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11Y1 -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 Google Patents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011Y1
KR200488011Y1 KR2020150002747U KR20150002747U KR200488011Y1 KR 200488011 Y1 KR200488011 Y1 KR 200488011Y1 KR 2020150002747 U KR2020150002747 U KR 2020150002747U KR 20150002747 U KR20150002747 U KR 20150002747U KR 200488011 Y1 KR200488011 Y1 KR 200488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ry
hole
rotary table
thickness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836U (ko
Inventor
오석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2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01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21B3/04Rotary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8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Apparatus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on the drilling tool; Apparatus for counterbalancing the weight of the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는, 해양구조물에서 파이프가 유출입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는 로터리 테이블 상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제1 두께부와 상기 제1 두께부보다 작은 제2 두께부로 이루어지는 로터리 삭을 두르도록 상기 제2 두께부에 대응하는 C플레이트가 마련되는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테이블 상에 마련되며, 상기 C플레이트가 수용되게 상기 C플레이트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수용홀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에 설치되는 상기 C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는, 로터리 속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C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를 마련하되, 지지부에 설치되는 C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그라이인딩 작업 등을 생략하여 공수 절감을 이루면서도, C플레이트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일 수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Installing apparatus for rotary sock}
본 고안은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석유와 같은 자원의 사용량이 급등함에 따라, 석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런데 대륙 또는 연해에서의 유전은 이미 많은 시추가 이루어진바, 최근에는 수심이 깊은 심해에 위치한 유전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심해 유전을 시추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드릴십(Drillship)이 이용된다.
드릴십은 첨단 시추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선박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해상 구조물로서, 해상 플랫폼의 설치가 불가능한 심해 지역에서 원유나 가스 등의 채취 작업이 가능하고, 일정 지점에서 시추를 종료하고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다시 시추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드릴십은,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문풀(Moonpool) 구조를 구비하고, 문풀 상부에 위치하며 시추장비를 구비하는 데릭(Derrick)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드릴십이 해저에 시추를 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드릴십은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시추 대상 지역으로 이동하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쓰러스터(Thruster)를 이용한 동적 위치유지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 DPS)을 구동한다.
이후 드릴십은 드릴 파이프(drill pipe)에 드릴 비트(drill bit)를 결합하고, 데릭에 마련된 호이스팅 시스템(Hoisting System)과 핸들링 시스템(Handling System)을 이용해 복수의 드릴 파이프를 충분한 길이만큼 연결하여 문풀을 통해 해저면까지 하강시킨 뒤, 로테이팅 시스템(Rotating System)을 통해 드릴 파이프를 회전하여 시추공을 형성한다.
1차로 드릴링이 완료되면, 데릭은 드릴 파이프를 회수하고 케이싱 파이프(casing pipe)를 시추공에 설치한 뒤, 케이싱 파이프와 시추공 사이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시멘팅(Cementing) 작업을 진행하며, 다시 드릴 파이프를 이용한 드릴링 작업과 케이싱 파이프를 설치하는 케이싱 및 시멘팅 작업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일정 깊이를 갖는 시추공의 형태를 유지시킨다.
시추공이 무너지지 않도록 케이싱 파이프가 충분히 설치되면, 라이저(Riser)에 BOP(Blow Out Preventer)를 연결하여 시추공에 결합하게 되며, 이때 라이저의 내부는 드릴 파이프와 케이싱 파이프의 이동 경로가 된다.
그런데 드릴링 과정에서 드릴 비트의 윤활 및 냉각과, 시추공 내부에서 생성되는 암석 덩어리 등의 분쇄물의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드릴십은 드릴 파이프의 내부에 머드를 공급하여 드릴 비트의 말단부에서 머드가 배출되도록 하고, 머드가 드릴 비트의 윤활과 냉각을 수행한 뒤 분쇄물과 함께 드릴 파이프의 외부에서 라이저의 내부를 통해 상부로 회수되도록 하는, 머드 순환 시스템(Mud Circulation System)을 사용한다. 회수된 머드는 분쇄물이 걸러진 후 재사용된다.
