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477A - 농업용 전기 온풍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전기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477A
KR20160041477A KR1020140135506A KR20140135506A KR20160041477A KR 20160041477 A KR20160041477 A KR 20160041477A KR 1020140135506 A KR1020140135506 A KR 1020140135506A KR 20140135506 A KR20140135506 A KR 20140135506A KR 20160041477 A KR20160041477 A KR 20160041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ld air
air
blower
guid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853B1 (ko
Inventor
이영준
차영미
Original Assignee
이영준
차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준, 차영미 filed Critical 이영준
Priority to KR1020140135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8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전기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송풍모터(210)에 연결된 송풍팬(220)의 회전에 따라 냉풍을 전방으로 배출하는 송풍기(200)와,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유입된 냉풍을 가열해 열풍으로 배출시키는 히터(310)가 고정 다공 구획판(320)에 결합 고정된 히터 및 구획 송풍부(300)로 이루어진 농업용 전기 온풍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 및 구획 송풍부(300)의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을 통과해 유입되는 냉풍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도록 가이드하는 풍압증가 가이드부(420)를 가진 냉풍가이드덕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냉풍이 직경이 외광내협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풍압증가 가이드부를 가진 냉풍가이드덕트를 통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히터를 통과한 열풍과 혼합 토출되어 농작물이 열풍으로 피해를 입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더욱 먼 거리까지 넓은 면적을 송풍을 할 수 있어 전기 온풍기의 열효율을 높여 최소한의 현장 시공 대수로 넓은 면적의 난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전기 온풍기{ELECTRIC FAN HEATER FOR AGRICULTURAL}
본 발명은 농업용 전기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냉풍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고압 고속의 냉풍이 히터를 통과한 열풍과 혼합되면서 더욱 먼 거리까지 송풍을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과열방지 냉풍토출공과 과열방지 냉풍배기공을 통해 배기되는 과열방지 냉풍을 온도가 낮아지도록 공급함으로써, 컨트롤러가 본체와 함께 과열이 방지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비닐하우스(또는 가축을 사육하기 위한 축사)는 성장촉진을 위하여 내부온도를 적절히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닐하우스(또는 축사)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농업용 전기 온풍기와 관련해 "농축산용 온풍기"(한국 등록특허 제10-1271987호, 등록일자:2013년 5월 30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한다)가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농축산용 온풍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송풍팬(20)과,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와, 다공판수단(3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전면에 형성된 전면개구부(11)와, 후면에 형성된 후면개구부(13)와, 상부의 일측에 형성된 상부개구부(15)를 구비한다.
상부개구부(15)의 경우 전면개구부(11)로 유입된 바람이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에 유입되기 전에 일부가 상부개구부(15)로 배출되어야 하므로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의 앞쪽에 위치하며, 다수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송풍팬(20)은 바람이 전면개구부(11)를 통해서 들어와서 후면개구부(13)로 나가도록 케이스(10)에 설치된다.
이때 전면개구부(11)를 통해서 들어온 바람은 케이스(10)의 상부에 상부개구부(1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부는 상부개구부(15)로 나가고 나머지는 후면개구부(13)로 나간다.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는 송풍팬(20)으로 케이스(10)에 유입된 바람을 가열시켜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개구부(15)로 나가는 바람이 가열되지 않도록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는 상부개구부(15)와 후면개구부(13)의 사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는 4개의 히터로 구성되며, 공기가 각각의 히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다공판수단(30)은 케이스(10)를 통과하는 바람을 서로 혼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온풍기의 경우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를 바로 통과하는 바람은 가열되기 때문에 상당히 뜨거운 반면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를 통과하지 않는 바람은 상대적으로 차갑다. 그래서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를 바로 통과하는 바람이 바로 배출될 경우 열섬현상이 발생하고, 근거리에서 접촉하는 작물은 열풍에 의하여 피해를 본다. 다공판수단(30)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와류를 발생시켜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를 바로 통과하는 바람과 통과하지 않는 바람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다공판수단(30)은 전방다공판부(31)와, 후방다공판부(35)를 구비한다. 전방다공판부(31)는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의 앞에 설치되고, 후방다공판부(35)는 히터 및 구획 송풍부(25)의 뒤에 설치된다.
