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092A -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092A
KR20160044092A KR1020140138176A KR20140138176A KR20160044092A KR 20160044092 A KR20160044092 A KR 20160044092A KR 1020140138176 A KR1020140138176 A KR 1020140138176A KR 20140138176 A KR20140138176 A KR 20140138176A KR 20160044092 A KR20160044092 A KR 2016004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p
rail
turntable
skid
m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763B1 (ko
Inventor
장제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7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02Turntables; Integral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은, 레일 상을 이동하는 스키드; 및 상기 스키드에 마련되며, 분출방지장치의 전면 방향이 변경되도록 회전이 가능한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은, 크레인으로 인양되어 선체의 갑판 상에 배치되는 BOP와 LMRP 및 X-MAS TREE 등과 같은 장비를 문풀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BOP와 LMRP 및 X-MAS TREE 등이 조립되기 위한 보기방향과 다르게 이루어지는 문풀에서의 BOP 등의 보기방향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transport system for ship}
본 발명은 시추선이나 해양구조물에 적용되는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석유와 같은 자원의 사용량이 급등함에 따라, 석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런데 대륙 또는 연해에서의 유전은 이미 많은 시추가 이루어진바, 최근에는 수심이 깊은 심해에 위치한 유전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심해 유전을 시추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드릴십(Drillship)이 이용된다.
드릴십은 첨단 시추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선박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해상 구조물로서, 해상 플랫폼의 설치가 불가능한 심해 지역에서 원유나 가스 등의 채취 작업이 가능하고, 일정 지점에서 시추를 종료하고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다시 시추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드릴십은,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문풀(Moonpool) 구조를 구비하고, 문풀 상부에 위치하며 시추장비를 구비하는 데릭(Derrick)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드릴십이 해저에 시추를 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드릴십은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시추 대상 지역으로 이동하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쓰러스터(Thruster)를 이용한 동적 위치유지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 DPS)을 구동한다.
이후 드릴십은 드릴 파이프(drill pipe)에 드릴 비트(drill bit)를 결합하고, 데릭에 마련된 호이스팅 시스템(Hoisting System)과 핸들링 시스템(Handling System)을 이용해 복수의 드릴 파이프를 충분한 길이만큼 연결하여 문풀을 통해 해저면까지 하강시킨 뒤, 로테이팅 시스템(Rotating System)을 통해 드릴 파이프를 회전하여 시추공을 형성한다.
1차로 드릴링이 완료되면, 데릭은 드릴 파이프를 회수하고 케이싱 파이프(casing pipe)를 시추공에 설치한 뒤, 케이싱 파이프와 시추공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시멘팅(Cementing) 작업을 진행하며, 다시 드릴 파이프를 이용한 드릴링 작업과 케이싱 파이프를 설치하는 케이싱 및 시멘팅 작업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일정 깊이를 갖는 시추공의 형태를 유지시킨다.
시추공이 무너지지 않도록 케이싱 파이프가 충분히 설치되면, 라이저(Riser)에 BOP(Blow Out Preventer)를 연결하여 시추공에 결합하게 되며, 이때 라이저의 내부는 드릴 파이프와 케이싱 파이프의 이동 경로가 된다.
그런데 드릴링 과정에서 드릴 비트의 윤활 및 냉각과, 시추공 내부에서 생성되는 암석 덩어리 등의 분쇄물의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드릴십은 드릴 파이프의 내부에 머드를 공급하여 드릴 비트의 말단부에서 머드가 배출되도록 하고, 머드가 드릴 비트의 윤활과 냉각을 수행한 뒤 분쇄물과 함께 드릴 파이프의 외부에서 라이저의 내부를 통해 상부로 회수되도록 하는, 머드 순환 시스템(Mud Circulation System)을 사용한다. 회수된 머드는 분쇄물이 걸러진 후 재사용된다.
