우즈관(400A)의 기단부(410A)에 대향한다. 흡인 팬(320)이 작동하면, 벨로우즈관(400A)의 기단부(410A)로부터 흡인 팬(320)을 향하는 하향의 기류가 발생한다. 먼지 및 공기는, 개구부(383)를 통하여, 주머니부(381)에 유입된다. 주머니부(381)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는 한편, 먼지를 포착한다. 따라서, 주머니부(381) 내에 먼지가 집적되게 된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사용의 주머니부(381)는 절첩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주머니부(381)는 하부 방향의 기류의 투과를 허용하므로, 주머니부(381)는 하방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먼지를 집적하기 위한 용적은 자동적으로 확보되게 된다.
상술된 실시형태는 이하의 구성을 주로 구비한다.
상술의 실시형태의 일 국면에 따른 집진 장치는, 먼지가 집적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상기 먼지의 유입을 허용하는 제 1 유입구를 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먼지를 모으기 위한 집진 기구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를 향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호스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단부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선단부가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호스를 보지하는 보지부와, 마루면에 접지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천벽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벽부의 사이에 상기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주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천벽부 또는 상기 주벽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속부보다 하우징 후방에 형성된다. 상기 선단부는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상기 보지부에 의해서 보지된 상기 호스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와, 상기 집진 기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상기 기류 및 상기 제 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먼지를 안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호스의 선단부를 하우징의 제 2 접속부에 접속하고, 제 1 유입구를 통하여 먼지를 모을 수 있다. 대체적으로, 사용자는 호스의 선단부를 하우징의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하고, 호스의 선단부를 통하여, 먼지를 모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효율적으로 먼지를 모을 수 있다.
사용자가 호스의 선단부를 통하여, 먼지를 모으고 있는 동안, 사용자가 호스에 장력을 가하는 경우도 있다. 장력은 하우징을 전도시키도록 작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집진 기구의 중심은 기준 평면 상에 있으므로, 하우징은 전도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는 호스의 선단부를 통하여, 먼지를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유입구를 통하여, 먼지를 모으고 있는 동안, 호스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기류 및 먼지를 안내하므로, 기준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유동 경로를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집진 기구는 상기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생성부와,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기류 생성부의 사이에 상기 기류로부터 상기 먼지를 제거 및 집적하는 집진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기류 생성부는 상기 집진부보다 무겁고, 또한 상기 집진부보다 하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집진부보다 무거운 기류 생성부가 집진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므로, 중심은 집진 장치가 놓이는 마루면의 근방에 존재하게 된다. 집진 장치는 전도하기 어려워지므로, 사용자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평면은 상기 하우징이 놓이는 마루면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 평면이어도 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직 평면에 대해 대칭적인 형상을 가져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은 수직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므로, 집진 장치는 전도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천벽부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주벽부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접속부는 천벽부에 형성되며, 또한 제 2 접속부는 주벽부에 형성되므로, 선단부로부터 기류 생성부까지의 구간에 있어서, 수직 평면을 따르는 유동 경로가 구축되게 된다. 따라서, 수직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흡인 밸런스가 달성되도록, 집진 장치는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상기 천벽부와 상기 주벽부에 접속되는 아치 형상의 보지 아암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호스는 아치 형상의 보지 아암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보지된다. 부가하여, 사용자는 보지 아암을 악지하고, 하우징을 들어올려, 이동시키거나, 또는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집진 장치가 수직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중량 밸런스하에서 설계되며, 또한 보지 아암이 수직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므로, 사용자는 하우징의 들어올림, 이동이나 경사와 같은 동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보지 아암은 상기 천벽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만곡되며, 상기 주벽부에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천벽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만곡되며, 주벽부에 접속되므로, 사용자는 보지 아암을 용이하게 악지할 수 있다.
