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904A - Apparatus for adsorption and fixing label film for contain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dsorption and fixing label film for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904A
KR20160044904A KR1020140139973A KR20140139973A KR20160044904A KR 20160044904 A KR20160044904 A KR 20160044904A KR 1020140139973 A KR1020140139973 A KR 1020140139973A KR 20140139973 A KR20140139973 A KR 20140139973A KR 20160044904 A KR20160044904 A KR 20160044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xing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5530B1 (en
Inventor
송창동
최은석
Original Assignee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530B1/en
Publication of KR20160044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5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4Details of grippers; Actuating-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5Label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dsorbing and fixing a label film for a container, which can transfer a label rapidly by adsorbing the label without wrinkling in order to attach the label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formed in a square pillar or a cylinder.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ank type film fixing and transferring part (100) to surround a label film (30) and to move the label film. A velocity generation part (60) generates a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region (V)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m fixing and transferring part (100) by discharging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an inside of the film fixing and transferring part (100) to have a velocit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m fixing and transferring part (100), and is formed at a part or an entire par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m fixing and transferring part (100). Thus, the label film (30) is pulled and fixed to be rolled by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gener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m fixing and transferring part (100), and therefore the film (30) can be supplied smoothly.

Description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 {APPARATUS FOR ADSORPTION AND FIXING LABEL FILM FOR CONTAIN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bel film adhering and fixing device for a label,

본 발명은 라벨 필름 흡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기둥이나 원기둥 등 각종 용기의 외주면에 라벨을 부착시키기 위해 라벨을 흡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라벨 흡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bel film adsorption /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bel adsorption / fixation device capable of adsorbing and fixing a label to attach a label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variety of containers such as square columns and cylinders.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의 포장용 각종 용기의 외면에는 내용물 등에 관한 안내나 제조사 등에 관한 사항이 직접 인쇄되어 있거나, 그러한 사항이 기재된 스티커 등이 부착되어 판매되고 있다.Generally, on the outer surface of various packaging containers for plastic injection mold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r the like is directly printed on the manufacturer, etc., or the sticker on which such matters are printed is sold.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기의 외면에 직접 인쇄하거나 스티커 등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용기를 보관하거나 용기의 사용중에, 용기의 외면이 긁히거나 스티커 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용기의 외벽에 인쇄된 필름을 용기와 완전하게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는 사출 금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printing direct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or attaching a sticker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scratched or the sticker is dropped during storage of the container or use of the container. 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injection mold capable of completely forming a film pri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with the contain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그리고, 이러한 사출 금형 방식에서는, 사출 금형으로 필름지를 공급시켜 사출시에 용기와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필름을 용기의 형태에 맞게 변형시킨 상태로 공급시켜 주어야 한다.In this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film should be supplied in a deformed state conform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in order to supply the film sheet with the injection mold and integrally join the container with the container.

이는 필름이 용기의 형태에 맞게 변형된 상태로 공급되어야만 사출시에 필름지가 주름지거나 용기의 외면에 잘못 부착되어 제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film is supplied in a deformed state conform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the fil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rinkled at the time of release and improperly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이와 같이 필름을 사출 금형 내로 공급시키기 위한 종래의 필름 이송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conventional film transfer apparatus for supplying the film into the injection mol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필름 이송 장치의 필름 고정 이송부(10)는 외주벽에 흡착홀(2)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ilm-fixed transfer unit 10 of the conventional film transfer apparatus.

그리고, 필름 적재부(1)상에 쌓여있는 필름(25)을 필름 공급부(20)에 의해 흡착시켜, 필름 공급부(20)를 필름 고정이송부(10)상으로 이송시키고, 필름 고정이송부(10) 상으로 이송된 필름 공급부(20)가 필름 고정이송부(10)의 외주벽에 필름(25)을 떨어뜨려 공급시킨다.The film 25 accumulated on the film loading unit 1 is sucked by the film feeding unit 20 to transfer the film feeding unit 20 onto the film fixing transfer unit 10, 10 feeds the film 25 to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 by dropping the film 25 thereon.

