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787A -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787A
KR20160043787A KR1020140138436A KR20140138436A KR20160043787A KR 20160043787 A KR20160043787 A KR 20160043787A KR 1020140138436 A KR1020140138436 A KR 1020140138436A KR 20140138436 A KR20140138436 A KR 20140138436A KR 20160043787 A KR20160043787 A KR 20160043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stereolithography
resin composition
group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영
조승현
김현우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3787A/ko
Publication of KR20160043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7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5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further carboxylic moie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광라디컬 개시제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COMPOSITION FOR OPTICAL THREE-DIMENSIONAL MOLDING}
본 발명은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광라디컬 발생제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삼차원 CAD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상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입체적으로 광학 조형하는 방법이, 금형 등을 제작하지 않고도 목적으로 하는 입체 조형물을 양호한 치수 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어 널리 채용되고 있다.
광학적 입체 조형법의 대표적인 예로는, 용기에 넣은 액상 광경화성 수지의 액면에 원하는 패턴이 얻어지도록 컴퓨터로 제어된 자외선 레이저를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소정 두께를 경화시키고, 이어서 이 경화층 위에 1층분의 액상 수지를 공급하고, 마찬가지로 자외선 레이저로 상기와 같이 조사 경화시켜, 연속된 경화층을 얻는 적층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입체 조형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광학적 입체 조형 방법은 형상이 상당히 복잡한 조형물도 비교적 단시간에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광학적 입체 조형에 이용하는 수지 또는 수지 조성물의 조건으로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감도가 높을 것, 저점도로 조형시의 취급성이 우수할 것, 경시적으로 수분이나 습기의 흡수가 적어 경화 감도의 저하가 없을 것, 조형물의 해상도가 높아 조형 정밀도가 우수할 것, 경화시의 체적 수축률이 작을 것, 경화하여 얻어지는 조형물이 역학적 특성, 내수성이나 내습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것 등, 여러 특성이 요구된다.
광학적 조형용의 수지 조성물로는 종래, 아크릴레이트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에폭시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비닐에테르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이용되어 왔다. 이들 중에서, 에폭시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치수 정밀도가 우수한 조형물을 형성할 수 있어 최근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 등의 양이온 중합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적 입체 조형용 수지 조성물에 옥세탄 화합물을 배합하여 광경화 감도를 향상시키고, 그에 의해 조형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일본 특허공개 2004-217934호에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4-217934호
본 발명은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성분 중 하나로 금속입자를 사용함으로써, 경화시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의 감도 저하를 최소화시키며,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금속입자와 아졸기간의 킬레이팅 결합으로 인하여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광라디컬 발생제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및 금속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두 물질간의 킬레이팅 결합으로 인하여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광경화시, 점도 및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감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금속입자 표면의 부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광경화된 수지를 추후 공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광라디컬 발생제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탄화수소,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탄화수소, 3차 아민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상기 X는 산소 또는 하기 화학식 2이고,
상기 Y는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R3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지방족 탄화수소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화학식 5]
Figure pat00005
[화학식 6]
Figure pat00006

