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617A -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617A
KR20160043617A KR1020140137855A KR20140137855A KR20160043617A KR 20160043617 A KR20160043617 A KR 20160043617A KR 1020140137855 A KR1020140137855 A KR 1020140137855A KR 20140137855 A KR20140137855 A KR 20140137855A KR 20160043617 A KR20160043617 A KR 2016004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splay device
advertisement
area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514B1 (ko
Inventor
장종혁
김길연
지정운
홍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514B1/ko
Priority to CN201580067663.8A priority patent/CN107111820B/zh
Priority to US14/881,674 priority patent/US10332147B2/en
Priority to EP15850689.9A priority patent/EP3207518A2/en
Priority to PCT/KR2015/010770 priority patent/WO2016060438A2/en
Publication of KR2016004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617A/ko
Priority to US16/410,682 priority patent/US1073362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2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for monitor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과 제1 페어링(pairing)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상기 제1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검색된 제1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제1 거리 및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연관되며,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연관된다.
상품 광고는 TV, 라디오, 인터넷 전광판, 신문, 잡지 등을 통해서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대형 할인매장들은 매장을 방문한 고객들에게 광고를 하기 위해 다수의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고객의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설치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매장에 대한 광고 운영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중앙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고 컨텐츠를 일방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고객의 요구사항 또는 관심사항과 관계 없이 일방적인 광고 컨텐츠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비효율적인 광고만을 노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관심있는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단말기가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광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맞춤형 광고 및 전자 바우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주변에 복수의 단말기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각각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과 제1 페어링(pairing)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상기 제1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검색된 제1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제1 거리 및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영역의 면적 및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형성한 단말 간의 거리 및 상기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페어링을 형성한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단말 간의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경우 및 상기 제2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이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보다 짧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단말 간의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경우 및 상기 제2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이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보다 긴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들과 각각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제공할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제공할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구매 성향 정보를 이용한 그룹핑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각 그룹에 대한 검색된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거리 및 상기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이 형성한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각 그룹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 인터페이스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한 응답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매 성향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구매 성향 및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제1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전자 바우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단말과 제1 페어링(pairing)을 형성하는 통신부;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제1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검색된 제1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광고 획득부;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제1 거리 및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영역의 면적 및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형성한 단말 간의 거리 및 상기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제2 페어링을 형성한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단말 간의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경우 및 상기 제2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이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보다 짧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단말 간의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경우 및 상기 제2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이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보다 긴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단말들과 각각 페어링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제공할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할당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과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구매 성향 정보를 이용한 그룹핑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각 그룹에 대한 검색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거리 및 상기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이 형성한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각 그룹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단말과 제1 페어링(pairing)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제1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검색된 제1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제1 거리 및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광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광고들을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에 할당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이해를 돕거나 및/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단말기(120), 광고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주변에 있는 단말기(120)와 관련 없이 공통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광고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주변에 있는 단말기(120)와 관련 있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단말기(120)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주변에 있는 단말기(12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특정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ting) 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광고 컨텐츠 또는 전자 바우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이외에 광고 서버(130)로부터 직접 광고 컨텐츠 또는 전자 바우처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20)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전화기(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및 