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568A -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568A
KR20160043568A KR1020140137451A KR20140137451A KR20160043568A KR 20160043568 A KR20160043568 A KR 20160043568A KR 1020140137451 A KR1020140137451 A KR 1020140137451A KR 20140137451 A KR20140137451 A KR 20140137451A KR 20160043568 A KR20160043568 A KR 20160043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carrier storage
raw material
carrier
dioxid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305B1 (ko
Inventor
김종락
Original Assignee
(주)푸르고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르고팜 filed Critical (주)푸르고팜
Priority to KR1020140137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305B1/ko
Priority to US14/797,382 priority patent/US20160101978A1/en
Publication of KR2016004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non-organic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8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air treatin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01Chlorine; Hydrogen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01Chlorine; Hydrogen chloride
    • C01B7/017Preparation of hydrogen chloride by reacting together chlorine, water and carbon or carbon monoxide (the carbon not acting only as cataly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이산화염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혼합되어 상기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을 각각 저장하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지니는 이산화염소 생성부; 및 상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는 담체를 저장하는 담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ClO2 E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 악화에 따라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호흡기 질환과 같은 질병이 증가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사스와 유사한 메르스에 인체가 감염되어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독감 바이러스 등에 의한 피해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하여 그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나 이와 같은 수동적인 예방조치만으로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적극적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을 막을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출원특허 10-2011-0095118 (공개일 : 2013년 3월 29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사용 시점을 조절할 수 있고 이산화염소의 방출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이산화염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혼합되어 상기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을 각각 저장하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지니는 이산화염소 생성부; 및 상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는 담체를 저장하는 담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담체는 실리카 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의 누출을 막고 상기 이산화염소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담체 저장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에 인접한 일측과, 상기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지며, 상기 담체 저장부의 타측과 인접한 상기 바디 영역을 통하여 상기 이산화염소가 상기 바디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담체 저장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에 인접한 일측과, 상기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지며, 상기 담체 저장부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에 상기 이산화염소의 통과가 가능한 투과 홀이 형성되거나, 상기 담체 저장부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상기 이산화염소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와 상기 담체 저장부 사이의 상기 이산화염소가 상기 바디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 및 상기 담체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교체 가능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 및 상기 담체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를 위한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바디가 휘어짐으로써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연통되어 상기 제1 원료물질과 상기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는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물질 저장부와,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물질 저장부와,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2 물질 저장부의 일측을 향하여 돌출된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니들이 상기 제2 물질 저장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힘을 전달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바디의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홀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담체 저장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에 인접한 일측과, 상기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지며, 상기 일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유입 속도보다 상기 타측으로 유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유출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바디에 외력을 가하여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사용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이산화염소가 담체를 지나게 함으로써 이산화염소의 방출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이산화염소 생성부의 시간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이산화염소 생성부와 담체 저장부의 시간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량을 나타낸다.
도 5, 도 8 및 도 9는 교체 가능한 이산화염소 생성부 및 담체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바디(110),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이산화염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바디(110)의 재질은 다양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10)의 재질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산화염소 생성부(120)는 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지닌다. 제1 공간과 제2 공간은 각각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며,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되어 이산화염소가 생성된다.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 중 하나는 아염소산나트륨(NaClO2)이고, 다른 하나는 산성기 공급 물질일 수 있다. 아염소산나트륨이 Na+와 ClO2 -로 분해될 때 산성기 공급 물질은 ClO2 -의 전자를 잃게 하여 ClO2를 형성시킨다.
