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766A -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766A
KR20170003766A KR1020150092828A KR20150092828A KR20170003766A KR 20170003766 A KR20170003766 A KR 20170003766A KR 1020150092828 A KR1020150092828 A KR 1020150092828A KR 20150092828 A KR20150092828 A KR 20150092828A KR 20170003766 A KR20170003766 A KR 20170003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portable terminal
terminal
diffus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구
하현탁
Original Assignee
(주)씨에이치앤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이치앤제이 filed Critical (주)씨에이치앤제이
Priority to KR102015009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766A/ko
Publication of KR2017000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5)을 갖춘 단말기 본체(2)에 형성되어 물체의 모습을 비추는 미러부(10); 상기 단말기 본체(2)에 설치되어 광원(5)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산시트(23)가 구비된 조절기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 미러부와 광원의 조명을 확산시켜 부드러운 광이 나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산시트가 구비된 조절기구를 설치해 줌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광원을 부드러운 보조광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형성된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카(셀프카메라)를 찍을 수 있기 때문에 해상도가 우수한 사진을 획득할 수 있으며, 특히 부드러운 광을 통해 낯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눈부심 없이 미러부를 통해 사진촬영 및 외모를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Mobile phone}
본 발명은 주변환경에 상관없이 사진촬영은 물론 특히 어두운 곳에서도 사진촬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눈부심 없이 외모를 관리할 수 있는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을 비롯하여 태블릿PC와 같이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고성능의 통신기술은 물론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각종 악세사리 또는 기타장식물 등을 장착함으로써 각자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다.
한편,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외출중에 화장을 하거나, 화장을 고칠 때를 대비하여 휴대용 거울을 휴대하였으며, 이러한 거울은 보통 여성들이 들고다니는 핸드백 속에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 시 꺼내서 사용한다.
최근에는 남성들도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휴대용 거울을 휴대하여 수시도 외모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많아 졌는데, 이러한 휴대용 거울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가방 또는 핸드백 속을 뒤적이며 찾아서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거울을 사용한 후에 제자리에 놓지 않았을 경우, 거울 분실할 수 있는 위험이 있고, 거울을 분실함에 따라서 거울이 필요할 때에는 이를 찾거나, 새로운 휴대용 거울을 다시 구매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할애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2008-0098759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반사층, 카멜레온도료층 및 보호막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된 경면이 휴대폰의 표면에 형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사용자들이 셀카(셀프카메라)를 찍을 때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찍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화소가 다소 떨어지는 전면카메라를 사용함에 따라 만족할 만한 사진을 획득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소비자들의 요구조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의 제조사들은 카메라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경쟁이 과열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비용상승에 따른 판매단가가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명이 없는 어두운 장소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으며, 특히 조명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광원을 이용할 경우 강한 빛으로 인해 사용자가 거울을 볼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2008-0098759호(거울기능을 갖는 휴대폰과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2008.11.12)
본 발명은 셀카촬영시 고해상도의 후면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어 고해상도의 만족할 만한 사진을 획득할 수 있으면서도 백라이트의 부드러운 광을 이용하여 낯뿐만 아니라 어두운 곳에서도 사진촬영은 물론 눈부심 없이 외모를 관리할 수 있는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원을 갖춘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어 물체의 모습을 비추는 미러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광원을 선택적으로 가려 광원의 불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산시트가 구비된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는 축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부가 단말기 본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광원의 불빛이 투과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투과공이 형성된 휠과;
상기 휠의 투과공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확산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단말기 보호케이스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광원과 미러부는 단말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단말기 보호케이스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에 형성되어 조명을 발산하는 백라이트유닛;
상기 백라이트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차단 및 연결하는 스위치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단자가 구비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원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보호커버;
상기 보호커버에 형성되는 미러부;
상기 보호커버에 설치되어 광원을 선택적으로 가려 광원의 불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산시트가 구비된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부가 보호커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광원의 불빛이 투과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투과공이 형성된 휠과;