복합무선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를 모두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또는 광고 서버(130)로부터 광고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전자 바우처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서버(130)는 광고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또는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광고 서버(130)는 각 단말기(120)의 사용자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는 별도의 외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저장부로 내장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및 메모리카드(Memory Card)를 모두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서버(13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포함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외부에서 구현되는 경우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120) 및 광고 서버(130)와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네트워크는 Wi-Fi(Wireless Fidelity), 홈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 HR WPAN(High 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WB(Ultra Wide Band), LR WPAN(Low 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IEEE 1394(Institue of Electrical and Eletronics Engineers 1394)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기본 광고 표시부와 사용자 맞춤형 광고 표시부를 분리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광고 표시부는 특정 사용자를 타겟으로 한 것이 아닌 공통 광고를 제공하고, 사용자 맞춤형 광고 표시부는 특정 사용자를 타겟으로 한 특정 광고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주변에 복수의 단말기(120)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화면을 통해 각 복수의 단말기(12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통신부(210), 광고 획득부(220), 제어부(230) 및 표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주변에 있는 복수의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각각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복수의 단말들 중 제1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간의 제1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특정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주변의 단말은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애드버타이징 메시지 내의 아이디를 구분할 수 있다. 주변의 단말은 단말의 아이디 및 단말의 정보를 통신부(210)로 송신함으로써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주변의 단말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제1 단말 간에 제1 페어링이 형성되면, 통신부(210)는 제1 단말의 아이디를 광고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광고 서버(130)는 제1 단말의 아이디를 전달받아, 제1 단말의 아이디에 대응하여 제1 구매 성향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구매 성향 정보는 제1 단말의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정보로 구축될 수 있고, 제1 단말의 사용자가 구매 활동을 하면서 누적된 데이터로 구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은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애드버타이징 메시지 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아이디를 구분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복수의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단말의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수신한 복수의 단말들의 아이디를 광고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광고 서버(130)는 복수의 단말들의 아이디를 전달받아, 복수의 단말들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구매 성향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광고 서버(130)는 검출된 구매 성향 정보를 기초하여 동일한 구매 성향을 가진 사용자들끼리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그룹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외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획득부(220)는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제1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130)로부터 검색된 제1 광고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매 성향 정보는 제1 단말의 사용자의 구매 상품, 구매 매장, 구매 시기, 상기 구매 상품의 결제 방법 및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획득부(220)는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구매 성향 정보를 이용한 그룹핑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130)로부터 각 그룹에 대한 검색된 광고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제1 거리 및 제1 페어링 시간에 기초하여 제1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제1 거리는 제1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간의 거리이다. 여기서, 복수의 영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화면 영역이 복수 개로 분할된 영역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영역의 면적 및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페어링을 형성한 단말 간의 거리 및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영역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주변에 있는 단말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주변에 있는 단말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거리"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단말 간에 형성된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주변을 머문다면, 광고 제공이 완료되기 전에 단말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제공하는 광고를 볼 수가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단말이 형성한 페어링 시간을 고려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디바이스에 광고가 표시되는 동안, 복수의 영역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단말의 거리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제1 단말 간의 거리를 제1 거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2 단말 간의 거리를 제2 거리라고 할 수 있다. 제1 단말의 사용자를 타겟으로 제공하는 영역은 제1 영역, 제2 단말의 사용자를 타겟으로 제공하는 영역은 제2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복수의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거리가 제2 거리보다 짧다면, 제1 영역의 면적을 제2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가까운 단말의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복수의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거리가 제2 거리보다 길다면, 제1 영역의 면적을 제2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먼 단말의 사용자에게도 광고 컨텐츠를 잘 보이게 하여 효율적으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광고를 개시하기 전에, 복수의 영역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단말의 거리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광고를 제시하는 부분의 면적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거리에 기초하여 제공할 광고의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광고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단말이 형성한 페어링 시간을 고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페어링 시간이 일정 시간 이하인 단말을 제외하고, 페어링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단말을 타겟으로 하여 복수의 영역의 개수 및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30)는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제공할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복수의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간의 거리" 및 "각 대표 단말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와 형성한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40)는 제1 영역에 제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40)는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제공할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할당된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의 사용자를 위한 제1 광고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제1 영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제1 광고 컨텐츠가 "A 브랜드의 카메라"에 대한 것이라면, 제1 단말의 사용자는 화면의 제1 영역에서 "A 브랜드의 카메라에 대한 