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988A - 2경로 보일러 구조를 갖는 관류 증기 발생기 - Google Patents

2경로 보일러 구조를 갖는 관류 증기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988A
KR20160041988A KR1020167005854A KR20167005854A KR20160041988A KR 20160041988 A KR20160041988 A KR 20160041988A KR 1020167005854 A KR1020167005854 A KR 1020167005854A KR 20167005854 A KR20167005854 A KR 20167005854A KR 20160041988 A KR20160041988 A KR 20160041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steam generator
wall
heating surface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1372B1 (ko
Inventor
요아힘 브로데써
마르틴 엡퍼르트
토비아스 슐체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4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1/0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 F22B21/34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grouped in panel form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i.e. radiation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1/0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 F22B21/34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grouped in panel form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i.e. radiation boilers
    • F22B21/341Vertical radiation boilers with combustion in the lower part
    • F22B21/343Vertical radiation boilers with combustion in the lower part the vertical radiation combustion chamber being connected at its upper part to a sidewards convection chamber
    • F22B21/345Vertical radiation boilers with combustion in the lower part the vertical radiation combustion chamber being connected at its upper part to a sidewards convection chamber with a tube bundle between an upper and a lower drum in the convection p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9/00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29/06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once-through type, i.e. built-up from tubes receiving water at one end and delivering superheated steam at the other end of th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9/00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29/06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once-through type, i.e. built-up from tubes receiving water at one end and delivering superheated steam at the other end of the tubes
    • F22B29/061Construction of tube walls
    • F22B29/062Construction of tube walls involving vertically-disposed wate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및 상부 연소실 영역(11, 12)을 구비하고 실제로 직사각형 단면의 연소실(1)과, 연도 가스 측에서 연소실(1) 하류에 연결된 수평 가스 경로(2)를 구비한 관류 증기 발생기에 관한 것이며, 관류 증기 발생기의 기밀식 및 기체 투과식 외함벽(S, F, R, N, G)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서로 용접되고 유동 매체가 관류 가능한 증기 발생기 도관(10)으로 구성되며, 집수기(31 내지 40)가, 병렬 연결된 증기 발생기 도관 그룹이 외함벽(S, F, R, N, G)의 가열면 세그먼트(H1 내지 H10)를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증기 발생기 도관과 연결된다. 제1 통로 집수기(31, 33, 34)는, 하부 연소실 영역(11)으로부터, 두 개의 병렬 제1 외함벽의 제1 가열면 세그먼트(H1, H2)로부터의 유동 매체가 상부 연소실 영역(12)으로부터, 제1 외함벽에 대해 수직인 제2 외함벽의 제2 가열면 세그먼트(H9, H10)로부터의 유동 매체와 혼합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연결된다.

