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887A -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 Google Patents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887A
KR20160041887A KR1020160040936A KR20160040936A KR20160041887A KR 20160041887 A KR20160041887 A KR 20160041887A KR 1020160040936 A KR1020160040936 A KR 1020160040936A KR 20160040936 A KR20160040936 A KR 20160040936A KR 20160041887 A KR20160041887 A KR 20160041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ground
mandrel
conductive high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770B1 (ko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7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1Earthing arrangements, e.g. earthing ro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주(200)에 접지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170)이 연결되는 단자연결부(120)가 결합될 수 있게 내부에 통공(111)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접지심봉(110)과, 상기 접지심봉(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펠트부재(140)와, 상기 펠트부재(140)의 외주면에 감아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150)를 포함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에 있어서, 상기 접지심봉(110)의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심봉(110)의 통공(111)을 통해 내부에 흡습부재(160)가 삽입되며, 상기 흡습부재(160)에 흡입되어 배출공(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접지심봉(110) 내부에 도전성을 갖는 액상제(161)가 투입 수용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을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Conductive high sensitivity earth electrode}
본 발명은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262360호에 개시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의 접지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완 개선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배전선로의 접지공사에서 접지봉 및 접지판을 시공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접지봉은 낙뢰나 이상 전압으로부터 인체나 여타의 기기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대지와 접속시키는 것으로써, 접지봉의 접지저항 저감을 위한 중요한 인자들은 접지봉 자체의 특성, 주변 대지 토양의 특성 및 접지봉과 토양의 접촉저항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접지의 효과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성질은 주변 대지 토양의 특성이며, 대지 토양의 저항값을 낮추는 것이 접촉저항값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접지봉의 경우, 부식 및 전식에 따른 경년변화의 특성이 심하여 접지시공 후 접지저항이 증대되므로 2~3년을 주기로 보강공사 또는 전면 재시공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시공 후 보수가 필요없는 도전성 콘크리트 접지봉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최근까지 접지봉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접지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거나, 접지시공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접지봉을 제공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 중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접지봉의 일종인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이 연구 개발되어 특허 출원을 통해서 특허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2360호(2013.5.8. 공고)에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262360호에 개시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은 우수한 흡습 능력을 가지면서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펠트부재를 이용하여 접지극을 제조함으로써, 접지극 자체의 중량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경제성이 뛰어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의 시공 작업 자체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지극이 갖추어야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을 두고 있다.
이러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60)의 접지선(62)과 연결하기 위한 접지리드선(42)이 연결되는 내부에 통공(21)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접지심봉(20)과, 상기 접지심봉(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카본펠트로 이루어진 펠트부재(30)와, 상기 접지심봉(20)에 펠트부재(30)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펠트부재(30)의 외주면에 감아주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심봉(20)의 일단 통공(21)에 접지리드선(42)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연결부(25)가 결합되어 구비됨과 동시에 접지심봉(20)의 타단 통공(21)에 원추형의 선단촉부(22)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펠트부재(30)의 외주면을 감아서 고정하는 와이어부재이거나 금속망 타입의 금속망부재(33)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접지심봉(20)에 얇은 펠트 형상의 펠트부재(30)를 감싸는 구조로 접지극(10)이 제조되는 관계로, 재질 자체의 가벼운 중량으로 인해서 기존 접지봉의 중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획기적으로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이렇게 접지극(10)의 자체 중량을 상대적으로 크게 줄여 줌에 따라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접지시공 