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689A - 우편물 공동 접수함 - Google Patents

우편물 공동 접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689A
KR20160044689A KR1020140139230A KR20140139230A KR20160044689A KR 20160044689 A KR20160044689 A KR 20160044689A KR 1020140139230 A KR1020140139230 A KR 1020140139230A KR 20140139230 A KR20140139230 A KR 20140139230A KR 20160044689 A KR20160044689 A KR 20160044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ear member
rotation
mai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979B1 (ko
Inventor
정연관
김대영
허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텍
Priority to KR102014013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979B1/ko
Priority to EP15850745.9A priority patent/EP3207834A4/en
Priority to PCT/KR2015/010702 priority patent/WO2016060414A1/ko
Publication of KR2016004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20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 A47G29/22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having rotatable or reciproc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6Combinations with letter-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2Mail or newspaper receptacles, e.g. letter-boxes; Openings in doors or the like for delivering mail or newspapers
    • A47G29/12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devices for leaving me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2Mail or newspaper receptacles, e.g. letter-boxes; Openings in doors or the like for delivering mail or newspapers
    • A47G29/12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devices for leaving messages
    • A47G29/126Lids for access sl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물 공동 접수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편물 투입시 우편물이 파손되거나 제3자에 의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편물 공동 접수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우편물 공동 보관함은 일정 길이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평판 형태로 연장된 제1부재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부재와 일정 각도 이격된 상태에서 평판 형태로 연장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부재, 상기 도어부재의 회전축과 체결되어 있으며, 종단에 기어를 형성하고 있는 기어부재, 상기 기어부재와 기어 체결되어 있는 원형기어부재, 상기 원형기어부재의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도어부재의 제1부재로부터의 가압이 중단되면 상기 제1부재를 외부로 밀어내는 댐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우편물 공동 접수함{Mail box}
본 발명은 우편물 공동 접수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편물 투입시 우편물이 파손되거나 제3자에 의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편물 공동 접수함에 관한 것이다.
우편서비스는 국민 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국가의 대표적인 공공 서비스의 하나로서 어느 국가이든지 관공서 또는 공기업이 직접관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이메일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사회 전분야로의 확대 보급으로 인하여 개인이 발송하는 우편물보다는 단체나 기관에서 업무적으로 발송되는 우편물이 전체 우편 물량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동일한 성격의 우편물을 다수의 개인에게 발송하는 다량 우편물이 물량에서 그 점유 비중을 급속하게 확장시켜가고 있으며 전체 점유비중은 크지 않지만 개인의 경우에는 등기우편 등 우편물을 빠르고 안전하게 보낼 수 있는 특수 우편서비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우편 접수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은 낱개 단위의 우편물 접수를 위한 무인 우편 접수 시스템과 편지나 대봉투 크기의 우편물을 한꺼번에 다량으로 처리 가능한 프랭킹머신으로 대별할 수 있다.
무인 우편물 접수 시스템은 편지, 서류봉투, 소형 소포 등의 우편물들을 낱개로 접수하는 용도로서 개인 사용자들에 대한 24시간 우편접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장치에 투입한 낱개 우편물의 무게와 크기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한 행선지 정보와 우편서비스 종류 선택사항을 고려하여 우편요금을 계산하는 기능과 그에 따른 우편 요금 증지의 인쇄 출력기능, 특수 우편서비스인 경우 바코드 라벨의 인쇄 출력 기능, 우편물의 안전한 저장 기능 등 우편접수를 위한 기능과 유료 셀프 서비스 장비의 기본기능으로서 지폐, 동전, 카드에 의한 요금 수불 기능과 영수증 출력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무인으로 접수된 우편물은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 보관된다. 하지만, 종래 우편물 공동 보관함은 외부에서 우편물을 투입구에 투입하는 구조이므로 우편물의 중량이나 투입속도에 의해 우편물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우편물 투입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외부에서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 보관된 우편물을 꺼내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우편물이 도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9-0026376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1062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 우편물을 투입할 경우, 우편물의 중량이나 투입속도에 의해 우편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 보관된 우편물의 도난을 방지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우편물 공동 보관함은 일정 길이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평판 형태로 연장된 제1부재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부재와 일정 각도 이격된 상태에서 평판 형태로 연장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부재, 상기 도어부재의 회전축과 체결되어 있으며, 종단에 기어를 형성하고 있는 기어부재, 상기 기어부재와 기어 체결되어 있는 원형기어부재, 상기 원형기어부재의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도어부재의 제1부재로부터의 가압이 중단되면 상기 제1부재를 외부로 밀어내는 댐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이격된 제1부재와 제2부재로 구성된 도어부재를 이용하여 보관함 내부로 낙하하는 우편물의 낙하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우편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편물이 도어부재와 도난 방지 커버 사이에 끼이는 경우 구동 모터의 역회전시킴으로써 우편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투입구 상단에 형성된 도난 방지 커버를 이용하여 제3자가 보관함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우편물을 무단으로 수령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도어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도어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우편물 공동 보관함은 도어부재, 도어 닫힘 감지센서, 구동 모터, 기어부재, 안전센서, 도난 방지 커버 및 댐퍼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 포함될 수 있다.