Description

2경로 보일러 구조를 갖는 관류 증기 발생기{CONTINUOUS FLOW STEAM GENERATOR WITH A TWO-PASS BOILER DESIGN}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관류 증기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실제로 직사각형 단면의 연소실과, 연도 가스 측에서 연소실 하류에 연결되고 다른 수직 가스 경로가 연결될 수 있는 수평 가스 경로를 구비한 발전소용 관류 증기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2경로 보일러로도 표시되는 이러한 유형의 구조는 예를 들어 EP 2 182 278 A1에 공지되어 있다. 서로 용접되고 유동 매체가 관류 가능한 증기 발생기 도관은 관류 증기 발생기의 기밀식 외함벽(enclosure wall) 및 기체 투과식 격자벽을 형성한다. 이에 상응하게 배열되고 증기 발생기 도관과 연결된 집수기(collector)는 외함벽의 병렬 연결된 증기 발생기 도관 그룹으로 이루어진 여러 가열면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기본적으로, 관류 증기 발생기의 증기 발생기 도관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직 또는 직립으로 그리고/또는 나사 형태 또는 나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관류 증기 발생기가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DE 10 2010 038 885 A1에는 단일 경로 보일러 또는 타워 보일러(tower boiler)로서 표시되는 수직 배관식 관류 증기 발생기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외함벽의 배관은, 통로 집수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하부 및 상부 섹션으로 분할된다. 통로 집수기는 다른 조치 없이, 증기 발생기 도관들 사이에서 완전한 압력 보상을 발생시키거나, 단지 유동 매체의 완전한 혼합만 발생시킨다. 하부 섹션 내의 증기 발생기 도관의 유출 온도 또는 유출 엔탈피의 차이는 통로 집수기 내에서 단지 부분적으로 보상되며, 따라서, 부분적으로 미혼합되어 상부 섹션 내의 증기 발생기 도관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상부 섹션의 증기 발생기 도관 내에 가열 불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증기 발생기 도관 내의 유동 매체의 국부적인 온도 편차가 외함벽 내에서 더 강화되어, 경우에 따라 허용되지 않은 높은 값에 도달할 수 있다. 온도값이 재료의 스케일 온도를 초과하거나, 높은 온도값으로 인해 허용되지 않은 높은 재료 응력이 발생할 경우, 발전소의 안전한 운전을 위해 방지되어야 하는 외함벽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DE 10 2010 038 885 A1에는 상부 섹션 내에 병렬식 증기 발생기 도관을 구비한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를 위해, 이러한 증기 발생기 도관을 위한 설계 파라미터를, 증기 발생기 도관 내에서 평균 질량 유량 밀도가 증기 발생기의 전부하 시에 1200kg/m2s보다 낮지 않도록 선택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나 이에 의해 달성되는 유동 분배의 균일성 및 상부 수평 배관 내의 정체의 방지는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13CrMo45(T12)와 같은 통상적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도록 국부적인 온도 불균형을 감소시키는 조치로서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합금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특히 상부 섹션의 외함벽을 위해 재료 7CrWVMoNb9-6 (T23) 또는 7CrMoVTiB10-10 (T24)이 언급되거나 사용되며, 이러한 재료에서, 관류 증기 발생기 및 전체 발전소의 안전한 작동을 위해, 용접 연결부의 신뢰성 및 내구성에 대해 특히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단점을 극복하는 관류 증기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관류 증기 발생기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도 가스 측에서 연소실 하류에 연결된 수평 가스 경로를 구비한 2경로 보일러로서의 관류 증기 발생기를 위해, 증기 발생기 도관의 신규 방식의 연결이 제안된다. 통상, 이러한 2경로 보일러에서 상부 연소실 영역 내에 전방벽, 후방벽 및 측벽의 증기 발생기 도관이 병렬로 연결된다. 후방벽의 증기 발생기 도관은 예를 들어 후방벽 면 상에 분배되며, 그 일 부분은 수평 가스 경로의 노즈 및 바닥을, 그리고 수평 가스 경로의 종단부에서 격자부를 형성하고, 그 다른 부분은 노즈 후방에서 가열되지 않고 연장되어, 더 위쪽에서 연소실로부터 수평 가스 경로로의 전환부에 격자부를 형성한다. 신규 방식의 연결 시에, 제1 집수기는, 하부 연소실 영역으로부터, 두 개의 병렬 제1 외함벽의 제1 가열면 세그먼트로부터의, 증기 발생기 도관을 관류하는 유동 매체가 제1 외함벽에 대해 수직인 제2 외함벽의 제2 가열면 세그먼트로부터의 유동 매체에 혼합될 수 있어서, 유동 질량 밀도의 증가 그리고 온도의 균일성이 달성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연결된다.