드릴십은 이러한 머드 순환 시스템을 구동하면서 드릴 비트가 유정에 도달할 때까지 드릴링과 케이싱 및 시멘팅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데, 이 경우 케이싱 작업에 사용되는 케이싱 파이프의 직경이 점차 작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드릴 비트를 교체 사용하여 드릴링을 지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릴십은, 파이프와 라이저 등을 설치 및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과, 머드를 사용하는 시스템 등을 구비하며,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추 작업을 원활히 구현하기 위한 문풀 구조, 데릭 구조, 그리고 적재 구조 등을 일정한 공간 내에 배치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높은 기술력이 요구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드릴 파이프를 해저로 내리기 전에, 데릭의 하부에 마련되는 로터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드릴 파이프를 조립하는데, 이때 로터리 테이블 상에서 드릴 파이프가 내려지는 구성을 로터리 삭(rotary sock)이라 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터리 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삭(10)은 드릴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해 중공이 형성되며, 한 번에 제작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기 어려워 복수의 관이 플랜지 이음 등의 방식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로터리 삭(10)은 서로 두께가 달리 이루어지는 제1 두께부(11)와 제2 두께부(12)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제2 두께부(12)는 관의 외경에 해당하는 직경을 이루고, 제1 두께부(11)는 플랜지 이음이 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드릴 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로터리 삭(10)을 로터리 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로터리 삭(10)이 로터리 테이블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빠질 우려가 있어 C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를 로터리 테이블의 베어링 상부에 설치하게 되나, 베어링 상부의 단턱이 좁아 낙하 방지를 위해 C플레이트를 베어링 상부의 단턱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작하여 억지끼움의 방식으로 체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1.5m 내외의 직경을 가지는 C플레이트를 로터리 테이블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발로 밟거나 그라인딩 작업하는 등 어려움이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로터리 속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C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는, 해양구조물에서 파이프가 유출입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는 로터리 테이블 상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제1 두께부와 상기 제1 두께부보다 작은 제2 두께부로 이루어지는 로터리 삭을 두르도록 상기 제2 두께부에 대응하는 C플레이트가 마련되는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테이블 상에 마련되며, 상기 C플레이트가 수용되게 상기 C플레이트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수용홀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에 설치되는 상기 C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설치홀에 수용되는 제1 턱부; 및 상기 제1 턱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단턱을 이루며 상기 수용홀이 형성되는 제2 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홀은 상단부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턱부는 상기 설치홀의 단턱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이루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턱부는 상기 제1 턱부에서 내경이 확관되어 상기 C플레이트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이루는 링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C플레이트가 상기 로터리 삭으로부터 비껴지도록 상기 로터리 삭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상기 수용홀이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C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은, 상기 수용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는, 로터리 속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C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를 마련하되, 지지부에 설치되는 C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그라이인딩 작업 등을 생략하여 공수 절감을 이루면서도, C플레이트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터리 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가 로터리 테이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의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의 지지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가 로터리 테이블에 장착된 상태에서 C플레이트가 설치홀을 비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가 로터리 테이블에 장착된 상태에서 C플레이트가 설치홀에 대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에서 지지부의 레일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가 로터리 테이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의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의 지지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100)는 C플레이트(110),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C플레이트(110)는 로터리 테이블(20) 상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두께가 상이한 로터리 삭(10)(도 1 참조)을 지지하여 로터리 삭(10)이 로터리 테이블(20)의 설치홀(21) 내에서 좌우 및 앞뒤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로터리 삭(10)은 해양구조물(드릴십 등)에서 파이프(도시하지 않음)가 유출입되는 설치홀(21)이 형성되는 로터리 테이블(20)에 배치되어, 파이프를 수용하는데, 길이방향으로 서로 두께가 달리 이루어지는 제1 두께부(11)(도 1 참조)와 제2 두께부(12)(도 1 참조)를 가진다.
