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258B1 -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 Google Patents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258B1
KR100746258B1 KR1020060062561A KR20060062561A KR100746258B1 KR 100746258 B1 KR100746258 B1 KR 100746258B1 KR 1020060062561 A KR1020060062561 A KR 1020060062561A KR 20060062561 A KR20060062561 A KR 20060062561A KR 100746258 B1 KR100746258 B1 KR 100746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lbox
damping
damper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문석
Original Assignee
윤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문석 filed Critical 윤문석
Priority to KR102006006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2Mail or newspaper receptacles, e.g. letter-boxes; Openings in doors or the like for delivering mail or newspapers
    • A47G29/12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devices for leaving messages
    • A47G29/126Lids for access sl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19Combined door holder and buffer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우편함 도어의 급속 닫힘시 완충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함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 및 공간부를 개방하도록 개구부에 설치되어 일단부 양측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측방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다. 도어의 일단 내측면과 도어의 인접하는 함체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와 대응하는 함체의 내측면에는 도어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는 함체의 공간부를 개방하도록 열리는 도어가 탄성을 통해 스스로 닫히게 되어 공간부의 폐쇄시 편리성이 향상되고, 탄성에 의한 도어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통한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소음 및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우편함, 도어, 댐핑구조

Description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DOOR DAMPING STRUCTURE FOR A MAIL-BOX}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댐핑구조를 구비한 우편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편함의 내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우편함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댐핑구조를 구비한 우편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댐핑구조를 구비한 우편함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우편함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함체 12,12A : 도어
14,14A : 투입구 16 : 걸림고리
18 : 탄성부재 20A,20B : 댐퍼케이스
22,26 : 완충부재 24,28 : 스프링
30 : 잠금부재
본 발명은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함체의 공간부를 개방하도록 열리는 도어가 스스로 닫힐 수 있고, 도어의 급속 닫힘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편함은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기타 건물 등에 설치되어 수신되는 우편물을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주택의 대문이나 각종 건축물, 아파트 입구측 복도의 적당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우편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102)가 형성되도록 전면이 개구되는 함체(100), 상부에 투입구(112)가 형성되어 함체의 공간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110) 및 도어(110)에 설치되는 잠금장치(1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우편함은 평상시에 도어(110)가 잠금장치(120)에 의해 잠금된 상태이므로 집배원이 투입구(112)를 통해 공간부(102) 내로 우편물을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우편물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도어(110)에 설치된 잠금장치(120)를 해제하고, 도어(110)에 외력을 가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려야 했다. 이때, 도어(11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도어(110)는 그 상단부 양측에 설치된 힌지(114)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열리게 되어 함체(100)의 공간부(102)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우편함은 사용자가 공간부를 개방하여 우편물을 수거한 상태에서 도어에 가해진 외력이 소멸하면, 도어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빠른 속도로 낙하하는 급속 닫힘이 현상이 발생하여 함체와 강하게 충돌하게 되고, 이에 의해 소음과 도어가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우편함의 공간부 내에 보관된 각종 우편물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도어에 설치된 잠금장치의 해제와 잠금이 수반되어야 했기 때문에, 우편물의 수거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수거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우편함 도어의 급속 닫힘시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소음 및 충격을 줄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우편함의 공간부 개방시에는 도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열 수 있고, 공간부의 폐쇄시에는 도어의 닫힘에 따른 잠금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 및 상기 공간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일단부 양측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측방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 우편함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단 내측면과 상기 도어와 인접하는 상기 함체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스스로 닫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댐핑수단은 내부에 유체가 구비되는 댐퍼케이스; 상기 도어의 타단 내측면과 접촉하는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체를 통해 상기 도어의 급속 닫힘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를 복원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핑수단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댐퍼케이스; 상기 도어의 타단 내측면과 접촉하는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급속 닫힘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스프링들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들은 비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타단면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도어의 닫힘시 서로 짝을 이루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부재가 구비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 및 상기 공간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단부 양측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 우편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상기 공간부의 폐쇄에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상기 도어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댐핑수단은,
내부에 유체가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댐퍼케이스; 상기 도어의 하단 내측면과 접촉하는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체를 통해 상기 도어의 급속 닫힘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를 복원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댐핑구조를 구비한 우편함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우편함의 내부를 나타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은, 내부에 공간부(10A)가 구비되고 전면에 개구부(10B)가 형성되는 함체(10), 함체(10)의 공간부(10A)를 개방하도록 개구부(10B)에 설치되는 도어(12), 및 도어 (12)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함체(10)는 내부에 각종 우편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부(10A)가 형성되도록 대략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개구부(10B)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12)는 개구부(10B)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어(12)의 양단 중 일단부 양측에 설치된 힌지(13)에 의해 개구부(10B)의 측방으로 회동되어 개폐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힌지(13)는 도면상에서 개구부(10B)에 설치된 도어(12)가 회동되는 측방, 예컨대 좌측에서 우측으로 열리도록 도어(12)의 양단 중 일단인 우측에 위치된다. 이때, 개구부(10B)는 하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구부(10B)의 상부에는 각종 우편물을 공간부(10A) 내로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14)가 형성된다.