제2 외함벽이 후방벽과 노즈와 격자부로 구성된 상부 연소실 영역의 후방벽 조립체 및 전방벽일 경우에, 그리고, 제1 외함벽이 하부 연소실 영역의 두 개의 측벽일 경우에, 도관 냉각을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상부 전방벽 및 후방벽 조립체를 위한 질량 유량이 명확히 증가하는데, 그 이유는 하부 전방벽 및 후방벽의 질량 유량에 추가로 두 개의 하부 측벽의 혼합된 질량 유량이 상기 외함벽들에 제공되기 때문이다. 더 큰 질량 유량에 의해 전방벽 및 후방벽 조립체의 가열면 세그먼트의 증기 발생기 도관 내의 질량 유량 밀도가 증가됨으로써, 외함벽의 냉각이 개선된다. 또한, 가열면 세그먼트에 공급된 열이 유동 매체의 더 큰 질량 유량으로 인해 더 낮은 온도 상승을 유도한다. 이로써, 통상 매우 높은 열 흡수를 포함하는 상부 연소실 영역 내의 외함벽에서, 특히 2경로 보일러의 전방벽에서, 더 높은 질량 유량 밀도에 의해 유입 온도의 균일성이 달성되어, 작동 안정성이 명확히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제2 통로 집수기 및 하나 이상의 선홈통(down pipe)은, 유동 매체가 상부 연소실 영역의 제2 외함벽으로부터 상부 연소실 영역의 외함벽의 제3 가열면 세그먼트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전방벽의 유출부에서 그리고 수평 가스 경로의 단부의 격자부의 유출부에서, 유동 매체가 상응하는 집수기에 수집되고, 두 개의 선홈통을 통해 두 개의 상부 측벽의 각각에, 연소실 유출 격자부에 그리고 수평 가스 경로의 측벽에 각각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에, 제1 집수기는, 유동 매체가 하부 연소실 영역으로부터, 제1 외함벽의 모서리 벽 영역으로 구성된 가열면 세그먼트로부터 상부 연소실 영역의 제2 외함벽의 중간벽 영역으로 공급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혼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하부 측벽의 유출부에서, 주변 영역의 더 냉각된 유동 매체가 상부 전방벽 또는 후방벽의 더 가열된 중간 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측벽 중앙으로부터의 더 가열된 유동 매체는 전방벽 또는 후방벽의 주변 영역의 더 냉각된 구역으로 혼합된다. 혼합을 통해, 유동 매체의 온도의 균일성이 달성된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도관 냉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질량 유량이 특히 상부 전방벽 및 후방벽에 대해 명확히 증가될 수 있다. 더 큰 질량 유량에 의해, 증기 발생기 도관 내의 질량 유량 밀도가 증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냉각이 개선된다. 또한, 두 개의 벽에 공급된 열은 유동 매체의 더 큰 질량 유량으로 인해 더 적은 온도 상승을 유도한다. 선홈통 내에서 전방벽 및 후방벽의 유출 집수기의 유동 하류에서 그리고 수평 가스 경로의 격자부의 유동 하류에서, 완전한 혼합이 가정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상부 측벽의 유입부에서, 상류에 있는 가열면으로부터의 온도 불균형이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그 유출부에서, 가열면 내의 가열 불균형을 고려하여, 평균 유입 온도가 전방벽 및 후방벽에 흡수된 열을 통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증기 발생기 도관의 통상적인 연결에 비해 더 적은 최대 유출 온도가 형성된다.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류 증기 발생기의 가능한 실시예의 측면도가 개략 도시된다.
