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567A -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 - Google Patents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567A
KR20160041567A KR1020140135781A KR20140135781A KR20160041567A KR 20160041567 A KR20160041567 A KR 20160041567A KR 1020140135781 A KR1020140135781 A KR 1020140135781A KR 20140135781 A KR20140135781 A KR 20140135781A KR 20160041567 A KR20160041567 A KR 20160041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aller
information
request message
cal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284B1 (ko
Inventor
김병찬
김종권
김현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망으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해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를 판별한 후에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서는 발신자 정보 표시 부가서비스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를 포함시켜서 호 연결에 필요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유선망으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의 호를 유발하는 유선전화 교환기의 지원이 없이도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통해 발신자 인증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선망의 사업자들과의 별도의 협약 없이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독자적으로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로 유선전화 교환기를 개발하거나 설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만큼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METHOD FOR PROVIDING CALLER AUTHENTICATION SERVICE AND ORIGINATING MSC THEREFOR}
본 발명은 발신자 인증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 단말기를 통해 발신자 인증용 정보를 제공하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과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라, 착신 단말기에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여 주는 서비스로는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가 있다. 발신측이 애칭이나 소개 문구 등을 미리 설정하여 두면 호 연결을 시도할 때에 착신 단말기의 화면 상에 미리 설정된 애칭이나 소개 문구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는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상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번호로부터 호 연결이 시도되더라도 발신측이 지정한 정보를 통해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한편, 현대 사회는 광고와 PR(Public Relations)의 시대라고 할 만큼 수많은 홍보물 등이 넘쳐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광고성 전화는 모두 스팸 전화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사회 문제화가 되었다.
이러한 스팸 전화를 퇴치하기 위한 각종의 방안이 모색되고 있지만 좀처럼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일부의 사용자들은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상에 등록되지 않는 발신 번호에 대해서는 무조건 전화를 받지 않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활용한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연구하게 되었다. 발신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발신자 인증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여 두고, 이렇게 등록된 발신자 인증 정보를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통해 착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애칭 표시 서비스 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는 유선망으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의 호(Land-to-Mobile call) 연결 시에 유선망의 교환 서비스를 담당하는 유선전화 교환기의 약속된 지원이 반드시 있어야만 착신 단말기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유선전화 교환기에서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로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사용자간 정보(User-to-User Information, UUI) 파라미터가 포함되며,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 중 컨텐츠(content) 필드에 발신자 정보 표시 부가서비스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유선망으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의 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유선전화 교환기가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포함된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여야 한다.
하지만, 유선망은 수많은 사설 사업자가 전용회선을 통해 호 연결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모든 사업자와 협약을 맺어서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또한, 유선전화 교환기의 개발 및 설계 변경을 위한 비용이 과도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20634, 등록일자 2009년 09월 29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망으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의 호를 유발하는 유선전화 교환기의 지원이 없이도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통해 발신자 인증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과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은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해 발신 교환기가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 상기 발신 교환기가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포함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홈 위치 등록기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부가서비스 지시자에 따라 부가서비스 서버에게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요청 및 회신 받는 단계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여 착신 교환기로 호 연결을 요청하여 응답 받는 단계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에 따라 호 연결 설정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교환기와의 호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교환기와의 호 연결 설정을 수행하여, 상기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착신 교환기가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면서 상기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위한 발신 교환기는, 인입되는 호 중에서 발신자 인증 대상이 될 호에 대한 발신자 인증 대상 정보가 저장된 정보 저장부와, 호 연결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저장된 발신자 인증 대상 정보를 비교하여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대상 호를 판별하는 서비스 대상 판별부와, 상기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포함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지시자에 따라 상기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가 착신 단말기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선망으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해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를 판별한 후에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서는 발신자 정보 표시 부가서비스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를 포함시켜서 호 연결에 필요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유선망으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의 호를 유발하는 유선전화 교환기의 지원이 없이도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통해 발신자 인증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선망의 사업자들과의 별도의 협약 없이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독자적으로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로 유선전화 교환기를 개발하거나 설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만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위한 발신 교환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는 유선전화 교환기(110),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 발신 교환기(130), 홈 위치 등록기(140), 부가서비스 서버(150), 착신 교환기(160), 착신 단말기(170) 등을 포함한다.