도어부재(110)는 사각 형상의 제1부재(110-1)와 제1부재(110-1)의 일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제2부재(110-2)를 포함하며, 제1부재(110-1)와 제2부재(110-2) 사이의 각도는 90° 내지 180°이며, 바람직하게는 120°내지 150°가 된다. 즉, 도어부재(110)는 회전축(110-3)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부재(110-1)가 구성되며, 타측에는 제2부재(110-2)가 구성된다.
도 1은 평상시 즉, 도어부재(11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의하면, 도어부재(110)의 제1부재(110-1)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반면, 제2부재(110-2)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 내부에 인입되어 있다.
도어부재(110)의 일측에는 기어부재(130)가 결합되어 있다. 즉, 기어부재(130)의 구동에 의해 도어부재(110) 역시 구동된다.
기어부재(130)는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며, 종단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재(130)는 도어부재(110)를 구성하는 회전축(110-3)과 결합되어 있으며, 기어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10-3)이 회전한다. 또한 회전축(110-3)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를 구성하는 제1부재(110-1)와 제2부재(110-2) 역시 회전한다.
기어부재(130)는 원형 기어부재(125)와 연결되어 있다. 원형 기어부재(125)는 구동 모터(120)와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 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원형 기어부재(125)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재(130) 역시 회전한다.
안전센서(150)는 구동 모터(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산출한다. 즉, 안전센서(1500는 구동 모터(120)가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지 여부를 센싱하며, 센싱 결과에 따라 구동 모터(120)의 구동여부를 확인한다.
안전센서(150)로부터 구동 모터(120)가 회전하지 않는다고 인식(센싱)하게 되면 제어부(프로세서, 미도시)는 기어부재(130) 역시 회전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기어부재(130)가 회전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기어부재(1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 모터(120)를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구동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는, 소포가 도난 방지 커버(155)에 끼인 경우에 발생한다.
도어 닫힘 감지센서(115)는 도어부재가 닫혔을 때 제1부재(110-1)에 밀착된다. 즉, 도어부재(110)가 닫히게 되면, 이로 인해 제1부재(110-1)가 도어 닫힘 감지센서(115)를 가압한다. 이를 통해 도어 닫힘 감지센서(115)는 도어(또는 제1부재)가 닫혔음을 인식하게 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우편물 공동 보관함은 도난방지커버(155)를 포함한다. 도난 방지 커버(155)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3자가 보관되어 있는 우편물을 무단으로 수령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도난 방지 커버(155)는 우편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형성되면, 후방으로 일정 각도 연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난 방지 커버(155)는 투입구의 상단에서 후방 및 하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난 방지 커버(155)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3자가 보관되어 있는 우편물을 무단으로 수령하는 것을 방지한다.
댐퍼(160)는 도어 닫힘 감지센서(115)의 상단에 형성되며, 제1부재(110-1)를 열고 닫을 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댐퍼(160)는 제1부재(110-1)에 의해 가압되면, 제1부재(110-1)를 외부로 밀어낸다. 즉, 사용자가 도어부재(110)를 열기 위해 제1부재(110-1)를 가압하면, 제1부재(110-1)는 댐퍼(160)를 가압한다. 이 때 사용자가 가압을 중단하면, 댐퍼(160)는 제1부재(110-1)가 개방될 수 있도록 제1부재(110-1)를 밀어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부재가 개방된 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어부재(110)가 개방되기 위해서는 구동 모터(120)가 회전하며, 구동 모터(120)의 회전에 의해 원형 기어부재(125)가 회전한다. 원형 기어부재(125)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재(130)가 회전하며, 기어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를 구성하고 있는 회전축(110-3)이 회전한다.