또한 산성기 공급 물질은 물과 같은 용매에 산성기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산성기 공급 물질은 염산과 같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구연산(C6H8O7), 초산(CH3COOH), 젖산(CH3CHOHCO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연산, 초산, 젖산과 같은 산성기 공급 물질은 약산성 물질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취급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구하기 쉽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는 제1 물질 저장부(121)와 제2 물질 저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물질 저장부(121)와 제2 물질 저장부(123)는 각각 제1 공간과 제2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물질 저장부(123)는 제1 물질 저장부(1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물질 저장부(12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접히거나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물질 저장부(123)는 유리와 같은 딱딱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바디(110)에 힘을 가하면, 제1 물질 저장부(121) 내부의 제2 물질 저장부(123)가 깨지거나 부러지면서 제1 물질 저장부(121)와 제2 물질 저장부(123)가 연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섞임에 따라 이산화염소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바디(110)에 힘을 가하여 제2 물질 저장부(123)를 깨뜨리거나 부러뜨리기 위하여 바디(110)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하여 바디(110)가 휘어짐으로써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연통되어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담체 저장부(130)는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는 담체(131)를 저장한다. 담체(131)는 실리카 겔, 지올라이트 및 맥반석 가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131)는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으며, 담체 저장부(130)로 유입되는 이산화염소의 유입 속도보다 담체 저장부(130)로부터 유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유출 속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담체 저장부(130)가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에 인접한 일측과,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질 경우, 담체 저장부(130)는 상기 일측으로 유입되는 이산화염소의 유입 속도보다 상기 타측으로 유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유출 속도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2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의 시간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와 담체 저장부(130)의 시간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량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되면, 이산화염소의 생성에 따라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이산화염소의 방출 속도가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산화염소의 방출 속도가 커짐에 따라 이산화염소 방출량이 최대(P1)가 된 후 급격하게 방출량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가 짧은 시간 내에 이산화염소를 다량 방출하더라도 담체 저장부(130)의 담체(131)가 이산화염소를 흡착하므로 담체 저장부(130)의 단위 시간당 이산화염소 방출량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담체(131)의 흡착이 포화된 후 담체(131)는 방출된 양만큼 이산화염소 생성부(120)로부터 공급된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으므로 담체 저장부(130)는 단위 시간당 이산화염소 방출량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의 사용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에 외력을 가하여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됨으로써 이산화염소가 생성되므로 사용자는 이산화염소의 생성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 생성부(120)가 이산화염소를 빠르게 다량 방출하더라도 담체 저장부(130)에 의하여 이산화염소의 방출 속도가 조절되고 일정 속도로 이산화염소가 장시간 동안 방출되므로 사용자는 오랫동안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에 의하여 생성된 이산화염소는 담체 저장부(130)를 통과해야 하므로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의 누출을 막고 이산화염소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 저장부(130)와 인접한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의 일측(125)은 이산화염소를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일측(125) 이외의 영역은 이산화염소의 투과를 막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의 일측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나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와 같이 이산화염소를 투과시키고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의 누출을 막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이산화염소 생성부(120)는 이산화염소,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의 누출을 막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담체 저장부(130)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에 인접한 일측과,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지며, 담체 저장부(130)의 타측과 인접한 바디(110) 영역을 통하여 이산화염소가 바디(11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와 담체 저장부(130)가 이산화염소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산화염소는 담체 저장부(130)를 통과해야 하므로 담체 저장부(130)의 일측을 통하여 이산화염소가 유입되고 담체 저장부(130)의 타측을 통하여 이산화염소가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체 저장부(130)의 타측과 인접한 바디(110) 영역을 통하여 이산화염소가 바디(11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 때 담체 저장부(130)는 LDPE나 LLDPE와 같이 이산화염소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담체 저장부(130)의 표면에 투과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담체 저장부(130)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에 인접한 일측과,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지며, 담체 저장부(130)의 일측과 타측에 이산화염소의 통과가 가능한 투과 홀이 형성되거나, 담체 저장부(130)의 일측과 타측은 이산화염소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와 담체 저장부(130)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와 담체 저장부(130)가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에서 담체 저장부(130)로 이동한 후 바디(110)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이산화염소가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와 담체 저장부(130) 사이의 바디(110) 영역(A)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된다면 바디(110)를 통과하는 이산화염소의 방출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의 경우, 바디(110)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와 담체 저장부(130) 사이의 이산화염소가 바디(11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교체 가능하다. 이 때 바디(110)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를 위한 개구부(111)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가 더 이상 이산화염소를 생성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는 지퍼 백(zipper bag) 스타일의 바디(110)를 조작하여 바디(110)의 개구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바디(110) 내부의 이산화염소 생성부(120)를 개구부(111)를 통하여 바디(110) 외부로 꺼내고 새로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를 바디(110) 내부로 넣은 후 개구부(111)를 닫을 수 있다.
