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414A -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414A
KR20160045414A KR1020140140907A KR20140140907A KR20160045414A KR 20160045414 A KR20160045414 A KR 20160045414A KR 1020140140907 A KR1020140140907 A KR 1020140140907A KR 20140140907 A KR20140140907 A KR 20140140907A KR 20160045414 A KR20160045414 A KR 20160045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infrared
far
infrared ray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균
Original Assignee
장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균 filed Critical 장태균
Priority to KR102014014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5414A/ko
Publication of KR20160045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26B23/06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resistance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조기에 사용되는 적외선 발열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히터 설치홈(12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히터 설치판(121)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은 개방되어 있는 히터 설치대(120);와, 양측에서 각각 서로 마주하는 상기 히터 설치홈(122)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히터 수단(130);과, 상기 히터 설치대(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방사되는 열을 반사하는 반사판(140);과, 상기 개구부(111)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방사된 열의 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 성분만을 통과시키며, 자체의 고유 진동수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 필터판(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Infrared-Heating Appartus for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조기에 사용되는 적외선 발열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히터 설치홈(12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히터 설치판(121)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은 개방되어 있는 히터 설치대(120);와, 양측에서 각각 서로 마주하는 상기 히터 설치홈(122)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히터 수단(130);과, 상기 히터 설치대(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방사되는 열을 반사하는 반사판(140);과, 상기 개구부(111)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방사된 열의 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 성분만을 통과시키며, 자체의 고유 진동수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 필터판(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농산물, 곡물 또는 분쇄물 등의 다양한 재질을 건조시키는 여러가지 장치 중의 하나로, 하기 특허문헌 1의 "원적외선 입담배 건조기"(등록실용신안 제20-0267612호)와 같이 원적외선을 이용하는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원적외선 가열장치는 세라믹 내부에 니크롬선을 넣어 성형한 원적외선히터나 석영관, 세라믹관등에 니크롬선을 넣은 원적외선 튜브등을 가열하여 세라믹의 고유진동을 유도 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원적외선 가열장치는 예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원적외선 복사 파장을 변화시키기가 어려워 건조기에 적용할 경우 예열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많고 건조 재료에 따른 원적외선 파장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기존의 원적외선 가열장치는 히터가 비교적 높은 온도를 유지하여야 건조기 내부의 온도를 수분활성화 시킬 수 있는 온도에 도달 시킬 수 있음으로 건조 재료가 가진 수분이 증발하면서 생긴 수증기 및 수증기에 포함된 오염 성분에 의하여 원적외선 히터가 오염되어 부착물이 생기고 이러한 부착물이 히터의 열에 의하여 탄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2676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열량 조절시의 응답이 빠른 할로겐램프 또는 카본히터로 구성되는 히터 수단과 세라믹 필터판의 조합을 열 발생원으로 이용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발생되는 적외선의 파장을 근적외선에서 원적외선까지 변환하여 건조 재료에 적합한 파장의 근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키고, 세라믹필터판에 의하여 원적외선과 근적외선 이외의 파장은 제거하도록 하여, 건조 재료에 투과성 열에너지인 원적외선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열원인 히터 수단에 수증기 및 수증기에 포함된 오염 성분이 접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히터 수단의 오염 또는 탄화물 발생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는, 건조기에 사용되는 적외선 발열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히터 설치홈(12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히터 설치판(121)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은 개방되어 있는 히터 설치대(120);와, 양측에서 각각 서로 마주하는 상기 히터 설치홈(122)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히터 수단(130);과, 상기 히터 설치대(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방사되는 열을 반사하는 반사판(140);과, 상기 개구부(111)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방사된 열의 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 성분만을 통과시키며, 자체의 고유 진동수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 필터판(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 수단(130)은 중앙의 발열부(131)와 양측에 각각 결합된 단자부(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히터 설치판(121)은 상기 발열부(131)의 양 측 말단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을 덮는 커버(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 설치대(120)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140)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냉각수단(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 수단(130)은 할로겐램프 또는 카본히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열량 조절시의 응답이 빠른 할로겐램프 또는 카본히터로 구성되는 히터 수단과 세라믹 필터판의 조합을 열 발생원으로 이용하여,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발생되는 적외선의 파장을 근적외선에서 원적외선까지 변환하여 건조 재료에 적합한 파장의 근적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키고, 세라믹필터판에 의하여 원적외선과 근적외선 이외의 파장은 제거하도록 하여, 건조 재료에 투과성 열에너지인 원적외선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원인 히터 수단이 세라믹 필터판에 의하여 건조실로부터 격리된 구조에서 발열할 수 있기에 히터 수단의 오염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건조 재료에 적합한 흡수파장대의 근적외선에서부터 원적외선까지 발열시킬 수 있음으로 각종 농수산물, 육류, 산업용 건조기의 발열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캐비닛형 건조기 및 벨트식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의 상면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의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의 히터 설치대와 반사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의 세라믹 필터판이 부착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하면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의 히터 설치대에 반사판이 결합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의 히터 설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및 7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의 히터 설치홈과 히터 설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의 세라믹 필터판의 적외선 투과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는 크게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스(110), 히터 설치대(120), 히터 수단(130), 반사판(140) 및 세라믹 필터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본 발명의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원적외선 또는 근 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도록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에는 혹시라도 유입될수 있는 오염 수단을 배출하고, 과열에 의한 탄화나 증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냉각수단(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라 하여도, 상기 히터 수단(130)이 후술할 할로겐램프 또는 카본히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는, 열전달의 대부분이 복사열(radiation heat)의 형태로 전달되므로, 이러한 냉각 또는 순환에 의한 열손실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에 머무르게 된다.