드릴십은 이러한 머드 순환 시스템을 구동하면서 드릴 비트가 유정에 도달할 때까지 드릴링과 케이싱 및 시멘팅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데, 이 경우 케이싱 작업에 사용되는 케이싱 파이프의 직경이 점차 작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드릴 비트를 교체 사용하여 드릴링을 지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릴십은, 파이프와 라이저 등을 설치 및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과, 머드를 사용하는 시스템 등을 구비하며,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추 작업을 원활히 구현하기 위한 문풀 구조, 데릭 구조, 그리고 적재 구조 등을 일정한 공간 내에 배치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높은 기술력이 요구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드릴십은 해상에 한 번 고정되면 1년 이상과 같이 오랜 시간 시추 작업을 하게 되고, BOP와 LMRP 및 X-MAS TREE 등과 같은 분출방지장치의 노후화로 장비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분출방지장치는 셔틀과 같은 운반 선박에 의해 운반된 후, 드릴십에 마련되는 별도의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어 선적되는데, 분출방지장치를 해저면에 내리기 위해 문풀로 운반할 때 분출방지장치가 10ton 내지 300ton의 하중을 가지는 등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BOP와 LMRP 및 X-MAS TREE 등과 같은 장비를 선체의 갑판으로부터 문풀로 운반하는 것이 용이하며, 문풀에서 내려지는 BOP와 LMRP 및 X-MAS TREE 등의 보기방향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은, 레일 상을 이동하는 스키드; 및 상기 스키드에 마련되며, 분출방지장치의 전면 방향이 변경되도록 회전이 가능한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분출방지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분출방지장치를 지지하는 상판부재; 및 상기 상판부재와 연결되는 하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부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턴테이블은, 90도 간격으로 36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은, 크레인으로 인양되어 선체의 갑판 상에 배치되는 BOP와 LMRP 및 X-MAS TREE 등과 같은 장비를 문풀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BOP와 LMRP 및 X-MAS TREE 등이 조립되기 위한 보기방향과 다르게 이루어지는 문풀에서의 BOP 등의 보기방향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이 설치되는 드릴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III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의 레일과 턴테이블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의 레일과 턴테이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에 의해 BOP가 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의 연장레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의 작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의 턴테이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이 설치되는 드릴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100)은 문풀(moon pool, 12)이 마련되는 드릴십 또는 해양구조물에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문풀(12)이 마련되는 드릴십(10)을 일례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드릴십(10)의 선체(11)에는 뱃머리인 선수와 선미 사이에 문풀(12)이 마련되며, 문풀(12)은 선체(11)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로 형성된다. 여기서, 문풀(12)은 시추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드릴 장비가 구비되어 시추 작업을 이룬다. 여기서, 드릴 장비는 문풀(12) 상부에 위치하는 데릭(Derrick, 13)에 마련될 수 있다.
선박의 선체(11)는 쓰러스터(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별도의 추진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선체(1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해상에 고정되어 드릴링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선체(11)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문풀(12)을 통해 파이프가 핸들링 시스템(Handling System,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충분한 길이만큼 연결되어 문풀(12)을 통해 해저면까지 하강될 수 있다.
즉, 드릴 파이프, 케이싱 파이프 등의 파이프 각각은, 파이프의 적치대(pipe rack, 도시하지 않음)에 적재되며, 적치대로부터 이동, 직립 및 조립하여 해저로 전진시키는데, 그 과정은, 운반 장치인 BOP 겐트리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이 적치대에 적재된 파이프를 캣워크(catwalk, 도시하지 않음) 상부의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 상에 안착시켜 수행한다. 여기서, BOP 겐트리 크레인과 별도로 선체(11) 상에는 크레인(16)이 마련되어 선체(11) 상의 장비 등을 운반하거나 선적 및 하역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선체(11)는 파이프의 굴착 작업에 의해 얻어지는 진흙, 파쇄된 암석 등과 같은 머드 덩어리를 파이프와 라이저를 통해 끌어올린다. 여기서, 머드는, 드릴 비트(도시하지 않음)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상 고압이 파이프를 타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릴링 작업 중에는 머드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머드는 파이프 내부로 공급되어 드릴 비트에 있는 구멍을 통해 라이저를 통하여 다시 되돌아오게 된다.
머드의 회수과정을 보면, 드릴링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적절히 믹싱된 액체 머드는 머드 펌프에 의해 고압 머드로 생성되어 파이프로 유입되고, 파이프로 유입된 머드는 드릴링 비트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각종 커팅즈(cuttings), 예를 들어 암석 조각, 자갈, 샌드(sand), 실트(silt), 가스(gas), 각종 불순물 등과 함께 되돌아오게 된다.
