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987A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987A
KR20160044987A KR1020140143642A KR20140143642A KR20160044987A KR 20160044987 A KR20160044987 A KR 20160044987A KR 1020140143642 A KR1020140143642 A KR 1020140143642A KR 20140143642 A KR20140143642 A KR 20140143642A KR 20160044987 A KR20160044987 A KR 20160044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portable terminal
camera
mobile terminal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호
Original Assignee
장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호 filed Critical 장현호
Publication of KR20160044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는,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며, 입력패널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수납부, 내시경이 삽입고정되며, 내시경의 접안부가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와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내시경 안착부 및 내시경 안착부에 안착된 내시경의 광원 연결부와 연통되게 LED 광원이 장착되는 LED 광원 장착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상용화된 내시경 장치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설계 변경이나 새로운 내시경 장치를 생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 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장치 및 영상 분석 장치(본체)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제품 구매에 대한 진입장벽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및 본체(영상분석장치)를 휴대단말기를 이용함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케이스만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전용 내시경 검사 장치와 대비하여 구매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ENDOSCOPE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내시경 장치없이도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내시경 검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나 구강 등을 검사하기 위한 검이경 등과 같은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즉,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좁고 어두운 관 모양의 귀나 코 등에 내시경을 삽입하고, 조명을 하여 내부를 관찰하는 장치를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내시경 검사 장치는 확대경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및 전자 검사 장치로서 관찰된 부위를 촬영하여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확대경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는 검사자가 단순히 관찰대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을 뿐 이를 영상으로 촬상하여 자세하게 관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전자 검사 장치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본체장치(광원 및 영상 카메라)를 설치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니터가 구비된다.
내시경(10)이 삽입된 후 광원(2)으로부터 광이 발광되면서 조명이 된 상태에서 내시경(10)으로부터의 영상이 카메라(미도시)로 촬상된 후 영상케이블(1)을 통하여 본체 장치로 전달되고, 전달된 영상이 모니터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 검사 장치는 고가의 장비로서 구입에 대한 부담이 클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카메라 화소가 떨어지는 카메라를 장시간 사용할 수 밖에 없어 효율적인 검사를 수행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내시경 장치로 편리하면서 퀄리티가 높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는,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며, 입력패널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수납부; 내시경이 삽입고정되며, 상기 내시경의 접안부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와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내시경 안착부; 및 상기 내시경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내시경의 광원 연결부와 연통되게 LED 광원이 장착되는 LED 광원 장착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용화된 내시경 장치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설계 변경이나 새로운 내시경 장치를 생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 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장치 및 영상 분석 장치(본체)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제품 구매에 대한 진입장벽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및 본체(영상분석장치)를 휴대단말기를 이용함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케이스만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전용 내시경 검사 장치와 대비하여 구매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는, 3G/4G 무선이동통신망, WIFI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원격의 서버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휴대단말기 자체의 통신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기존 장치에서 고가의 통신장치를 구비하거나 불편한 데이터 이동절차 없이도 간단하게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는, 외부의 대형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휴대단말기의 미러링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 대형 모니터에서 촬상된 영상을 볼 수 있게 되어, 종래 내시경 장치를 한 세트로 구매하여야 함에 따른 비용적 불합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로 상기 휴대단말기가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개폐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휴대단말기를 편리하게 검사장치에 삽입하거나 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광원 장착부 또는 수납부측에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휴대단말기의 자체 배터리에 더하여 외부 전원으로서 촬영장치의 배터리로도 휴대단말기의 보조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더하게 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보다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에 의하면, 상용화된 내시경 장치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설계 변경이나 새로운 내시경 장치를 생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 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 및 영상 분석 장치(본체)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제품 구매에 대한 진입장벽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및 본체(영상분석장치)를 휴대단말기를 이용함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케이스만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전용 내시경 검사 장치와 대비하여 구매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미러링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 대형 모니터에서 촬상된 영상을 볼 수 있게 되어, 종래 내시경 장치를 한 세트로 구매하여야 함에 따른 비용적 불합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내시경 검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내시경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내시경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내시경(10)은 접안부(11), 광원연결부(13) 및 삽입부(15)로 구성된다.
접안부(11)는 카메라(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종래 전자 검사 장치에서는 이에 맞게 설계된 카메라와 연통되며, 광원연결부(13)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외부 광원으로부터 광을 수광하여 삽입부(15)측으로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어두운 촬상부위를 조명하도록 한다.
본원발명은 이러한 상용화된 내시경(10)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기구적 변형이나 새롭게 설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S)가 수용되는 수납부(111), 상기 휴대단말기(S)에 구비된 카메라와 대향되는 위치에 내시경(10)의 접안부(11)가 연통되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내시경 안착부(115), 상기 내시경 안착부(115)에 안착된 내시경(10)의 광원연결부(13)와 LED 램프(120)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LED 광원 장착부(113)를 포함한다.
수납부(111)는 휴대단말기(S)의 입력부(터치패널부)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휴대단말기의 종류, 형상 또는 크기에 맞게 형성된다.
이때,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납부(111)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117)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휴대단말기(S)를 쉽게 착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내시경 안착부(115)는, 수납부(111)에 수납되는 휴대단말기(S)의 카메라와 대향되는 위치에 내시경(10)의 접안부(11)가 연통되게 위치되도록 내시경(10)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내시경 안착부(115)가 형성되는 위치는 휴대단말기(S)의 종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접안부(11)가 카메라와 일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LED 광원 장착부(113)는, LED 광원(120)이 장착되는 것으로서 LED 광원 장착부(113)의 일단은 상기 내시경 안착부(115)에 안착된 내시경(10)의 광원연결부(13)와 연통되는 홀(113a)이 형성되어, LED 광원(120)이 광원 장착부(113)에 설치되면 LED 광원(120)과 광원연결부(13)가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장치(100)을 작동을 살펴보면, 내시경 삽입부(15)가 검사부위로 삽입된 상태에서 LED 광원(120)을 구동시켜 발광시키면 광이 광원연결부(13)를 통하여 광섬유로 전달되면서 삽입부(15) 끝단으로 출광되면서 검사부위가 조명되는 상태가 된다.
이후, 수납부(111)에 수납된 휴대단말기(S)의 카메라 앱을 실행시켜 스틸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면서 관찰영역을 검사하게 된다.
촬상된 스틸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는 휴대단말기(S)의 3G/4G 통신망, WIFI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S)에서 촬영된 영상을 미러링 기능으로 외부의 대형 모니터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 영상분석장치(본체), 모니터, 내시경, 및 카메라 장치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는 고가의 장비를 구매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원 장착부(113) 또는 수납부(111)측 적절한 위치에 건전지 또는 축전지가 수납될 수 있으며, 개폐부는 휴대단말기(S)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전지 또는 축전지의 전력을 휴대단말기(S)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카메라 앱을 실행시키면 해당 시그널을 충전단자 채널을 이용하여 LED 광원(120)을 통시에 발광시키는 트리거 신호로 활용하여 별도의 외부 스위치 동작 없이 카메라를 실행시킴과 동시에 LED 광원(120)이 발광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휴대단말기(S)의 카메라 앱의 구동 또는 촬상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풋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풋스위치는 블루투스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휴대단말기(S)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 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내시경 11 : 접안부
13 : 광원연결부 15 : 삽입부
100 : 검사장치 111 : 수납부
113 : LED 광원 장착부 115 : 안착부
120 : LED 광원 S : 휴대단말기