즉 도어(12)는 개구부(10B)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12)가 개구부(10B)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에 개구부(10B)의 상부에는 투입구(14)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도어(12)의 일단 내측면과 도어(12)와 인접하는 함체(10)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18)가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18)는 도어(12)의 일단 내측면과 함체(10)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고리(16)에 양단이 걸림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8)는 공간부(10A)의 개방시 외력이 가해지는 도어(12)의 회동에 의해 신장되고, 도어(12)에 가해진 외력이 소멸되면, 도어(12)가 스스로 닫혀 공간부(10A)가 폐쇄되도록 수축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탄성부재(18)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댐핑수단은 공간부(10A)의 폐쇄에 따라 닫히는 도어(12)에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유체(21)가 구비되는 댐퍼케이스(20A), 댐퍼케이스(20A)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체(2)를 통해 도어(12)의 급속 닫힘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22) 및 완충부재(22)를 복원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24)을 포함한다.
이때, 완충부재(22)에는 도어(1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로드(22A)와 유체(21)를 이동시키기 위한 통기공(22B)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로드(22B)의 선단은 도어(12)의 타단 내측면과 접하도록 댐퍼케이스(20A)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완충부재(22)는 도어(12)의 급속 닫힘시 로드(22A)와 접하는 도어(12)에 의해 댐퍼케이스(20A) 내로 이동되면서 유체(21)를 통해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완충부재(22)는 도어(12)와의 접촉에 따른 소음 및 충격이 완화되도록 합성수지, 경질의 고무 등을 포함하는 비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24)은 완충부재(22)를 탄성 지지하도록 댐퍼케이스(20A)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프링(24)은 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12)가 닫히는 경우에 댐퍼케이스(20A) 내로 이동되는 완충부재(22)에 의해 수축되고, 도어(12)가 열려 탄성부재(18)의 탄성력이 소멸하는 경우에는 신장되는 탄성력에 의해 댐퍼케이스(20A) 내로 이동된 완충부재(22)를 복원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스프링(24)은 탄성부재(18)의 탄성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즉 스프링(24)의 탄성력이 탄성부재(18)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에 도어(12)는 원활하게 닫히지 않게 되므로 탄성부재(18)의 탄성력이 스프링(24)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스프링(24)은 탄성부재(18)의 탄성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와 도어(12)에는 도어(12)의 닫힘시 잠금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잠금부재(30)가 구비된다. 잠금부재(30)는 도어(12)의 타단면과 도어(12)의 타단면과 접하는 개구부(10B)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짝을 이루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잠금부재(30)는 도어(12)의 닫힘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18)에 의해 닫히는 도어(12)의 잠금력을 배가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잠금부재(30)는 자석, 볼스톱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잠금부재(30)는 도어(12)의 타단면에 N극이 배치되는 경우에 개구부(10B)의 내측면에는 S극이 배치되고, 도어(12)의 타단면에 S극이 배치되는 경우에 개구부(10B)의 내측면에는 N극이 배치되어 도어(12)의 닫힘시 서로 다른 극성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우편함은 평상시에 함체(10)의 공간부(10A)를 폐쇄하도록 개구부(10B)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개구부(10B)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14)를 통해 공간부(10A) 내로 우편물을 투입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함체(10)의 공간부(10A) 내에 보관된 우편물을 수거하려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에 외력을 가하여 함체(10)의 공간부(10A)를 개방하게 된다. 