관류 증기 발생기는 하부 연소실 영역(11) 및 상부 연소실 영역(12)을 구비한 연소실(1)을 포함하며, 상부 연소실 영역(12)에는 수평 가스 경로(2)가 연결된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수직 가스 경로가 수평 가스 경로에 연결될 수 있다. 액체, 고체 또는 기체 형태의 연료를 연소실(1) 내에서 연소시키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버너가 하부 연소실 영역(11) 내에 제공된다. 연소를 통해 발생한 연도 가스가 상부 연소실 영역(12) 및 그곳으로부터 수평 가스 경로(2)로 유동한다. 연소실 및 수평 가스 경로(2)의 외함벽은 서로 기밀식으로 용접된 증기 발생기 도관(10)으로 구성되며, 이 증기 발생기 도관으로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펌프에 의해 유동 매체 -통상 물- 가 펌핑되며, 이러한 유동 매체는 버너에 의해 생성된 연도 가스에 의해 가열된다. 하부 연소실 영역(11) 내에서 증기 발생기 도관(10)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수직 또는 직립으로 그리고/또는 나사 형태 또는 나선 형태로 정렬될 수 있다. 더욱이, 나선 형태 배열 시에, 비교적 더 높은 구조 비용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병렬 연결된 증기 발생기 도관들 사이에서 형성된 가열 편차는 전적으로 수직인 배관식 연소실(1)에서보다 더 작다. 또한, 도시된 관류 증기 발생기는 연도 가스 안내의 개선을 위해, 후방벽(R)의 증기 발생기 도관으로 구성되고 연소실 내로 돌출된 노즈(N)를 포함한다. 연소실 벽의 증기 발생기 도관은 증발기 도관으로 구성된다. 유동 매체가 증발기 도관 내에서 증발되며, 연소실의 상부 단부의 유출부 집수기(32, 36, 40)를 통해 물 분리 시스템(5)으로 공급된다. 물 분리 시스템(5) 내에서는 아직 증발되지 않은 물이 수집되어 방출된다. 이는, 특히 기동 작동 시에, 증기 발생기 도관의 확실한 냉각을 위해, 도관 통과 시에 증발될 수 있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유동 매체가 펌핑되어야 할 경우에 필요하다. 이렇게 생성된 증기는, 여기서 관류 증기 발생기의 커버를 형성하는, 하류에 연결되는 과열기 도관(7)의 유입부 집수기(6) 내로 안내된다.
하부 연소실(11)로부터 상부 연소실(12)로의 전환 영역 내에 통상 배열되고 연결되고 통로 집수기로서 구성된 집수기는 하부 및 상부 연소실 영역(11, 12)의 증기 발생기 도관들 사이의 분리 위치를 형성한다. 정확히 이 부분이 본 발명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 위치에서 제1 집수기(31, 33, 34)는, 하부 연소실 영역(11)의 제1 외함벽으로서의 두 개의 병렬 측벽(S)의 제1 가열면 세그먼트(H1, H2)로부터의 유동 매체가 제2 외함벽으로서의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전방벽 및 후방벽(F, R)의 제2 가열면 세그먼트(H9, H10)로부터의 유동 매체와 혼합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부 연소실 영역(12) 내에서, 제1 집수기(31) 상부에서 후방벽(R)의 배관은 접합부 없이, 노즈(N)로서 구성된 영역 내로, 그리고, 수평 가스 경로(2)의 출력부에서 연결된 격자부(G)로 전환되어, 공동으로 후방벽 조립체의 가열면 세그먼트(H10)를 형성한다. 이는, 하부 연소실 영역(11)의 가열면 세그먼트(H7, H8)로부터 유출되는 유동 매체가 상부 연소실 영역(12) 내에서, 하부 연소실 영역(11)의 측면 가열면 세그먼트(H1, H2)로부터의 추가의 유동 매체와 혼합되어, 상부 연소실 영역(12) 내에서는, 전방벽 및 R, N, G로 구성된 후방벽 조립체의 가열면 세그먼트(H9, H10) 내에서 유동 매체의 질량 유량이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발전소의 연소실이 직사각형 단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방벽 및 후방벽 또는 후방벽 조립체가 평행 측벽에 대해 직교로 배열된다. 이 벽들은 다른 커버 벽 및 측벽 함께, 연도 가스 측 하류에 연결된 수평 가스 경로 및 연소실의 외함벽을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방벽(F) 및 격자부(G)의 유출부에서 유출부 집수기로서 구성된 집수기(35, 37)가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상부 단부에 제공되며, 평행 측벽(S)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각각의 선홈통(4)과 연결됨으로써, 유동 매체가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제2 외함벽(F)의 제2 가열면 세그먼트(H9), 후방벽(R)의 "H10", 노즈(N) 및 수평 가스 경로(2)의 격자부(G)로부터,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측면 외함벽(S)의 제3 가열면 세그먼트(H3 내지 H5)로 공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수평 가스 경로(2)의 측면 외함벽의 제4 가열면 세그먼트(H6)로 공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집수기(36')를 통해, 상부 연소실 영역(12)과 수평 가스 경로(2) 사이의 전환부 내에 배열된 연소실 유출 격자부(ZG)로 공급될 수 있다. 