모델"을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제1 컨텐츠를 보면서 선택할 사항이 있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을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40)는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한 컨텐츠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광고 컨텐츠 및 제1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전자 바우처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화면에서는 "카메라와 관련된 광고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단말로 "카메라와 관련된 전자 바우처"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와 관련된 전자 바우처" 는 카메라와 관련된 할인 전자 스탬프 또는 전자 쿠폰 등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제1 단말 간의 거리"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제1 단말이 형성한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제1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전자 바우처를 제1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중앙 연산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통신부(210), 광고 획득부(220), 제어부(230) 및 표시부(24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연산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이나 응용들이 설명되는데, 상기 통신부, 광고 획득부, 제어부 및 표시부 중 어느 구성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통상의 구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구성의 명칭이나 물리적/논리적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광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예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화면을 복수 개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화면으로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화면은 다양한 면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화면 중 가장 큰 영역(310)에는 공통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공통 광고는 특정 단말을 타겟으로 한 광고가 아닌 모든 단말을 상대로 한 광고일 수 있다. 나머지 영역들(320, 330 및 340)에는 각 단말들을 고려한 맞춤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화면 중 가장 큰 영역(310)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거리가 가장 가깝거나 페어링 시간이 가장 긴 단말을 타겟으로 한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화면은 광고가 개시되기 전에 분할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주변의 단말들을 감지하여 제공할 광고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결정된 광고의 개수를 고려하여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은 동일한 면적을 갖는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감지된 주변의 단말들에 대한 각 거리를 고려하여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거리는 감지된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간의 거리이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가장 짧은 거리에 있는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 컨텐츠를 가장 큰 면적을 갖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고,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 컨텐츠를 가장 작은 면적을 갖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화면은 광고가 제공되는 동안 광고가 되는 영역의 면적이 리사이징될 수 있다. 즉,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간의 상태를 고려하여, 광고가 되는 영역의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거리를 제1 거리, 제2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거리를 제2 거리, 제3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거리를 제3 거리라고 할 수 있다. 광고가 개시될 때, 거리의 길이가 제1 거리, 제2 거리, 제3 거리 순 짧으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단말에 제공할 제1 광고 컨텐츠를 영역(320)으로, 제2 단말에 제공할 제2 광고 컨텐츠를 영역(330)으로, 제3 단말에 제공할 제3 광고 컨텐츠를 영역(340)으로 표시할 수 있다.
광고가 제공되는 동안, 각 거리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단말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멀어져서 제1 거리가 가장 짧게 변경되었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영역(330)의 면적을 크게 조절하고, 영역(320)의 면적을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영역(320) 및 영역(330)의 면적이 조절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영역(340)은 영역(320)의 면적이 작게 조절되면서 남은 면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하는 광고를 자발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광고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필요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장치의 화면에서 터치가 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단말에서 직접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320)에는 휴대폰의 광고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휴대폰 광고를 보면서, 세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영역(320)을 터치함으로써, 휴대폰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에 대응한 응답 컨텐츠를 영역(3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41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단말과 제1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특정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주변의 제1 단말은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애드버타이징 메시지 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아이디를 구분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단말의 아이디 및 단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광고 서버(130)로부터 검색된 제1 광고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광고 서버(130)는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제1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광고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서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내부에 내장된 저장 매체일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독립된 장치일 수 있다. 광고 컨텐츠는 동영상,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매 성향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구매 상품, 구매 매장, 구매 시기, 상기 구매 상품의 결제 방법 및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제1 구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매장에서 구매 활동을 하면서 데이터가 광고 서버(130)에 누적되어 구축이 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제1 구매 성향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인터넷 사이트에 가입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구축될 수 있다. 광고 서버(130)는 인터넷 사이트의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단말의 아이디를 획득하고, 획득된 아이디를 광고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광고 서버(130)는 획득된 아이디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구매 성향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광고 서버(130)는 사용자의 구매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검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 컨텐츠를 광고 서버(13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광고 컨텐츠를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간의 제1 거리 및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영역의 면적 및 개수는 광고 컨텐츠가 개시되기 전에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의 면적 및 복수의 영역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페어링을 형성한 단말 간의 거리" 및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광고 컨텐츠를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할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제2 단말 사이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제2 단말 사이의 관계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제2 단말 간의 제2 거리"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제2 단말 간에 지속된 페어링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제2 단말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제1 광고 컨텐츠를 제1 영역으로 할당하는 과정은 도 5에서 설명한다.