상기 휠의 투과공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확산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 미러부와 광원의 조명을 확산시켜 부드러운 광이 나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산시트가 구비된 조절기구를 설치해 줌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광원을 부드러운 보조광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형성된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카(셀프카메라)를 찍을 수 있기 때문에 해상도가 우수한 사진을 획득할 수 있으며, 특히 부드러운 광을 통해 낯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눈부심 없이 미러부를 통해 사진촬영 및 외모를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환경에 따라 조절기구를 이용하여 광원을 손전등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촬영시 부드러운 조명의 보조광으로 이용할 수 있어 취사선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취급이 상당히 편리하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광원과 백라이트유닛을 함께 보조광으로 사용하게 되면 얼굴 전반에 걸쳐 풍부한 광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셀카 촬영시 얼굴에 그늘이 생기는 문제를 해소해 양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조절기구를 발췌하여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를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조절기구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조절기구를 발췌하여 요부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조절기구를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는, 미러부(10)와 조절기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조절기구(20)를 매개로 단말기 본체(2)에 형성된 광원(5)의 밝기를 조절해 보조광으로 이용할 수 있어 어두운 장소에서도 눈부심 없이 미러부(10)를 통해 사진촬영(셀카) 및 외모를 관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광원(5)을 플래시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취사선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당히 편리하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휴대폰(스마트폰), 태블릿PC, PMP와 같은 소형 전자제품을 의미하며, 이 중에서도 휴대폰(스마트폰)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지의 휴대폰(스마트폰)으로, 단말기 본체(2)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3)가 배치되고, 배면 상단부에는 카메라(4) 및 광원(5)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단말기 본체(2)의 내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는 조절기구(20)가 안착되는 조절기구안착홈(2a)이 형성되고, 이 조절기구안착홈(2a)에는 둘레면에 복수의 걸림홈(2b-1)이 형성된 축(2b)이 일체로 형성되며, 축(2b)을 기준으로 단말기 본체(2)의 우측테두리에는 절개부(2c)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2c)를 통해 조절기구(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미러부(10)는 물체(사물)의 모습을 비추어 주는 거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단말기 본체(2)의 외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미러부(10)를 통해 외모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 예로서, 상기 미러부(10)는 일반적인 유리거울을 적용할 수도 있고, 단말기 본체(2)의 일면을 광택 내 형성할 수도 있고, 화학처리를 통해 거울과 같이 형성할 수도 있고, 버프(buff) 처리된 금속판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사물이 비치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방식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기구(20)는 휠(21)과 한 쌍의 탄성편(22) 및 확산시트(2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단말기 본체(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5)에 조명을 확산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단말기 본체(2)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5)에 조명을 확산시켜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휠(21)은 중앙이 관통된 원판으로서, 중앙의 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투과공(2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투과공(21a)을 통해 광원(5)의 불빛이 통과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휠(21)에 투과공(21a)을 4개 형성해 주었고,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투과공(21a)에는 각기 다른 두께를 갖는 확산시트(23)를 설치하여 광원(5)의 밝기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투과공(21a)들 중 하나에는 확산시트(23)가 설치되지 않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필요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5)이 플래시로 이용되기 때문이며, 확산시트(23)가 있으면 빛이 약해 플래시로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휠(21)의 중앙홀에는 띠 형상의 탄성편(22)이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편(22)의 일단 내주면에는 삼각형상의 걸림턱(2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휠(21)은 탄성편(22)을 매개로 조절기구안착홈(2a)에 형성된 축(2b)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특히,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21)을 강제로 돌리기 전까지는 축(2b)의 걸림홈(2b-1)에 탄성편(22)의 걸림턱(22a)이 삽입되어 있어 회전이 제한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휠(21)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21)을 축(2b)을 중심으로 돌리게 되면, 휠(21)의 탄성편(22)이 벌어지면서 걸림턱(22a)이 걸림홈(2b-1)으로부터 이탈되어 축(2b)의 다른 걸림홈(2b-1)에 걸림턱(22a)이 걸리게 되면서 휠(21)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휠(21)이 회전함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확산시트(23) 역시 함께 회전되어 광원(5) 상에 배치됨으로써 광원(5)의 밝기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단말기 본체(2)의 외부로 노출되는 휠(21)의 일면에 각 단계별 숫자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한편, 상기 확산시트(23)는 셀로판지와 같이 색을 갖춘 것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색을 확산시트(23)를 적용할 경우 카메라 촬영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상당히 편리하다.