전방다공판부(31)는 제1다공판(32)와 제2다공판(34)를 구비한다. 제1다공판(32)에 형성된 구멍과 제2다공판(34)에 형성된 구멍이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람이 이들을 통과할 경우 와류가 형성되어 서로 섞이게 된다. 이때 제2다공판(34)에는 히터가 노출 고정되는 제1히터공이 형성된다.
후방다공판부(35)는 제3다공판(36)과 제4다공판(38)을 구비한다. 이때 제3다공판(36)에 형성된 구멍은 제2다공판(34)에 형성된 구멍과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바람이 제3다공판(36)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할 경우 더욱 더 혼합된다.
그리고, 제4다공판(38)에 형성된 구멍은 제3다공판(36)에 형성된 구멍과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제3다공판(36)을 통과한 바람이 제4다공판(38)을 통과하면서 더욱더 혼합된다. 이때 제3다공판(36)에는 히터가 노출 고정되는 제2히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히터에서 가열되는 공기가 골고루 섞여서 배출될 뿐만 아니라 일부의 공기는 가열되지 않고 배출된 후 가열된 공기와 섞이므로 열섬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온풍기에 근접한 작물의 경우에도 열풍으로 피해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농축산용 온풍기는 가열된 고온 송풍과 히터 및 구획 송풍부를 통과하지 않아 가열되지 않은 차가운 송풍이 서로 엇갈리도록 뒤섞이면서 토출 압력 및 속도가 증가되는바 없이 중온의 송풍이 토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온실 비닐하우스 등 현장에 보다 많은 대수의 농축산용 온풍기가 설치 시공되어야만 난방효과를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스(본체)와 케이스 일측에 부착되어 난방온도를 제어 조작하는 컨트롤러(도시 안함)가 과열되지 않도록 냉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부개구부(15)를 통해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의 송풍에 의해 일부분 케이스(본체)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냉각하는 효과가 크게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냉풍이 직경이 외광내협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풍압증가 가이드부를 가진 냉풍가이드덕트를 통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고압 고속의 냉풍이 히터를 통과한 열풍과 혼합되면서 더욱 먼 거리까지 송풍을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과열방지 냉풍토출공과 과열방지 냉풍배기공을 통해 배기되는 과열방지 냉풍을 온도가 낮아지도록 공급함으로써, 컨트롤러가 본체와 함께 과열이 방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농업용 전기 온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본체(10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송풍모터(210)에 연결된 송풍팬(220)의 회전에 따라 냉풍을 전방으로 배출하는 송풍기(200)와,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유입된 냉풍을 가열해 온풍으로 배출시키는 히터(310)가 고정 다공 구획판(320)에 결합 고정된 히터 및 구획 송풍부(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터 및 구획 송풍부의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을 통과해 유입되는 냉풍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도록 가이드하는 풍압증가 가이드부(420)를 가진 냉풍가이드덕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는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냉풍이 직경이 외광내협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풍압증가 가이드부를 가진 냉풍가이드덕트를 통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히터를 통과한 열풍과 혼합 토출되어 농작물이 열풍으로 피해를 입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더욱 먼 거리까지 넓은 면적을 송풍을 할 수 있어 전기 온풍기의 열효율을 높여 최소한의 현장 시공 대수로 넓은 면적의 난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농축산용 온풍기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가 현장에 시공 설치된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절단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의 본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의 열풍과 냉풍의 송풍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가 현장에 시공 설치된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절단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의 본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의 열풍과 냉풍의 송풍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는 본체(100), 송풍기(200), 히터 및 구획 송풍부(300), 냉풍가이드덕트(400), 배출커버(500)와 컨트롤러(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는 본체(100) 후방 내부의 송풍기 고정판(120)에 브라켓 등으로 연장해 볼트 체결 등으로 장착 고정된 송풍기(200)는 주지의 구성으로, 전기 송풍모터(210)를 구동하여 송풍팬(220)을 회전시킴으로써 농작물 비닐하우스 등 현장의 공기를 후방으로 흡입하여 본체(100) 전단에 조립 고정된 배출커버(500)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체(10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송풍모터(210)에 연결된 송풍팬(220)의 회전에 따라 냉풍을 전방으로 배출하는 송풍기(200)와,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유입된 냉풍을 가열해 온풍으로 배출시키는 히터(310)가 고정 다공 구획판(320)에 결합 고정된 히터 및 구획 송풍부(3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200)와 배출커버(500) 사이의 본체(100) 내부에는 히터 및 구획 송풍부(300)가 설치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중앙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통공된 히터 끼움 고정공(321)에 끼워져 고정되는 히터(310)는 4개로 구성된다. 이때, 송풍팬(220)의 회전에 의해 유입 공급된 바람이 히터(31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평압 평속의 열풍(H1)이 배출커버(500) 방향으로 배출된다.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에는 히터 내측간 연접통공(322)이 관통 형성되어 송풍팬(220)의 회전에 의해 유입 공급된 바람이 가열되지 않고 통과해 평압 평속의 냉풍(상온의 바람을 말함)(C1)이 배출커버(500) 방향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내측간 간격에는 히터 내측간 연접통공(322)들이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풍이 통과하고, 상기 본체(100)와 냉풍가이드덕트(400)의 전단 노출면에는 배출커버(500)가 부착되어 냉풍과 열풍이 혼합 배출된다.