유동 매체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기 가열면 세그먼트를 관류하여, 집수기(32, 36, 40)에 수집되고, 물 분리 시스템(5)으로 공급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열면 세그먼트(H1)의 증기 발생기 도관(10)은 하부 연소실 영역(11)의 모서리 벽 영역으로부터 통로 집수기(31, 33)를 통해,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전방 측 외함벽 및 후방 측 외함벽 조립체의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중간 벽 영역으로 구성된 가열면 세그먼트와 연결된다. 이에 상응하게, 가열면 세그먼트(H2)의 증기 발생기 도관(10)은 하부 연소실 영역(11)의 중간 벽 영역으로부터 통로 집수기(31, 34)를 통해, 전방 측 외함벽 및 상부 후방벽의 모서리 벽 영역으로 구성된 가열면 세그먼트와 연결된다. 전방벽(F) 및 후방벽, 또는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후방벽(R)의 부분과 노즈(N)와 격자부(G)로 구성된 후방벽 조립체의 세그먼트화는 측면도로 인해 볼 수 없으나, 상응하는 가열면 세그먼트에서 도시된 측벽의 세그먼트화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외함벽의 냉각과 관련된, 그리고 상부 연소실 영역(12) 내의 온도 불균형과 관련된 증기 발생기 도관과 집수기의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시에 장점이 형성된다. 더 높은 질량 유량 밀도는 내부 열 전달을 개선한다. 하류에 연결된 노즈, 수평 가스 경로 바닥 및 격자부를 구비한 전방벽 및 후방벽 내의 더 낮은 열 확산은 더 낮은 유출 온도를 형성한다. 또한, 상부 전방벽 및 후방벽의 유입부에서 측벽으로부터의 유동 매체의 목표한 혼합의 양호한 효과가 형성된다. 상부 연소실 영역(12) 내의 측벽에 대해서도 이러한 연결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유동 매체가 유입부에서 완전히 혼합되어, 온도 불균형이 유입부 집수기에서 더 이상 가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2경로 보일러로서 구성된 관류 증기 발생기의 연소실의 증기 발생기 도관들의 본 발명에 따른 연결은, 하부 측벽 유출부 집수기와 상부 전방벽 및 후방벽 그리고 상부 측벽의 유입부에서의 추가의 집수기 사이의 도관에 대한 추가의 구조적 소모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연결을 통해, 재료(T23, T24)의 사용 및 처리 시에 이와 관련된 어려움이 전반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을 통해, 관류 증기 발생기 또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로서 구성된 관류 증기 발생기도 600℃ 내지 700℃의 범위 내의 더 높은 생증기 작동 온도로 작동되어야 하는 발전소의 운전 상태도 가능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유동 매체의 국부적인 혼합에 작용하는 가열면 세그먼트의 모든 연결 방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동 매체가 하부 연소실 영역(11)으로부터 전방벽 및 후방벽(F, R)의 가열면 세그먼트로부터, 상부 연소실 영역(12)으로부터 측벽(S)의 가열면 세그먼트로 혼합되는 배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Claims (6)

  1. 하부 및 상부 연소실 영역(11, 12)을 구비하고 실제로 직사각형 단면의 연소실(1)과, 연도 가스 측에서 연소실(1) 하류에 연결된 수평 가스 경로(2)를 구비한 관류 증기 발생기이며,
    관류 증기 발생기의 기밀식 및 기체 투과식 외함벽(S, F, R, N, G)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서로 용접되고 유동 매체가 관류 가능한 증기 발생기 도관(10)으로 구성되며, 집수기(31 내지 40)가, 병렬 연결된 증기 발생기 도관 그룹이 외함벽(S, F, R, N, G)의 가열면 세그먼트(H1 내지 H10)를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증기 발생기 도관과 연결되는 관류 증기 발생기에 있어서,
    제1 통로 집수기(31, 33, 34)는, 하부 연소실 영역(11)으로부터, 두 개의 병렬 제1 외함벽의 제1 가열면 세그먼트(H1, H2)로부터의 유동 매체가 상부 연소실 영역(12)으로부터, 제1 외함벽에 대해 수직인 제2 외함벽의 제2 가열면 세그먼트(H9 내지 H10)로부터의 유동 매체와 혼합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증기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외함벽은 후방벽(R)의 일부와 노즈(N)와 격자부(G)로 구성된,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후방벽 조립체 및 전방벽(F)이며, 제1 외함벽은 하부 연소실 영역(11)의 두 개의 측벽(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증기 발생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집수기(35, 37) 및 하나 이상의 선홈통(4)은, 유동 매체가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제2 외함벽의 제2 가열면 세그먼트(H9, H10)로부터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제1 외함벽의 제3 가열면 세그먼트(H3 내지 H5)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증기 발생기.