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932B1 - 농업용 전기 온풍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전기 온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0932B1 KR101880932B1 KR1020180011385A KR20180011385A KR101880932B1 KR 101880932 B1 KR101880932 B1 KR 101880932B1 KR 1020180011385 A KR1020180011385 A KR 1020180011385A KR 20180011385 A KR20180011385 A KR 20180011385A KR 101880932 B1 KR101880932 B1 KR 1018809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heat
- heat generating
- fixing
- h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농업용 전기 온풍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는 발열관 복수개를 밀집시켜 본체관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공기와 발열관의 접촉 표면적을 크게 증가시켰는 바, 열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사나 비닐하우스 내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축사나 비닐하우스 내에는 겨울철 가축의 동사를 방지하거나 채소/과일 등의 겨울 수확을 목적으로 난방, 온풍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온풍의 공급방식은 주로 액체(석유 등) 및 고체(석탄, 목재 등) 연료를 연소하는 대형발열체나 보일러와 같은 형식을 사용하였으나, 연료의 연소로 인해 산소가 부족해지고 유해가스 배출로 축사나 작물의 생장 환경에 악영향이 있었는 바 최근에는 전기 온풍기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전기 온풍기는 모터와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송풍장치의 배출부 선단에 확대부를 형성한 토출관을 연결설치한다. 토출관의 내부에는 전기히터를 삽입한 뒤에 열매유를 채워 밀봉한 발열관을 구성한다. 발열관의 외주면에는 방사형 발열핀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전기히터가 열매유를 데우고 그 열기는 발열관의 방열핀에서 방출되며, 이때 송풍장치에 의해 불어오는 바람이 방열핀을 통과하면서 공기를 데우는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 전기 온풍기의 경우, 발열관과 공기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 데에 한계가 있었는 바 온풍기의 열효율이 기대보다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토출관의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전기 온풍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비효율적으로 구동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발열관을 밀집시켜 본체관 내부에 배치하여 발열관과 공기의 접촉 표면적을 넓혀 열효율을 향상시킨 농업용 전기 온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송풍장치와, 송풍장치의 측부에 마련되는 배출부와 연통되며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장치와, 송풍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송풍장치와 발열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고, 발열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은 배출부와 연통되고 전방은 개방되는 본체관과, 본체관 내부에 복수개가 밀집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몸통에는 원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구비하고 관형의 전기히터가 몸통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발열관을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송풍장치, 발열장치 및 제어박스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이동 가능한 이동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이동프레임은, 송풍장치, 발열장치 및 제어박스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결합하는 바퀴와, 지지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마련되어 발열장치의 본체관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거치부와, 지지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발열관들을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호 연결시키는 발열관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발열관 고정부는, 인접하는 두 발열관의 몸통 외측으로 돌출된 전기히터의 단부를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공에각각 수용하는 고정프레임과, 결합공에 결합되어 전기히터의 단부를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고정프레임의 외측 결합공이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고정프레임들끼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관의 전방부 내부에는 원주를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후방부 외부에 원주를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치합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원주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보조토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는 발열관 복수개를 밀집시켜 본체관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공기와 발열관의 접촉 표면적을 크게 증가시켰는 바, 열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토출관을 마련하여 토출관의 토출구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 온풍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온풍의 토출압력을 달리할 수 있는 바, 보다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농업용 전기 온풍기를 도 1에 표기된 Ⅱ방향에서 바라 본 발열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발열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농업용 전기 온풍기에서 비닐고정부와 보조토출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농업용 전기 온풍기를 도 1에 표기된 Ⅱ방향에서 바라 본 발열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발열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농업용 전기 온풍기에서 비닐고정부와 보조토출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농업용 전기 온풍기(100, 이하 전기 온풍기)는 이동프레임(110), 송풍장치(120), 제어박스(130) 및 발열장치(140)를 포함한다.