다음으로, 히터 설치대(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히터 설치대(1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히터 설치홈(12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히터 설치판(121)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히터 설치대(120)는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아 방출할 수 있으며, 국부적인 팽창이 일어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열팽창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열 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히터 설치대(120)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히터 설치판(121)을 측면에서 연결하여 지지하면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반사판(14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반사판(140)의 하측 말단이 상기 히터 수단(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결합될 수 있게 반사판 지지부(124)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히터 수단(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히터 수단(13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측에서 각각 서로 마주하는 상기 히터 설치홈(122)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히터 수단(130)은 통상적으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앙의 발열부(131)와 양측에 각각 결합된 단자부(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히터 설치판(121)은 열팽창에 의한 상기 히터 수단(130)의 길이방향 팽창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지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발열부(131)의 양 측 말단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히터 수단(130)은 할로겐램프 또는 카본히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즉각적인 가열이 가능한 것은 물론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그 발열량 및 발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열 특성을 가지는 상기 히터 수단(130)은 후술할 세라믹 필터판(150)과 결합되어, 건조 대상에 적합한 적외선 파장대의 분포를 다르게 할 수 있는 본 발명 특유의 작동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한편, 상기 발열부(130)와 각각의 상기 단자부(132)사이에는 도 7a 및 7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상적으로 유리관을 서로 오무려 함입시켜 봉합하는 함입부(131a)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히터 설치홈(122)의 폭(D0)은 도 7a 및 7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발열부(131)의 냉각시 직경(d0)보다 약간 작고, 히터 함입부(131a)의 폭(d1)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히터 함입부(131a)는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발열부(13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히터 설치홈(122)의 하측에는 도 7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폭(D1)이 상기 히터 함입부(131a)의 상하 길이(d2) 보다 큰 히터 설치부(123)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히터 부재(130)가 회전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 발생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반사판(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반사판(14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히터 설치대(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방사되는 열을 반사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반사판(140)은 반사율과 열전도율이 모두 좋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세라믹 필터판(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세라믹 필터판(150)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개구부(111)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방사된 열의 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 성분만을 통과시키며, 자체의 고유 진동수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상기 세라믹 필터판(150)은 통상적으로 반투명한 특성을 가진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세라믹 필터판(150)은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특정 파장을 가지는 원적외선 도는 근적외선 부근의 빛은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짧은 파장을 가지는 빛은 흡수하여 차단하는 특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히터수단(130)은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한 파장대의 복사열을 방출하며, 상기 히터수단(130)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할로겐램프 또는 카본히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그 특성상 전류공급이 많아지면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이 출력 되게 된다. 따라서, 파장이 길어 건조 대상 재료의 심층 침투에 유리한 원적외선파장의 방출 상태를 유지하려면 전류량을 줄여야 하고, 전류량이 줄어들면 건조에 필요한 열량이 부족하여 건조가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상기 히터 수단(130)(할로겐램프또는 카본히터)를 사용하여 낮은 전류량에서도 건조에 적당한 양의 열량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과 동시에, 건조에 효율적인 출력 파장인 원적외선 파장을 유지하면서 건조에 필요한 다량의 열량을 공급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건조 재료의 색상이나 특성에 따른 흡수 파장대(예를 들어 적색의 홍고추의 경우와, 청색의 오이의 경우 주로 흡수하는 적외선의 파장에 차이가 있다.)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상기 히터 수단(130)에 각각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의 파장 분포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각각의 상기 히터 수단(130)에 각각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면 파장이 긴 원적외선의 방사 비율이 커지고 파장이 비교적 짧은 근 적외선의 방사 비율은 줄어들게 되며, 공급되느 전류가 증가되는 경우에는 반대로 파장이 긴 원적외선의 방사 비율이 줄어들고 파장이 비교적 짧은 근 적외선의 방사 비율은 커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출력의 파장 영역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히터 수단(130)에 통상적이 작동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약 80% 내외의 열이 적외선의 형태로 발생하고 적외선이 아닌 파장대로 20% 내외의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적외선 이외의 파장대로 발생하는 열은 건조 재료의 표면에 집중되어 건조 재료의 표면이 과열되게 만들어 건조 품질을 저해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세라믹 필터판(150)은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특정 파장을 가지는 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 부근의 빛은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짧은 파장을 가지는 빛은 흡수하여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투과성이 좋은 장파장의 적외선(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은 통과시키게 되고, 투과성이 낮은 단파장(예를 들어 가시광선이나 자외선)대의 열은 상기 세라믹 필터판(150)이 흡수하면서, 상기 세라믹 필터판(150) 자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온도 상승에 따라 자체의 투과성이 낮은 단파장(예를 들어 가시광선이나 자외선)대의 열원마저도 결과적으로 원적외선 파장대의 열로 방출되므로, 발생한 열량의 대부분을 투과성이 높은 적외선(근적외선 ~ 원적외선)의 형태로 발생시키게 되며, 건조 재료는 투과성이 높은 적외선(근적외선 ~ 원적외선)을 열원으로 하여 건조 재료의 표면과 내부가 온도차이가 근소하게 가열되어 내부 수분의 활성화가 빨리 진행됨으로 건조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 필터판(150)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히터 수단(130)을 외부에 대하여 차단하는 기능 역시 가지므로, 열원인 상기 히터 수단(130)이 상기 세라믹 필터판(130)에 의하여 건조실로부터 격리된 구조에서 발열할 수 있기에 상기 히터 수단(130)의 오염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것은 물론, 오염물질의 증착이나 탄화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을 덮는 커버(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밀봉된 하나의 유닛(unit) 또는 카트리지(Catridge)의 형태로 용이하게 설치/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
110: 케이스 111: 개구부
120: 히터 설치대 121: 히터 설치판
122: 히터 설치홈 123: 히터 설치부
124: 반사판 지지부
130: 히터 수단 131: 발열부
132: 단자부
140: 반사판 141: 히터 고정부
150: 세라믹 필터판 151: 필터판 접착부재
160: 커버
170: 냉각수단