그러면, 도어(12)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힌지(13)를 중심으로 함체(10)의 전면 좌측에서 우측 방향, 즉 측방으로 회동되어 공간부(10A)가 개방되도록 열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편물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어(12)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재(30)는 도어(12)의 타단면과 개구부(10B)의 내측면에 서로 짝을 이루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12)의 측방 회동에 의해 결합상태가 분리되고, 도어(12)의 타단 내측면과 접촉되는 로드(22A)에 의해 댐퍼케이스(20A) 내로 밀려있던 완충부재(22)는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22A)의 선단이 도어(12)와 접촉되도록 댐퍼케이스(20A)의 외부로 노출되며, 도어(12)의 일단 내측면과 함체(10)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도어(12)의 열림시 스스로 닫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는 도어(12)의 회동에 의해 신장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함체(10)의 공간부(10A) 내에 보관된 우편물의 수거를 완료하여 도어(12)를 닫으려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에 가해진 외력을 소멸하면, 도어(12)는 탄성부재(18)의 수축되는 탄성력에 의해 공간부(10A)를 폐쇄하도록 힌지(13)를 중심으로 우측에서 좌측 방향, 즉 측방으로 급속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힌지(13)를 중심으로 급속 회동하는 도어(12)의 타단 내측면은 댐퍼케이스(20A)의 외부로 노출되는 완충부재(22)의 로드(22A) 선단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완충부재(22)는 비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어(12)와 접촉하는 로드(22A)가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12)와 로드(22A)가 접촉된 상태에서, 도어(12)는 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22A)를 댐퍼케이스(20A) 내로 밀면서 서서히 닫히게 된다.
즉 도어(12)가 열림시 스스로 닫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의 탄성력은 로드(22A)가 구비된 완충부재(22)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4)보다 크므로 도어(12)는 스프링(24)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로드(22A)를 댐퍼케이스(20A) 내로 밀게 되고, 로드(22A)에 의해 밀리는 완충부재(22)는 좁은 통기공(22B)을 통해 유체(21)가 천천히 이동되기 때문에 댐퍼케이스(20A) 내로 서서히 밀리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해 스스로 닫히도록 급속 회동하는 도어(12)는 로드(22A)와의 접촉 및 댐퍼케이스(20A) 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22)에 의해 서서히 닫히도록 완충되어 소음 및 충격이 줄어들게 된다.
이어서, 함체(10)의 공간부(10A)가 폐쇄되도록 도어(12)를 닫게 되면, 도어(12)의 타단면과 개구부(10B)의 내측면에 서로 짝을 이루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잠금부재(30)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잠금부재(3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자석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하므로 탄성부재(18)에 의한 도어(12)의 닫힘시 잠금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잠금부재(30)는 도어(12)의 닫힘시 자석의 서로 다른 극성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함체(10)의 공간부(10A) 내에 보관되는 각종 우편물 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도어(12)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댐핑구조를 구비한 우편함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은, 내부에 공간부(10A)가 구비되고 전면에 개구부(10B)가 형성되는 함체(10), 함체(10)의 공간부(10A)를 개방하도록 개구부(10B)에 설치되는 도어(12), 및 도어(12)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수단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은 제 1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의 구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즉 본 실시 예에서의 댐핑수단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댐퍼케이스(20B), 댐퍼케이스(20B)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부재(26) 및 완충부재(26)를 복원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28)을 포함한다.