이렇게 되돌아 끌어 올려진 머드를 처리하기 위해, 머드는 머드거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머드처리탱크(17)로 유입될 수 있다. 머드거터는 머드가 이동되는 통로로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선체(11)에 구비되며, 해저에서 유입되는 머드가 이동된다. 이러한, 머드거터를 통해 머드가 끌어 올려져, 머드처리탱크(17)에서 침전을 통해 정화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끌어 올려진 머드를 처리하기 위해, 머드처리탱크(17)는 문풀(12)에 인접하여 선체(11)의 갑판 상에 구비될 수 있고, 각종 커팅즈를 포함한 머드는 쉐일 쉐이커(shale shaker), 샌드 트랩(sand trap)을 거치면서 각종 커팅즈가 제거됨으로써 재생된다. 재생된 머드는 머드 리턴라인을 통해 머드피트로 들어가서 저장되었다가, 머드 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다시 파이프 속으로 공급된다.
한편, 드릴링작업이 완료되면 유정 분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BOP(18)가 드릴십(10)에서 내려져 해저면에 설치된다. 즉, BOP(18)는 드릴링되어 노출되는 유정(well) 상에 설치되어 시추공을 밀봉한다.
한편, BOP(18), LMRP(도시하지 않음), X-mas tree(도시하지 않음) 등의 분출방지장치는 사용기간 경과, 수리의 필요 등에 교체가 필요하다. 분출방지장치의 교체를 위해 별도의 셔틀(장비 운반용 선박,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분출방지장치가 드릴십(10)으로 운반되고, 셔틀 상의 새로운 분출방지장치는 드릴십(10)의 크레인(16)에 인양되어 드릴십(10)에 선적된다.
여기서, 교체되는 새로운 분출방지장치는 선체(11)의 갑판 상에 선적되어 문풀(12)로 운반되어야, 문풀(12)을 통해 해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100)이 선체(11)에 마련되어, 분출방지장치를 문풀(12)로 운반시킬 수 있다.
그런데, 선체(11)는 갑판에 의해 복수의 층으로 구획됨은 물론, 크레인(16)에 분출방지장치가 안착되는 층과 문풀(12)이 마련되는 공간이 단차를 이룰 수 있으며, 셔틀의 정박되는 방향, 크레인(16)의 인양 방향 등에 따라 문풀(12)에서 내려지는 분출방지장치의 방향이 변경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분출방지장치의 BOP(18), LMRP, X-mas tree는 BOP(18)를 기준으로 상하 일렬로 적층되게 일체화된 상태로 문풀(12)을 통해 해저면으로 내려지는데, 선체(11)에서 조립되는 BOP(18), LMRP, X-mas tree는 단차를 이루는 선체(11)에서, 먼저 LMRP가 단차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내려진 후 후술되는 레일(110)을 따라 상하이동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이동하여, 상하이동장치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서, BOP(18)가 단차의 하단부로 내려진 후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여 LMRP의 하단부로 배치되면, LMRP가 BOP(18) 상에 안착되어 조립된다.
이때, 상하이동장치는 후술되는 스키드(120)의 이동경로를 간섭하지 않도록 선체(11)의 단차를 이루는 모서리(구석)에 턴테이블(130)을 비껴서 마련되는데, 상하이동장치에 마주하여 내려지는 BOP(18)의 보기 방향(BOP의 정면이 향하는 방향)과 문풀(12)에서 내려지는 BOP(18)의 보기 방향이 달리 이루어질 수 있어, BOP(18)의 방향전환이 필요하다. 여기서, BOP(18)에는 한 쌍의 바가 마련되어 상하이동장치 또는 문풀(12)에 의해 그립이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BOP(18)의 일면(예를 들어 후면)에 마련되어 그립된 상태로 상하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방지장치를 이동시키고 보기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100)은 레일(110), 스키드(120) 및 턴테이블(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출방지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BOP(18), LMRP 등일 수 있으며, BOP(18)상에 LMRP가 조립되어 해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선체(11)에서 BOP(18)의 상부에 LMRP를 설치하여 BOP(18)와 LMRP를 일체화시켜 문풀(12)에서 해저면으로 내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LMRP가 일체화된 BOP(18)가 이동하여, 내려지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LMRP를 생략하고 BOP(18)로 명칭한다. 여기서, BOP(18)의 일면(예를 들어 후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바가 문풀(12)에 그립된 상태로 선체(11)의 아래로 내려진다.