제2 두께부(12)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두께부(11)는 제2 두께부(12)를 서로 연결하는 플랜지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제2 두께부(12)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이때, 제1 두께부(11)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로터리 테이블(20)의 설치홀(21)에서 로터리 삭(10)의 제2 두께부(12) 부분과 설치홀(21) 사이에 이격거리가 크게 발행하게 됨에 따라 로터리 삭(10)이 크레인(도시하지 않음) 등에 매달린 상태에서 흔들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C플레이트(110)가 로터리 테이블(20)에 설치된다. 이때, 로터리 삭(10)의 제2 두께부(12)와 C플레이트(110) 사이에 좁은 틈은 발생할 수 있으되, 로터리 삭(10)이 흔들리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C플레이트(110)는 설치홀(21)과 로터리 삭(10)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게 된다.
이와 같은, C플레이트(110)는 로터리 삭(10)과 설치홀(21) 사이의 공간을 메울뿐만 아니라 C플레이트(110) 상에 로터리 삭(10)이 안착되게 됨에 따라, 로터리 삭(10)을 로터리 테이블(20) 상에서 지지하게 되므로 로터리 삭(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C플레이트(110)는 로터리 삭(10)의 제1 두께부(11) 부분이 하향될 때 로터리 삭(10)으로부터 비껴질 수 있게, 일측이 개구된 형태가 되어 'C'자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C플레이트(110)의 개구된 일측은 로터리 삭(10)으로부터 걸림되지 않고 슬라이딩 방법 등에 의해 비껴지도록 중심으로부터 개구된 일측인 출구까지 폭이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로터리 테이블(20)에 형성되는 설치홀(21)은 상부에 베어링의 단턱(22)(도 5 참조)이 형성되어 단턱(22) 상에 C플레이트(110)가 설치될 수 있으나, 설계 및 제조상의 오차 등에 의해 C플레이트(110)의 외경이 크게 이루어져 로터리 테이블(20)의 단턱에 억지 끼움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불필요한 공수가 요구되고, 이와 반대로 C플레이트(110)의 외경이 작게 이루어져 로터리 테이블(20)의 단턱보다 작아지면 낙하될 우려가 있다.
C플레이트(110)의 설치 공수 절감 또는 낙하 방지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0)를 매개물로 하여 로터리 테이블(20) 상에 C플레이트(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낙하를 방지한다.
지지부(120)는 C플레이트(110)의 설치를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로터리 테이블(20) 상에 마련되되, 로터리 테이블(20)과 C플레이트(110) 사이에 설치되어 C플레이트(1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C플레이트(110)의 억지끼움 및 C플레이트(110)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C플레이트(110)를 수용할 수 있게, C플레이트(110)의 외경보다 크나 C플레이트(110)가 지지되는 수용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수용홀에 설치되는 C플레이트(110)와의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120)는 제1 턱부(121) 및 제2 턱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턱부(121)는 로터리 테이블(20)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설치홀(21)에 수용되고, 제2 턱부(122)는 C플레이트(11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제1 턱부(121)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단턱을 이루며 수용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턱부(121)는 설치홀(21)의 단턱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A)(도 4 참조)을 이루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턱부(122)는 제1 턱부(121)에서 내경이 확관되어 C플레이트(110)의 외경보다 큰 내경(B)(도 4 참조)을 이루는 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턱부(121)와 제2 턱부(122)는 내경의 크기가 달리 이루어져 C플레이트(110)가 제2 턱부(122) 내에 여유롭게 안착되면서도 제1 턱부(121)가 제2 턱부(122)보다 작은 내경을 이루어 C플레이트(110)를 받쳐 지지하게 됨으로써 C플레이트(110)의 낙하를 방지한다.