이때에 필름 공급부(20)로부터 떨어져서 공급되는 필름(25)은, 필름 고정이송부(10)의 외주벽에 떨어지면서 필름 고정이송부(10)의 외주벽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흡착홀(2)에 의해 진공흡착되어 밀착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film 25 supplied from the film supply unit 2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transfer unit 10 by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2 (not show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transfer unit 10 And is tightly fixed.

필름 고정이송부(10)의 외주벽에 흡착되어 고정되는 필름(25)은 다수의 흡착홀(2)에 의해 흡착되어 고정되지만, 일부 흡착 고정되지 않은 필름(25)의 양단까지도 흡착시켜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긴 브러시를 필름 고정이송부(10)측으로 밀착시키면서 이동시켜, 필름(25)이 필름 고정이송부(10)의 흡착홀(2)에 더욱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있었다.The film 25 to be adsorbed and fixed on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film fixing transfer section 10 is attracted and fixed by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2 but is also fixed to both ends of the partially non- (Not shown), the film 25 is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lm fixing transfer section 10 side so that the film 25 is fixed more tightly to the suction hole 2 of the transfer section 10 .

그러나 이와 같이 필름(25)을 흡착홀(2)에 의해 흡착 및 고정시키는 방식에서는, 흡착홀(2)의 흡착 진공상태가 균일하지 못한 관계로 흡착홀(2) 측으로 밀착 고정되는 필름(22)이 어느 부위는 잘 흡착되어 주름이 지지 않고 매끄럽게 고정되는 반면에 그렇지 않고 흡착 속도의 차이에 의해 주름지는 부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method in which the film 25 is adsorbed and fixed by the adsorption hole 2, the film 22, which is closely fixed to the adsorption hole 2 side due to the uneven vacuum state of the adsorption hole 2, This part is well adsorbed and smoothly fixed without wrinkles, bu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wrinkled part is generated due to a difference in adsorption speed.

또한, 필름(25)을 브러시 등으로 한번 더 밀쳐서 밀착시키고 있지만, 흡착력이 크게 작용하고 있어, 작은 주름부를 제외하고는 쉽게 주름이 펴지지 않는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lm 25 is pressed once more by a brush or the like and is closely contacted, the attracting force acts largely, and wrinkles are not easily spread except for the small wrinkles.

이와 같이 필름(25)이 주름진 상태로 사출 금형내로 공급되면, 사출되는 용기의 외벽에 필름이 주름진 상태로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불량품이 양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When the film 25 is supplied into the injection mold in a corrugat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film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to be injected in a corrugated state, resulting in a problem of mass production of defective products.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각기둥이나 원기둥 등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용기의 외주면에 라벨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해, 라벨을 구겨짐 없이 신속하게 흡착 고정시켜 이송시킬 수 있는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beling method for labeling a label, which can be quickly and securely attached to a plastic film, And a label film adsorption fixing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는, 라벨 필름을 감싸 이동시키는 통형의 필름 고정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내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유속을 갖도록 토출시켜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외주면상에 진공 부압층 영역을 발생시키는 유속 발생부가 형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abel film adsorption / Wherein the film fixing unit comprises a tubular film fixing transferring unit for wrapping and moving the label film on a part or all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ring unit, And a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for generating a vacuum negative pressure reg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diaphragm is formed.

상기 유속 발생부는,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내부와 연통(communication)하여 형성되며,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개구일 수 있다.The flow velocity generator may be an opening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transmitting part an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mitting part.

상기 유속 발생부는, 토출되는 압축 공기가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low velocity generato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to be discharged move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상기 유속 발생부는,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외주면 둘레 방향 중 하부측 둘레 방향을 따라 반원으로 형성된 개구일 수 있다. The flow rate generating unit may be an opening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long the bottom sid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porter.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외주면 상부측에는 다수의 흡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section.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외주면 상에는 당해 외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흡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And a suction portion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port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흡착부는, 상기 유속 발생부의 공기 토출 방향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dsorption unit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flow rate generating unit.

상기 필름 고정 이송부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유속 발생부의 공기 토출 방향 하류측에는,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외주면 두께 방향 내측으로 파인 홈 형상의 가이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fixed transferring section, a groove-shaped guide passage whose fins are in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ring section can be formed.

상기 유속 발생부는, 필름 고정이송부 상에 안착되는 필름의 폭 중앙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low velocity generator may be formed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width of the film on which the film fixing is placed.