유선전화 교환기(110)는 유선망에 가입된 발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에 가입된 착신 단말기(170)를 호출하는 호가 발생하면 이동전화망을 관장하는 발신 교환기(130)에 연결하기 위해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에 먼저 라우팅 연결한다.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는 유선전화 교환기(110)로부터 착신 단말기(170)를 호출하는 호가 발생하면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 교환기(130)에게 전달한다.
발신 교환기(130)는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로부터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해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를 판별하며,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와 사업자 정보가 포함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홈 위치 등록기(140)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홈 위치 등록기(140)로부터 착신 단말기(170)를 호출하기 위한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라우팅 정보에 따라 착신 교환기(160)에게 착신 단말기(170)까지의 호 연결을 요청한다. 이러한 발신 교환기(13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홈 위치 등록기(140)는 발신 교환기(130)로부터 전송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부가서비스 지시자에 따라 부가서비스 서버(150)에게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요청 및 회신 받는다. 그리고, 부가서비스 서버(150)로부터 회신 받은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여 착신 교환기(160)로 호 연결을 요청하여 응답 받는다. 또, 착신 교환기(160)로부터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호 연결 설정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발신 교환기(130)에게 전송한다.
부가서비스 서버(150)는 유선망에 가입된 유선 가입자들에 대한 전화번호 정보와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대응하여 사전에 저장하고 있으며, 홈 위치 등록기(140)의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40)에게 회신한다. 이러한 부가서비스 서버(150)는 발신 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업자 정보가 기 설정된 사업자인 경우에만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착신 교환기(160)는 홈 위치 등록기(140)로부터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여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며, 호 연결 요청에 대해 응답한다. 그리고, 발신 교환기(130)에 의해 호 연결 설정이 요청되면 해당 착신 단말기(170)를 호출하며, 앞서 저장한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착신 단말기(170)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위한 발신 교환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봐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발신 교환기(130)는 정보 저장부(131), 서비스 대상 판별부(132), 메시지 생성부(133), 처리부(134) 등을 포함한다.
정보 저장부(131)는 인입되는 호 중에서 발신자 인증 대상이 될 호에 대한 발신자 인증 대상 정보가 저장된다.
서비스 대상 판별부(132)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와 기 저장된 발신자 인증 대상 정보를 비교하여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대상 호를 판별한다.
메시지 생성부(133)는 서비스 대상 판별부(132)에 의해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와 사업자 정보가 포함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메시지 생성부(133)는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로부터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의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비활성화를 나타낼 때에 활성화를 나타내도록 정정하며, 활성화를 나타내도록 정정된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포함된 연동망 서비스 특성 지시자 파라미터를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처리부(134)는 메시지 생성부(133)에서 생성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여 이에 포함된 부가서비스 지시자에 따라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가 착신 단말기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은,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해 발신 교환기가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를 판별하는 단계(201)를 포함한다.
이어서,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 발신 교환기가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와 사업자 정보가 포함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홈 위치 등록기에게 전송하는 단계(203, 20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홈 위치 등록기가 부가서비스 지시자에 따라 부가서비스 서버에게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요청 및 회신 받는 단계(207 내지 213)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홈 위치 등록기가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여 착신 교환기로 호 연결을 요청하여 응답 받는 단계(215, 217)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홈 위치 등록기가 착신 교환기로부터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호 연결 설정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발신 교환기에게 전송하는 단계(219)를 더 포함한다.
이후, 발신 교환기가 라우팅 정보에 따라 착신 교환기와의 호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22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착신 교환기가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면서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223)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교환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발신자 인증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유선망에 가입된 발신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에 가입된 착신 단말기(170)를 호출하는 호가 발생하면 유선전화 교환기(110)는 착신 단말기(170)를 호출하는 호를 발생시켜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로 라우팅 한다.