전기 온풍기(100)는 축사 또는 비닐하우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 온풍기(1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110)에 의해 이동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전기 온풍기(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프레임(110)은 송풍장치(120), 제어박스(130) 및 발열장치(140)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또한 전기 온풍기(100)에 이동수단을 제공한다. 이동프레임(110)은 지지프레임(111), 바퀴(112), 거치부(113), 다리부(114)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11)은 도 1에서와 같이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거나,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1)의 상부에는 송풍장치(120), 제어박스(130) 및 발열장치(140)가 설치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11)의 후방 상부에는 송풍장치(120)가 설치된다. 제어박스(130)는 송풍장치(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발열장치(140)는 송풍장치(120)의 측부에 마련되는 배출부와 연통되며, 지지프레임(111)의 전방 및 중앙 상부에 설치된다.
바퀴(112)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지지프레임(111)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바퀴(112)는 통상의 바퀴 부재를 이용 할 수 있다.
거치부(113)는 지지프레임(111)의 전방 상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발열장치(140)를 하부에서 거치한다. 거치부(113)는 발열장치(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발열장치(140)의 외관과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13)는 발열장치(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 되고,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리부(114)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지지프레임(111)의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다리부(114)는 통상의 사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송풍장치(120)는 모터(미도시)와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한다. 송풍장치(120)는 하우징(미표기) 내에 모터가 배치되고,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이 배치된다. 송풍장치(120)의 측부에는 외기 유입부(미도시)와 배출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송풍팬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외기 유입부를 통해 송풍장치(120)의 내부로 유입되며, 배출부로 배출된다. 배출부는 발열장치(140)의 후단과 연통된다.
제어박스(130)는 송풍장치(120)와 발열장치(140)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헤 제어박스(130)는 송풍장치(120) 및 발열장치(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예를 들어 송풍팬의 구동, 발열장치에 마련되는 전기히터의 구동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는 조작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전기 온풍기(100)의 상태(예컨대 온도, 풍속 등)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 및 표시부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버튼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발열장치(140)는 본체관(141)과 본체관(141)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열관(145)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본체관(141)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관(141)의 후방은 송풍장치(120)의 배출부와 연통된다. 본체관(141)의 전방은 개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관(141)의 후방은 개방된다. 이 때, 본체관(141)의 직경은 송풍장치(120)의 배출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본체관(141)의 후단은 송풍장치(120)의 배출부를 감싸는 형태로 송풍장치(120)의 일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관(141)과 송풍장치(120)의 이음부에는 기밀을 위해 가스켓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장치(120)로부터 생성되는 바람은 송풍장치(120)의 배출부로 배출되어 본체관(141) 내부를 향해 흘러 본체관(141)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본체관(141)이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열관(145)은 발열하여 송풍장치(120)로부터 유입되는 바람을 데우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관(141)의 전방에서 배출되는 바람은 온풍이 된다. 본체관(141)과 발열관(145)은 모두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관(141)의 내부에는 원주를 따라 소정 두께의 단열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본체관(141)이 배치되는 공간의 낮은 온도에 의한 본체관(141)의 표면 온도 저하가 본체관(141)의 내부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단열재는 본체관(141)의 내부 전면에 배치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발열장치(14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농업용 전기 온풍기(100)를 도 1에 표기된 Ⅱ방향에서 바라 본 발열관(145)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열관(145)은 본체관(141) 내부에 복수개가 밀집되어 배치된다. 예를들어 하나의 본체관(141) 내부에 10개 이상 20개 이하의 발열관(145)이 밀집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체관(141)과 발열관(145)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발열관(145)은 속이 빈 원통형의 몸통(미표기)과, 몸통에 형성되는 것으로 몸통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핀(146)을 포함한다. 발열관(145)의 몸통 길이는 본체관(141)의 길이와 상응할 수 있으며, 방열핀(146)은 몸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방열핀(146)은 발열관(145)의 몸통 원주를 따라 30°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이 경우 발열관(145)의 몸통 1개에 형성되는 방열핀(146)은 총 12개).