그리고, 4개의 히터(310)들을 감싸는 연접된 외곽에는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이 관통 형성되어 송풍팬(220)의 회전에 의해 유입 공급된 바람이 가열되지 않고 통과해 상기 냉풍가이드덕트(400)의 풍압증가 가이드부(420)에 의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도록 가이드되어 풍압 풍속이 증가된 냉풍(C2)이 배출커버(500) 방향으로 배출되어 더욱 먼 거리까지 토출된다.
그리고, 고정 다공 구획판(320) 외곽면(326) 일측에는 최외곽 과열방지 냉풍공급공(328)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최외곽 과열방지 냉풍공급공(328)에 대응되는 위치에 냉풍가이드덕트(400)의 과열방지 냉풍토출공(414)이 배치되어 상기 평압 평속 열풍(H1)과 혼합되지 않게 과열방지 평속 냉풍(C3)만 최외곽 과열방지 냉풍공급공(328)과 과열방지 냉풍토출공(414)을 통해 유입되어 냉풍가이드덕트(400)의 송풍가이드홀(430)의 외측과 본체(100)의 내측 사이의 과열방지 냉풍순환공간(S)로 배출 순환되면서 본체(100)의 과열이 방지된다.
동시에, 상기 냉풍가이드덕트(400)의 송풍가이드홀(430)의 외측과 본체(100)의 내측 사이의 과열방지 냉풍순환공간(S)의 본체(100) 일측에는 과열방지 냉풍배기공(140)이 통공되고, 과열방지 냉풍배기공(140)이 통공 형성된 본체의 일측에는 히터의 난방온도와 송풍팬을 제어 조작하는 컨트롤러(600)가 더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과열방지 냉풍배기공(140)을 통해 배기되는 과열방지 냉풍이 컨트롤러(600)의 내부로 공급되어 컨트롤러(600)가 본체(100)와 함께 과열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평압 평속 냉풍(C1)과 풍압 풍속 증가 냉풍(C2)은 일부의 냉풍이 평압 평속 열풍(H1)과 혼합되면서 전방 배출커버(500) 방향으로 배출된다.
즉, 평압 평속 열풍(H1)과, 평압 평속 냉풍(C1)과, 풍압 풍속 증가 냉풍(C2)이 서로 혼합되면서 전방 배출커버(500)를 통과하게 되어 열섬현상이 방지되고, 풍압 풍속 증가 냉풍(C2)에 의해 더욱 먼 거리로 토출된다.
상기 풍압 풍속 증가 냉풍(C2)이 더욱 먼 거리까지 토출되는 원리를 설명하면,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외곽면(326)에 냉풍가이드덕트(400)의 부착면(410)이 면접되어 볼트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냉풍가이드덕트(400) 내측의 풍압증가 가이드부(420)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을 통과한 냉풍(바람)이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과 내측으로 점차 커지는 가이드 간격(D1, D2)을 가지며 직경이 외광내협 형상으로 단차지게(전방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424, 426)을 따라 가이드되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중공의 송풍가이드홀(430) 내측면을 따라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어 먼 거리까지 토출된다. 즉, 토출압력이 커지면서 송풍 속도도 커져 더욱 먼 거리까지 토출이 된다.