상기 확산시트(23)의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확산시트로서,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도록 하며,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8524호에 개시된 확산시트가 적용될 수 있고, 이 밖에도 확산시트(2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실시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조절기구(20)의 경우 회전방식으로 확산시트(23)를 전환하는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확산시트(23)를 전환할 수 있는 구조, 방법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실시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에 미러부(10)와 광원(5)의 조명을 확산시켜 부드러운 광이 나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산시트(23)가 구비된 조절기구(20)를 설치해 줌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광원을 부드러운 보조광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고해상도 카메라(디스플레이의 반대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카(셀프카메라)를 찍을 수 있기 때문에 해상도가 우수한 사진을 획득할 수 있으며, 특히 부드러운 광을 통해 어두운 곳에서도 눈부심 없이 미러부(10)를 통해 외모를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환경에 따라 조절기구(20)를 이용하여 광원(5)을 손전등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촬영시 부드러운 조명의 보조광으로 이용할 수 있어 취사선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취급이 상당히 편리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1)는 단말기 본체(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케이스(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30)는 단말기 본체(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일 예로서, 단말기 본체(2)와 보호케이스(30)가 서로 맞대어지는 면에 각각 자석/철편 또는 접착제를 설치하여 자력 또는 접착력을 매개로 상호 결합할 수도 있고, 보호케이스(30)의 일면 가장자리를 단말기 본체(2)의 두께에 상응하게 돌출시켜 돌출된 테두리를 매개로 단말기 본체(2)에 보호케이스(30)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방식은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카메라(4), 광원(5), 미러부(10)는 보호케이스(3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케이스(30)는 케이스 본체(31)와 백라이트유닛(32), 배터리(33), 회로기판(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31)는 바디(31a)와 커버(31b)로 분할형성되어 일체형으로 조립된 것으로서, 내부에 설치되는 백라이트유닛(32), 배터리(33), 회로기판(34)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31)의 상단부에는 바디(31a)와 커버(31b)를 관통하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휴대용 단말기(1)의 카메라(4;도 2 참조)가 수용되는 구멍이고, 다른 하나는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5)에 불빛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31)의 중간부에는 단말기 본체(2)에 형성된 미러부(10)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31)를 구성하는 바디(31a)의 하단부에는 배터리(33)가 안착되는 배터리안착홈(31a-1)이 형성되며, 배터리안착홈(31a-1)의 주변으로 백라이트유닛(32)과 회로기판(34)을 거치할 수 있는 복수의 거치대(31a-2)가 일체로 형성되며, 배터리안착홈(31a-1)의 아래, 즉 바디(31a)의 하단에는 회로기판(34)의 ON/OFF 스위치(34a)와 배터리충전을 위한 단자(34b)가 노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케이스 본체(31)에 내설된 백라이트유닛(32)은 커버(31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백라이트유닛(32)은 케이스 본체(31)에 설치되어 배터리(3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을 발산하는 공지의 장치이다.