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본체관(141)의 직경이 50cm 가량 되는 경우, 발열관(145)이 직경은 5cm 가량 될 수 있으며, 방열핀(146)의 높이는 12~13cm 가량 될 수 있다. 즉, 방열핀(146)의 높이는 발열관(145)의 몸통 직경의 2배 이상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방열핀(146)의 두께는 1cm 가량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관(145) 복수개가 밀집되면 하나의 발열관(145)에 형성된 방열핀(146)들이 인접하게 배치된 발열관(145)에 형성된 방열핀(146)들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발열관(145)들의 방열핀(146)들 사이에 삼각형 형태의 공간들이 형성되며, 이들 공간이 공기의 흐름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발열관(145)의 몸통 내부에는 관형의 전기히터(147)가 배치된다. 전기히터(147)는 관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전열선이 배설되고 단부에는 절연재가 충전될 수 있다. 전기히터(147)의 길이는 발열관(145)의 길이보다 소정 정도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히터(147)가 발열관(145)의 몸통 내부에 삽입되면 전기히터(147)의 양 단부는 발열관(145)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전기히터(147)의 외경은 발열관(145)의 몸통 내경과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전기히터(147)가 발열관(145)의 몸통에 삽입되었을 때, 여분 공간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전력 공급에 의해 전기히터(147)가 발열하면, 발열관(145)은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예컨대 알루미늄)로 형성되는 바, 발열관(145)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발열관(145)과 발열관(145) 사이의 통로를 통해 흐르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되므로 발열장치(14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온풍이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풍기(100)는 기존 전기 온풍기와는 다르게 복수의 발열관(145)을 본체관(141) 내부에 밀집 배치함으로써, 발열장치(140) 내부를 흐르는 공기와 발열관(145)의 접촉 표면적을 크게 증가시켰는 바, 열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열관(14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몸통 직경보다 방열핀(146)의 높이가 2배 이상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뿐더러 방열핀(146)의 두께는 1cm 가량으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므로, 복수의 발열관(145)이 밀집된 밀집체의 최외곽 부분은 본체관(141)의 내경과 접촉 면적이 크지 않다. 본체관(141)이 배치되는 공간의 낮은 온도에 의한 본체관(141)의 표면 온도 저하가 본체관(141)의 내부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유다. 나아가 상술한 것처럼 본체관(141)의 내부에 원주를 따라 마련되는 단열재 역시 본체관(141)의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에 영향을 덜 받게 한다. 이에 따라 본체관(141) 내부의 발열이 효율적으로 흐름 공기에 열전달될 수 있는 바, 열효율이 높은 온풍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의 발열관(145)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온풍기(100)는 복수의 발열관(145)들을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호 연결시키는 발열관 고정부(148)를 더 포함한다. 발열관 고정부(148)는 복수의 발열관(145)들을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복수의 발열관(145)을 하나의 밀집체로 고정시키게 되는 바, 전기 온풍기(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나아가 발열관 고정부(148)는 외부 전력을 복수의 발열관(145)들에 대해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데에 기여한다.
발열관 고정부(148)는 복수의 고정프레임(148a)과 고정부재(148b)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48a)은 플레이트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는 한 쌍의 결합공(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48a)은 인접하는 두 발열관(145)의 몸통 외측으로 돌출된 전기히터(147)의 단부를 상기 결합공에 각각 수용한다. 고정부재(148b)는 상기 결합공에 각각 결합되어 전기히터(147)의 단부를 고정프레임(148a)에 고정시킨다. 고정프레임(148a) 및 고정부재(148b)는 모두 전도성을 갖는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한편, 인접하는 고정프레임(148a)의 외측 결합공이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고정프레임(148a)들끼리 상호 연결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발열관(145)들 중 인접한 2개의 발열관(145)의 단부가 하나의 고정프레임(148a)들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인접한 2개의 고정프레임(148a)의 외측 결합공이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고정프레임(148a)들끼리 상호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고정프레임(148a)들이 하나의 띠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연결되며, 고정프레임(148a) 중 일부에는 전원선(미표기), 접지선들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고정프레임(148a)들을 따라 모든 발열관(145)에 공급됨으로써 전기히터(147)가 발열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농업용 전기 온풍기(100)에서 비닐고정부(142)와 보조토출관(1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온풍기(100)는 보조토출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토출관(150)은 본체관(141)의 전방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보조토출관(150)은 본체관(141)의 전방으로 삽입되어 전방 내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본체관(14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본체관(14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보조토출관(150)은 본체관(141)의 길이의 1/4 가량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보조토출관(150)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원주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관(141)의 전방 내부에 보조토출관(150)을 결합하게 되면, 본체관(141)의 전방 개방부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전기 온풍기(100)가 설치되는 공간은 상황에 따라 매우 상이할 수 있다. 