그러면,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는 유선전화 교환기(110)로부터 발생된 호에 대응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 교환기(130)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가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에, 발신 교환기(130)로 전달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시키며,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 중에서 컨텐츠 필드에는 발신자 정보 표시 부가서비스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어서, 발신 교환기(130)는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로부터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해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를 판별(201)하며,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와 사업자 정보가 포함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203)하여 홈 위치 등록기(140)에게 전송(205)한다.
한편, 단계 201 내지 단계 205는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에서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120)에서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의 컨텐츠 필드에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라면, 그대로 홈 위치 등록기(140)에게 전달하거나 강제적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를 추가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지만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의 컨텐츠 필드에 비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포함된 경우라면, 발신 교환기(130)는 해당 호가 기 설정된 루트를 통해 인입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기 설정된 발신번호에 의해 생성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판별하고,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로 판별되면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활성화를 나타내도록 정정하거나 강제적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를 추가하여 홈 위치 등록기(140)에게 전달한다.
또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호가 기 설정된 루트를 통해 인입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기 설정된 발신번호에 의해 생성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판별하고,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로 판별되면 활성화 또는 강제적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와 사업자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를 직접 생성하여 홈 위치 등록기(140)에게 전송한다.
다음으로, 홈 위치 등록기(140)는 발신 교환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에 포함된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활성화 상태임을 확인(207)하며, 부가서비스 서버(150)에게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요청(209)한다.
그러면, 부가서비스 서버(150)는 기 등록된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 중에서 현재 호 연결을 요청하고 있는 발신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검색(211)하고, 검색된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140)에게 회신(213)한다. 여기서, 부가서비스 서버(150)는 발신 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업자 정보가 기 설정된 사업자인 경우에만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발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더라도 유선전화 교환기(110)의 사업자 정보가 기 등록된 사업자 정보와 불일치할 때에는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서비스 거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홈 위치 등록기(140)가 부가서비스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여 착신 교환기(160)로 호 연결을 요청(215)하며, 착신 교환기(160)는 홈 위치 등록기(140)로부터 수신된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 후에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홈 위치 등록기(140)에게 전송(217)한다.
이어서, 홈 위치 등록기(140)는 착신 교환기(160)로부터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호 연결 설정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발신 교환기(130)에게 전송한다(219).
그러면, 발신 교환기(130)가 라우팅 정보에 따라 착신 교환기(160)와의 호 연결 설정을 수행하며(221), 착신 교환기(160)가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착신 단말기(170)를 호출하면서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다(223).
예컨대, 단계 223을 통해 착신 교환기(160)에서 착신 단말기(170)로 제공되는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는 텍스트 정보이거나 컨텐츠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일 수 있다. 텍스트 정보일 경우에 착신 단말기(170)는 호출음을 송출하면서 호출 화면 상에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URL인 경우에 착신 단말기(170)를 해당 URL에 접속하여 이미지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호출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텍스트 정보보다 좀 더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망으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해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를 판별한 후에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서는 발신자 정보 표시 부가서비스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를 포함시켜서 호 연결에 필요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유선망으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의 호를 유발하는 유선전화 교환기의 지원이 없이도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통해 발신자 인증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선망의 사업자들과의 별도의 협약 없이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독자적으로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로 유선전화 교환기를 개발하거나 설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만큼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에 첨부된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망으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의 호를 유발하는 유선전화 교환기의 지원이 없이도 발신자 애칭 표시 서비스 등과 같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통해 발신자 인증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선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호를 처리하는 이동전화 교환 시스템이나 이동전화 서비스 시스템 등에서 착신 단말기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분야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110 : 유선전화 교환기 120 : 이동전화 관문 교환기
130 : 발신 교환기 131 : 정보 저장부