일 예로서, 상기 백라이트유닛(32)은 케이스 본체(31)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거치대(31a-2) 상에 얹혀지며 일면이 케이스 본체(31)의 커버(31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31)에는 경사면(31b-1)이 형성되며, 이 경사면(31b-1)에 백라이트유닛(32)이 형성되어 조명을 상부방향(경사면의 수직방향)으로 발산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31)의 수직면에 백라이트유닛(32)을 설치한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32)의 불빛을 사용자의 얼굴에 비추게 되면, 불빛이 수평하게 조사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을 전체적으로 비추지 못하고 특정 영역(예를 들면, 하관)만 비추게 되므로 백라이트유닛(32)을 얼굴로부터 멀리 이격시켜야만 얼굴을 전체적으로 비춰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러부(10)는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게 되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미러부(10)를 통한 식별이 어려워 외모관리가 쉽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이에 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31)의 하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 경사진 부분의 경사면(31b-1)에 백라이트유닛(32)을 설치해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32)을 켜게 되면, 백라이트유닛(32)의 불빛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발산(조사)되므로 백라이트유닛(32)을 수직면에 설치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얼굴을 전체적으로 비춰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얼굴로부터 미러부(10)를 멀리 이격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카메라촬영은 물론 외모관리가 훨씬 더 수월하고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5)과 백라이트유닛(32)을 함께 보조광으로 사용하게 되면 얼굴 전반에 걸쳐 풍부한 광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셀카 촬영시 얼굴에 그늘이 생기는 문제를 해소해 양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백라이트유닛(32)의 경우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조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33)는 케이스 본체(31)에 설치되어 백라이트유닛(32)으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배터리(33)는 건전지, 수은전지, 충전지 등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것이라도 적용실시가능하다.
일 예로서, 상기 배터리(33)는 백라이트유닛(32)을 사용할 때에만 케이스 본체(31)에 설치해 주었다가, 필요가 없을 때에는 케이스 본체(31)로부터 분리하여 백라이트유닛(32)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필요시에만 배터리(33)를 삽탈하게 되면 배터리를 분실할 수도 있고, 자칫 반복적인 삽탈에 의해 케이스 본체(31)를 손상시킬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33)를 적용하여 보호케이스(30)에 내설해 주었고, 배터리(33)를 통제할 수 있는 회로기판(34)을 통해 이를 해소하였다.
상기 회로기판(34)은 일반적인 (F)PCB기판으로서 스위치(34a)와 단자(34b)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34a)는 전원공급을 차단 및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스위치(34a)는 케이스 본체(31)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한번 누르게 되면 배터리(33)의 전원이 백라이트유닛(32)으로 공급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34b)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케이스 본체(31)에 스위치(34a)와 단자(34b)를 갖춘 회로기판(34)을 설치해 줌으로서 케이스 본체(31)로부터 배터리(33)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배터리(33)의 분실문제 또한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스위치(34a)로 전원을 ON/OFF제어하므로 전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는, 케이스 본체(31)와 미러부(10) 및 조절기구(20)로 구성되어, 휴대용 단말기(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31)는 바디(31a)와 커버(31b)로 분할형성되어 일체형으로 조립된 것으로서, 내부에 설치되는 미러부(10)와 조절기구(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31)에 내설된 미러부(10)는 커버(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미러부(10)의 경우 커버(12)의 면을 광택 내 형성하거나, 화학처리를 통해 거울과 같이 형성하거나, 버프처리된 금속판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31)의 상단부에는 바디(31a)와 커버(31b)를 관통하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휴대용 단말기(1)의 카메라(4)가 수용되는 구멍이고, 다른 하나는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5)에 불빛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31)의 내부에는 바디(31a)의 중간부에 미러부(10)가 안착되는 미러부안착홈(31a-3)이 형성되고, 바디(31a)의 상단부에는 조절기구(20)가 안착되는 조절기구안착홈(31a-4)이 형성되며, 이 조절기구안착홈(31a-4)에는 둘레면에 복수의 걸림홈(31a-6)이 형성된 축(31a-5)이 일체로 형성되며, 축(31a-5)을 기준으로 바디(31a)의 우측테두리에는 절개부(31a-7)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31a-7)를 통해 조절기구(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보호케이스(30)는 휴대용 