즉, 상기 냉풍가이드덕트(400)는 상기 히터 및 구획 송풍부의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을 통과해 유입되는 냉풍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도록 가이드하는 풍압증가 가이드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의 외곽면(326)에는 냉풍가이드덕트(400)의 부착면(410)이 면접 고정된다.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에 대응되는 냉풍가이드덕트(400) 내측의 풍압증가 가이드부(420)는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과 내측으로 점차 커지는 가이드 간격(D1, D2)을 가지며 직경이 외광내협(내광외협) 형상으로 단차지게(볼록하게) 형성된 단턱(424, 426)을 따라 가이드되어 유입되는 냉풍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중공의 송풍가이드홀(배출홀, 430) 내측면을 따라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어 열풍과 혼합된 송풍을 더욱 멀리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송풍 토출압력이 세기 때문에 하계에도 공기순환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에 고정된 히터(140)는 PTC히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히터(310)를 통과한 열풍의 배출온도는 45도씨 내지 50도씨이다.
그리고,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내측간 연접통공(322)과,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 최외곽 과열방지 냉풍공급공(328)을 통과하는 냉풍 배출온도는 15도씨 내지 20도씨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600)로 히터(310)의 난방온도를 15도씨 유지로 셋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 120. 송풍기 고정판
140. 과열방지 냉풍배기공 200. 송풍기
210. 송풍모터 220. 송풍팬
300. 히터 및 구획 송풍부 310. 히터
320. 고정 다공 구획판 321. 히터 끼움 고정공
322. 히터 내측간 연접통공 324.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
326. 외곽면 328. 최외곽 과열방지 냉풍공급공
400. 냉풍가이드덕트 410. 부착면
414. 과열방지 냉풍토출공 420. 풍압증가 가이드부
424, 426. 단턱 430. 송풍가이드홀
D1, D2. 가이드 간격 S. 과열방지 냉풍순환공간
500. 배출커버 600. 컨트롤러
H1. 평압 평속 열풍 C1. 평압 평속 냉풍
C2. 풍압 풍속 증가 냉풍 C3. 과열방지 평압 평속 냉풍

Claims (5)

  1. 본체(10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송풍모터(210)에 연결된 송풍팬(220)의 회전에 따라 냉풍을 전방으로 배출하는 송풍기(200)와, 상기 송풍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유입된 냉풍을 가열해 열풍으로 배출시키는 히터(310)가 고정 다공 구획판(320)에 결합 고정된 히터 및 구획 송풍부(300)로 이루어진 농업용 전기 온풍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 및 구획 송풍부(300)의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을 통과해 유입되는 냉풍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도록 가이드하는 풍압증가 가이드부(420)를 가진 냉풍가이드덕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의 외곽면(326)에는 냉풍가이드덕트(400)의 부착면(410)이 면접 고정되고,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에 대응되는 냉풍가이드덕트(400) 내측의 풍압증가 가이드부(420)는 히터 테두리 외곽 연접통공(324)들과 내측으로 점차 커지는 가이드 간격(D1, D2)을 가지며 직경이 외곽쪽에서 내측으로 좁아지도록 외광내협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424, 426)을 따라 가이드되어 유입되는 냉풍이 내측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모아져 중공의 송풍가이드홀(배출홀, 430) 내측면을 따라 토출되면서 송풍 토출 압력과 속도가 증가되어 송풍을 더욱 멀리 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히터 내측간 간격에는 히터 내측간 연접통공(322)들이 형성되어 냉풍이 통과하고,
    상기 본체(100)와 냉풍가이드덕트(400)의 전단 노출면에는 배출커버(500)가 부착되어 냉열풍이 배출되고,
    상기 고정 다공 구획판(320)의 외곽면(326)의 일측에는 최외곽 과열방지 냉풍공급공(328)이 통공되고 대응되는 냉풍가이드덕트(400)의 부착면(410)에는 과열방지 냉풍토출공(414)이 통공되어 열풍과 혼합되지 않게 냉풍만 유입되어 냉풍가이드덕트(400)의 송풍가이드홀(430)의 외측과 본체(100)의 내측 사이의 과열방지 냉풍순환공간(S)에서 냉풍만 배출 순환되어 본체(100)의 과열이 방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가이드덕트(400)의 송풍가이드홀(430)의 외측과 본체(100)의 내측 사이의 과열방지 냉풍순환공간(S)의 본체(100) 일측에는 과열방지 냉풍배기공(140)이 통공되고, 과열방지 냉풍배기공(140)이 통공 형성된 본체의 일측에는 히터의 난방온도를 제어 조작하는 컨트롤러(600)가 더 장착되어,
    상기 과열방지 냉풍배기공(140)을 통해 배기되는 과열방지 냉풍이 내부로 공급되어 컨트롤러(600)가 본체(100)와 함께 과열이 방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140)는 PTC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