여기서, 설치홀(21)에 고정되는 제1 턱부(121)의 외경이 설치홀(21)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제1 턱부(121)가 설치홀(21)에 끼움될 수 있으며, 제1 턱부(121)의 내경은 C플레이트(110)의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은 지지부(120)는, 로터리 테이블(20)에 제1 턱부(121)가 끼움 등의 방식으로 설치되면, 제1 턱부(121) 상에 C플레이트(110)가 안착될 수 있는데, 이때 C플레이트(110)의 둘레면에는 제1 턱부(121)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 턱부(122)가 마련되어 C플레이트(11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설치홀(21)의 단턱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 턱부(122)의 내경에 의해 제2 턱부(122)와 C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형성되므로, C플레이트(110)를 억지 끼움할 필요가 없어 제1 두께부(11)와 제2 두께부(12)가 반복적으로 나열되는 로터리 속(1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C플레이트(110)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가 로터리 테이블에 장착된 상태에서 C플레이트가 설치홀을 비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가 로터리 테이블에 장착된 상태에서 C플레이트가 설치홀에 대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에서 지지부의 레일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지지부(120A)만 다르게 구성된다.
지지부(120A)는 제1 가이드부재(123)와 제2 가이드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123)와 제2 가이드부재(124)는 그 사이에 수용홀(125)이 형성되게 관통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제2 가이드부재(124)는 내측 둘레면이 C플레이트(110)에 대응하여 곡률지고 외곽이 '
Figure 112015041480311-utm00001
'자 형상일 수 있고, 이에 맞닿게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재(123)는 내측 둘레면이 C플레이트(110)에 대응하여 곡률지고 외곽이 '
Figure 112015041480311-utm00002
'자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재(124)는 C플레이트(110)가 설치홀(21)로부터 충분히 비껴지도록 제1 가이드부재(123)보다 길이가 길게 이루어져, 제2 가이드부재(124)와 제1 가이드부재(123)는 비대칭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20A)가 로터리 테이블(20)에 설치되기 위해, 일례로 제1 가이드부재(123)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로터리 테이블(20)의 단턱(22)에 끼움되는 반원 형태의 돌출부재(123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1231)는 일 실시예의 제1 턱부(121)와 동일하게 설치홀(21)의 단턱(22)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이루어 끼움될 수 있다.
게다가, 지지부(120A)에 형성되는 수용홀(125)은 장공으로 이루어져, C플레이트(110)가 로터리 삭(10)으로부터 비껴지도록 로터리 삭(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20A)는 제2 가이드부재(124)와 제1 가이드부재(123) 내측에 마련되는 레일(126)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26)은 수용홀(125)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C플레이트(110)가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레일(126)은 수용홀(1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마련되는 단턱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레일(126)은 설치홀(21)에 대향하는 수용홀(125)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설치홀(21)과 반대편 방향의 수용홀(125) 상에서는 레일(126)이 삭제될 수도 있다. 레일(126)이 삭제된 구간에서는 C플레이트(110)가 레일(126)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있으므로, 지지부(120) 내에서 C플레이트(110)가 뜬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C플레이트(11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누르면 지지부(120) 와의 사이 공간으로 C플레이트(110)가 눌려지면서 설치홀(21)에 가까운 C플레이트(110)의 출구측이 상방으로 올라오게 되므로, 작업자가 C플레이트(110)를 잡을 수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126)의 폭은 C플레이트(110)가 배치된 상태에서, C플레이트(110)와의 사이에 여유 공간이 발생하도록, 일 실시예의 제2 턱부(122)의 내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로터리 속(10)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C플레이트(1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120, 120A)를 마련하되, 지지부(120, 120A)에 설치되는 C플레이트(110)와의 사이에 여유공간이 되어, 그라인딩 작업 등을 생략하여 공수 절감을 이루면서도, C플레이트(110)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로터리 삭 11: 제1 두께부
12: 제2 두께부 20: 로터리 테이블
21: 설치홀 22: 단턱
100: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110: C플레이트
120, 120A: 지지부 121: 제1 턱부
122: 제2 턱부 123: 제1 가이드부재
124: 제2 가이드부재 125: 수용홀
126: 레일 1231: 돌출부재

Claims (6)

  1. 해양구조물에서 파이프가 유출입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는 로터리 테이블 상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제1 두께부와 상기 제1 두께부보다 작은 제2 두께부로 이루어지는 로터리 삭을 두르도록 상기 제2 두께부에 대응하는 C플레이트가 마련되는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테이블 상에 마련되며, 상기 C플레이트가 수용되게 상기 C플레이트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수용홀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홀에 설치되는 상기 C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C플레이트가 상기 로터리 삭으로부터 비껴지도록 상기 로터리 삭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상기 수용홀이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설치홀에 수용되는 제1 턱부; 및