회전축(110-3)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부재(110-1)와 제2부재(110-2) 역시 회전하며, 이를 통해 도어부재(110)가 개방된다. 도어부재(110)가 개방되면, 회전축(110-3)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30)가 도어 열림 감지센서(140)를 접촉하며, 이를 통해 도어부재(110)가 완전히 개방되었다고 판단한다.
도어부재(11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부재(1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부재(110-1) 상단에 우편물을 안착시키면 도어부재(110)는 닫힌다. 도어부재(110)는 도어부재(110)가 열린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닫힐 수 있으며,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 형성된 버턴을 조작함으로써 도어를 닫을 수 있다.
도어부재(110)의 닫힘 명령이 수신되면, 구동 모터(1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구동 모터(120)의 회전에 의해 원형 기어부재(125)가 회전한다. 원형 기어부재(125)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재(130)가 회전하며, 기어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를 구성하고 있는 회전축(110-3)이 회전한다.
회전축(110-3)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부재(110-1)와 제2부재(110-2) 역시 회전하며, 이를 통해 도어부재(110)가 닫히게 된다. 도어부재(110)가 닫히게 되면, 제1부재(110-1)가 도어 닫힘 감지센서(115)와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제어부는 도어부재(110)가 닫힌 상태임을 인지하게 된다.
부가하여 안전센서(150)는 구동 모터(120)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지 여부를 센싱하며,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지 않는다면, 우편물(또는 소포)이 도어부재(110)와 도난방지커버(155) 사이에 끼인 상태로 판단하여 구동 모터(12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센서(150)를 부가하며, 안전센서(150)를 이용하여 우편물이 도어부재(110)와 도난방지커버(155) 사이에 끼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부재(110)와 도난방지커버(155)에 의해 내부에 보관된 우편물을 제3자가 무단으로 수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어부재(110)의 제1부재(110-1) 상단에 우편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어부재(110)를 회전시키면 우편물이 제1부재(110-1)에서 제2부재(110-2)로 이동하며, 이후 내부로 수납된다. 이와 같이 우편물이 수납함 내부로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서 낙하하므로 우편물의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 모터와 원형 기어부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구동 모터(120)는 일측 종단에 기어를 형성하고 있으며, 구동 모터(120)의 회전에 의해 일측 종단에 형성된 기어가 회전한다.
원형 기어부재(125)는 제1원형 기어부재(125-1) 내지 제4원형 기어부재(125-4)로 구성되며, 제1원형 기어부재(125-1)과 제2원형 기어부재는 일체로 형성된다. 제1원형 기어부재(125-1)는 구동 모터(120)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려 있으며, 구동 모터(120)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제2원형 기어부재(125-2)는 제1원형 기어부재(12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원형 기어부재(125-1)의 하단에 형성된다. 제2원형 기어부재(125-2)는 제1 원형 기어부재(125-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제3원형 기어부재(125-3)는 제2원형 기어부재(125-2)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려 있으며, 제2원형 기어부재(125-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제4원형 기어부재(125-4) 역시 제2원형 기어부재(125-2)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려 있으며, 제2원형 기어부재(125-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기어부재(130)는 제3원형 기어부재(125-3) 또는 제4원형 기어부재(125-4)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려 있으며, 제3원형 기어부재(125-3) 또는 제4원형 기어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살펴보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초기 시점에서는 제3원형 기어부재(125-3)와 기어부재(130)가 기어로 체결되며, 이후 기어부재(130)는 제4원형 기어부재(125-4)와 기어로 체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300단계에서 도어부재의 개방을 지시한다.
S305단계에서 도어부재의 개방 지시에 따라 구동 모터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도어부재가 개방된다.
S310단계에서 도어부재가 개방되면, 도어부재의 제1부재 상단에 우편물을 안착시킨다.
S315단계에서 도어부재의 제1부재 상단에 우편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도어부재의 닫힘을 지시한다.