공간의 넓이가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 온풍기(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전기 온풍기(100)가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공기 토출부(본체관의 전방 개방부)의 직경을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풍기(100)에서는 상황에 따라 다른 형태의 보조토출관(150)을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공기 토출부의 직경을 조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보조토출관(150)에 의해 공기 토출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경우에는 동일한 풍압일 때에 유로가 좁아짐에 따라 공기의 토출압이 커지게 되므로 보다 온풍이 강하게 토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보조토출관(150)의 결합을 위해 발열장치(140)의 본체관(141)의 전방부 내부에는 원주를 따라 제1 나사산(141a)이 형성된다. 또한 보조토출관(150)의 외부 후방에는 원주를 따라 제1 나사산(141a)과 치합하는 제2 나사산(150a)이 형성된다. 보조토출관(150)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토출관(150)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원주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작아지는 정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보조토출관(150)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전기 온풍기(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상황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보다 적합한 보조토출관(150)을 전기 온풍기(100)의 본체관(141)에 결합함으로써 풍압 등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적합한 보조토출관(150)을 선택한 후에 본체관(141)의 전방 개구부로 선택한 보조토출관(150)을 삽입하고, 보조토출관(150)의 제2 나사산(150a)과 본체관(141)의 제1 나사산(141a)을 치합시켜 보조토출관(15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전기 온풍기(100)는 비닐고정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닐고정부(142)는 전기 온풍기(100)의 사용을 위해 전기 온풍기(100)의 전방에 원통형의 비닐 덕트를 결합시킬 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온풍기(100)가 비닐하우스 내에 배치되는 경우에, 전기 온풍기(100)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작물에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 온풍기(100)의 전방에 비닐 덕트를 결합시킬 수 있다. 비닐 덕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원주를 따라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비닐 덕트를 전기 온풍기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비닐 덕트의 일단부에 전기 온풍기의 공기 토출구를 삽입하고, 비닐 덕트와 전기 온풍기의 이음 부위를 테이프 및/또는 끈으로 감아서 고정시켰다. 하지만 이 방법은 비닐 덕트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을 뿐더러, 고정시키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온풍기(100)에서는 본체관(141)에 비닐고정부(142)를 마련함으로써 비닐 덕트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비닐고정부(142)는 커버(143)와 안착부(144)를 포함한다. 커버(143)는 본체관(141)의 전방 측부를 감싸는 원형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관(141)의 전방 측부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커버(143)는 반원형의 밴드 형태로 형성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본체관(141)의 전방 측부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본체관(141)의 전방 측부 상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커버(143)가 본체관(141)의 전방 측부 상부에서 상호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143)의 내표면에는 소정 크기로 돌출된 삽입부재(143a)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143a)는 커버(143)의 내표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44)는 커버(143)에 의해 덮이는 부분으로 본체관(141)의 전방 측부에 형성된다. 안착부(144)는 본체관(141)의 전방 측부위에서 소정 정도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143)가 힌지에 의해 회전하여 안착부(144)에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144)에는 장홈(144a)이 형성된다. 장홈(144a)은 커버(143)의 삽입부재(143a)를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커버(143)가 안착부(144)에 안착되었을 때 커버(143)의 삽입부재(143a)를 수용함으로써 커버(143)가 안착부(144)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비닐고정부(142)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우선 비닐고정부(142)의 커버(143)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안착부(144)가 노출된다. 다음으로 본체관(141)이 내부로 진입하도록 비닐 덕트를 본체관(141)에 씌우되, 비닐 덕트의 일단이 안착부(144)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커버(143)를 회전시켜 안착부(144)를 덮는다. 이 때, 커버(143)에 형성된 삽입부(143a)가 안착부(144)에 형성된 홈부(144a)에 삽입되면서, 비닐 덕트의 일단부를 삽입부(143a) 및 홈부(144a) 사이에 공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143)가 안착부(144)를 덮은 상태에서 커버(143)를 고정시키면, 비닐 덕트가 안정적으로 본체관(1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농업용 전기 온풍기는 발열관 복수개를 밀집시켜 본체관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공기와 발열관의 접촉 표면적을 크게 증가시켰는 바, 열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토출관을 마련하여 토출관의 토출구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 온풍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온풍의 토출압력을 달리할 수 있는 바, 보다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전기 온풍기