도 5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의 교체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110)의 개구부(111)를 통하여 담체 저장부(130)의 교체 역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이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사용자의 옷 등에 꽂을 수 있는 클립(113)이 구비된 필기구 형상을 지닐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바디(110),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이산화염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제1 원료물질, 제2 원료물질, 제1 물질 저장부(121) 및 제2 물질 저장부(123)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사용자가 바디(110)에 힘을 가하면, 바디(110)가 휘어지면서 제2 물질 저장부(123)가 깨지거나 부러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섞임에 따라 이산화염소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담체 저장부(130)에 대해서는 앞서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에 의하여 생성된 이산화염소는 담체 저장부(130)를 통과해야 하므로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의 누출을 막고 이산화염소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 저장부(130)와 인접한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의 일측은 이산화염소를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일측 이외의 영역은 이산화염소의 투과를 막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이산화염소 생성부(120)는 이산화염소,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의 누출을 막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담체 저장부(130)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에 인접한 일측과,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지며, 담체 저장부(130)의 타측과 인접한 바디(110) 영역을 통하여 이산화염소가 바디(11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담체 저장부(130)는 LDPE나 LLDPE와 같이 이산화염소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담체 저장부(130)의 표면에 투과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와 담체 저장부(130)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와 담체 저장부(130)가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의 바디(11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와 담체 저장부(130) 사이의 이산화염소가 바디(11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교체 가능하다. 이 때 바디(110)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를 위한 개구부(111)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10)는 제1 부분 바디(115)와 제2 부분 바디(11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부분 바디(115)와 제2 부분 바디(117)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부분 바디(115)와 제2 부분 바디(117)의 끝단에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디(110)를 제1 부분 바디(115)와 제2 부분 바디(117)로 분해한 후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를 개구부(111)를 통하여 바디(110) 외부로 꺼내고 새로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를 제1 부분 바디(115) 및 제2 부분 바디(117)의 내부로 넣은 후 제1 부분 바디(115)와 제2 부분 바디(117)를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바디(110),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이산화염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은 앞서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산화염소 생성부(120)는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물질 저장부(121)와, 제1 물질 저장부(121)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물질 저장부(123)와, 제1 물질 저장부(121)의 내측면에 제2 물질 저장부(123)의 일측을 향하여 돌출된 니들(niddle)(119)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디(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니들(119)이 제2 물질 저장부(123)로 이동하도록 하는 힘을 전달하는 누름부(PP)를 포함할 수 있으며, 누름부(PP)는 바디(110)의 가이드 홀(GH)을 관통하여 가이드 홀(GH)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누름부(PP)를 누르면, 니들(119)이 제2 물질 저장부(123)를 관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되어 이산화염소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담체 저장부(130)에 대해서는 앞서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에 의하여 생성된 이산화염소는 담체 저장부(130)를 통과해야 하므로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의 누출을 막고 이산화염소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 저장부(130)와 인접한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의 일측은 이산화염소를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일측 이외의 영역은 이산화염소의 투과를 막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이산화염소 생성부(120)는 이산화염소, 제1 원료물질 및 제2 원료물질의 누출을 막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담체 저장부(130)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에 인접한 일측과,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지며, 담체 저장부(130)의 타측과 인접한 바디(110) 영역을 통하여 이산화염소가 바디(11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담체 저장부(130)는 LDPE나 LLDPE와 같이 이산화염소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담체 저장부(130)의 표면에 투과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의 바디(11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산화염소 생성부(120)와 담체 저장부(130) 사이의 이산화염소가 바디(11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교체 가능하다. 