S320단계에서 도어부재의 닫힘 지시에 따라 구동 모터가 역회전하며, 이에 따라 도어부재가 닫히게 된다. 도어부재의 닫힘 여부를 닫힘 감지 센서에 제1부재가 감지되는 지 여부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의 역회전(도어가 닫히는 상태) 중 안전센서에 의해 도어부재가 회전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구동 모터의 역회전을 중단하고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지시한다. 물론 도어부재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구동 모터의 회전을 지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부재와 도난 방지 커버에 의해 내부에 보관된 우편물을 제3자가 무단으로 수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어부재의 제1부재 상단에 우편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어부재를 회전시키면 우편물이 제1부재에서 제2부재로 이동하며, 이후 내부로 수납된다. 이와 같이 우편물이 수납함 내부로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서 낙하하므로 우편물의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재가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 모터의 회전을 반대로 함으로써 우편물이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우편물 공동 보관함은 도어부재, 도어 닫힘 감지센서, 도어 열림 감지센서, 구동 모터, 기어부재, 안전센서, 도난 방지 커버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 포함될 수 있다.
도어부재(110)는 사각 형상의 제1부재(110-1)와 제1부재(110-1)의 일 모서리로부터 연장된 제2부재(110-2)를 포함하며, 제1부재(110-1)와 제2부재(110-2) 사이의 각도는 90ㅀ 내지 180ㅀ이며, 바람직하게는 120ㅀ 내지 150ㅀ가 된다. 즉, 도어부재(110)는 회전축(110-3)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부재(110-1)가 구성되며, 타측에는 제2부재(110-2)가 구성된다.
도 1은 평상시 즉, 도어부재(110)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의하면, 도어부재(110)의 제1부재(110-1)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반면, 제2부재(110-2)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 내부에 인입되어 있다.
도어부재(110)의 일측에는 기어부재(130)가 결합되어 있다. 즉, 기어부재(130)의 구동에 의해 도어부재(110) 역시 구동된다.
기어부재(130)는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며, 종단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재(130)는 도어부재(110)를 구성하는 회전축(110-3)과 결합되어 있으며, 기어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10-3)이 회전한다. 또한 회전축(110-3)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를 구성하는 제1부재(110-1)와 제2부재(110-2) 역시 회전한다.
기어부재(130)는 회전축(110-3)에 결합된 축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적어도 다수의 홈부(130-1)를 형성하고 있다. 즉, 도 1에 의하면, 기어부재(130)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홈부(130-1)를 형성하고 있다.
기어부재(130)는 원형 기어부재(125)와 연결되어 있다. 원형 기어부재(125)는 구동 모터(120)와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 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원형 기어부재(125)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재(130) 역시 회전한다.
안전센서(150)는 기어부재(130)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130-1)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즉, 안전센서(150)는 기어부재(130)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안전센서(150)의 기어부재(130)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130-1)가 일정한 간격으로 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홈부(130-1)는 기어부재(13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어부재(130)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안전센서(150)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홈부(130-1)를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홈부(130-1)만 인식되거나,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홈부(130-1)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 안전센서(150)가 이를센싱한다.
안전센서(150)가 상술한 정보를 인식하게 되면 제어부(프로세서, 미도시)는 기어부재(130)가 회전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기어부재(130)가 회전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기어부재(1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 모터(120)를 제어한다.
도어 닫힘 감지센서(115)는 도어부재가 닫혔을 때 제1부재(110-1)에 밀착된다. 즉, 도어부재(110)가 닫히게 되면, 이로 인해 제1부재(110-1)가 도어 닫힘 감지센서(115)를 가압한다. 이를 통해 도어 닫힘 감지센서(115)는 도어(또는 제1부재)가 닫혔음을 인식하게 된다.
회전부재(145)는 회전축(110-3)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회전축(110-3)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10-3)을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축(110-3)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가 완전히 개방되면, 회전부재(145) 역시 도어 열림 감지센서(140)를 접촉한다. 즉, 도어 열림 감지센서(150)는 회전부재(145)가 접촉되는 지 여부를 이용하여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회전부재(145)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회전하며, 타측에는 도어 열림 감지센서(140)가 부착되어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우편물 공동 보관함은 도난 방지 커버(155)를 포함한다. 도난 방지 커버(155)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3자가 보관되어 있는 우편물을 무단으로 수령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도난 방지 커버(155)는 우편물을 투입하는 투입구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형성되면, 후방으로 일정 각도 연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난 방지 커버(155)는 투입구의 상단에서 후방 및 하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난 방지 커버(155)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3자가 보관되어 있는 우편물을 무단으로 수령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어부재가 개방된 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어부재(110)가 개방되기 위해서는 구동 모터(120)가 회전하며, 구동 모터(120)의 회전에 의해 원형 기어부재(125)가 회전한다. 원형 기어부재(125)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재(130)가 회전하며, 기어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를 구성하고 있는 회전축(110-3)이 회전한다.
