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297A -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297A
KR20160044297A KR1020140139141A KR20140139141A KR20160044297A KR 20160044297 A KR20160044297 A KR 20160044297A KR 1020140139141 A KR1020140139141 A KR 1020140139141A KR 20140139141 A KR20140139141 A KR 20140139141A KR 20160044297 A KR20160044297 A KR 20160044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n state
led module
main body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000B1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4013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prismatic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한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로서, 상부 본체와 그 일측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하부 본체가 상호 간에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진촬영 대상인 피사체를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에 수납가능 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의 좌측 또는 우측 개방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옆 가림판; 및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엘이디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LIGHTING EQUIPMENT FOR PHOTOGRAPH SHOOTING WORK}
본 발명은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형 피사체에 대한 사진촬영이 필요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 손쉽게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를 설치하여 피사체를 직접 촬영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를 휴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반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 형태가 전통적인 구매 방식인 매장에서의 직접 구입에서 벗어나 온라인 주문 구입으로 바뀌어 구매 형태의 전이가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정적이었던 인터넷 판매의 유통망이 확대되고 그 채널이 다양해져서 많은 소비자들이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인터넷 쇼핑몰을 서핑하게 되었다. 이런 흐름에 신속하게 부응하는 온라인상의 제품 판매자들은 많은 제품들을 소비자들의 구미에 맞도록 사진촬영하여 인터넷 쇼핑몰에 등록하고 있다.
하지만,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제품의 촬영에는 스튜디오와 같이 조명 설비가 잘 갖춰진 촬영 환경과 고가의 촬영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에 소규모로 운영되는 쇼핑몰이나 개인 사업체의 경우 판매할 제품의 홍보를 위해서 사용자가 제품을 지참하고 촬영을 전문적으로 대행해주는 스튜디오에 방문하여 수수료를 내고 촬영의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촬영에 대한 시간과 비용의 측면에서 부담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사무실 등의 원하는 장소에서 조립식 사진 촬영대를 설치하여 필요시마다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니 스튜디오 형태의 사진 촬영대가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4780호(등록일자 2005.08.30)는 프레임파이프, 연결조인트 및 4면 일체형 배경막을 이용한 소형 물품용 조립식 사진 촬영대를 제안하였다.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손쉽게 원하는 곳에 사진 촬영대를 설치하여 소형 제품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조립 및 해체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과 조명 설비 자체를 일체로 제공해주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도 전문가용 디지털 카메라 못지않은 고화질의 촬영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스튜디오 촬영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 설비의 부재로 인해 스마트폰을 제품 촬영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여러가지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94780호 (등록일자 2005.08.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소형 피사체에 대한 사진촬영이 필요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 손쉽게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를 설치하여 피사체를 직접 촬영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를 휴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한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로서, 상부 본체와 그 일측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하부 본체가 상호 간에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진촬영 대상인 피사체를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에 수납가능 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의 좌측 또는 우측 개방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옆 가림판; 및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엘이디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엘이디 모듈은,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옆 가림판은, 상기 개방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 측의 폭이 좁고,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개방 측의 폭이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개방 상태를 이루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양 측면에 부착 또는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전면측 개방면을 커버하며, 소정 위치에 사진촬영용 홀이 형성된 앞 가림판;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앞 가림판의 양측 단부와 상기 옆 가림판의 전면 측 단부에는 상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엘이디 모듈은 복수의 엘이디 칩이 실장된 엘이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모듈의 전면 측에는 도광판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엘이디 모듈이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고정하며 테두리 측에 걸림 수단이 형성된 프레임 판을 더욱 구비하여, 상기 도광판이 상기 프레임 판의 걸림 수단에 의해 착탈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엘이디 모듈이 설치되는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는 열전도성 시트판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판은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프레임 판과 상기 열전도성 시트판을 통해 방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해 소정의 색상 또는 무늬를 갖는 배경을 제공하며,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상부 본체 또는 하부 본체의 내측면에 교체 가능한 형태로 착탈식 고정이 이뤄지는 배경시트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를 소형 스튜디오와 같이 사용 가능하므로, 전용 스튜디오를 대여하지 않아도 된다는 비용 절감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소형 피사체(제품)에 대한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엘이디 조명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촬영해도 조명의 불안정에 따른 영상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도광판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피사체의 표면 특성에 따라 도광판을 선택적으로 착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열전도성 소재를 이용한 방열 구성을 제공하므로, 엘이디 모듈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과도한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에 앞 가림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a는 (a) 도광판 및 (b) 도광판이 프레임 판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b) 도광판이 프레임 판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교체가능한 배경시트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소형 장난감을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배면 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엘이디 모듈에 관한 제어 블록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상부 본체(100a)와 그 일측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하부 본체(100b)가 상호 간에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진촬영 대상인 피사체를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100a) 및 하부 본체(100b)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에 수납가능 하도록 구성된 케이스(100)로 구성된다.