이 때 바디(110)는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를 위한 개구부(111)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10)는 제1 부분 바디(115)와 제2 부분 바디(11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부분 바디(115)와 제2 부분 바디(117)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부분 바디(115)와 제2 부분 바디(117)의 끝단에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디(110)를 제1 부분 바디(115)와 제2 부분 바디(117)로 분해한 후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를 개구부(111)를 통하여 바디(110) 외부로 꺼내고 새로운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및 담체 저장부(130)를 제1 부분 바디(115) 및 제2 부분 바디(117)의 내부로 넣은 후 제1 부분 바디(115)와 제2 부분 바디(117)를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됨으로써 바이러스나 세균이 사용자의 몸에 침투하기 전에 바이러스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에 끈이나 목걸이(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를 목에 걸고 다니면, 사용자 주변에 이산화염소가 방출되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는 클립(113)을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를 옷 등에 부착하면, 사용자 주변에 이산화염소가 방출되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제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바디(110)
개구부(111)
클립(113)
제1 부분 바디(115)
제2 부분 바디(117)
니들(119)
누름부(PP)
가이드 홀(GH)
이산화염소 생성부(120)
제1 물질 저장부(121)
제2 물질 저장부(123)
담체 저장부(130)
담체(131)

Claims (10)

  1. 이산화염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서로 혼합되어 상기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을 각각 저장하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지니는 이산화염소 생성부; 및
    상기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는 담체를 저장하는 담체 저장부
    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실리카 겔, 지올라이트 및 맥반석 가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의 누출을 막고 상기 이산화염소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저장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에 인접한 일측과, 상기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지며,
    상기 담체 저장부의 타측과 인접한 상기 바디 영역을 통하여 상기 이산화염소가 상기 바디의 외부로 방출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저장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에 인접한 일측과, 상기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지며,
    상기 담체 저장부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에 상기 이산화염소의 통과가 가능한 투과 홀이 형성되거나,
    상기 담체 저장부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상기 이산화염소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와 상기 담체 저장부 사이의 상기 이산화염소가 상기 바디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 및 상기 담체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교체 가능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 및 상기 담체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를 위한 개구부를 갖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바디가 휘어짐으로써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연통되어 상기 제1 원료물질과 상기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는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물질 저장부와,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물질 저장부와,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2 물질 저장부의 일측을 향하여 돌출된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니들이 상기 제2 물질 저장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힘을 전달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바디의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홀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저장부는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부에 인접한 일측과, 상기 일측 맞은 편의 타측을 가지며,
    상기 일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유입 속도보다 상기 타측으로 유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유출 속도보다 작게 하는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KR1020140137451A 2014-10-13 2014-10-13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KR101680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451A KR101680305B1 (ko) 2014-10-13 2014-10-13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US14/797,382 US20160101978A1 (en) 2014-10-13 2015-07-13 ClO2 EMISSION APPARATUS AND ClO2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451A KR101680305B1 (ko) 2014-10-13 2014-10-13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568A true KR20160043568A (ko) 2016-04-22