Claims (7)

  1. 건조기에 사용되는 적외선 발열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히터 설치홈(12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히터 설치판(121)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은 개방되어 있는 히터 설치대(120);
    양측에서 각각 서로 마주하는 상기 히터 설치홈(122)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열을 방출하는 히터 수단(130);
    상기 히터 설치대(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방사되는 열을 반사하는 반사판(140);
    상기 개구부(111)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 수단(130)에서 방사된 열의 원적외선 또는 근적외선 성분만을 통과시키며, 자체의 고유 진동수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 필터판(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10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히터 설치판(121)은 상기 발열부(131)의 양 측 말단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100).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을 덮는 커버(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100).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설치대(120)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100).
  5.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40)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100).
  6.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냉각수단(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100).
  7.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단(130)은 할로겐램프 또는 카본히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100).
KR1020140140907A 2014-10-17 2014-10-17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 KR20160045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907A KR20160045414A (ko) 2014-10-17 2014-10-17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907A KR20160045414A (ko) 2014-10-17 2014-10-17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414A true KR20160045414A (ko) 2016-04-27

Family

ID=5591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907A KR20160045414A (ko) 2014-10-17 2014-10-17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54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5922A1 (ko) * 2016-05-13 2017-11-16 장태균 하강 기류형 적외선 컨베이어 연속 건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12Y1 (ko) 2001-12-03 2002-03-09 주식회사 삼현 원적외선 잎담배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12Y1 (ko) 2001-12-03 2002-03-09 주식회사 삼현 원적외선 잎담배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5922A1 (ko) * 2016-05-13 2017-11-16 장태균 하강 기류형 적외선 컨베이어 연속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7109C (fi) Upphettningsenhet.
KR100386245B1 (ko) 적외선 방사를 하는 히터를 이용한 급속 조리장치
US6093919A (en) Cooling device for halogen lamps in microwave ovens
TWI501703B (zh) 電加熱器
KR101969044B1 (ko) 히터 유닛 및 열처리 장치
KR20160132624A (ko) 하강 기류형 적외선 컨베이어 연속 건조 장치
KR101949581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000003799U (ko) 할로겐램프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KR20160045414A (ko) 건조기의 근적외선 및 원적외선 발열장치
KR101633353B1 (ko) 건조기의 발열장치용 히터고정구조
KR100767731B1 (ko) 전기 발열램프용 히터
KR200458068Y1 (ko) 구이기
JP6113927B2 (ja) 摩擦ライニングの熱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309293Y1 (ko) 근적외선 히터
KR101908367B1 (ko) Led 직접 열을 이용한 캔들워머
KR200311734Y1 (ko) 선형 근적외선 히터 모듈
KR200311733Y1 (ko) 선형 근적외선 히터 모듈
JP4035838B2 (ja) 香炉
KR100389421B1 (ko) 전자레인지의 상부히터 구조
KR200212034Y1 (ko) 원적외선 방사장치
KR200212033Y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조명장치
JP2009099259A (ja) 加熱器
KR100520873B1 (ko) 고출력 적외선 발열 모듈
KR20090107628A (ko) 복사 및 대류 열전달을 이용한 가열장치
JP5092978B2 (ja) 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77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29

Effective date: 201612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1000592;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26

Effective date: 2017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