시에도 중량 감소에 따른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10)은 종래의 도전성 콘크리트 접지봉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생산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으며, 카본펠트로 이루어진 펠트부재(30)와 접지심봉(20)이 모두 내부식성이 뛰어난 재질들이기 때문에 부식 및 전식의 문제점이 거의 노출되지 않아 접지 시공 후 그 내구성이 뛰어나 장시간이 지나도 보수가 필요없는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접지성능을 개선함에 있어서, 접지봉 자체의 특성 및 주변 대지 토양의 특성 등이 접지저항 저감을 위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게 되는 바, 상기 접지극(10)이 접지성능이 종래의 도전성 콘크리트 접지봉에 비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대지 토양의 특성에 따라 접지극과 대지 토양과의 접촉저항이 떨어져 접지저항을 저감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지저항률이 높아 기준 접지저항값을 얻기 어려운 지역일 경우에는 종래 접지시공을 수행하기 전에 별도의 접지저항저감제를 대지에 도포하여 매설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접지저항저감제를 대지에 도포하는 방식은 작업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비용적인 측면에서 시공비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10)의 접지성능을 오랜 동안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접지극(10)을 통해서 접지극(10)과 접촉하는 주변 대지 토양의 접지저항치를 저감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2360호(2013.05.08. 공고, 명칭: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262360호에 개시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의 접지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완 개선하기 위해 연구 개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극 내부에 도전성 액상제를 투입하여 이 액상제가 접지극과 접촉하는 주변 대지 토양쪽으로 스면들도록 함으로써 주변 대지 토양의 접지저항치를 저감 시킬 수 있도록 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극과 접촉하는 주변 대지 토양으로 접지극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 접지극 관리자에 의해 도전성 액상제가 수시로 보충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지시공 이후에도 장시간 동안 접지극이 갖추어야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에 접지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이 연결되는 단자연결부가 결합될 수 있게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접지심봉과, 상기 접지심봉의 외주면을 감싸는 펠트부재와, 상기 펠트부재의 외주면에 감아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에 있어서, 상기 접지심봉의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심봉의 통공을 통해 내부에 흡습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흡습부재에 흡입되어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접지심봉 내부에 도전성을 갖는 액상제가 투입 수용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을 제공하는 데 그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상제로는 물, 전해질용액, 액상의 접지저항저감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습부재의 상부에는 자중에 의해 흡습부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자연결부에는 접지심봉의 내부와 관통 연결되는 보충공이 형성 구비되고, 상기 보충공에는 액상제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관을 연결 구비함으로써, 접지시공 이후 접지극 관리자가 대지의 상태를 파악하여 필요에 따라 액상제를 보충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극 내부에 도전성 액상제를 투입하여 이 액상제가 접지극과 접촉하는 주변 대지 토양쪽으로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주변 대지 토양의 접지저항치를 저감 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접지극 내부에 배치된 흡습부재가 주변 대지 토양에 스며드는 수분을 흡입한 다음, 주변 대지 토양이 건조할 때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시간 동안 접지극과 주변 대지 사이의 접지저항치를 저감할 수 있어 접지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은 접지시공 과정에서 접지극에 액상제를 보충 공급할 수 있는 주입관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지극과 접촉하는 주변 대지 토양으로 접지극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 접지극 관리자에 의해 도전성 액상제가 수시로 보충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접지시공 이후에도 장시간 동안 접지극이 갖추어야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안정적인 접지저항치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공보 제1262360호에 개시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접지극의 내부에 삽입된 흡습부재 상부에 가압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에 액상제를 보충 공급하기 위한 주입관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을 전주의 측면에 접지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100)은,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등록특허공보 제1262360호에 개시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과 마찬가지로, 파이프 형상과 같이 내부에 통공(111)이 형성된 접지심봉(110)과, 상기 접지심봉(110)의 외주면을 원통형 구조로 감싸는 펠트부재(140)와, 상기 펠트부재(140)의 외주면에 감아주는 메쉬망 타입의 고정부재(150)와, 상기 접지심봉(110)의 상단에 조립되어 리드선(170)을 연결할 수 있는 단자연결부(120)와, 상기 접지심봉(110)의 하단에 조립되는 뾰쪽한 원추형의 선단촉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접지심봉(110)의 일단 통공(111)에는 전주(200)의 접지선(171)과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170)이 접속되는 단자연결부(120)가 조립 체결되게 되고, 상기 