KR101680305B1 KR101680305B1 (ko) 2016-12-07

Family

ID=5565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451A KR101680305B1 (ko) 2014-10-13 2014-10-13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01978A1 (ko)
KR (1) KR101680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798A1 (ko) * 2019-06-24 2020-12-30 주식회사 이노푸스 동력원 없는 감압 방식 원료 공급 및 반응으로 폭발 위험성을 제거한 이산화염소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WO2021162171A1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클로바이오 이산화염소 방출 스티커의 제조방법 및 이산화염소 방출 스티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324A1 (ja) * 2018-10-01 2020-04-09 大幸薬品株式会社 二酸化塩素発生装置
CN113197374A (zh) * 2020-02-02 2021-08-03 青岛安龙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灭菌新型防护口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194A (ko) * 2002-04-29 2002-06-26 (주)에스케이 아쿠아테크 이산화염소의 장기 보존 및 미량 서방형 발생 장치 및제조 방법
KR20110095118A (ko) 2010-02-18 2011-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11230956A (ja) * 2010-04-27 2011-11-17 Taiko Pharmaceutical Co Ltd スティック状の二酸化塩素発生装置
KR20130027998A (ko) * 2011-09-08 2013-03-18 기요히로 와케 항균제 파우치
KR20140035345A (ko) * 2011-03-23 2014-03-21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4492A (en) * 1953-12-23 1958-12-16 Bjorksten Res Lab Inc Body of polymerizable material containing catalyst and carrier
US4330531A (en) * 1976-03-26 1982-05-18 Howard Alliger Germ-killing materials
US5352191A (en) * 1991-10-25 1994-10-04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Transfusion device
US9334098B1 (en) * 2004-03-26 2016-05-10 Kenneth D. Hughes Reactive materials packaging
US20130136685A1 (en) * 2011-11-25 2013-05-30 Juan Carlos Baselli Portable Chlorie Dioxide Gen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194A (ko) * 2002-04-29 2002-06-26 (주)에스케이 아쿠아테크 이산화염소의 장기 보존 및 미량 서방형 발생 장치 및제조 방법
KR20110095118A (ko) 2010-02-18 2011-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11230956A (ja) * 2010-04-27 2011-11-17 Taiko Pharmaceutical Co Ltd スティック状の二酸化塩素発生装置
KR20140035345A (ko) * 2011-03-23 2014-03-21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20130027998A (ko) * 2011-09-08 2013-03-18 기요히로 와케 항균제 파우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798A1 (ko) * 2019-06-24 2020-12-30 주식회사 이노푸스 동력원 없는 감압 방식 원료 공급 및 반응으로 폭발 위험성을 제거한 이산화염소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WO2021162171A1 (ko) * 2020-02-11 2021-08-19 주식회사 클로바이오 이산화염소 방출 스티커의 제조방법 및 이산화염소 방출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01978A1 (en) 2016-04-14
KR101680305B1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305B1 (ko) 이산화염소 방출 장치
KR101688058B1 (ko)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PH12019501235A1 (en) Combination vaporizer
CN102905569A (zh) 一种模拟香烟
US9198460B2 (en) Device for treating a smoking article
RU2015120461A (ru) Фильтр для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ES2687352T3 (es)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con sistema de rotura para un recipiente
MX2009011444A (es) Titulacion del tapentadol.
WO2013068973A3 (en) Apparatus for the disinfection/sterilization and cleaning of banknotes
PL128722U1 (pl) Mobilne urządzenie terapeutyczno-dezynfekujące
UY27398A1 (es) Procedimiento para la unión por soldadura por medio del propio material de cápsulas de uso medicinal por inhalación y aparato para efectuar la unión por soldadura.
IN2015DN03318A (ko)
CO2017012860A2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tampón
JP3154859U (ja) 耐細菌性・耐ウイルス性のマスク
KR20200093761A (ko) 마스크용 방향 조립체
JP6660620B2 (ja) 歯漂白装置
CN103764194A (zh) 阴道冲洗器
JP2018533439A5 (ko)
ITPG20040015A1 (it) Camera di miscelazione per applicazione di un agente disinfettante tramite vapore e relativo dispositivo igienizzante
KR101710828B1 (ko) 음이온발생부가 구비된 이어폰
JP5584883B1 (ja) マスク及びマスク用機能補強具
CN105705249A (zh) 芳香兼用喷雾器
US20220296763A1 (en) Personal Reusable Microdiffuser
JP5539580B1 (ja) マスク及びマスク用機能補強具
WO2015030088A1 (ja) マスク及びマスク用機能補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