본 발명은, 필름 고정이송부 상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를 배출시키되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의 외주면에 근접하게 축선 방향을 따라 빠른 유속으로 공기를 이동시킴으로써, 필름 고정이송부의 외주면 상에 진공 부압층을 발생시킬 수 있어, 흡착홀만으로 필름을 흡착시킬 때의 필름이 구겨지거나 주름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fixing apparatus which allows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ransferring portion of a film fixing apparatus and moving the air at a high flow rate along an axial direction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ring portion,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wrinkling and wrinkling of the film when the film is adsorbed only by the adsorption holes.

또한, 종래와 같이 필름지를 재차 밀착시키는 브러쉬 등이 필요가 없게 되어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치의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a brush or the like to reattach the film sheet again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can be simplified, thereby reducing the product unit cost of the apparatus.

그뿐만 아니라, 필름지를 브러쉬 등에 의해 밀착시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이송 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process of adhering the film sheet by a brush or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transfer process.

또한, 진공 부압층의 압력차에 의해 당겨지는 필름지의 내면측은 공기의 유속에 의해 필름지 내면측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이 제거되어 깨끗한 면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m pull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is effective in removing dust or the like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lm due to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thereby maintaining a clean surface.

도 1은 종래의 필름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로서 유속 발생부가 원주형태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로서 유속 발생부가 반원형태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흡착 고정장치에서 흡착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흡착 고정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를 측면에서 볼 때 필름이 흡착 고정 장치에 감기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의 유속 발생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의 유속 발생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lm transfer apparatus.
FIG.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label film adsorption fixing device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low rate generating portion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s a label film adsorption fixing device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hole is formed in the suction and fixing apparatus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sorption fixing apparatus shown i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m is wound on a suction fixing devic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label film adsorption fixing device for 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portion of the label film adsorption and fixing device for 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of the label film adsorption and fixing apparatus for a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종래의 필름 이송장치와의 구성상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종래의 종래의 필름 이송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simplify and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in configuration from the conventional film transporting apparatus, and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film transporting apparatu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압축 공기를 배출시키는 유속 발생부(60)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label film adsorption fixing apparatus for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for discharging compressed ai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section 100 is formed.

상기의 유속 발생부(60)는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축 길이 방향으로 대략 중앙 부근에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둘레 방향, 즉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게 이어지는 라인 형태의 개구로 형성되어 있다.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is formed as a line-shaped opening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holding transfer part 100, that i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pproximately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

그리고, 상기 유속 발생부(60)를 통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내부측에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밖으로 토출된다. 본 발명의 유속 발생부(60)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유속 발생부(60)를 통해 토출되는 압축 공기가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근접하면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lm fixed transfer unit 100 through the flow rate generating unit 60 is discharged out of the film fixed transfer unit 100. 5,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approach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transporting section 100 while the compressed air flowing through the film transporting section 100 And is formed to be dischar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유속 발생부(60)에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의 일부는 당해 외주면의 축선 방향을 따라 매끄럽게 이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경사면과 좁은 간격을 형성하면서 이 경사면을 덮도록 다른 외주면이 배치된다. 따라서, 유속 발생부(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근접하면서 축선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smoothly extend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narrow gap is formed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Anoth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disposed.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can be discharged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section 100.

즉, 상기와 같이 유속 발생부(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빠른 속도로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토출되면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을 타고 축선 방향으로 이동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unit 60 is discharged at a high spe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2, and the film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이때에, 유속 발생부(60)에서 토출된 공기는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면의 표면을 따라 빠르게 이동되면서 유속이 발생된다. 그리고, 빠른 유속에 의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근접한 영역에서는 베르누이의 원리(principle of Bernoulli)에 의해 진공 상태의 부압 영역, 즉 진공 부압층 영역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is rapidly moved along th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section 100 to generate a flow velocity. Then, in a region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belt 100 by a fast flow velocity, a negative pressure region in a vacuum state, that is, a vacuum negative pressure region region is formed by the principle of Bernoulli.