레일(110)은 선체(11)에 마련되어 스키드(120)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스키드(1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레일(110)은 크레인(16)에 인접하여 선체(11)의 갑판 상에 마련됨은 물론, 문풀(12)까지 연장되어 크레인(16)에서 내려진 BOP(18)가 스키드(120)에 안착되면, 스키드(120)가 레일(110)을 따라 자동(또는 수동)으로 주행되어 문풀(12)까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키드(120)가 선체(11) 상에서 좌우 및 앞뒤로 이동가능하도록, 레일(110)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마련되게 바둑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레일(110)은 갑판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갑판에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일(110)은 스키드(120)의 이동경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스키드(120)의 하면 양측이 삽입되어, 스키드(120)의 양측이 수평을 이루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110)은 스키드(120)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BOP(18) 등의 장비의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이루는 스테인레스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키드(120)는 BOP(18)가 안착되어 BOP(18)를 운반하는 구성으로서, BOP(18)를 운반하도록 레일(110) 상을 이동하기 위해 이동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지지부(121)는 레일(110)의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1211)와 삽입부재(1211)의 내측에 마련되는 롤러부재(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동지지부는 롤러부재가 생략되고 삽입부재로 이루어져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삽입부재(1211)는 레일(110)의 홈에 삽입되게 스키드(12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레일(110)과 삽입부재(1211)가 맞물린 형태를 이루도록, 레일(110)은 하단부보다 상단부의 폭이 넓게 이루어지며, 레일(110)의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1211)는 한 쌍을 이루어 하단부가 레일(110)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롤러부재(1212)는 스키드(120)가 적은 힘으로 또는 모터와 같은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동 주행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삽입부재(121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부재(121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삽입부재(1211) 상에서 레일(110)에 맞닿고, 롤러부재(1212)의 회전에 의해 레일(110)을 따라 스키드(120)가 주행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부재(1212)는 삽입부재(1211) 상에 4개를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롤러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레일(110)의 상부에 맞닿게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키드(120)와 분출방지장치 중 어느 하나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끼움돌기가 삽입홈에 끼움되어 분출방지장치가 스키드(120) 상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키드(120) 상에는 분출방지장치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는 상부로 돌출되어 분출방지장치의 양측면에 맞닿아 분출방지장치를 지지하여 스키드(120)의 이동시 분출방지장치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스키드(120)는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며, 후술되는 턴테이블(130)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어 회전된 상태로 레일(110)을 따라 문풀(12)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문풀(12)에서 BOP(18)를 그립할 수 있도록 BOP(18)의 보기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작업자가 BOP(18)를 돌릴 필요없이 자동으로 회전되어 문풀(18)의 벽면을 따라 내려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30)은 BOP(18)의 보기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레일(110)에 마련된다.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30)은 레일(110)과 동일한 수평선을 이루어, 스키드(120)가 이동시 턴테이블(130)에 걸리지 않고 이동될 수 있으며, 턴테이블(130) 상에서 스키드(120)가 회전을 이루는 것과 별개로 턴테이블(130)이 레일(110)과 동일한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연장레일(131)이 마련된다. 이러한, 연장레일(131)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턴테이블(1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일방향(또는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90도 간격으로 4회 회전하여 360도 회전함으로써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턴테이블(130)은 90도(또는 180도, 270도)를 회전하여 BOP(18)의 보기 방향을 변경하여, BOP(18)의 정면이 다른 방향으로(일례로 왼측면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즉, 직진으로 BOP(18)가 이동하는 경우, 정면을 향한 BOP(18)가 레일(110)을 따라 이동한 후 턴테이블(130) 상에서 90도 회전하여 보기방향이 변경되어 정면이 왼측면으로 향하고, 오른측면을 향했던 면이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로 턴테이블(130)을 경로하여 문풀(12)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턴테이블(130)은 연장레일(131), 지지부(132) 및 작동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레일(131)은 스키드(120)가 턴테이블(130)을 경로하여 이동하도록 레일(110)에 대응하여 이동경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연장레일(131)은 턴테이블(130)이 90도 간격으로 회전하면, 평면도 상에서 세로 방향의 레일(1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장레일(131)은 세로방향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턴테이블(130)이 90도 회전하여 세로방향의 연장레일(131)이 가로방향을 이루어도, 가로방향을 이루는 연장레일(131)이 세로방향을 이룸으로써 턴테이블(130)의 회전에 무관하게 연장레일(131)은 레일(110)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키드(120)가 레일(110)을 경로하여 연장레일(131) 상에 배치된 후 턴테이블(130)에 의해 회전되어도, 턴테이블(130)의 연장레일(131)로부터 빠져나와 레일(110)을 경로하여 문풀(12)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1311과 식별부호 1312는 연장레일(131)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6 및 도 7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연장레일(131)을 도 8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여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분한 것이다. 즉, 연장레일(131)의 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부재(1211) 각각이 수용되도록 한 쌍의 연장레일(131) 각각은 쌍을 이루어 마련된다.