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선홈통(4)을 통해, 유동 매체가 수평 가스 경로(2)의 측면 외함벽의 제4 가열면 세그먼트(H6)로 공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부 연소실 영역(12)과 수평 가스 경로(2) 사이의 전환부 내에 배열된 연소실 유출 격자부(ZG)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증기 발생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집수기(31, 33, 34)들은, 유동 매체가 하부 연소실 영역(11)으로부터, 제1 외함벽의 모서리 벽 영역으로 구성된 가열면 세그먼트로부터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제2 외함벽의 중간 벽 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혼합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증기 발생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집수기(31, 33, 34)들은, 유동 매체가 하부 연소실 영역(11)으로부터, 제1 외함벽의 중간 벽 영역으로 구성된 가열면 세그먼트로부터 상부 연소실 영역(12)의 제2 외함벽의 모서리 벽 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혼합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류 증기 발생기.
KR1020167005854A 2013-08-06 2014-07-25 2경로 보일러 구조를 갖는 관류 증기 발생기 KR101841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15457.7 2013-08-06
DE102013215457.7A DE102013215457A1 (de) 2013-08-06 2013-08-06 Durchlaufdampferzeuger in Zweizugkesselbauweise
PCT/EP2014/066062 WO2015018667A1 (de) 2013-08-06 2014-07-25 Durchlaufdampferzeuger in zweizugkesselbauwe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988A true KR20160041988A (ko) 2016-04-18
KR101841372B1 KR101841372B1 (ko) 2018-03-22

Family

ID=5126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854A KR101841372B1 (ko) 2013-08-06 2014-07-25 2경로 보일러 구조를 갖는 관류 증기 발생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71105B2 (ko)
EP (1) EP3014177B1 (ko)
JP (1) JP6203958B2 (ko)
KR (1) KR101841372B1 (ko)
CN (1) CN105473939B (ko)
DE (1) DE102013215457A1 (ko)
DK (1) DK3014177T3 (ko)
PL (1) PL3014177T3 (ko)
WO (1) WO2015018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5819B2 (en) * 2016-04-05 2019-09-17 The Babcock & Wilcox Company High temperature sub-critical boiler with common steam cooled wall between furnace and convection pass
US10429062B2 (en) * 2016-04-05 2019-10-0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High temperature sub-critical boiler with steam cooled upper furnace
EP3461472B2 (de) * 2017-10-02 2023-12-27 Peter Greven Physioderm GmbH Sensitives haut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reinigungswirku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2514A (en) * 1959-10-07 1963-09-03 Combustion Eng High capacity, high temperature vapor generator
US3245385A (en) * 1963-08-07 1966-04-12 Babcock & Wilcox Co Forced flow vapor generating unit
US3927646A (en) * 1965-04-13 1975-12-23 Babcock & Wilcox Co Vapor generator
US3280799A (en) * 1965-08-26 1966-10-25 Combustion Eng Fluid heater support arrangement
US3307524A (en) * 1965-09-16 1967-03-07 Combustion Eng Fluid heater support
US3368535A (en) * 1965-12-20 1968-02-13 Combustion Eng Vapor generator construction
US3358650A (en) * 1965-12-27 1967-12-19 Combustion Eng Water cooled furnace joint for mixing header arrangement
US3434460A (en) * 1966-11-30 1969-03-25 Combustion Eng Multicircuit recirculation system for vapor generating power plant
US3548788A (en) 1969-01-23 1970-12-22 Foster Wheeler Corp Once-through vapor generator with division wall