상술의 실시형태의 다른 국면에 따른 집진 장치는, 먼지가 집적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상기 먼지의 유입을 허용하는 제 1 유입구를 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먼지를 모으기 위한 집진 기구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를 향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호스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단부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선단부가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호스를 보지하는 보지부와, 마루면에 접지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천벽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벽부의 사이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주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천벽부 또는 상기 주벽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속부보다 하우징 후방에 형성된다. 상기 선단부는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상기 보지부에 의해서 보지된 상기 호스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와, 상기 집진 기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상기 기류 및 상기 제 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먼지를 안내한다. 상기 주벽부는, 상기 제 1 유입구를, 상기 마루면과 협동하여 규정하기 전방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 기구는 상기 제 1 유입구를 향하여 개구된 제 2 유입구를 규정하는 유입 단부와, 상기 선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단부를 포함하는 내부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덕트는 상기 기준 평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부 덕트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배치되므로, 제 1 유입구로부터 내부 덕트 및 호스를 통하여 기류 생성부를 향하는 기류는 기준 평면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기준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흡인 밸런스가 얻어지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덕트는 상기 마루면을 따라서 상기 기류를 안내하는 제 1 덕트와, 상기 제 1 덕트로부터 상방으로 굴곡되며, 또한 상기 선단부를 향하여 상기 기류를 안내하는 제 2 덕트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마루면을 따라서 기류를 안내하는 제 1 덕트 및 제 1 덕트로부터 상방으로 굴곡되는 제 2 덕트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배치되므로, 제 1 유입구로부터 내부 덕트 및 호스를 통하여 기류 생성부를 향하는 기류는 기준 평면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기준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흡인 밸런스가 얻어지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입구는 상기 마루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이어도 된다.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2 유입구로부터 상기 제 2 덕트를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유로를 규정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유입구는, 마루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이므로, 집진 장치는 마루면상의 넓은 영역으로부터 먼지를 흡인할 수 있다. 제 1 덕트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배치되므로, 제 2 유입구로부터 제 2 덕트를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유로 내에서, 기준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흡인 밸런스가 얻어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슬릿으로의 흡인 밸런스도 기준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벽부는 상기 전방벽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 코너부를 규정하는 후방벽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코너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코너부는 상기 기준 평면상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코너부는 기준 평면상에 형성되므로, 코너부가 방의 모퉁이에 맞도록, 집진 장치가 배치되어도 된다. 제 2 덕트는 코너부에 배치되므로, 하우징은 제 2 덕트용으로 확장될 필요는 없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부는 제 1 벽부와, 상기 코너부를 상기 제 1 벽부와 협동하여 규정하는 제 2 벽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1 벽부 및 상기 제 2 벽부에는, 상기 집진 기구에 의해서 제진된 후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에 의해서 규정되는 협각은 예각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에 의해서 규정되는 협각은 예각이므로, 제 1 벽부 및 제 2 벽부 중 적어도 한쪽은 방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공기는 배기 구멍을 통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적절히 배기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는 상기 제 1 접속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기단부는 제 1 접속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호스를 제 1 접속부 주위로 회전시켜, 하우징의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먼지를 효율적으로 없앨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까지의 사이의 유동 경로를 규정하는 관벽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관벽에는, 누출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선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누출 구멍을 폐쇄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호스의 선단부가 제 2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기류 생성부가 발생시키는 흡인력은 내부 덕트의 저항에 의해서 저감된다. 호스의 선단부가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안, 누출 구멍은 개방된다. 그 동안, 기류 생성부가 발생시키는 흡인력은 누출 구멍에 의해서 저감된다. 따라서, 제 1 유입구로부터 먼지를 흡인할 때의 흡인력과 호스의 선단부로부터 먼지를 흡인할 때의 흡인력의 차이가 작아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집진 장치는 상기 선단부에 장착되는 장착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선단부에 고정되는 통부와, 상기 통부로부터 상기 관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주걱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주걱부는 상기 호스가 상기 제 2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관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주걱 단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호스가 제 2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주걱 단부는 관벽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사용자는 주걱 단부를 용이하게 악지하고, 선단부를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부에는, 상기 누출 구멍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부에는, 누출 구멍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선단부를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하면, 누출 구멍은 적절히 개방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집진 장치는 상기 기류 생성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전달부는 전원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로부터 연장되는 코드와, 상기 코드를 상기 내부 공간 내에서 권취하기 위한 릴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릴부는 상기 집진부보다 무거우며, 또한 상기 집진부의 하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집진부보다 무거운 릴부가 집진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므로, 중심은 집진 장치가 놓이는 마루면의 근방에 존재하게 된다. 집진 장치는 전도하기 어려워지므로, 사용자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부가하여, 사용자는 코드에 의해서 정해지는 범위에서, 하우징을 이동하면서 먼지를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하로 신축되도록 형성된 집진 봉투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집진 봉투는 상하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집진 봉투는 기류 생성부에 의해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는 집진 주머니 내에 적절히 격납된다.