    상기 제1 턱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단턱을 이루며 상기 수용홀이 형성되는 제2 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홀은 상단부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턱부는 상기 설치홀의 단턱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이루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턱부는 상기 제1 턱부에서 내경이 확관되어 상기 C플레이트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이루는 링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C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수용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KR2020150002747U 2015-04-28 2015-04-28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KR200488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747U KR200488011Y1 (ko) 2015-04-28 2015-04-28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747U KR200488011Y1 (ko) 2015-04-28 2015-04-28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36U KR20160003836U (ko) 2016-11-07
KR200488011Y1 true KR200488011Y1 (ko) 2018-12-04

Family

ID=5748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747U KR200488011Y1 (ko) 2015-04-28 2015-04-28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01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7941A (en) 1990-04-26 1992-04-28 Gresham William J Kelly saver drive
WO2007106377A2 (en) * 2006-03-09 2007-09-20 Frank's International, Inc. Manipulatable spider componen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a vertically reciprocating control line guide
US20080066928A1 (en) 2003-09-19 2008-03-20 Thomas Allen K Jr Automatic false rotary
KR100925324B1 (ko) 2008-12-26 2009-11-04 주식회사 퍼팩트 악취차단 오수받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1344B2 (en) * 2007-07-10 2009-11-24 Frey Grant J Drill pipe wip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20130104168A (ko) * 2012-03-13 2013-09-25 김종득 개선된 구조의 맨홀뚜껑 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7941A (en) 1990-04-26 1992-04-28 Gresham William J Kelly saver drive
US20080066928A1 (en) 2003-09-19 2008-03-20 Thomas Allen K Jr Automatic false rotary
WO2007106377A2 (en) * 2006-03-09 2007-09-20 Frank's International, Inc. Manipulatable spider componen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a vertically reciprocating control line guide
KR100925324B1 (ko) 2008-12-26 2009-11-04 주식회사 퍼팩트 악취차단 오수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36U (ko)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594B2 (en) Jet perforating and cutting method
US9388649B2 (en) Offshore drilling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ffshore drilling
KR101484303B1 (ko) 수중 드릴링 장치 및 해저면 속으로 관형 기초 요소를 삽입하는 방법
US20130319684A1 (en) Friction reducing stabilizer
US9677352B2 (en) Chuck spider
KR101164086B1 (ko) 해저시추설비에서의 시추 작업 방법
KR200492496Y1 (ko) 드릴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KR200488011Y1 (ko) 로터리 삭용 설치 장비
KR20150144430A (ko) 드릴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KR101685763B1 (ko)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KR20160039053A (ko) 분출방지장치 운반 시스템
KR20160031680A (ko) 머드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144389A (ko) 가이딩 시스템
KR101945561B1 (ko) 가이딩 시스템
US9506306B2 (en) Casing filling tool
KR20160001924U (ko) 데릭구조
KR20170002004U (ko) 패스트라인 안정장치
US20150315851A1 (en) Centering control type drill system for offshore structure
KR20160082780A (ko) 디버터 하우징 폐쇄장치
US9920573B1 (en) Subterranean well drilling method
KR20150144388A (ko) 로프 풀리 시스템
KR20160000366U (ko) Bop 지지 장치
KR101897850B1 (ko) 드릴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KR20160006323A (ko) 머드 시스템
KR20140071765A (ko) 트롤리 레일 고정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