상기의 케이스(100)는 개방 상태시 상기 상부 본체(100a)와 상기 하부 본체(100b)로 나누어지며,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연결된다. 도 1과 도 2에서는 상기 케이스(100)를 개방한 상태이며, 사용자가 상기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를 구비하여 이동하거나 보관중인 상태에는 상기 케이스(100)가 폐쇄된 상태가 되며, 상기 상부 본체(100a)와 상기 하부 본체(100b)는 일체가 되어 폐쇄상태가 된다. 폐쇄상태(휴대 또는 보관용 상태)인 케이스(100)는 도 8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100a) 및 하부 본체(100b)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의 좌측 또는 우측 개방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옆 가림판(200) 및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100a) 및 하부 본체(100b)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엘이디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옆 가림판(200)은 엘이디 조명이 측면을 통해 외부로 새어 나가거나 주변의 원하지 않는 빛이 조명기기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본체(100b)와 상부 본체(100a)가 소정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 수단의 역할도 한다.
상기 엘이디 모듈(300)은 상기 케이스(100)가 개방 상태 시 내부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를 조사해 주는 다수의 엘이디 칩(304), 상기 다수의 엘이디 칩(304)이 실장되는 엘이디 기판(302) 및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309)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엘이디 기판(302)에 제공하는 제어부(30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엘이디 기판(302)은 상기 상부 본체(100a)의 전단부 내측 및/또는 하부 본체(100b)의 전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위치한 피사체 측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엘이디 기판(302)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형 구성도 가능하다.
제어부(308)에는 엘이디 기판(302)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여 조명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수단(306, 엘이디 스위치)이 구비된다. 제어부(308)는 복수의 엘이디 기판(302)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09)는 외부의 교류 전원을 정류 공급하도록 구성되거나, 내부에 배터리를 수납하여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엘이디 조명 제어에 관한 다수 공지 기술이 참조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엘이디 모듈에 관한 제어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엘이디 모듈(300)은, 상기 상부 본체(100a) 및 하부 본체(1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 설치 가능하다. 도 2 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엘이디 모듈(300)은 상기 상부 본체(100a)에 설치되어 내측에 위치할 피사체에 광원을 조사할 수도 있고 하부 본체(100b)에 설치되어 상기 피사체를 조사할 수도 있다. 세부적인 설치 구조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옆 가림판(200)은, 상기 개방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본체(100a) 및 하부 본체(100b)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 측의 폭이 좁고, 상기 상부 본체(100a) 및 하부 본체(100b)의 개방 측의 폭이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개방 상태를 이루는 상부 본체(100a)와 하부 본체(100b)의 양 측면에 부착 또는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삽입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예시되었다.
상기 옆 가림판(200)은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조명기기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케이스(100)를 폐쇄상태로 만드는 경우, 양측에 고정 설치하였던 좌우측 옆 가림판(200)을 상기 하부 본체(100b)로부터 분리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에 앞 가림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100a) 및 하부 본체(100b)의 전면측 개방면을 커버하며, 소정 위치에 사진촬영용 홀(402)이 형성된 앞 가림판(40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앞 가림판(400)은 사용자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개방 상태 시에 상기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전면부 측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가림 수단이다. 사용자는 상기 앞 가림판(400)에 있는 사진촬영용 홀(402)에 스마트폰이나 카메라 등 촬영수단의 렌즈부 만을 삽입하거나 근접시켜 내부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앞 가림판(400)을 사용함으로써, 촬영시 상기 피사체에 촬영 수단이나 촬영자, 주변 배경이 반사되어 촬영 영상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앞 가림판(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옆 가림판(200)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분할 설치되는 것이 좋다. 앞 가림판(400)의 세부적인 구현 형상은 옆가림판(200)의 형상이나 조명기기의 크기, 구조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앞 가림판(400)과 옆 가림판(200)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판재(예, 목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유연한 소재(예, 섬유재 등)로 구성되어 별도의 지지부재(예, 봉형 부재)를 이용하여 부채와 같이 펼침 및 접힘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상기 앞 가림판(400)의 양측 단부와 상기 옆 가림판(200)의 전면 측 단부에는 상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착수단(202)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앞 가림판(40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부착수단(404)은 상기 옆 가림판(200)의 부착수단(202)에 고정하여 사용가능하다. 일예로, 상기 앞 가림판(400)의 부착수단(404)과 상기 옆 가림판(200)의 부착수단(202)은, 벨크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뤄진 암 벨크로부와 수 벨크로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스냅이나 걸고리 등 다양한 공지의 부착 또는 결합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는 (a) 도광판 및 (b) 도광판이 프레임 판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여 도광판(5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엘이디 모듈(300)은 복수의 엘이디 칩(304)이 실장된 엘이디 기판(302)을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모듈(300)의 전면 측에는 도광판(500)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도광판은, 투명한 아크릴을 이용해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조사되는 전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의 도광판(50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재의 유연한 판재 형태로 마련되어, 엘이디 칩의 빛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주게 된다.