이때, 완충부재(26)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로드(26A)가 구비된다. 로드(26A)의 선단은 도어(12)의 타단 내측면과 접하도록 댐퍼케이스(20B)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완충부재(26)는 도어(12)의 급속 닫힘시 로드(26A)와 접하는 도어(12)에 의해 댐퍼케이스(20B) 내로 이동되면서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완충부재(26)는 도어(12)와의 접촉에 따른 소음 및 충격이 완화되도록 합성수지, 경질의 고무 등을 포함하는 비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28)은 완충부재(26)를 탄성 지지하도록 댐퍼케이스(20B)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프링(28)은 탄성부재(18)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12)가 닫히는 경우에 댐퍼케이스(20B) 내로 이동되는 완충부재(26)에 의해 수축되고, 도어(12)가 열려 탄성부재(18)의 탄성력이 소멸하는 경우에는 신장되는 탄성력에 의해 댐퍼케이스(20B) 내로 이동된 완충부재(26)를 복원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스프링(28)은 탄성부재(18)의 탄성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즉 스프링(28)의 탄성력이 탄성부재(18)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에 도어(12)는 원활하게 닫히지 않게 되므로 탄성부재(18)의 탄성력이 스프링(28)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스프링(28)은 탄성부재(18)의 탄성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의 구조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은 제 1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함체의 측방으로 회동하여 열리는 도어(12)의 급속 닫힘시 함체(10)와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 함체(10)의 공간부(10A) 폐쇄에 따라 급속 회동하는 도어(12)가 스프링(28)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완충부재(26)의 로드(26A) 선단과 접촉되면서 완충되어 서서히 닫히게 되므로 소음 및 충격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댐핑구조를 구비한 우편함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은, 내부에 공간부(10A)가 구비되고 전면에 개구부(10B)가 형성되는 함체(10), 함체(10)의 공 간부(10A)를 개방하도록 개구부(10B)에 설치되는 도어(12A), 및 도어(12A)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수단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은 제 1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의 구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즉 본 실시 예에서, 함체(10)의 공간부(10A)를 개방하도록 개구부(10B)에 설치되는 도어(12A)는 개구부(10B) 전체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 양측에 설치된 힌지(13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개폐된다. 이때, 도어(12A)의 상단에는 각종 우편물을 공간부(10A) 내로 투입할 수 있는 장공형상의 투입구(14A)가 형성된다.
그리고 함체(10)의 공간부(10A) 폐쇄에 따라 힌지(13A)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도어(12A)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수단은, 공간부(10A)의 바닥면 중앙에 댐퍼케이스(20A)가 설치되고, 댐퍼케이스(20A)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부재(22)의 로드(22A) 선단은 도어(12A)의 하단 내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어(12A)의 닫힘시 잠금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잠금부재(30)는 도어(12A)의 하단면과 개구부(10B)의 바닥면에 서로 짝을 이루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의 구조 이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우편함은 제 1,2실시 예와는 달리 함체(10)의 상방으로 회동하여 열리는 도어(12A)의 급속 닫힘시 함체(10)와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 함체(10)의 공간부(10A) 폐쇄에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급속 회동하는 도어(12A)가 로드(22A)와의 접촉 및 댐퍼케이스(20A) 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22)에 의해 완충되어 서서히 닫히게 되므로 소음 및 충격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12A)의 닫힘시 도어(12A)의 하단면과 개구부(10B)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잠금부재(30)의 자력에 의한 결합을 통해 도어(12A)의 잠금력이 배가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한 제 3실시 예의 우편함에는 제 2실시 예의 댐핑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는 함체의 공간부를 개방하도록 열리는 도어가 스스로 닫힐 수 있고, 함체 내에 도어의 급속 닫힘을 방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함체의 공간부를 개방하도록 열리는 도어가 탄성에 의해 스스로 닫히도록 하여 공간부의 폐쇄시 편리성이 향상되고, 탄성에 의한 도어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통해 완충기능을 수행하여 소음 및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함체와 도어에 잠금부재를 구비하여 함체의 공간부 내에 보관되는 각종 우편물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도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도어의 닫힘에 따른 잠금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 및 상기 공간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일단부 양측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측방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 우편함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단 내측면과 상기 도어와 인접하는 상기 함체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스스로 닫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핑수단은,