단말기(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일 예로서, 휴대용 단말기(1)와 보호케이스(30)가 서로 맞대어지는 면에 각각 자석/ 철편 또는 접착제를 설치하여 자력 또는 접착력을 매개로 상호 결합할 수도 있고, 보호케이스(30)의 일면 가장자리를 휴대용 단말기(1)의 두께에 상응하게 돌출시켜 돌출된 테두리를 매개로 휴대용 단말기(1)에 보호케이스(30)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방식은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미러부(10)는 사물이 비치는 거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스 본체(31)의 미러부안착홈(31a-3)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미러부(10)는 일반적인 유리거울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커버(31b)의 면을 광택 내 형성할 수도 있고, 화학처리를 통해 거울과 같이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사물이 비치는 것이면 공지의 그 어떠한 방식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절기구(20)는 휠(21)과 한 쌍의 탄성편(22) 및 확산시트(2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보호케이스(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5)에 조명을 확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보호케이스(3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5)에 조명을 확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휠(21)은 중앙이 관통된 원판으로서, 중앙의 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투과공(2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투과공(21a)을 통해 광원(5)의 불빛이 통과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휠(21)에 투과공(21a)을 4개 형성해 주었고,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투과공(21a)에는 각기 다른 두께를 갖는 확산시트(23)를 설치하여 광원(5)의 조명을 확산시켜 은은한 정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투과공(21a)들 중 하나에는 확산시트(23)가 설치되지 않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필요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5)이 플래시로 이용되기 때문이며, 확산시트(23)가 있으면 빛이 약해 플래시로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휠(21)의 중앙홀에는 띠 형상의 탄성편(22)이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편(22)의 일단 내주면에는 삼각형상의 걸림턱(2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휠(21)은 탄성편(22)을 매개로 조절기구안착홈(31a-4)에 형성된 축(31a-5)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특히, 상기 휠(21)을 강제로 돌리기 전까지는 축(31a-5)의 걸림홈(31a-6)에 탄성편(22)의 걸림턱(22a)이 삽입되어 있어 회전이 제한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휠(21)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21)을 축(31a-5)을 중심으로 돌리게 되면, 휠(21)의 탄성편(22)이 벌어지면서 걸림턱(22a)이 걸림홈(31a-6)으로부터 이탈되어 축(31a-5)의 다른 걸림홈(31a-6)에 걸림턱(22a)이 걸리게 되면서 휠(21)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휠(21)이 회전함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확산시트(23) 역시 함께 회전되어 광원(5) 상에 배치됨으로써 광원(5)의 조명 밝기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보호케이스(30)의 외부로 노출되는 휠(21)의 일면에 각 단계별 숫자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한편, 상기 확산시트(23)는 반투명 또는 셀로판지와 같이 색을 갖춘 것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색을 확산시트(23)를 적용할 경우 카메라 촬영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상당히 편리하다.
상기 확산시트(23)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도록 하며, 이 밖에도 확산시트(2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실시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조절기구(20)의 경우 회전방식으로 확산시트(23)를 전환하는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확산시트(23)를 전환할 수 있는 구조, 방법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실시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보호케이스(30)에 휴대용 단말기(1)의 광원(5)에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산시트(23)가 구비된 조절기구(20)를 설치해 줌으로서 어두운 장소에서도 광원(5)의 밝기를 조절해 보조광으로 이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플래시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취사선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당히 편리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조절기구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선 실시 예들의 조절기구(20)는 회전방식으로 광원(5)을 선택적으로 가려주는 방식인데 반하여, 본 실시 예는 슬라이드방식으로 광원(5)을 선택적으로 가려주는 방식이다.
상기 조절기구(20')는, 단말기 본체(2) 또는 보호커버(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과공(21'a)이 구비된 슬라이드판(21')과, 슬라이드판(21')의 투과공(21a')에 설치되어 광원(5)의 불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23)로 구성된다.