Claims (5)

  1.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며, 입력패널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수납부;
    내시경이 삽입고정되며, 상기 내시경의 접안부가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와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내시경 안착부; 및
    상기 내시경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내시경의 광원 연결부와 연통되게 LED 광원이 장착되는 LED 광원 장착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는, 3G/4G 무선이동통신망, WIFI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원격의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 데이터는, 외부의 대형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로 상기 휴대단말기가 선택적으로 수납되도록 개폐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장착부 또는 수납부측에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로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KR1020140143642A 2014-10-16 2014-10-22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KR201600449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46 2014-10-16
KR20140139946 2014-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87A true KR20160044987A (ko) 2016-04-26

Family

ID=5591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642A KR20160044987A (ko) 2014-10-16 2014-10-22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49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9479A1 (en) 2016-09-16 2018-03-22 Throat Scope Pty Ltd Orifice inspection system
CN107854104A (zh) * 2017-12-07 2018-03-30 南京清科信息科技有限公司 便携式耳鼻喉内窥镜
CN108042095A (zh) * 2018-01-16 2018-05-18 深圳市耐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耳道内窥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9479A1 (en) 2016-09-16 2018-03-22 Throat Scope Pty Ltd Orifice inspection system
GB2569078A (en) * 2016-09-16 2019-06-05 Throat Scope Pty Ltd Orifice inspection system
CN109982626A (zh) * 2016-09-16 2019-07-05 喉镜私人有限公司 孔口检查系统
JP2019529028A (ja) * 2016-09-16 2019-10-17 スロート スコープ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人体開口部検査システム
EP3512403A4 (en) * 2016-09-16 2020-04-01 Throat Scope Pty Ltd ORIFICE INSPECTION SYSTEM
AU2017326756B2 (en) * 2016-09-16 2023-02-16 Throat Scope Pty Ltd Orifice inspection system
CN107854104A (zh) * 2017-12-07 2018-03-30 南京清科信息科技有限公司 便携式耳鼻喉内窥镜
CN108042095A (zh) * 2018-01-16 2018-05-18 深圳市耐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耳道内窥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589488U (zh) 一种便携式耳鼻喉多功能内窥镜设备
JP5674797B2 (ja) 眼科用機器の改善および眼科用機器に関する改善
CN104127164B (zh) 一种便携式智能医用内窥镜
JP2017536215A (ja) 単回使用の、ポートを利用して展開可能かつ関節操作可能な内視鏡
GB2470327A (en) Visual inspection device
CN104382551B (zh) 带图像收集功能的扩阴器及基于该扩阴器的图像收集系统
CN202723815U (zh) 一种手持视频设备
TWI444165B (zh) Separate endoscopic photographic device
KR20160044987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장치
US20110085032A1 (en) Microscope camera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6073719A (zh) 一种多光谱便携式皮肤镜系统
CN103479317A (zh) 医用检测装置
CN205597884U (zh) 一种可连接智能移动设备的枪式医用内窥镜系统
KR2013004970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검이경, 및 이에 사용되는 스페큘러 구조
WO2006055949A1 (en) Multi-use electronic device for use with an endoscope
CN201727493U (zh) 具可拆屏幕的便携检耳镜
KR200480041Y1 (ko) 내시경 장치
CN214104353U (zh) 一种基于vr技术的便携式电子内视镜
CN204428006U (zh) 一种安全可视扩阴器
CN201727494U (zh) 便携式检耳镜
CN102309309B (zh) 具可拆屏幕的便携检耳镜
CN204410769U (zh) 一种与手机配套的光纤内窥镜
KR101567838B1 (ko) 접이식 내시경
CN102309310B (zh) 便携式检耳镜
CN203037281U (zh) 一种便携式设备内窥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