132 : 서비스 대상 판별부 133 : 메시지 생성부
134 : 처리부 140 : 홈 위치 등록기
150 : 부가서비스 서버 160 : 착신 교환기
170 : 착신 단말기

Claims (6)

  1. 인입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해 발신 교환기가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 상기 발신 교환기가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포함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홈 위치 등록기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부가서비스 지시자에 따라 부가서비스 서버에게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요청 및 회신 받는 단계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여 착신 교환기로 호 연결을 요청하여 응답 받는 단계와,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에 따라 호 연결 설정을 위한 라우팅 정보를 상기 발신 교환기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교환기가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교환기와의 호 연결 설정을 수행하여, 상기 호 연결 설정에 따라 상기 착신 교환기가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면서 상기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요청 메시지의 루트가 기 설정된 발신자 인증 대상 루트 정보와 일치할 때에 상기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는 상기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발생시킨 사업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업자 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사업자인 경우에 상기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4. 인입되는 호 중에서 발신자 인증 대상이 될 호에 대한 발신자 인증 대상 정보가 저장된 정보 저장부와,
    호 연결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저장된 발신자 인증 대상 정보를 비교하여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대상 호를 판별하는 서비스 대상 판별부와,
    상기 판별된 발신자 인증 부가서비스 대상 호에 대해 활성화를 나타내는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포함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지시자에 따라 상기 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가 착신 단말기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위한 발신 교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호 연결 요청 메시지의 사용자간 정보 파라미터에 포함된 상기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비활성화를 나타낼 때에 활성화를 나타내도록 정정하며, 활성화를 나타내도록 정정된 부가서비스 지시자가 포함된 연동망 서비스 특성 지시자 파라미터를 상기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위한 발신 교환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회 요청 메시지는 상기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발생시킨 사업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업자 정보가 기 설정된 사업자인 경우에 상기 착신 단말기에게 상기 발신자 인증용 컨텐츠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인증 서비스를 위한 발신 교환기.
KR1020140135781A 2014-10-08 2014-10-08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 KR10214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81A KR102147284B1 (ko) 2014-10-08 2014-10-08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81A KR102147284B1 (ko) 2014-10-08 2014-10-08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567A true KR20160041567A (ko) 2016-04-18
KR102147284B1 KR102147284B1 (ko) 2020-08-24

Family

ID=5591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781A KR102147284B1 (ko) 2014-10-08 2014-10-08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2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677A (ko) * 2005-10-28 2007-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발신자 정보 전송 서비스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20634B1 (ko) 2007-10-30 2009-10-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5677A (ko) * 2005-10-28 2007-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발신자 정보 전송 서비스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20634B1 (ko) 2007-10-30 2009-10-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284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9677B1 (en) Method and devices for language determination for voice to text transcription of phone calls
US8964957B2 (en) Telephone, control method therefor, provisioning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78753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JP2009033379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774216B1 (ko) 가상 번호 기반의 통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한 회원 정보 안내 시스템 및 회원 정보 안내 방법
KR100920634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1567A (ko) 발신자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발신 교환기
JP2009200943A (ja) 通信制御装置、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4854826A (zh) 用于通过通信系统控制呼叫的设立的方法和系统
KR101485369B1 (ko) 통화 연결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36143B1 (ko)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교환기 및 방법
JP5525053B2 (ja) 複数のユーザ装置の1つへの呼のルーティングの方法
JP6545467B2 (ja) 接続制御装置、接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055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업자정보표시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1787656B1 (ko) 발신자 정보의 호 데이터를 제공하는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1560631B1 (ko) 호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교환 장치
KR100957237B1 (ko) 전화 번호 변경 정보를 이용한 주소록 자동 갱신 방법 및시스템
JP2015231092A (ja) 呼制御装置、受信機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101115893B1 (ko)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5293229B2 (ja) 通信システム、制御サーバ、着信通知方法および着信通知用プログラム
US9807245B2 (en) Forwarding telephone calls to a mobile terminal via a femtocell
KR101702552B1 (ko)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및 호 처리 방법
KR20140088798A (ko) 이동통신 로밍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101364A (ko) 발신자 설정에 의한 링백톤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00006997A (ko) 발신정보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