일 예로서, 상기 슬라이드판(21')에는 2개의 투과공(21'a)이 형성되며, 2개의 투과공(21'a) 중 어느 하나에 확산시트(2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판(21')에 형성된 투과공(21'a)은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방식을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되는 방식으로도 변형실시 가능하며, 이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단말기 본체(2) 또는 보호커버(10)에 슬라이드 방식의 조절기구(60')를 설치해 줌으로서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휴대용 단말기 2: 단말기 본체 2a: 조절기구안착홈
2b: 축 2b-1: 걸림홈 2c: 절개부
3: 디스플레이 4: 카메라 5: 광원
10: 미러부 20,20': 조절기구 21: 휠
21': 슬라이드판 21a,21'a: 투과공 22: 탄성편
22a: 걸림턱 23: 확산시트 30: 단말기보호케이스
31: 케이스 본체 31a: 바디 31a-1: 배터리안착홈
31a-2: 거치대 31a-3: 미러부안착홈 31a-4: 조절기구안착홈
31a-5: 축 31a-6: 걸림홈 31a-7: 절개부
31b: 커버 31b-1: 경사면 32: 백라이트유닛
33: 배터리 34: 회로기판 34a: 스위치
34b: 단자

Claims (5)

  1. 광원을 갖춘 단말기 본체에 형성되어 물체의 모습을 비추는 미러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광원을 선택적으로 가려 광원의 불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산시트가 구비된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는 축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부가 단말기 본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광원의 불빛이 투과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투과공이 형성된 휠과;
    상기 휠의 투과공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확산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단말기 보호케이스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광원과 미러부는 단말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단말기 보호케이스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에 형성되어 조명을 발산하는 백라이트유닛;
    상기 백라이트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차단 및 연결하는 스위치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단자가 구비된 회로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광원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보호커버;
    상기 보호커버에 형성되는 미러부;
    상기 보호커버에 설치되어 광원을 선택적으로 가려 광원의 불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산시트가 구비된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부가 보호커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광원의 불빛이 투과되는 적어도 2 이상의 투과공이 형성된 휠과;
    상기 휠의 투과공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확산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0150092828A 2015-06-30 2015-06-30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70003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28A KR20170003766A (ko) 2015-06-30 2015-06-30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828A KR20170003766A (ko) 2015-06-30 2015-06-30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66A true KR20170003766A (ko) 2017-01-10

Family

ID=5781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828A KR20170003766A (ko) 2015-06-30 2015-06-30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7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1102A (zh) * 2017-03-28 2017-08-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及拍摄方法
CN107580099A (zh) * 2017-09-15 2018-01-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设备的外壳和移动终端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1102A (zh) * 2017-03-28 2017-08-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及拍摄方法
CN107580099A (zh) * 2017-09-15 2018-01-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设备的外壳和移动终端设备
CN107580099B (zh) * 2017-09-15 2019-11-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设备的外壳和移动终端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610B2 (en) Illumination device
US9464796B2 (en) Illumination device
US9593842B2 (en) Illumination device
US20170146890A1 (en) Illumination device
US8825123B1 (en) Passthrough case for a smart phone
CN101997947B (zh) 便携终端装置
US7082264B2 (en) System comprising camera and waterproof housing
US20130301235A1 (en) Integrated Lighting Accessory and Case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US10012888B1 (en) Optical lighting accessory for handheld mobile devices in selfie mode
US20170324438A1 (en) Lighting device with lights on rotatable panel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AU2016203825B2 (en) Illumination Device
US20130135871A1 (en) Multi-Purpose LED Lighting and Mirror Accessory for Use with Mobile Phone Devices
US20170223236A1 (en) Wearable Camera Apparatus
US10082725B1 (en) Universal optical lighting accessory for mobile phone devices with backside camera and flash
US10564519B2 (en) Optical lighting accessory for mobile phone devices with camera and flash
US20220197117A1 (en) Dimmable portable still photography box
KR20170003766A (ko)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US10372020B2 (en) Dual-function lighted wearable accessory
KR20170019028A (ko) 거울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687269B1 (ko) 휴대폰 커버구조체
CN207835510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KR20170003767A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70019029A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561647B1 (ko) 디자인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200093238A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mirrored surface and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