즉,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빠른 속도로 흐르는 공기의 유속에 의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부근의 영역은 자연적으로 압력이 낮아져, 주변과의 압력의 차이에 의해 물체가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면측으로 끌려오게 된다.That is, due to the velocity of the air flowing at a high velocit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diaphragm 100, the pressure in the region nea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diaphragm 100 naturally lowers, The film is transport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transporting section 100.

그리고,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면측에 진공 부압층 영역(V)이 발생된 상태에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면에 필름(30)을 위치시켜 놓으면, 필름(30)은 자연적으로 진공 부압층 영역으로 빠르게 당겨져,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말려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film 30 is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in a state where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area V is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The film can be naturally pulled quickly to the region of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so that the film fixing can be kept in a state of being rolled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eeding portion 100.

또한,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측에 발생된 진공 부압층 영역에 의해, 필름(30)은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직접 맞닿지 않고 외주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말려진 상태가 유지된다.In addition, the region of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generated on th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 station 100 prevents the film 30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Is maintained.

이와 같이 필름(30)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상에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말려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필름 고정이송부(100)가 사출 금형 내로 이송될 때, 필름(30)이 주름진 상태로 사출 금형 내로 공급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film 30 is held in a state of being kept at a constant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when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is transferred into the injection mold, 30) is fed into the injection mold in a corrugated state.

또한, 유속 발생부(60)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진공 부압층 영역에서는, 흡착 고정되는 필름(30)의 내면에 묻어있는 먼지 등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딸려 가면서 자연적으로 제거되므로, 필름(30)이 용기의 외면에 부착될 때 부착 표면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gion of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generated as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portion 60, dust and the lik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dsorbed and fixed film 30 are naturally removed by the flow of the discharged air , So that contamination of the attachment surfac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when the film 3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는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이송시 필름(30)의 고정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흡착부(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속 발생부(60)에 의해 필름(30)이 말려진 상태로 유지 고정된 후, 유속 발생부(60)의 배출 공기의 흐름을 중단시킴과 동시에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면측에 형성된 흡착부(50)를 통해 내측으로 공기를 흡착하면, 필름(30)은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면에 맞닿음되면서 흡착 고정될 수 있다.2, a suction portion 5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ortion 100 to further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film 30 when the film fixing transfer portion 100 is transferred. have. That is, after the film 30 is held and fixed by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the flow of the exhaust air from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is stopp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lm 30 can be adsorbed and fixed while com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fer section 100. [

그뿐만 아니라, 필름(3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상부측 위치(필름(30)이 제일 먼저 안착되는 위치)에 그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흡착홀(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상부측 위치에 다수의 흡착홀(40)을 형성함으로써,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필름(30)이 말리기 전에, 흡착홀(40)을 통해 필름을 흡착시켜 필름(3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ore stably fix the film 30,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fixing upper side position (the position where the film 30 is first placed) 40 may be formed. That is, by form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40 at positions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 station 100, before the film 30 is dri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 station 100, So that the film 30 can be fixed so as not to move.

구체적으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유속 발생부(60)가 외주면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주면 둘레 방향 전체에 진공 부압층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필름(30)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면으로부터 맞닿음 되지 않고 일정 간격 떨어져 있게 되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이송시에 필름(30)에 약간의 뒤틀림 등이 발생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portion 60 of the film fixing diaphragm 100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the region of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region in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lm 30 may be slightly distorted when the film transfer station 100 is transported.

이 경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상에 정확하게 필름(30)을 안착시켜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흡착홀(40)을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상부측 위치에 형성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40 can be formed in the upper side position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in order to accurately fix the film 3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have.

따라서, 흡착홀(40)을 통해 필름(30)의 일면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상부측에 흔들리지 않게 흡착하여 고정시킨 후,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속 발생부(60)를 통해 압축 공기를 토출시켜 진공 부압층 영역(V)을 발생시킴으로써, 필름(30)이 진공 부압층 영역(V)으로 당겨지면서 말려지게 되어 필름(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 참조)Therefore, after the film 30 is adsorbed and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ionary conveyance unit 100 through the suction holes 40, the film is fixed to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unit (not show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yance unit 100 The film 30 is pulled into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region V and dried to fix the film 30 by discharging the compressed air through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region 60 to generate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region V. [ (See Figs. 5 and 6)