상기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가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금속 입자와 결합이 부족하여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향상 효과가 미비하게 나타나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이 적어져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1관능인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 2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 및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비극성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 극성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 및 그 이외의 기타 단관능 비닐 (메타) 아크릴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에 포함되는 비극성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이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t-부틸, (메타)아크릴산 펜틸, (메타)아크릴산 헥실,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데실, (메타)아크릴산 도데실, (메타)아크릴산 미리스틸, (메타)아크릴산 팔미틸 및 (메타)아크릴산 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에 포함되는 극성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부틸 및 (메타)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및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산 모노메틸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 모노에틸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 모노메틸 아미노프로필, 및 (메타)아크릴산 모노에틸 아미노프로필 등의 (메타)아크릴산 모노알킬 아미노알킬;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및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극성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에 포함되는 기타 단관능 비닐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아세트산비닐 및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
에틸렌, 프로필렌 및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류;
염화비닐 및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올레핀류;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프렌 등의 디올레핀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단량체; 및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등의 N,N-디알킬 치환 아크릴아미드;를 들 수 있다.
상기 기타 단관능 비닐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2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동일한 분자 내에 2개의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티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1,3-디아크릴옥시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의 비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테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의 (메타)아크릴산 개질물, 3-메틸펜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올트리사이클로데칸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올트리사이클로데칸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의 (메타)아크릴산 개질물을 들 수 있다.
상기 2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티롤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올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상기 폴리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시아누르산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잔량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라디컬 발생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및 벤조인에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피페로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및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및 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미다졸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알콕시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디알콕시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트리알콕시페닐)비이미다졸 및 4,4',5,5'-위치의 페닐기가 카보알콕시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이미다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및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벤조페논, 0-벤조일벤조산 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피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및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티오크산톤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및 1-클로로-4-프로폭시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인에테르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벤조인이소뷰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라디컬 발생제는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 로 포함된다. 상기 광라디컬 발생제가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감도의 저하로 제조 공정시간이 길어지고, 제조된 입체 조형물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감도는 증가되나, 가격적으로 고가인 개시제의 과량 사용에 의한 비용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광라디컬 발생제는 경화성 물질이 아니므로, 오히려 입체 조형물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금속입자는 동, 철,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은, 주석, 백금, 아연, 팔라듐, 이리듐, 티탄 및 탄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입자이다. 또한, 유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동, 철, 니켈, 코발트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입자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동을 포함하는 금속입자이다.
상기 금속입자는 금속의 형태이거나, 금속 산화물 등의 금속 화합물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입자는 1 내지 100μm의 수평균 입경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μm의 수평균 입경을 갖는다. 상기 금속입자의 수평균 입경이 1μm 미만이면 금속입자의 제고가 어려우며, 100μm를 초과하면 다단 적층성이 떨어져 소형의 입체 조형물을 제조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금속 입자는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금속 입자가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이 향상되지 않으며, 5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균일성 확보가 어려우며,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균일한 다층 구조물의 제작이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밖의 임의적 성분으로서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용매, 중합 금지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난연조제, 충전제, 안료 및 염료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을 조사하여 특정 부분을 경화시킨 후, 경화층 위에 다시 상기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적층하고 광경화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입체 형상의 조형물을 얻을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장치로 3차원 입체 조형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표면 전체 또는 예정된 패턴에 UV/vis 광원을 조사하여, 원하는 두께의 층을 조사된 영역에서 경화시키고,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새로운 층을 상기 경화된 층 위에 형성시킨다. 또한, 새로운 층을 표면 전체 또는 예정된 패턴에 UV/vis 광원을 조사하여 새롭게 경화된 층을 경화된 층 상부에 접착시킨다. 상기 동일한 과정으로 층 형성 및 광 조사를 하여 층을 순차적으로 형성 및 적층한다. 최종 적층이 완료된 3차원 입체 조형물의 표면에 부착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세정 또는 기타 기법에 의해 제거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3차원 입체 조형물은 UV 램프 광으로 조사 또는 가열되어 후 경화를 더 진행 시킬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수득된 3차원 입체 조형물은 굴곡 탄성율 및 내충격성 등 높은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금속 입자를 포함하여 입자 첨가에 따라 상기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와 금속입자 간의 킬레이팅 결합으로 인하여 상호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광경화하여 제조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은 기계적 강도가 강하며,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어 광경화 이후의 추가적인 공정 없이 전자장치 등의 부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아크릴계
단량체
아졸계
단량체-1
10 - - 10 5 - 10 -
아졸계
단량체-2
- 10 - - 5 - - -
아졸계
단량체-3
- - 10 - - - - -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
9 9 9 9 9 19 9 9
2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
50 50 50 50 50 60 60 50
3관능 이상
(메타)아크릴 단량체
20 20 20 20 20 20 20 30
광라디컬 발생제 1 1 1 1 1 1 1 1
금속입자 금속입자-1 10 10 10 - 5 - - 10
금속입자2 - - - 10 - - - -
금속 산화물
입자
- - - - 5 - - -
아졸계 단량체-1 : 화학식 3
Figure pat00007
아졸계 단량체-2 : 화학식 4
Figure pat00008
아졸계 단량체-3 : 화학식 5
Figure pat00009
단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 :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TCI사)
2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 :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의 (메트)아크릴산 개질물 (한농화학)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 단량체 :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TCI사)
광라디컬 발생제 : 디에톡시아세토페논(TCI사)
금속입자-1 : 수평균 입경이 45μm 미만인 irregular copper power (makin metal powders 사)
금속입자-2 : 수평균 입경이 25μm 미만인 tin power(makin metal powders 사)
금속산화물 입자 : 수평균 입경이 10μm 미만인 알루미늄옥사이드 power (시그마-알드리치사)
실험예 1. 입체 조형물의 내열 질량 감소율 및 열변형온도 측정
초고속 광조형 시스템 SOLIFORM 500B(Teijin Seiki Co., Ltd)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상기 각각의 조성물의 표면에서 1000mW(파장 355nm)의 레이저 출력 및 적산광량 150mJ/cm2의 조건 하에서 0.1mm층 두께로 광학적 입체 조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1. 내열 질량 감소율
상기 수득된 시편의 초기 질량을 측정하였다. 그 후, 상기 경화층을 150℃에서 1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경화층의 질량(내열 평가 후의 질량)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질량 감소율을 구하였다.
[수학식 1]
[{(초기질량-내열 평가 후 질량)/초기질량}X100]
2. 열변형 온도
상기 각각의 시편(JIS K-7171에 준거한 바 형상)에 HDT 테스터 3M-2(Toyo Seiki Seisaku-Sho, Ltd.)를 사용하여 0.45MPa의 하중을 가하고, JIS K-7207(B법)에 준거하여, 시편의 열변형 온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내열 질량 감소율 및 열변형 온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질량
감소율
1.3 1.2 1.5 1.4 1.5 4.3 4.1 2.1
열변형 온도(℃)
(0.45MPa부하)
63 65 61 64 62 51 52 59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실시예 1 내지 5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은 비교예 1 내지 3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에 비하여 질량 감소율이 월등히 작고, 열변형 온도가 높아 내열성이 우수한 3차원 입체 조형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입체 조형물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보다 질량 감소율 및 열변형 온도가 현저히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의 질량 감소율 및 열변형 온도는 비교예 1 및 2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지만,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하였을 때는 모두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은 열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측정
1. 인장 시험
상기 각각의 시편(JIS K-7113에 준거한 덤벨 형상)을 UTM 5567(INSTRON Corporation)를 사용하여 JIS K-7113에 따라 각각의 시편의 인장 강도 및 인장 탄성율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2. 아이조도 충격강도
상기 각각의 시편(JIS K-7110에 준거한 바 형상)을 아이조도 충격강도 측정기 DG-1B2(Toyo Seiki Seisaku-Sho, Ltd.)를 사용하여 각각의 시편의 아이조도 충격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인장 강도(MPa) 59 59 57 56 58 47 48 50
인장탄성률(MPa) 2930 2910 2890 2900 2850 2230 2370 2580
아이조도 충격강도(J/cm, notched) 51 50 49 50 50 39 40 44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실시예 1 내지 5의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은 높은 인장강도, 인장탄성률 및 아이조도 충격강도를 나타내어 강성 및 인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거나, 금속입자를 포함하지 않거나, 상기 두 물질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3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은 실시예 1 내지 5보다 낮은 인장강도, 인장 탄성률 및 아이조도 충격강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하여 낮은 강성 및 인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면, 상기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입체 조형물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험예 1 및 실험예 2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및 금속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열적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6)