회전축(110-3)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부재(110-1)와 제2부재(110-2) 역시 회전하며, 이를 통해 도어부재(110)가 개방된다. 도어부재(110)가 개방되면, 회전축(110-3)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130)가 도어 열림 감지센서(140)를 접촉하며, 이를 통해 도어부재(110)가 완전히 개방되었다고 판단한다.
도어부재(11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부재(1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부재(110-1) 상단에 우편물을 안착시키면 도어부재(110)는 닫힌다. 도어부재(110)는 도어부재(110)가 열린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닫힐 수 있으며, 우편물 공동 보관함에 형성된 버턴을 조작함으로써 도어를 닫을 수 있다.
도어부재(110)의 닫힘 명령이 수신되면, 구동 모터(1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구동 모터(120)의 회전에 의해 원형 기어부재(125)가 회전한다. 원형 기어부재(125)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재(130)가 회전하며, 기어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를 구성하고 있는 회전축(110-3)이 회전한다.
회전축(110-3)의 회전에 의해 도어부재(1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부재(110-1)와 제2부재(110-2) 역시 회전하며, 이를 통해 도어부재(110)가 닫히게 된다. 도어부재(110)가 닫히게 되면, 제1부재(110-1)가 도어 닫힘 감지센서(115)와 접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제어부는 도어부재(110)가 닫힌 상태임을 인지하게 된다.
부가하여 안전센서(150)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홈부(130-1)가 인식되는지 판단하며, 일정 시간간격으로 홈부(130-1)가 인식되지 않으면, 우편물이 도어부재(110)와 도난방지커버(155) 사이에 끼인 상태로 판단하여 구동 모터(12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센서(150)를 부가하며, 안전센서(150)를 이용하여 우편물이 도어부재(110)와 도난방지커버(155) 사이에 끼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부재(110)와 도난방지커버(155)에 의해 내부에 보관된 우편물을 제3자가 무단으로 수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어부재(110)의 제1부재(110-1) 상단에 우편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어부재(110)를 회전시키면 우편물이 제1부재(110-1)에서 제2부재(110-2)로 이동하며, 이후 내부로 수납된다. 이와 같이 우편물이 수납함 내부로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서 낙하하므로 우편물의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 모터와 원형 기어부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구동 모터(120)는 일측 종단에 기어를 형성하고 있으며, 구동 모터(120)의 회전에 의해 일측 종단에 형성된 기어가 회전한다.
원형 기어부재(125)는 제1원형 기어부재(125-1)와 제2원형 기어부재(125-2)로 구성되며, 제1원형 기어부재(125-1)와 제2원형 기어부재(125-2)는 기어로 체결되어 있다. 구동 모터(120)에 형성된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1원형 기어부재(125-1)가 회전하며, 제1원형 기어부재(125-1)의 회전에 의해 제2원형 기어부재(125-2)가 회전한다.
제2원형 기어부재(125-2)는 기어부재(130)와 기어 체결되며, 제2원형 기어부재(125-2)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재(130)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120)의 구동력을 기어부재(130)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10: 도어부재 110-1: 제1부재
110-2: 제2부재 110-3: 회전축
115: 도어 닫힘 감지센서 120: 구동 모터
125: 원형 기어부재 130: 기어부재
140: 도어 열림 감지센서 145: 회전부재
150: 안전센서 160: 댐퍼

Claims (7)

  1. 일정 길이를 갖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평판 형태로 연장된 제1부재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부재와 일정 각도 이격된 상태에서 평판 형태로 연장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부재;
    상기 도어부재의 회전축과 체결되어 있으며, 종단에 기어를 형성하고 있는 기어부재;
    상기 기어부재와 기어 체결되어 있는 원형기어부재;
    상기 도어부재의 제1부재로부터의 가압이 중단되면 상기 제1부재를 외부로 밀어내는 댐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기어부재의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두 개의 홈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에 형성된 홈부를 센싱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중 상기 안전센서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홈부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 모터를 역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 상에 형성된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기어부재의 회전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해 타측에 형성된 열림 감지 센서를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제1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제1부재의 상단에 우편물이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
  7. 제 6항에 있어서, 도어부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단에는 도난 방지 커버가 형성되며,
    상기 도난 방지 커버는 평판 형태로 하단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1 구성;
    상기 제1 구성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제1 구성으로부터 설정된 각도로 꺽인 상태를 유지하는 제2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꺽인 강도는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공동 보관함.