한편, 도 2에 도시된 흡착부(50)는,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진공 부압층 영역(V)에 의해 말려져 고정된 필름(30)을 완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진공 부압층 영역(V)에 의해 필름(30)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가깝게 말려지면, 흡착부(50)를 통해 진공 흡착력을 발생시켜 필름(30)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면상에 맞닿음되게 흡착 고정시킨다. The adsorption unit 50 shown in FIG. 2 is for completely fixing the fixed film 30 by being dried by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region V of the transfer unit 100, When the film 30 is rolled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by the area V, a vacuum adsorption force is generated through the suction part 50 so that the film 30 is transferred to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Adhered and fixed on the outer surface.

이때에 흡착부(50)에 의해 필름(30)의 내면측이 흡착 고정되면, 필름 고정이송부(100)상의 유속 발생부(6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차단된다.At this time, whe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film 30 is adsorbed and fixed by the adsorption unit 50,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unit 60 on the film fixing transfer unit 100 is blocked.

상기 흡착부(50)에 의해 필름(30)의 내면측을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면측에 밀착, 즉 맞닿음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름(30)의 이송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서 필름(30)이 약간씩 비틀리거나, 고정 위치가 이탈되거나 하는 등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film 30 can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m transfer conveyance unit 100 by the suction unit 5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lm 30 is slightly twist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plate 100, or the problem of deviation from the fixing position is not caused.

또한, 필름 고정이송부(100) 상에 형성되는 유속 발생부(60)는, 도 2에서는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만,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어,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하부측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2, the film-securing section 60 is formed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 section 100, but the film-securing section of the transfer section 100 But may be formed only in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film fixing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mitting section 100.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반원으로 형성된 유속 발생부(60)는,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하부측에만 축선 방향으로 유속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하부측에만 진공 부압층 영역(V)이 형성된다.3 to 5,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part 60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eding part 100 has a flow velocity in the axial direction only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eding part 100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region V is formed only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diaphragm 100. [

따라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상부측에 필름(30)을 공급시키면 필름(30)의 중앙은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상면에 맞닿음되어 고정되고, 필름(30)의 양단은 자중에 의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하부측으로 쳐지게 내려간다. 이때에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하부측으로 쳐지도록 내려오는 필름(30)의 양단은,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하단측으로 내려옴과 동시에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하부측에 형성된 진공 부압층 영역(V)의 압력 차이에 의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하부측으로 당겨져 말려지면서 고정된다.Therefore, when the film 30 is f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 station 100, the center of the film 30 is fixed by abutting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station 100, The film fixing is struck down to the lower side of the feeding part 100 by its own weight.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film 30 descending to be lowered to the lower side of the transfer section 100 are moved downwar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transfer section 100, The film fixing is pull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fer section 100 by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negative pressure layer region V,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하부측에만 반원 형태의 유속 발생부(60)를 형성시킬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상부측에 흡착홀(40)을 축선 방향(축 길이방향)으로 형성시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상부측으로 필름(30)을 안착시킬 때 필름(30)을 흡착시켜 고정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0)은 뒤틀리지 않고 필름(30)의 양단이 자연적으로 하강된다.3, it is possible to form the semicircular flow rate generating portion 60 only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ring portion 100, but as shown in Fig. 4, the film transferring portion 100 When the film 30 is adsorbed and fixed when the film 3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by forming the suction holes 40 in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film 30 is not twisted, and both ends of the film 30 are naturally lowered.

본 발명은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유속 발생부(60)를 반원 형태로 형성시켜 필름 고정이송부(100)를 흡착 고정시켜도 무관하나,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둘레 방향으로 흡착부(50)을 추가로 형성시켜, 필름(30)을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맞닿게 고정시켜 이송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is adsorbed and fixed by forming the flow rate generating part 60 in a semicircular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The adsorption unit 50 may be additionally formed so that the film 30 can be transported while being fixe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 station 100.