KR1020140135506A 2014-10-08 2014-10-08 농업용 전기 온풍기 KR101638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506A KR101638853B1 (ko) 2014-10-08 2014-10-08 농업용 전기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506A KR101638853B1 (ko) 2014-10-08 2014-10-08 농업용 전기 온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477A true KR20160041477A (ko) 2016-04-18
KR101638853B1 KR101638853B1 (ko) 2016-07-12

Family

ID=5591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506A KR101638853B1 (ko) 2014-10-08 2014-10-08 농업용 전기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8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247B1 (ko) * 2020-01-10 2021-03-25 (주)시스코 보온시설물용 온도 조절 및 공기 교반장치
KR20220168493A (ko) * 2021-06-16 2022-12-23 최군식 축사용 온풍기
US11778957B2 (en) 2019-02-18 2023-10-1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US11778964B2 (en) 2019-02-18 2023-10-1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074B1 (ko) * 2016-12-13 2018-02-21 김일주 과열방지가 가능한 축사용 온열장치
KR101880932B1 (ko) 2018-01-30 2018-07-23 김준년 농업용 전기 온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935A (ko) * 2006-08-29 2008-03-05 이현택 농축산용 ptc 온풍기
KR101271987B1 (ko) * 2013-03-12 2013-06-05 백종현 농축산용 온풍기
KR101297775B1 (ko) * 2013-01-10 2013-08-20 신자용 농업용 전기 온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935A (ko) * 2006-08-29 2008-03-05 이현택 농축산용 ptc 온풍기
KR101297775B1 (ko) * 2013-01-10 2013-08-20 신자용 농업용 전기 온열기
KR101271987B1 (ko) * 2013-03-12 2013-06-05 백종현 농축산용 온풍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8957B2 (en) 2019-02-18 2023-10-1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US11778964B2 (en) 2019-02-18 2023-10-1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KR102231247B1 (ko) * 2020-01-10 2021-03-25 (주)시스코 보온시설물용 온도 조절 및 공기 교반장치
KR20220168493A (ko) * 2021-06-16 2022-12-23 최군식 축사용 온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853B1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853B1 (ko) 농업용 전기 온풍기
CN102374660B (zh) 风扇组件
AU2010201383B9 (en) Heating and cooling unit, and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CN107314453B (zh) 壁挂式室内机及空调器
KR20130033434A (ko) 팬 어셈블리
US976598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9702588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160084518A1 (en) Air Exchang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emperature Difference
ES2939714T3 (es) Unidad interior de aire acondicionado
CN115388465A (zh) 壁挂式新风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1976264B1 (ko) 동식물의 생육 공간용 실내외 공기 분산 장치
EP2941952B1 (en) Greenhouse provided with ventilation system
CN210290191U (zh) 风扇组件以及风扇和镜子组件
KR101523315B1 (ko) 농장용 난방시스템
KR100909680B1 (ko) 농업용 열풍시스템
ES2780523T3 (es) Aparato de techo o pared para la introducción de aire frío o caliente en una habitación
KR101863622B1 (ko) 가습형 온풍기
US9746200B2 (en) Building ventilator
KR101297775B1 (ko) 농업용 전기 온열기
KR101522548B1 (ko) 온실 히트펌프시스템용으로 냉난방 및 제습이 가능한 팬코일 유니트장치
KR101831074B1 (ko) 과열방지가 가능한 축사용 온열장치
ES2743521T3 (es) Dispositivo de ventilación para un túnel de viento vertical cerrado
ES1240387U (es) Sistema de difusión de calor de un producto para calefacción alimentado por biomasa
CN111219775A (zh) 取暖器
CN209340174U (zh) 一种双风叶冷暖循环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