지지부(13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키드(12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한 쌍의 판부재를 이루도록 상판부재(1321) 및 하판부재(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부재(1321)는 연장레일(131)이 마련되며 레일(110)과 동일한 수평선을 이루어 스키드(120)를 지지하고 지지부(132)의 상부를 이룰 수 있고, 하판부재(1322)는 상판부재(1321)와 연결되어 하부를 이룰 수 있으며 작동부(133)가 설치될 수 있다.
작동부(133)는 지지부(132)에 마련되어 지지부(1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133)는 지지부(132)의 하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회전지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지지체에 의해 지지부(132)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지지체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력이 발생할 수 있고, 한 쌍의 회전지지체가 지지부(132)의 중심을 축으로 좌우 양측(또는 상하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다. 일례로, 한 쌍 중 하나의 회전지지체는 평면도 상에서 상부로의 이동을 지지하고, 다른 하나의 회전지지체는 하부로의 이동을 지지하여 지지부(132)의 중심이 축이 되어 지지부(132)가 시계방향으로 밀려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지지체는 바닥면에 맞닿아 바닥면으로부터 마찰되어 회전됨으로써 지지부(132)의 상판부재(1321) 및 하판부재(1322)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하판부재(1322)상에서 회전지지체에 의해 상판부재(1321)가 밀어져 회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스키드(120)를 통해 BOP, LMRP와 같은 장비를 자동주행으로 문풀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BOP와 LMRP가 조립되기 위한 보기방향과 다르게 이루어지는 문풀에서의 BOP의 보기방향을 레일(110)과 일체화된 턴테이블(130)을 통해 자동으로 회전시켜 보기방향을 변경시킨 후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200)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턴테이블(230)이 고정되거나 조립되는 구성이 일실시예와 달리 이루어진다.
즉,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의 턴테이블(130)은 레일(110)가 일체화되어, 턴테이블(130)과 레일(110)이 동일한 수평선을 이루게 됨으로써, 레일(110)의 이동경로 중 일부가 턴테이블(130)의 연장레일(131)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110)에 의해서만 이동경로가 이루어질 수 있고, 턴테이블(230)은 스키드(22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화는 스키드(220) 상에 턴테이블(230)이 단순히 안착되거나, 끼움 또는 볼트 및 나사에 의한 연결로 조립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턴테이블(230)과 스키드(220)가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여 턴테이블(230)과 스키드(220)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스키드(220)는 일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레일(110) 상을 이동하도록 이동지지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의 스키드(220)와 다른 예로, 이동지지부(221)는 롤러부재(1212)가 생략되고 삽입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어, 레일(11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마련되어 스키드(220)가 레일(11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스키드(220)는 자동 주행을 위해 구동바퀴(2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바퀴(222)는 복수의 롤러가 레일(110)을 비껴서 레일(110)이 마련되는 선체(11)의 바닥면에 맞닿게 마련되어 회전될 수 있다.