단계 44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광고 컨텐츠를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광고 컨텐츠 및 제1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전자 바우처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광고들을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에 할당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대해 각각 제1 페어링 및 제2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각 단말의 사용자의 구매 성향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13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단말에 제공할 제1 광고 컨텐츠 및 제2 단말에 제공할 제2 광고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고, 제2 광고 컨텐츠를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간의 제1 거리 및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제1 광고 컨텐츠를 제1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2 단말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간의 제2 거리 및 제2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제2 광고 컨텐츠를 제2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51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거리와 제2 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 제1 거리가 제2 거리보다 긴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단계 520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짧은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단계 53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페어링 시간과 제2 페어링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제1 페어링 시간이 제2 페어링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 다음 단계는 단계 540으로 수행되며, 긴 경우에는 단계 560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페어링 시간과 제2 페어링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제1 페어링 시간이 제2 페어링 시간보다 긴 경우에 다음 단계는 단계 550으로 수행되며, 짧은 경우에는 단계 560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2 영역을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1 영역을 제2 영역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단계 56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거리와 페어링 시간에 가중치를 고려하여 각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영역의 면적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리의 비중을 페어링 시간의 비중보다 작게 설정하면, 제1 거리와 제2 거리의 차이가 작더라도, 제1 페어링 시간이 제2 페어링 시간보다 길다면 제1 영역을 제2 영역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화면에서 복수의 영역을 할당하기 위한 예시 단계를 설명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일부 단계가 추가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거리가 제1 거리보다 긴 경우 및 제2 페어링 시간이 제1 페어링 시간 보다 짧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2 컨텐츠를 제1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짧은 경우 및 제2 페어링 시간이 제1 페어링 시간 보다 긴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제2 컨텐츠를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큰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단말들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각 단말의 사용자를 그룹핑을 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61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단말들과 각각 페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특정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은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애드버타이징 메시지 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아이디를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단말에 대한 아이디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수신한 복수의 단말들의 아이디를 광고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페어링을 형성한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그룹핑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구매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핑할 수 있다. 구매 성향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각각에 대한 구매 상품, 구매 매장, 구매 시기, 상기 구매 상품의 결제 방법 및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을 설정할 수 있다. 대표 단말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기준은 그룹 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가장 가까운 단말을 대표 단말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64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각 그룹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광고 서버(13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각 대표 단말의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65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각 그룹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에 할당하고,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간의 거리" 및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이 형성한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700)는 사용자 입력부(710), 사용자 알림부(720), 화면 표시부(730), 제어부(740) 및 통신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기(7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기(7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710)는 키보드나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알림부(720)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단말기(700)의 진동이나 알람 소리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70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제1 광고 컨텐츠 또는 제1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전자 바우처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알림부(720)는 진동 또는 알람 소리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표시부(730)는 화면에 광고 컨텐츠 또는 전자 바우처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740)는 광고 컨텐츠나 전자 바우처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75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입력부(710)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7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블루투스로 구성된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7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블루투스로 접속할 수 있다. 단말기(700)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는 사용자 입력부(810), 화면 표시부(820), 단말 관리부(830), 제어부(840) 및 통신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8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1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화면 표시부(820)는 화면에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단말의 사용자의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광고 컨텐츠를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관리부(8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 주변의 단말들의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고, 거리에 따라 단말들을 정렬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840)는 단말 관리부(830)와 연동하여 화면 표시부(820)에 사용자 광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850)는 특정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 주변의 단말은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애드버타이징 메시지 내의 아이디를 구분할 수 있다. 