본 실시형태의 원리는 청소 작업에 이용되는 장치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Claims (17)

  1. 먼지가 집적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상기 먼지의 유입을 허용하는 제 1 유입구를 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먼지를 모으기 위한 집진 기구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를 향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단부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선단부가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호스를 보지하는 보지부와, 마루면에 접지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천벽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벽부의 사이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주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천벽부 또는 상기 주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속부보다 하우징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는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보지부에 의해서 보지된 상기 호스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와, 상기 집진 기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상기 기류 및 상기 제 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먼지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기구는 상기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생성부와,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기류 생성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류로부터 상기 먼지를 제거 및 집적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류 생성부는 상기 집진부보다 무겁고, 또한 상기 집진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평면은 상기 하우징이 놓이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 평면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직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천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주벽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상기 천벽부와 상기 주벽부에 접속되는 아치 형상의 보지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아암은 상기 천벽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만곡되며, 상기 주벽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7. 먼지가 집적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상기 먼지의 유입을 허용하는 제 1 유입구를 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먼지를 모으기 위한 집진 기구와,
    상기 하우징에 접속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를 향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호스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단부가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선단부가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호스를 보지하는 보지부와, 마루면에 접지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는 반대측의 천벽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벽부의 사이에 상기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주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천벽부 또는 상기 주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속부보다 하우징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는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보지부에 의해서 보지된 상기 호스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와, 상기 집진 기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상기 기류 및 상기 제 1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먼지를 안내하며,
    상기 주벽부는 상기 제 1 유입구를 상기 마루면과 협동하여 규정하는 전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 기구는 상기 제 1 유입구를 향하여 개구된 제 2 유입구를 규정하는 유입 단부와, 상기 선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단부를 포함하는 내부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덕트는 상기 기준 평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덕트는 상기 마루면을 따라서 상기 기류를 안내하는 제 1 덕트와, 상기 제 1 덕트로부터 상방으로 굴곡되며, 또한 상기 선단부를 향하여 상기 기류를 안내하는 제 2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입구는 상기 마루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이며,
    상기 제 1 덕트는 상기 제 2 유입구로부터 상기 제 2 덕트를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유로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부는 상기 전방벽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 코너부를 규정하는 후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코너부에 배치되며,
    상기 코너부는 상기 기준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부는 제 1 벽부와, 상기 코너부를 상기 제 1 벽부와 협동하여 규정하는 제 2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벽부 및 상기 제 2 벽부에는, 상기 집진 기구에 의해서 제진된 후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에 의해서 규정되는 협각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는 상기 제 1 접속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기단부까지의 사이의 유동 경로를 규정하는 관벽을 포함하며,