턴테이블(230)은 스키드(220) 상에 마련되며, 분출방지장치의 정면 방향이 변경되도록 회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턴테이블(230)은 스키드(220)와 함께 이동되어 턴테이블(230) 상의 BOP(18)가 공간에 제한되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달리, 일 실시예의 턴테이블(130)은 레일(110)에 매몰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일 실시예에서의 BOP(18)는 턴테이블(130)이 고정된 위치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실시예와 다르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턴테이블(230)은 지지부(231), 작동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31)는 분출방지장치를 지지하며, 작동부(232)가 설치되고, 작동부(232)는 지지부(231)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턴테이블(230)은 스키드(220) 상에 마련되는 것이 일 실시예와 달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 실시예의 턴테이블(130)의 회전 메카니즘에 갈음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스키드(220)상에 마련되는 턴테이블(230)에 의해 시간 및 공간의 제약없이 BOP와 LMRP 및 X-MAS TREE 등과 같은 장비를 회전시켜 BOP와 LMRP 및 X-MAS TREE 등이 조립되기 위한 보기방향에 대응시켜 장비를 회전시키고, 문풀에서 내려지는 BOP 등의 보기방향에 대응시켜 장비를 자동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드릴십 11: 선체
12: 문풀 13: 데릭
16: 크레인 17: 머드처리탱크
18: BOP 100: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110: 레일 120,220: 스키드
121: 이동지지부 1211: 삽입부재
1212: 롤러부재 130: 턴테이블
131: 연장레일 132,231: 지지부
1321: 상판부재 1322: 하판부재
133,232: 작동부 222: 구동바퀴

Claims (6)

  1. 레일 상을 이동하는 스키드; 및
    상기 스키드에 마련되며, 분출방지장치의 전면 방향이 변경되도록 회전이 가능한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분출방지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분출방지장치를 지지하는 상판부재; 및
    상기 상판부재와 연결되는 하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부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90도 간격으로 36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KR1020140138176A 2014-10-14 2014-10-14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KR101685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176A KR101685763B1 (ko) 2014-10-14 2014-10-14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176A KR101685763B1 (ko) 2014-10-14 2014-10-14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092A true KR20160044092A (ko) 2016-04-25
KR101685763B1 KR101685763B1 (ko) 2016-12-13

Family

ID=5591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176A KR101685763B1 (ko) 2014-10-14 2014-10-14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1971A (zh) * 2019-06-27 2019-09-27 临沂矿业集团菏泽煤电有限公司 一种全自动360°旋转转盘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097A (ko) * 2009-08-13 2011-0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횡방향 파이프 적재방식을 갖는 시추선 및 시추선에서 라이저 또는 드릴 파이프를 적재 및 이송하는 방법
JP2011520698A (ja) * 2008-05-19 2011-07-21 シングル・ブイ・ムーリ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回転可能なターンテーブルを備えた分離可能なタレット係留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0698A (ja) * 2008-05-19 2011-07-21 シングル・ブイ・ムーリ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回転可能なターンテーブルを備えた分離可能なタレット係留システム
KR20110017097A (ko) * 2009-08-13 2011-0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횡방향 파이프 적재방식을 갖는 시추선 및 시추선에서 라이저 또는 드릴 파이프를 적재 및 이송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1971A (zh) * 2019-06-27 2019-09-27 临沂矿业集团菏泽煤电有限公司 一种全自动360°旋转转盘道
CN110281971B (zh) * 2019-06-27 2024-04-12 临沂矿业集团菏泽煤电有限公司 一种全自动360°旋转转盘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763B1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6389A (ko) 로터리 테이블 하부에 머드 회수를 위한 유도관을 갖는 부유식 시추설비
KR20150138384A (ko) 시추 동작들을 위한 3중 작업 시스템
WO2016054610A1 (en) Drilling rig system with movable wellcenter assembly
KR101685763B1 (ko)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KR20160039053A (ko)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KR101987980B1 (ko) 머드 시스템
KR20160031680A (ko) 머드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22534A (ko) 해저 드릴링 시스템의 드릴파이프 회전 장치
KR20160029910A (ko) 머드피트 클리닝 시스템
KR101665478B1 (ko) 드릴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488011Y1 (ko)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KR20160001925U (ko) 패스트라인 안전장치
KR101670881B1 (ko) 해상구조물의 드릴링 커팅 처리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셰일쉐이커 룸
KR200490626Y1 (ko)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KR20150142750A (ko) 드릴십의 원격제어잠수정 핸들링 시스템
KR101835286B1 (ko) 크레인 겸용 브릿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20150142749A (ko) 문풀 구조
KR20160022535A (ko) 해저 드릴링 시스템
KR101414223B1 (ko) 해양구조물의 승강구조형 데릭 및 데릭 승강 방법
KR20160001924U (ko) 데릭구조
KR101654652B1 (ko) 리턴 머드 회수시스템
KR20160006479A (ko) Bop 크레인을 구비한 드릴쉽
KR20160004178U (ko) 머드거터 어셈블리
KR101606698B1 (ko) 드릴쉽의 라이저 홀드 드레인 시스템
KR20150146026A (ko) 머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