주변의 단말은 단말의 아이디 및 단말의 정보를 통신부(85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850)는 주변의 단말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8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의 단말 및 광고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서버(900)는 컨텐츠 저장부(910), 컨텐츠 추천부(920), 사용자 정보 저장부(930), 사용자 정보 수집부(940), 제어부(950), 연동부(960) 및 통신부(9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광고 서버(9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광고 서버(9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저장부(910)는 광고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부(920)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930)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저장부(910)의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부(920)는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의 종류 및 디스플레이 타입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리사이징을 수행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 저장부(930)는 사용자별로 광고 컨텐츠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의 터치 입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정보는 세부적인 광고 요소로 판단되어, 사용자 정보 저장부(930)는 사용자별로 고객 등급 및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 수집부(94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 저장부(9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 저장부(9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950)는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를 복수의 광고들 중에서 검출할 수 있다. 연동부(960)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서, 외부의 장치의 데이터와 연동할 수 있다. 연동부(96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97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20)가 최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발견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 접속하여 광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1010에서,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서 송신하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스캔할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단말기(120)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스캔한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발견하고,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로부터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단말기(120)는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였다면, 단계 1031에서, 단말기(120)는 제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1에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2 동작은 도 11의 단계 1140에서 단계 1170까지의 동작이다.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단계 1040에서,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 블루투스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1050에서,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 단말기(120)의 아이디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20)의 아이디는 블루투스 디바이스 맥 주소(Mac Address)가 될 수 있다. 광고 서버(130)는 기기별 맥 주소에 대한 사용자의 아이디를 저장 관리함으로써, 해당 단말기(120)의 사용자를 알 수 있다. 이 경우, 최초 맥 주소와 사용자의 아이디를 매핑하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맥 주소 대신에 광고 서버(130)에서 발행한 임의의 아이디를 단말기(120)에 저장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블루투스 통신단에서의 개인 사생활의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20)는 맥 주소나 임의의 아이디 대신에, 실제 단말기(120)의 사용자의 멤버쉽 아이디 또는 이름 등이 바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통하여 광고 서버(130)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1060에서,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단말기(120)에 대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단계 1070에서, 단말기(120)는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20)는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통신 연결을 종료하더라도, 다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스캔하게 되면, 단계 1010부터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가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2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일정 범위 안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게 단말기(120)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화면에 맞춤형 광고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1110에서,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서 송신하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스캔할 수 있다.
단계 1120에서, 단말기(120)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스캔한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를 발견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1130에서, 단말기(120)는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단계 1131에서, 단말기(120)는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에서 설명하였다. 여기서 제1 동작은 도 10의 단계 1040에서 단계 1070까지의 동작이다.
단계 1140에서, 단말기(120)가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였다면,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문턱값(threshold value)보다 큰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스캔하게 되면, 단계 1110부터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150에서, 단말기(120)의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문턱값보다 큰 경우,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 블루투스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1160에서,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접속하여 단말기(120)의 아이디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전송받은 단말기(120)에 해당하는 맞춤형 광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렌더링할 수 있다.
단계 1170에서,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단말기(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통신 연결을 종료하더라도, 다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스캔하게 되면, 단계 1110부터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121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블루투스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주변의 복수의 단말기(120)들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단말기(120)의 접속 요청을 대기할 수 있다.
단계 12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블루투스 애드버타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20)로부터 블루투스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23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단말기(120)로 블루투스 연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124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단말기(120)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단말 관리부에서 등록된 단말기(12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리스트를 확인하여 단말 관리부에서 이미 등록된 단말기(120)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1250에서, 관리되는 단말기(120)가 아닌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단말 아이디를 저장하고, 단말 관리부의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단계 126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단말의 아이디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127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단말의 아이디에 따른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128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290에서, 관리되는 단말기(120)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화면에 맞춤형 광고가 표시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1291에서, 화면에 맞춤형 광고가 표시되고 있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단말기(120)로 블루투스 연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1292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단말기(120)의 사용자에 대한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130)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고, 화면의 광고 구획을 할당할 수 있다.