KR1020140139230A 2014-10-15 2014-10-15 우편물 공동 접수함 KR101645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230A KR101645979B1 (ko) 2014-10-15 2014-10-15 우편물 공동 접수함
EP15850745.9A EP3207834A4 (en) 2014-10-15 2015-10-12 Public mail reception box
PCT/KR2015/010702 WO2016060414A1 (ko) 2014-10-15 2015-10-12 우편물 공동 접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230A KR101645979B1 (ko) 2014-10-15 2014-10-15 우편물 공동 접수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689A true KR20160044689A (ko) 2016-04-26
KR101645979B1 KR101645979B1 (ko) 2016-08-16

Family

ID=5574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230A KR101645979B1 (ko) 2014-10-15 2014-10-15 우편물 공동 접수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207834A4 (ko)
KR (1) KR101645979B1 (ko)
WO (1) WO20160604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226B1 (ko) * 2018-11-21 2020-02-21 이해곤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376A (ko) 1997-09-24 1999-04-15 전주범 자동우편물수취처리장치
KR100746258B1 (ko) * 2006-07-04 2007-08-03 윤문석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JP2009172249A (ja) * 2008-01-25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郵便受箱
KR20100011062U (ko) 2009-05-04 2010-11-12 임종규 개인용 무인 우편및하물 수납 장치
KR101091559B1 (ko) * 2010-03-04 2011-12-13 이기섭 집합건물용 우편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68391A (en) * 1936-01-02 1937-07-02 Frederick Pritchar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fes
GB491164A (en) * 1937-03-02 1938-08-29 George Edward Middleditch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aratus mounted in walls or the like for the purpose of receiving goods
GB2005533B (en) * 1977-07-20 1982-01-13 Dougal J Security transfer device
KR100187856B1 (ko) * 1996-05-14 1999-06-01 류정열 자동차 도어의 개폐유리 안전장치
JP4939913B2 (ja) * 2006-12-08 2012-05-30 良和 片柳 配達物不正取出防止具の取り付け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376A (ko) 1997-09-24 1999-04-15 전주범 자동우편물수취처리장치
KR100746258B1 (ko) * 2006-07-04 2007-08-03 윤문석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JP2009172249A (ja) * 2008-01-25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郵便受箱
KR20100011062U (ko) 2009-05-04 2010-11-12 임종규 개인용 무인 우편및하물 수납 장치
KR101091559B1 (ko) * 2010-03-04 2011-12-13 이기섭 집합건물용 우편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226B1 (ko) * 2018-11-21 2020-02-21 이해곤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7834A4 (en) 2017-11-01
WO2016060414A1 (ko) 2016-04-21
KR101645979B1 (ko) 2016-08-16
EP3207834A1 (en)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4754T3 (es) Maquinas bancarias automaticas.
US20090121010A1 (en) Depositing items of value
CN201060515Y (zh) 自助邮包机终端
CN102982585A (zh) 速运自助服务系统
CA2517722A1 (en)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deposit accepting system and method
CN106297069B (zh) 现金钞箱管理系统、现金钞箱管理方法
SE531959C2 (sv) En myntutmatningsanordning och en myntdeponerings- och utmatningsanordning
CN201126603Y (zh) 图书馆自助还书分拣机
CN101950442B (zh) 纸张类处理装置、自动交易装置
US20020011393A1 (en) Currency receiving device and method
CN105931364A (zh) 一种分体式票据发放设备及自助金融设备
JP2007219742A (ja) ロッカーシステム
CN203520523U (zh) 卷式发票自动售票机
CN101276493B (zh) 纸张类处理装置
KR101645979B1 (ko) 우편물 공동 접수함
CN101241623B (zh) 自动交易装置
RU26082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щения с носителя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носителей
EP2039437B1 (fr) Procédé de tri d'envois postaux à enveloppe RFID
CN204883923U (zh) 一种纸币处理机构
CN102289858A (zh) 纸币处理装置
CN101482990B (zh) 纸钞接收机的入口闸门装置
CN206711245U (zh) 一种面膜自动售卖机
CN202771554U (zh) 一种自动网络销售终端机
WO2001029774A3 (en) System for rapidly dispensing and adding value to fare cards
CN110766878A (zh) 一种实用的自助寄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