접지심봉(110)의 타단에는 뾰쪽한 원추형의 선단촉부(130)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통상적인 접지봉의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펠트부재(140), 고정부재(150), 단자연결부(120), 선단촉부(130)의 구성은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262360호에 개시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의 구성과 거의 동일 혹은 유사하거나 단순설계 변경을 통해 변경 가능한 수준의 구성을 갖고 있는 관계로, 등록특허공보 제1262360호에 개시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의 기술내용 및 첨부도면을 통해 충분히 그 구성정도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펠트부재(140)의 경우, 등록특허공보 제1262360호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로써 카본펠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나, 펠트부재(140)의 재질로는 카본펠트 외에도 도전성이 우수하고 흡습 능력이 뛰어난 펠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다른 여타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메쉬망 타입의 고정부재(150)의 재질로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외에도 도전성이 우수하도록 도금된 일반 금속재질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100)의 접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전성이 우수한 액상제(161)를 접지심봉(110) 내부에 투입 수용하고, 이렇게 액상제(161)가 수용된 접지극(100)을 접지시공하여 대지(210)에 매설함으로써, 매설된 접지극(100)의 접지심봉(110)으로부터 액상제(161)가 조금씩 외부로 배출되어 펠트부재(140)나 주변 접촉 대지(210)에 분포되도록 함에 따라 접지극(100)과 접촉하는 대지(210)의 접지저항치를 낮추어 접지성능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부재(혹은 파이프형 부재)로 이루어진 통공(111)이 형성된 접지심봉(1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배출공(1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배출공(112)은 접지심봉(110)의 외주면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 혹은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정렬 형성할 수 있고, 배출공(112)의 크기는 액상제(161)의 배출속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하게 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접지심봉(20)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우수한 도전성을 확보하고 내부식성을 높이기 위해 외주면이 도금된 일반 금속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접지극(100)의 접지심봉(110)으로는 기본적으로 도전성이 뛰어날 것과 내부식성을 갖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관계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접지심봉으로 사용될 수 있는바, 이때 제조자가 제조원가 등을 감안하여 접지심봉의 재질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심봉(110) 내부에 도전성이 우수한 액상제(161)를 투입 수용하게 되는바, 상기 액상제(161)로는 물이나 전해질용액 및 액상의 접지저항저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제(161)로는 통상의 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도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해질용액이나 액상의 접지저항저감제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심봉(110) 내에 투입 수용된 액상제(161)는 접지심봉(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112)을 통해 장시간 동안 서서히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설계되게 된다.
이는 액상제(161)가 접지심봉(110)으로부터 너무 빠르게 외부로 배출될 경우, 본 발명이 추구하는 지속적인 접지성능을 장기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관계로, 접지심봉(110)으로부터 매우 느리게 서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접지심봉(110)의 내부에 액상제(161)를 머금은 상태에서 외부로 서서히 배출할 수 있도록 흡습부재(160)를 삽입하고 있다.
즉, 상기 접지심봉(110)의 통공(111)을 통해 흡습부재(160)를 접지심봉(110)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여기에 도전성을 갖는 액상제(161)를 투입함으로써, 흡습부재(160)가 액상제(161)를 머금고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접지극(100) 생산 과정에서 펠트부재(140)와 고정부재(150)로 접지심봉(110)을 감싼 다음, 흡습부재(160)와 액상제(161)를 각각 순차적으로 접지심봉(110) 내부에 투입하여 수용한 후, 단자연결부(120)로 통공(111)을 막아 줌으로써, 액상제(161)가 투입된 접지극(100)을 생산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접지극(100)의 이송 과정에서 액상제(161)가 자연스럽게 외부로 소량씩 빠져 나오면서 펠트부재(140)로 흡습되거나 접지극(100) 생산 이후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방치될 경우에는 대부분의 액상제(161)가 외부로 빠져 나와 액상제(161)에 의한 접지성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접지극(100) 이송 과정에서 액상제(161)가 빠져 나오는 것이 접지성능을 약화시킨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제조 과정에서 접지극(100) 내부에 액상제(161)를 투입하지 않은 상태로 접지극(100)을 생산 공급한 다음, 접지시공 현장에서 접지시공할 때, 단자연결부(120)를 분리한 다음 액상제(161)를 별도로 투입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흡습부재(160)로는 가벼우면서도 기능적으로 액상제(161)를 흡습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조금씩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해면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부재이면 바람직한바, 이러한 해면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부재는 주변에서 흔히 찾아 볼 수 있으면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제조자에 의해 액상제(161)의 흡습 및 배출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적절한 흡습부재(160)가 선택되게 됨은 당연하다.