    상기 관벽에는 누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에 삽입된 상기 제 2 덕트는 상기 누출 구멍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 장착되는 장착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선단부에 고정되는 통부와, 상기 통부로부터 상기 관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주걱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걱부는, 상기 호스가 상기 제 2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관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주걱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에는, 상기 누출 구멍에 연통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16.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생성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달부는 전원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로부터 연장되는 코드와, 상기 코드를 상기 내부 공간 내에서 권취하기 위한 릴부를 포함하며,
    상기 릴부는 상기 집진부보다 무겁고, 또한 상기 집진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1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하로 신축되도록 형성된 집진 봉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KR1020157022206A 2013-08-20 2014-07-24 집진 장치 KR201600456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0038 2013-08-20
JP2013170038A JP6118681B2 (ja) 2013-08-20 2013-08-20 集塵装置
PCT/JP2014/003922 WO2015025471A1 (ja) 2013-08-20 2014-07-24 集塵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622A true KR20160045622A (ko) 2016-04-27

Family

ID=5248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206A KR20160045622A (ko) 2013-08-20 2014-07-24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18681B2 (ko)
KR (1) KR20160045622A (ko)
CN (1) CN105072963B (ko)
TW (1) TWI625111B (ko)
WO (1) WO2015025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7491A (ja) 2017-08-25 2019-03-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塵装置
JP6913889B2 (ja) 2017-11-15 2021-08-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塵装置
JP7224942B2 (ja) * 2019-01-31 2023-02-20 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集塵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5906A (ja) 2008-03-21 2009-10-08 Duskin Co Ltd 集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461Y2 (ko) * 1974-07-15 1979-06-14
JPS58169842U (ja) * 1982-05-07 1983-11-1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4519113A (en) * 1982-07-02 1985-05-28 Hipple Robert J Transforming the upright vacuum cleaner's own push-pull handle into a suction cleaning wand
DE3909408A1 (de) * 1989-03-22 1990-10-18 Stein & Co Gmbh Handstaubsauger
JPH0729963Y2 (ja) * 1990-09-13 1995-07-12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用電気掃除機
DE19708955A1 (de) * 1997-03-05 1998-09-10 Bosch Siemens Hausgeraete Multifunktionales Saugreinigungsgerät
JP3756355B2 (ja) * 1999-07-19 2006-03-1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吸引式無用物収容装置
JP2006346118A (ja) * 2005-06-15 2006-12-28 Twinbird Corp サイクロン式掃除機
JP3140977U (ja) * 2008-02-05 2008-04-17 ツァイ サム 真空集塵装置
JP5824659B2 (ja) * 2011-11-29 2015-1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縦型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5906A (ja) 2008-03-21 2009-10-08 Duskin Co Ltd 集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72963B (zh) 2017-11-21
WO2015025471A1 (ja) 2015-02-26
CN105072963A (zh) 2015-11-18
TWI625111B (zh) 2018-06-01
TW201519845A (zh) 2015-06-01
JP6118681B2 (ja) 2017-04-19
JP2015039378A (ja)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9175B1 (en) Handheld vacuum cleaner
US10064530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20210003543A (ko)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JP2023133563A (ja) 掃除機用のサイクロン分離器およびそれを有する掃除機
KR20160045622A (ko) 집진 장치
EP2515733B1 (en) Dusting system
CN110234259B (zh) 表面清洁装置
WO2013084600A1 (ja) 縦型電気掃除機
EP2789282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6416636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599596B2 (ja) 電気掃除機
JP5302383B2 (ja) 縦型電気掃除機
JP2012050565A (ja) ハンディタイプ電気掃除機
JP5302382B2 (ja) 縦型電気掃除機
CN111743455B (zh) 空气处理组件和具有其的清洁设备
JP2013118957A (ja) 縦型電気掃除機
JP2008161501A (ja) 縦型電気掃除機
JP6168931B2 (ja) 電気掃除機
JP5769250B2 (ja) 縦型電気掃除機
JP5819174B2 (ja) 縦型電気掃除機
JP5809038B2 (ja) 電気掃除機
JP2005218619A (ja) 電気掃除機の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133179B2 (ja) 電気掃除機
CN116458801A (zh) 手持吸尘器
JP2006061369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