본 실시예예 있어서, 상기 도광판(500)은 빛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특히 피사체가 빛의 반사도가 높은 표면(예, 번들거리는 표면)을 갖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번들거리는 유광소재의 피사체의 경우, 복수의 엘이디칩을 이용하여 직사광을 그대로 조사하게 되면, 개별 엘이디칩의 점광원이 피사체 표면에 그대로 반사되어 촬영 영상에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도광판(50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도광판(500)을 사용하는 경우, 엘이디 광원이 도광판(500)을 통과시에 점광원이 아닌 면광원의 형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피사체 표면에 불필요한 반사 형상을 방지하여 선명한 촬영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유광소재가 아닌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는 도광판(500)을 제거하고 촬영을 하여, 더욱 밝은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a 의 하단부의 (b)는 도광판(500)이 프레임 판(60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 측 사시도이다.
상기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상기 엘이디 모듈(300)이 상기 상부 본체(100a) 및 하부 본체(1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고정하며 테두리 측에 걸림 수단(600')이 형성된 프레임 판(600)을 더욱 구비하여, 상기 도광판(500)이 상기 프레임 판(600)의 걸림 수단(600')에 의해 착탈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
상기 프레임 판(600)은 주석이나 함석 등으로 열 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판(600)의 상하 양단에는 상기 도광판(500)을 만곡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걸림 수단(600')이 구비된다. 프레임 판(600)에 형성되는 걸림 수단(600')의 세부 형상은, 바람직한 일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의 단부를 절곡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도광판(500)의 안정적인 고정 및 용이한 착탈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b는 도 5a의 (b) 도광판이 프레임 판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상기 엘이디 모듈(300)이 설치되는 상기 상부 본체(100a) 및 하부 본체(10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는 열전도성 시트판(700)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판(600)은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300)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프레임 판(600)과 상기 열전도성 시트판(700)을 통해 방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단면 구조의 일예를 볼 수 있다. 가장 하부에 이루어져 있는 본체판(900)은 상기 케이스(100)를 이루는 판재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판재는 예를 들어, 목재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판(900) 윗단에 상기 열전도성 시트판(700, 얇은 알루미늄판 또는 호일)이 접착 또는 부착식으로 구비되고, 그 윗단에 상기 프레임 판(600)이 접착 또는 부착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은 순차적으로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일예로, 엘이디 기판(302)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프레임 판(600)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열은 다시 상기 열전도성 시트판(700)으로 전달되어, 자연스럽게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면 전체로 열이 분산되어 외부로 방열 가능하다.
도 6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교체가능한 배경시트지(8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는, 상기 상부 본체(100a) 및 하부 본체(100b)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해 소정의 색상 또는 무늬를 갖는 배경을 제공하며, 고정 수단(802)을 통해 상기 상부 본체(100a) 또는 하부 본체(100b)의 내측면에 교체 가능한 형태로 착탈식 고정이 이뤄지는 배경시트지(8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 좌측의 (a)는 일반적인 재질의 백지종이를 나타낸 것이고, 중앙의 (b)는 유색지(예, 하늘색, 초록색 등)나 필름 시트지를 나타내며, 우측의 (c)는 배경으로 무늬가 필요한 촬영의 경우 종이나 필름 시트지에 인쇄된 무늬를 나타낸다.