특히, 상기 흡습부재(160)는 접지시공 초기에 액상제(161)를 흡입하여 머금고 있다가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 외에도 접지극(100)이 매설된 대지(210)에 비나 눈이 내려 수분이 스며들 경우에 이 수분을 흡입하여 머금고 있다가 접촉 대지(210)의 주변이 건조해질 때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는 기본적으로 흡습부재(160)의 수분 흡수율과 관련되어 흡습부재(160)에서 수분이 빠져나간 상태에서 주변 대지(210)쪽에 많은 수분이 존재하게 되면, 당연히 주변 대지(210)로부터 수분이 흡습부재(160)로 스며들게 되고, 반대로 주변 대지(120)가 건조해 지면, 흡습부재(160)의 수분이 주변 대지(210) 쪽으로 배출되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기 액상제(161)가 접지심봉(110)의 배출공(112)으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면, 1차적으로 접지심봉(110)을 감싸고 있는 펠트부재(140)로 일부 액상제(161)가 자연스럽게 흡입되게 됨과 아울러 점차적으로 접촉 대지(210)로 스면들게 되면서 접촉 대지(210)의 접지저항치를 낮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습부재(160)가 수분을 흡입 및 배출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접촉 대지(210)의 접지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는 기존 접지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습부재(160)는 액상제(161)를 포화상태까지 흡입하고 있다가 자연스럽게 액상제(161)의 자중에 의해 외부로 흘러 나오게 되는데, 이때, 액상제(161)의 보다 자연스러운 배출을 유도하기 위하여 흡습부재(160)의 상부에 가압부재(162)를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162)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고 흡습부재(160)를 자중에 의해 눌러 줄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나, 상기 접지심봉(110)의 통공(111) 크기에 맞춰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62)의 중량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흡습부재(160)를 자중에 의해 가압하는 과정에서 액상제(161)가 배출공(112)으로 너무 빠르게 배출되지 않도록 설계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가압부재(162)와 단자연결부(120) 사이에 스프링부재(도시안됨)를 배치하여 이 스프링부재가 가압부재(162)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압부재(162)의 자체 중량 및 탄성복원력에 의해 흡습부재(16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접지시공 후에 액상제(161)를 접지극(100)에 추가적으로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접지심봉(110)의 단자연결부(120)에 액상제(161)를 보충 공급할 수 있는 보충공(181)을 형성하고, 여기에 주입관(18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지시공 과정에서 보충공(181)에 주입관(180)을 연결한 다음, 이 주입관(180)을 지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접지극(100) 관리자가 접지시공 이후에 대지(210)의 건조 상황을 파악한 후 필요에 따라 반복적으로 액상제(161)를 주입관(180)을 통해 공급 보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100)을 전주(200)에 접지 시공한 사용 상태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상기 접지심봉 내부에 흡습부재와 액상제가 투입 수용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100)이 준비되면, 전주(200)의 측면 구덩이(211)에 세워서 접지 시공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200)를 세우기 위해 대지(210)에 일정 깊이의 구덩이(211)를 파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주(200)의 하단 측면 부위 쪽 구덩이(211) 내에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100)을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매설하게 되는바, 이때, 작업자는 지상에서 접지극(100)의 일측 단자연결부(120)에 리드선(170)을 배선 연결하게 되고, 이렇게 배선된 리드선(170)이 전주(200)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171)을 슬리브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전주(200)와 접지극(100) 사이의 접지를 위한 연결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리드선(170)과 단자연결부(120)의 연결부위와, 리드선(170)과 접지선(171)의 연결부위에는 부식 방지를 위해서 열수축튜브 또는 자기수축튜브와 같은 보호튜브를 씌워서 완전히 밀봉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접지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접지 연결작업이 완료된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100)은 전주(200) 측면의 구덩이(211) 내에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구덩이(211) 내 전주(200)를 반듯하게 세운 다음, 구덩이(211)를 메워서 견고하게 다져주게 되면, 최종적으로 전주(200)의 매설과 함께 접지 시공이 마무리되게 된다.