    내부에 유체가 구비되는 댐퍼케이스;
    상기 도어의 타단 내측면과 접촉하는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체를 통해 상기 도어의 급속 닫힘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를 복원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핑수단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는 댐퍼케이스;
    상기 도어의 타단 내측면과 접촉하는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급속 닫힘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스프링들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비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타단면과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도어의 닫힘시 서로 짝을 이루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8.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함체 및 상기 공간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단부 양측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도어를 구비한 우편함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상기 공간부의 폐쇄에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상기 도어의 급속 닫힘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댐핑수단은,
    내부에 유체가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댐퍼케이스;
    상기 도어의 하단 내측면과 접촉하는 로드가 구비되어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체를 통해 상기 도어의 급속 닫힘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를 복원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댐퍼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단면과 상기 개구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도어의 닫힘시 자력에 의해 서로 짝을 이루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KR1020060062561A 2006-07-04 2006-07-04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KR100746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561A KR100746258B1 (ko) 2006-07-04 2006-07-04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561A KR100746258B1 (ko) 2006-07-04 2006-07-04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258B1 true KR100746258B1 (ko) 2007-08-03

Family

ID=3860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561A KR100746258B1 (ko) 2006-07-04 2006-07-04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2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917B1 (ko) * 2014-03-26 2015-07-03 신재혁 여닫이문의 급속닫힘 방지장치
WO2016060414A1 (ko) * 2014-10-15 2016-04-21 (주)웰텍 우편물 공동 접수함
WO2016163779A1 (ko) * 2015-04-10 2016-10-13 이병철 드론 배송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917B1 (ko) * 2014-03-26 2015-07-03 신재혁 여닫이문의 급속닫힘 방지장치
WO2016060414A1 (ko) * 2014-10-15 2016-04-21 (주)웰텍 우편물 공동 접수함
KR20160044689A (ko) * 2014-10-15 2016-04-26 주식회사 웰텍 우편물 공동 접수함
KR101645979B1 (ko) * 2014-10-15 2016-08-16 주식회사 웰텍 우편물 공동 접수함
EP3207834A4 (en) * 2014-10-15 2017-11-01 Welltec Co., Ltd Public mail reception box
WO2016163779A1 (ko) * 2015-04-10 2016-10-13 이병철 드론 배송함
KR20160121174A (ko) * 2015-04-10 2016-10-19 허영철 드론 배송함
KR101719477B1 (ko) * 2015-04-10 2017-03-24 허영철 드론 배송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258B1 (ko) 우편함의 도어 댐핑구조
KR102130928B1 (ko)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KR20110011128U (ko)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KR101496018B1 (ko) 도어레버
CN106283511A (zh) 一种洗衣机盖体开合结构及洗衣机
KR10108562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CA2611113C (en) Shock-actuated lock
KR101691864B1 (ko)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JP7089759B2 (ja) アームストッパー
JP6228815B2 (ja) 戸当り
CN208441682U (zh) 永磁体缓冲式房门缓冲触头
JP4261423B2 (ja) 戸当り
JP3533395B1 (ja) ロック装置付きクローザー
EP1684039A2 (en) Refrigerated cabinet with an apparatus for keeping the door ajar
JP4666534B2 (ja) 戸当り
KR102380803B1 (ko) 가구용 자동잠금장치
KR200212314Y1 (ko) 김치냉장고 개폐도어의 개폐완충구조
KR101679846B1 (ko) 선택적 고정이 가능한 여닫이문 고정 장치
CN1333148C (zh) 带减震器的耐震闩系统
CN220607627U (zh) 防砸防摔的文具盒
CN210842064U (zh) 具有封闭式储物功能的茶几
KR20140101533A (ko) 다기능 안전 도어레버
KR100923712B1 (ko) 사무용 장식장 잠금장치
KR101446574B1 (ko) 댐핑기능을 갖는 도어스톱퍼
KR102098308B1 (ko) 미닫이문 멈춤 댐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