상기 배경시트지(800)는 종이 또는 필름 시트지로 구성 가능하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배경시트지(800)를 고정 수단(802, 예, 고정용 볼트)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소형 장난감을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상기 사진촬영용 조명기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100a)와 상기 하부 본체(100b)에 설치된 엘이디 조명을 이용하여 소형의 장난감을 촬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용 조명기기의 폐쇄상태(이동 또는 보관 상태)를 나타낸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102)를 구비한 폐쇄 상태의 상기 케이스(100)를 간편하게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고, 미사용인 경우에는 좁은 공간에도 보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 케이스
100a: 상부 본체
100b: 하부 본체
102: 손잡이
200: 옆 가림판
202: 부착수단
300: 엘이디 모듈
302: 엘이디 기판
304: 엘이디 칩
306: 엘이디 스위치
308: 제어부
400: 앞 가림판
402: 홀
404: 부착수단
500: 도광판
600: 프레임 판
600': 걸림 수단
700: 열전도성 시트판
800: 배경시트지
802: 고정 수단
900: 본체판

Claims (9)

  1. 휴대가 가능한 사진촬영용 조명기기로서,
    상부 본체와 그 일측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하부 본체가 상호 간에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진촬영 대상인 피사체를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에 수납가능 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의 좌측 또는 우측 개방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옆 가림판; 및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엘이디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모듈은,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옆 가림판은, 상기 개방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 측의 폭이 좁고,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개방 측의 폭이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개방 상태를 이루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양 측면에 부착 또는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전면측 개방면을 커버하며, 소정 위치에 사진촬영용 홀이 형성된 앞 가림판;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앞 가림판의 양측 단부와 상기 옆 가림판의 전면 측 단부에는 상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모듈은 복수의 엘이디 칩이 실장된 엘이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모듈의 전면 측에는 도광판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모듈이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고정하며 테두리 측에 걸림 수단이 형성된 프레임 판을 더욱 구비하여,
    상기 도광판이 상기 프레임 판의 걸림 수단에 의해 착탈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모듈이 설치되는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는 열전도성 시트판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판은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프레임 판과 상기 열전도성 시트판을 통해 방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내측면이 이루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해 소정의 색상 또는 무늬를 갖는 배경을 제공하며,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상부 본체 또는 하부 본체의 내측면에 교체 가능한 형태로 착탈식 고정이 이뤄지는 배경시트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KR1020140139141A 2014-10-15 2014-10-15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KR10163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141A KR101632000B1 (ko) 2014-10-15 2014-10-15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141A KR101632000B1 (ko) 2014-10-15 2014-10-15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297A true KR20160044297A (ko) 2016-04-25
KR101632000B1 KR101632000B1 (ko) 2016-06-20

Family

ID=5591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141A KR101632000B1 (ko) 2014-10-15 2014-10-15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330A1 (en) * 2016-06-29 2018-01-04 Exabytes Network Sdn Bhd Lighting fix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2080A (ja) * 1989-10-27 1991-06-17 Sumitomo Metal Ind Ltd クラッド鋼素材の組立て方法
JPH08146498A (ja) * 1994-09-21 1996-06-07 S & T Studio:Kk 小型スタジオ装置
KR200394780Y1 (ko) 2005-04-15 2005-09-07 (주) 유쾌한생각 소형 물품용 조립식 사진 촬영대
KR101118917B1 (ko) * 2011-11-17 2012-02-27 정기석 엘이디 조명 및 백라이트 유닛용 광원장치
KR20120059041A (ko) * 2010-11-30 2012-06-08 권영현 방열구조를 갖는 다용도 엘이디등기구용 조명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조명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080B2 (ja) 1992-03-19 2001-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体光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2080A (ja) * 1989-10-27 1991-06-17 Sumitomo Metal Ind Ltd クラッド鋼素材の組立て方法
JPH08146498A (ja) * 1994-09-21 1996-06-07 S & T Studio:Kk 小型スタジオ装置
KR200394780Y1 (ko) 2005-04-15 2005-09-07 (주) 유쾌한생각 소형 물품용 조립식 사진 촬영대
KR20120059041A (ko) * 2010-11-30 2012-06-08 권영현 방열구조를 갖는 다용도 엘이디등기구용 조명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조명
KR101118917B1 (ko) * 2011-11-17 2012-02-27 정기석 엘이디 조명 및 백라이트 유닛용 광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330A1 (en) * 2016-06-29 2018-01-04 Exabytes Network Sdn Bhd Lighting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000B1 (ko)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12174A1 (en) Illumination device
US7396148B1 (en) Foldable lighting system
US94620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ing consumer products
US9360737B2 (en) Collapsible light box
US20080166111A1 (en) Back Light Screen for Chroma-Key Photography
US774815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50005494A1 (en) Combination display frame
JP6588451B2 (ja) 照明装置
US7418197B2 (en) Back light screen for chroma-key photography
US10082725B1 (en) Universal optical lighting accessory for mobile phone devices with backside camera and flash
CA2681065A1 (en) Photo booth and improvements thereto
US10564519B2 (en) Optical lighting accessory for mobile phone devices with camera and flash
KR101632000B1 (ko) 사진촬영용 조명기기
KR20170003766A (ko)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685140B1 (ko) 광고형 조명거울
US20080232115A1 (en) Foldable lighting system
KR20170019028A (ko)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CN215117119U (zh) 一种新型照相装置
JP2009156912A (ja) 携帯電子機器
CN220408748U (zh) 一种拍照机器人
KR102571516B1 (ko)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보정한 후 감열지로 즉석 출력이 가능한 포토박스
WO2018070223A1 (ja) 携帯広告具
JP3422633B2 (ja) 箱形の簡易撮影装置
CN209845069U (zh) 一种镜面照相及打印一体机
CN216310504U (zh) 一种照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