이와 같이 필름(30)의 양단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하단측에 형성된 진공 부압층 영역(V)에 의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하측 외면측으로 당겨지면서 고정되면, 상기 유속 발생부(6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차단함과 동시에 필름 고정이송부(100) 상의 외주면측에 형성된 흡착부(50)로 공기를 흡착하여, 필름(30)의 내면이 흡착부(50)를 통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흡착되어 필름(30)이 흡착 고정되고, 이 상태로 필름 고정이송부(100)는 다음 단계로 이송될 수 있다. When both ends of the film 30 are fixed while being pulled toward the lower outer sid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by the region V of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form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And the air is adsorbed to the adsorption part 5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id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ilm 30 passes through the adsorption part 50, The film 30 is adsorbed and fix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transfer section 100, and in this state, the film transfer transfer section 100 can be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첨부 도면에서 흡착부(50)는 라인 형태의 홈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홀 형태로 형성시켜도 무관하다.Although the suction unit 50 is shown as a line-shaped groov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lm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hol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00.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유속 발생부(60)는 공급되는 필름(30)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part 6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is form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lied film 30.

유속 발생부(60)가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양단에 형성되어 진공 부압층 영역(V)을 발생시켜도 상관없지만, 필름(30)이 원활하게 말리면서 고정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속 발생부(60)를 통해 압축 공기가 토출되면서 발생되는 진공 부압층 영역(V)은 압축 공기가 흐르는 방향뿐만 아니라 그 반대 방향으로 일정 영역까지 발생되기 때문에, 유속 발생부(60)의 위치는 필름 고정이송부(100) 상에 안착되는 필름(30)의 폭방향 중앙 위치에 오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w velocity generating portion 6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ortion 100 to generate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region V. The film 30 may be fixed while being smoothly dried, Since the region of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V generated when the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rtion 60 is generated not on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ressed air flows but also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ertain reg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30 is formed so as to come to the center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30 that is seated on the transfer unit 100.

다음,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유속 발생부(60)의 하류측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상에 당해 외주면의 두께 방향 내측으로 움푹 파여 실질적으로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홈 형상의 가이드 유로(80)가 형성된다. 가이드 유로(80)는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7 and 8,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fixing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is recessed in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mitting section 100, A groove-shaped guide passage 80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e feeding portion 100 is formed. The guide passage 8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 part or all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 section 100.

이와 같이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에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이드 유로(80)를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유속 발생부(60)를 통해 배출된 압축공기를 가이드 유로(80)를 통해 빠르게 토출시켜 빠른 유속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가이드 유로(80)의 내측 가까이에 진공 부압층 영역(V)을 발생시킬 수 있다.By thus forming the guide passage 8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in the radial direction inwar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60 can be rapidly discharged through the guide passage 80 to generate a fast flow velocity, so that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region V can be generated near the inside of the guide passage 80.

따라서, 가이드 유로(80)상에서 발생된 진공 부압층 영역에 의해 필름(30)은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측으로 더욱 가깝게 당겨지면서 둥글게 말리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필름(30)을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측에 매우 근접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가이드 유로(80)의 홈의 깊이 정도에 따라 필름(30)을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인 두께 방향 내측으로 근접 또는 일정 간격지게 이동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lm 30 can be fixed in a rounded shape while being pulled clos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ide of the transfer section 100 by the region of the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generated on the guide passage 80, Can be fixed in a state very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section 100. [ That is, the film 30 can be moved close to o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transport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groove of the guide channel 80.

본 발명에서 필름(30)의 내면을 흡착시켜 고정시키는 필름 고정 흡착부(50)의 위치는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길이 방향 어느 쪽에 위치시켜서 형성하여도 상관은 없으나, 유속 발생부(60)상에서 토출되는 토출 공기의 방향과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속이 발생되는 부분과는 반대측에 위치시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ilm-fixed adsorption unit 50 for adsorbing and fix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lm 30 may be formed at any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transfer station 100,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flow velocity is generated.