US3545409A (en) * 1969-05-07 1970-12-08 Babcock & Wilcox Co Offset mix tubes
US3665893A (en) * 1970-12-29 1972-05-30 Babcock & Wilcox Co Vapor generator tube arrangement
US3983903A (en) * 1974-12-23 1976-10-05 Combustion Engineering, Inc. Multiple orifice assembly
DE2557427A1 (de) * 1975-12-19 1977-06-30 Kraftwerk Union Ag Schaltung einer feuerraumnase bei einem durchlaufkessel mit gasdicht verschweissten waenden in zweizugbauweise
EP0308728B1 (de) * 1987-09-21 1991-06-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US5560322A (en) 1994-08-11 1996-10-01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Continuous vertical-to-angular tube transitions
JPH08327006A (ja) 1995-05-31 1996-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超臨界圧変圧貫流ボイラ
JPH08327007A (ja) 1995-06-01 1996-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超臨界圧変圧貫流ボイラ
DE19717158C2 (de) * 1997-04-23 1999-11-11 Siemens Ag Durchlaufdampferzeuger und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KR100444497B1 (ko) * 1997-05-09 2004-08-16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연속 증기 발생기
DE19914761C1 (de) * 1999-03-31 2000-09-28 Siemens Ag Fossilbeheizter Durchlaufdampferzeuger
US7878157B2 (en) * 2004-09-23 2011-0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Fossil-fuel heated continuous steam generator
CN101981373A (zh) * 2008-03-27 2011-02-23 阿尔斯托姆科技有限公司 带有均衡室的连续蒸汽发生器
EP2180250A1 (de) * 2008-09-09 2010-04-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EP2182278A1 (de) * 2008-09-09 2010-05-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EP2180251A1 (de) * 2008-09-09 2010-04-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EP2213936A1 (de) * 2008-11-10 2010-08-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DE102010038885B4 (de) 2010-08-04 2017-01-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Zwangdurchlaufdampferzeu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014177T3 (en) 2017-08-28
EP3014177A1 (de) 2016-05-04
KR101841372B1 (ko) 2018-03-22
US20160178188A1 (en) 2016-06-23
JP6203958B2 (ja) 2017-09-27
EP3014177B1 (de) 2017-05-17
CN105473939A (zh) 2016-04-06
CN105473939B (zh) 2017-07-28
US9671105B2 (en) 2017-06-06
DE102013215457A1 (de) 2015-02-12
PL3014177T3 (pl) 2017-12-29
JP2016529467A (ja) 2016-09-23
WO2015018667A1 (de)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237933B1 (pl) Kocioł wieżowy wyposażony w główny przegrzewacz międzystopniowy i pomocniczy przegrzewacz międzystopniowy oraz proces zachodzący w kotle wieżowym
US9267678B2 (en) Continuous steam generator
KR101841372B1 (ko) 2경로 보일러 구조를 갖는 관류 증기 발생기
CA2754667A1 (en) Continuous evaporator
JP5225469B2 (ja) 貫流ボイラ
AU2009290944B2 (en) Continuous steam generator
KR100776423B1 (ko) 화석 연료로 가열되는 증기 발생기
JPS5943681B2 (ja) 傾斜分岐式水管ボイラ
JP3652988B2 (ja) 化石燃料ボイラ
CN103727519A (zh) 一种防止省煤器受热面低温腐蚀的装置
CN103154611B (zh) 强制直流锅炉
CN103052848B (zh) 强制直流锅炉
AU2009312906B2 (en) Continuous steam generator
CN205299490U (zh) 超或超超临界循环流化床锅炉水冷壁系统
CA2546375A1 (en) Continuous steam generator
EA034013B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