  1.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광라디컬 발생제 및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0

    상기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탄화수소,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탄화수소, 3차 아민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지방족 탄화수소이고,
    상기 X는 산소 또는 하기 화학식 2이고,
    상기 Y는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1

    상기 R3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지방족 탄화수소이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3 내지 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12

    [화학식 4]
    Figure pat00013

    [화학식 5]
    Figure pat00014

    [화학식 6]
    Figure pat00015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입자는 동, 철,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은, 주석, 백금, 아연, 팔라듐, 이리듐, 티탄 및 탄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금속입자는 1 내지 100μm의 수평균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아졸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 1 내지 20 중량%, 광라디컬 발생제 0.1 내지 5 중량% 및 금속 입자 5 내지 50 중량% 및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잔량의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0140138436A 2014-10-14 2014-10-14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60043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36A KR20160043787A (ko) 2014-10-14 2014-10-14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436A KR20160043787A (ko) 2014-10-14 2014-10-14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787A true KR20160043787A (ko) 2016-04-22

Family

ID=5591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436A KR20160043787A (ko) 2014-10-14 2014-10-14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37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353A1 (ko) * 2017-11-24 2019-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필름
US11537046B2 (en) 2017-11-24 2022-12-27 Lg Chem, Ltd. Photoresist composition and photoresist film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353A1 (ko) * 2017-11-24 2019-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필름
US11537046B2 (en) 2017-11-24 2022-12-27 Lg Chem, Ltd. Photoresist composition and photoresist film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61037B1 (en) Resin composition
JP5210645B2 (ja) 光学的立体造形用樹脂組成物
JP2024511283A (ja) 物体の3d印刷のためのハイブリッド樹脂組成物
EP3418313A1 (en) Composition optical three-dimensional molding
KR20190142350A (ko) 광경화성 잉크젯용 잉크
KR20160043787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230134531A (ko) 인성 물체의 적층 제조를 위한 방사선 경화성 조성물
KR20160036872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60071724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JP2009203306A (ja) 光学的立体造形用樹脂組成物
KR20230148344A (ko) 코팅, 2d 물체 형성 및 3d 프린팅을 위한 광중합성 액체 및 에폭시 전구체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JP7279919B2 (ja) 光学的立体造形用組成物、並びに立体造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71725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60073002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60043792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JP7279942B2 (ja) 光学的立体造形用組成物、並びに立体造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46094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60043789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60043790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60047747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WO2000027895A1 (fr) Composition resineuse photopolymerisable et procede de formation de profile tridimensionnel
KR20160043788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EP4369098A1 (en) Resin composition
KR20160114904A (ko) 입체 조형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JP7199611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三次元光造形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