단계 1293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화면에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과 제1 페어링(pairing)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상기 제1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검색된 제1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제1 거리 및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의 면적 및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형성한 단말 간의 거리 및 상기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2 페어링을 형성한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단말 간의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경우 및 상기 제2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이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보다 짧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단말 간의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경우 및 상기 제2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이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보다 긴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들과 각각 페어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제공할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제공할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구매 성향 정보를 이용한 그룹핑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각 그룹에 대한 검색된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거리 및 상기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이 형성한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각 그룹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 인터페이스로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한 응답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매 성향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구매 상품, 구매 매장, 구매 시기, 상기 구매 상품의 결제 방법 및 관심 분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컨텐츠 및 상기 제1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전자 바우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12.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단말과 제1 페어링(pairing)을 형성하는 통신부;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제1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검색된 제1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광고 획득부;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제1 거리 및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의 면적 및 상기 복수의 영역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형성한 단말 간의 거리 및 상기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페어링을 형성한 제2 단말에 대응하는 제2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2 영역으로 할당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단말 간의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경우 및 상기 제2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이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보다 짧은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단말 간의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경우 및 상기 제2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이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보다 긴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제1 영역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영역으로 할당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단말들과 각각 페어링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제공할 복수의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할당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구매 성향 정보를 이용한 그룹핑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로부터 각 그룹에 대한 검색된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거리 및 상기 각 그룹에 대한 대표 단말이 형성한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각 그룹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하나의 영역으로 할당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단말과 제1 페어링(pairing)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의 제1 구매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검색된 제1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제1 거리 및 상기 제1 페어링이 지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광고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40137855A 2014-10-13 2014-10-13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78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855A KR102378514B1 (ko) 2014-10-13 2014-10-13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N201580067663.8A CN107111820B (zh) 2014-10-13 2015-10-13 用于提供广告内容的方法和装置
US14/881,674 US10332147B2 (en) 2014-10-13 2015-10-1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EP15850689.9A EP3207518A2 (en) 2014-10-13 2015-10-1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PCT/KR2015/010770 WO2016060438A2 (en) 2014-10-13 2015-10-1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US16/410,682 US10733627B2 (en) 2014-10-13 2019-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855A KR102378514B1 (ko) 2014-10-13 2014-10-13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617A true KR20160043617A (ko) 2016-04-22
KR102378514B1 KR102378514B1 (ko) 2022-03-24

Family

ID=5565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855A KR102378514B1 (ko) 2014-10-13 2014-10-13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332147B2 (ko)
EP (1) EP3207518A2 (ko)
KR (1) KR102378514B1 (ko)
CN (1) CN107111820B (ko)
WO (1) WO201606043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43846T3 (es) * 2016-10-05 2023-06-16 Biolase Inc Sistema y método dental
CN106534678B (zh) * 2016-10-28 2020-06-09 潍坊恩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6572300B (zh) * 2016-10-31 2020-03-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拍摄显示的方法、移动终端和智能设备