그리고, 접지시공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접지극 관리자가 액상제를 보충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자연결부(120)에 접지심봉(110) 내부와 관통 연결되는 보충공(181)을 형성 구비한 다음, 이 보충공(181)에 별도의 주입관(180)을 연결 시공한 후 주입관(180)의 끝단을 대지(210)에서 노출되도록 시공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100)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특히,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이 추구하는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접지극 110 : 접지심봉
111 : 통공 112 : 배출공
120 : 단자연결부 130 : 선단촉부
140 : 펠트부재 150 : 고정부재
160 : 흡습부재 161 : 액상제
162 : 가압부재 170 : 리드선
171 : 접지선 180 : 주입관
181 : 보충공 200 : 전주
210 : 대지 211 : 구덩이

Claims (6)

  1. 내부에 통공(111)이 형성된 접지심봉(110)과, 상기 접지심봉(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펠트부재(140)를 포함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에 있어서,
    상기 접지심봉(110)은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11)에 액상제를 함유한 다공성의 원통 형상인 흡습부재(160)가 삽입되고 상기 접지심봉(111)의 통공(111) 상측에 단자연결부(120)가 조립되어 상기 흡습부재(160)에 함유된 도전성 액상제가 상기 배출공(112)를 통해 서서히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제로는 물, 전해질용액, 액상의 접지저항저감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62)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가압부재(162)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심봉(110)의 일단에는 단자연결부(1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단자연결부(120)에는 접지심봉(110)의 내부와 관통 연결되는 보충공(18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공(181)에는 주입관(180)을 연결하여 대지(210)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부재(160)는 해면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KR1020160040936A 2016-04-04 2016-04-04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KR10207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936A KR102070770B1 (ko) 2016-04-04 2016-04-04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936A KR102070770B1 (ko) 2016-04-04 2016-04-04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385A Division KR101651075B1 (ko) 2014-02-27 2014-02-27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87A true KR20160041887A (ko) 2016-04-18
KR102070770B1 KR102070770B1 (ko) 2020-01-29

Family

ID=5591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936A KR102070770B1 (ko) 2016-04-04 2016-04-04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6831A (zh) * 2020-03-23 2020-06-12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接地极连接装置
EP3590155A4 (en) * 2017-03-03 2021-06-23 GLXT Holdings, LLC ELECTRIC EARTHING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3591B (zh) * 2020-05-20 2021-04-13 河南四达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缓释型柔性离子复合接地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50B1 (ko) * 2006-04-12 2007-02-09 김유정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20080020422A (ko) * 2006-09-14 2008-03-05 (주)신원전기 역서지 방전수단이 구비된 접지장치
KR101075901B1 (ko) * 2009-10-27 2011-10-25 신정헌 접지봉의 접지저항 조절시스템
KR101262360B1 (ko) 2013-02-28 2013-05-08 제룡산업 주식회사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50B1 (ko) * 2006-04-12 2007-02-09 김유정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20080020422A (ko) * 2006-09-14 2008-03-05 (주)신원전기 역서지 방전수단이 구비된 접지장치
KR101075901B1 (ko) * 2009-10-27 2011-10-25 신정헌 접지봉의 접지저항 조절시스템
KR101262360B1 (ko) 2013-02-28 2013-05-08 제룡산업 주식회사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0155A4 (en) * 2017-03-03 2021-06-23 GLXT Holdings, LLC ELECTRIC EARTHING SYSTEMS
US11349227B2 (en) 2017-03-03 2022-05-31 Groundlinx Technologies, Llc Electrical grounding systems
AU2018228511B2 (en) * 2017-03-03 2022-12-08 Glxt Holdings, Llc Electrical grounding systems
CN111276831A (zh) * 2020-03-23 2020-06-12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接地极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770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1887A (ko)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KR101262360B1 (ko)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KR101651075B1 (ko) 도전성 고감도 접지극
CN205642541U (zh) 地下水位测量采样器
CA2875099A1 (en) Non-polarized geophysical electrode
KR100681450B1 (ko) 복합식 접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US20020167412A1 (en) Matric soil moisture sensing device
KR101029710B1 (ko) 전해질충진 고방사 탄소접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US2770075A (en) Electric bait getter
CN104314067A (zh) 一种分级式电渗排水软基处理电极排布结构
KR100852473B1 (ko) 탄소접지봉
CN210535839U (zh) 一种便携式旋进电气设备外壳接地桩
CN206640110U (zh) 一种高层建筑用避雷针
KR200340357Y1 (ko) 접지동관봉의 코어링 굴착구조
CN208643672U (zh) 一种增大污染土壤导电性的电动修复装置
KR100234664B1 (ko) 접지봉 설치 구조
JP2009159995A (ja) 静電散布ノズル
CN209693816U (zh) 一种茶籽象甲信息素诱芯
KR101435493B1 (ko) 펄스 방전을 이용한 지하수 관정 세척방법
KR102107351B1 (ko) 접지장치
KR100649408B1 (ko) 전주의 접지전극 시공방법
CN205205151U (zh) 一种电击管
US1962758A (en) Grounding device
RU2617677C1 (ru) Глубинный анодный заземлитель
KR200417650Y1 (ko) 방사상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