30: 필름
40: 흡착홀
50: 흡착부
60: 유속 발생부
80: 가이드 유로
100: 필름 고정이송부
V: 진공 부압층 영역
30: Film
40: Adsorption hole
50:
60: flow velocity generator
80: Guide channel
100: Film fixing is sent
V: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region

Claims (9)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로서,
라벨 필름(30)을 감싸 이동시키는 통형의 필름 고정이송부(100)를 구비하고,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내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을 따라서 유속을 갖도록 토출시켜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상에 진공 부압층 영역(V)을 발생시키는 유속 발생부(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
1. A container label film adsorption fixing apparatus comprising:
And a cylindrical film transferring unit (100) for wrapping and moving the label film (30)
The film-fixed transferr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inside of the film-fixing transferring unit 100 to a part or all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ferring unit 100 so as to have a flow rat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And a flow velocity generating part (60) for generating a vacuum negative pressure layer area (V)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발생부(60)는,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내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m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unit (60) is an opening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transmitting unit (100) and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mitting unit Film adsorption fix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발생부(60)는 토출되는 압축 공기가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unit (60) is formed such that the compressed air to be discharged move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m fixing transfer unit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발생부(60)는,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둘레 방향 중 하부측 둘레 방향을 따라 반원 형태로 형성된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 필름 흡착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is an opening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long the low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fer section (10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상부측에 다수의 흡착홀(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필름 이송 흡착 고정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40)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상에 당해 외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흡착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필름 이송 흡착 고정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a suction part (5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transfer part (10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50)는, 상기 유속 발생부(60)의 공기 토출 방향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필름 이송 흡착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dsorption unit (5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flow rate generating unit (6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유속 발생부(60)의 공기 토출 방향 하류측에는, 상기 필름 고정이송부(100)의 외주면 두께 방향 내측으로 파인 홈 형상의 가이드 유로(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필름 흡착 고정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groove-shaped guide passage 80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low velocity generating section 6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m fixing diverting section 100 in the air discharging direction, Wherein the film holding device comprise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발생부(60)는, 필름 고정이송부(100) 상에 안착되는 필름(30)의 폭 중앙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필름 흡착 고정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low rate generating unit (60) is formed at a center position of the width of the film (30) on which the film fixing is mounted on the feeding unit (100).
KR1020140139973A 2014-10-16 2014-10-16 Apparatus for adsorption and fixing label film for container KR101645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73A KR101645530B1 (en) 2014-10-16 2014-10-16 Apparatus for adsorption and fixing label film for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73A KR101645530B1 (en) 2014-10-16 2014-10-16 Apparatus for adsorption and fixing label film for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04A true KR20160044904A (en) 2016-04-26
KR101645530B1 KR101645530B1 (en) 2016-08-05

Family

ID=5591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973A KR101645530B1 (en) 2014-10-16 2014-10-16 Apparatus for adsorption and fixing label film for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5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040B1 (en) * 2020-06-12 2020-12-14 선병순 Construction method of antibacterial film tube for handle and grip colum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9243A (en) * 1988-02-17 1989-08-23 Hiroshi Akashi Sheet fee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9243A (en) * 1988-02-17 1989-08-23 Hiroshi Akashi Sheet fee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040B1 (en) * 2020-06-12 2020-12-14 선병순 Construction method of antibacterial film tube for handle and grip colum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530B1 (en)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21614A (en) Bagging and packaging method and bagging and packaging machine
US20160068289A1 (en) Bag equipped with a gas channel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such a bag
JP2016533879A (en) Plant for manufacturing and printing container closures
KR101645530B1 (en) Apparatus for adsorption and fixing label film for container
KR201700747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resin material, and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US11203208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an body manufacturing system
JP2014028655A (en) Labelling machine, and method
JP2008044737A (en) Cylindrical label feed device
KR101523047B1 (en) Capping Apparatus and Capping Method for Tube
JP6430705B2 (en) Film fitting device
JP2013133205A (en) Object conveying device
KR101854317B1 (en) Pocket forming device and blister packaging machine
FI95558C (en) A method of transferring a closed sleeve at one end from a processing station to a conveying device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is method
KR10143064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adsorbing film
JP2012171624A (en) Labeling device
JP6847920B2 (en) Label fitting system
KR101617630B1 (en) Waxing device for silant tube and waxing method for the same
JP2006306585A (en) Article transfer device
JP20040590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object to be carried to conveyance drum
JP3612649B2 (en) Article holding and transporting device for overwrapping machine
JP2000296823A (en) Label expansion mechanism and label application device having label expansion mechanism
JP4306861B2 (en) Label mounting device
JP4306867B2 (en) Label mounting device
JP2012232750A5 (en)
JP2021017269A (en) Shrink packaging device and shrink packag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