US11297451B2 (en) 2017-09-18 2022-04-05 Sonova Ag Pairing infor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9064277B (zh) * 2018-07-25 2022-05-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商品展示方法及装置
CN109242554A (zh) * 2018-08-24 2019-01-18 深圳艺达文化传媒有限公司 电梯广告的切换方法及相关产品
CN111698644B (zh) * 2019-03-15 2021-09-17 上海碧虎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对手机定位的多媒体移动跟随系统和方法
CN110221700B (zh) * 2019-06-20 2021-03-30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虚拟货架展示系统
CN112068961A (zh) * 2020-09-11 2020-12-11 北京车行一六八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资源的分配方法、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0887A (ja) * 2008-03-05 2009-09-17 Nec Corp 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30033667A (ko) * 2011-09-27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03748A (ko) * 2010-10-07 2013-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3369A1 (en) * 2002-02-26 2003-08-28 Dane Arr Electronic advertising display and public internet access system
WO2005015362A2 (en) 2003-08-06 2005-02-17 Innovid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optimizing media programming in public spaces
EP1534023B1 (en) 2003-11-24 2006-06-21 Alcatel A method for displaying of content
JP4521812B2 (ja) * 2004-09-13 2010-08-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広告表示システムおよび広告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080108308A1 (en) * 2006-09-14 2008-05-08 Shah Ullah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mobile device specific identifiers and short-distance wireless protocols to manage, secure and target content
WO2009126165A1 (en) * 2008-04-11 2009-10-15 T-Mobile Usa, Inc. Digital picture frame having communication capabilities
KR100988506B1 (ko) 2008-07-29 2010-10-18 (주)쓰리디미디어솔루션코리아 오프라인 매장에서 쌍방향 광고방법과 광고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광고장치
US8284061B1 (en) * 2010-04-12 2012-10-09 Diegane Dione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bi-directionally
KR101511311B1 (ko) * 2010-09-09 2015-04-13 주식회사 케이티 셋탑박스 제어 기록 및 콘텐츠 검색 기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06057B1 (ko) 2010-10-26 2012-01-1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위치기반의 광고 로컬존을 통한 크로스 미디어 연계형 광고 콘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US11037196B2 (en) 2012-02-24 2021-06-15 Netclearance Systems, Inc. Interactive advertising using proximity events
AU2013204921A1 (en) * 2012-05-31 2013-12-19 Astaricks Group Pty Ltd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US10008016B2 (en) * 2012-09-05 2018-06-26 Facebook, Inc. Proximity-based image rendering
KR101741592B1 (ko) * 2013-03-13 2017-05-30 인텔 코포레이션 위치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4139058A1 (en) * 2013-03-15 2014-09-18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personalized content
KR102111457B1 (ko) * 2013-05-15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50084838A1 (en) * 2013-09-23 2015-03-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ublic Signage
US9225857B2 (en) * 2014-02-28 2015-12-29 Ricoh Company, Ltd. Digital signage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0887A (ja) * 2008-03-05 2009-09-17 Nec Corp 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30103748A (ko) * 2010-10-07 2013-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30033667A (ko) * 2011-09-27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7518A4 (en) 2017-08-23
WO2016060438A2 (en) 2016-04-21
US10733627B2 (en) 2020-08-04
WO2016060438A3 (en) 2017-05-04
US20190266636A1 (en) 2019-08-29
CN107111820B (zh) 2021-02-05
KR102378514B1 (ko) 2022-03-24
US10332147B2 (en) 2019-06-25
US20160104194A1 (en) 2016-04-14
EP3207518A2 (en) 2017-08-23
CN107111820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3617A (ko)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665508B2 (en) Beacon-based media network
US10991004B2 (en) Utilizing population density to facilitate providing offers
US10235714B2 (en) Customized virtual reality user environment control
JP5877837B2 (ja) 表示管理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286646B (zh) 消息推送方法、装置及系统
CN105938478B (zh) 内容提供系统的内容提供方法及电子设备
WO20150172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ching augmented reality target data at user devices
AU2021277746A1 (en) Beacon based campaign management
US20170078844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97802B1 (ko) 공식계정을 관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2015097016A (ja) ユーザ情報提供装置、ユーザ情報提供方法、ユーザ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配信システム
JP6334286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
US20180158106A1 (en) Method for managing indoor beacon-based communication
KR101573312B1 (ko) 클라우드 앨범을 이용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JP6994602B2 (ja) 広告制御装置、及び広告制御システム
US10395265B2 (en) Crowd sourcing coupon redemption information
US107136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based cross channel commerce and marketing
JP6749985B2 (ja) 決定装置、決定方法及び決定プログラム
JP2018156621A (ja) 決定プログラム、決定方法、及び決定装置
JP66958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ユーザ端末、コンテンツ取得方法及びコンテンツ取得プログラム
JP6905839B2 (ja) 決定装置、決定方法、及び決定プログラム
JP6208390B1 (ja) 決定プログラム、決定方法、及び決定装置
JP2015118414A (ja) 配信システムおよび配信方法
US202301003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