110: 이동프레임
120: 송풍장치
130: 제어박스
140: 발열장치
141: 본체관
145: 발열관
148: 발열관 고정부
150: 보조토출관
110: 이동프레임
120: 송풍장치
130: 제어박스
140: 발열장치
141: 본체관
145: 발열관
148: 발열관 고정부
150: 보조토출관
Claims (4)
- 송풍장치와, 송풍장치의 측부에 마련되는 배출부와 연통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장치와, 송풍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송풍장치와 발열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박스와, 발열장치의 전방에 착탈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원주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보조토출관과, 발열장치의 전방 측부에 마련되어 원통형의 비닐 덕트를 고정시키는 비닐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은 배출부와 연통되고 전방은 개방되며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단열재가 배치되는 본체관과, 본체관 내부에 밀집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발열관과, 복수의 발열관들을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호 연결시키는 발열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관의 전방부 내주에는 원주를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토출관의 후방부 외주에는 원주를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치합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보조토출관이 본체관 전방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발열관은, 속이 빈 원통형의 몸통과, 몸통의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핀과, 몸통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갖고 몸통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어 양 단부가 발열관의 외측에 노출되는 관형의 전기히터를 포함하고,
하나의 발열관에 형성된 방열핀들이 인접하게 배치된 발열관에 형성된 방열핀들 사이에 위치되어, 발열관들의 방열핀들 사이에 삼각형 형태의 공기 흐름 공간이 형성되도록 밀집 배치되고,
상기 발열관 고정부는, 인접하는 두 발열관의 몸통 외측으로 돌출된 전기히터의 단부를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각각 수용하는 금속 소재의 고정프레임과, 결합공에 결합되어 전기히터의 단부를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금속 소재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하는 고정프레임의 외측 결합공이 겹치도록 배치되어 고정프레임들끼리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띠 형태를 이룸으로써, 고정프레임 중 일부에만 전원선과 접지선들이 연결되더라도 발열관 모두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비닐고정부는,
반원형의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관의 전방 측부의 상부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표면에는 삽입부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커버와, 상기 본체관의 전방 측부에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에 의해 덮이는 부분으로 상기 삽입부재를 수용하는 장홈이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커버는 본체관의 전방 측부의 상부에서 상호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송풍장치, 발열장치 및 제어박스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이동 가능한 이동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이동프레임은,
송풍장치, 발열장치 및 제어박스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각각 결합하는 바퀴와,
지지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마련되어 발열장치의 본체관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거치부와,
지지프레임의 후방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전기 온풍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1385A KR101880932B1 (ko) | 2018-01-30 | 2018-01-30 | 농업용 전기 온풍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1385A KR101880932B1 (ko) | 2018-01-30 | 2018-01-30 | 농업용 전기 온풍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0932B1 true KR101880932B1 (ko) | 2018-07-23 |
Family
ID=6310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1385A KR101880932B1 (ko) | 2018-01-30 | 2018-01-30 | 농업용 전기 온풍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093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38736A1 (de) * | 2018-08-21 | 2020-02-27 |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 Heizvorrichtung zum erwärmen von luft |
KR102401654B1 (ko) | 2021-12-29 | 2022-05-25 | 주식회사 대광기전 | 전기온풍기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9381B1 (ko) * | 2007-01-04 | 2007-06-18 | 이영수 | 간접 온풍기 |
KR100760045B1 (ko) * | 2006-03-19 | 2007-10-04 | 박시영 | 개폐식 비닐하우스 클립 |
KR100909680B1 (ko) * | 2009-01-15 | 2009-07-29 | 신자용 | 농업용 열풍시스템 |
KR20120037612A (ko) * | 2010-10-12 | 2012-04-20 | 신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난방용 열풍기 |
KR20140136782A (ko) * | 2013-05-21 | 2014-12-01 | 주식회사 채움터 | 열매체유와 전기를 이용한 온풍장치 |
KR101588391B1 (ko) * | 2014-02-28 | 2016-01-28 | 이진성 | 부착형 전기 온풍 장치 |
KR101638853B1 (ko) | 2014-10-08 | 2016-07-12 | 이영준 | 농업용 전기 온풍기 |
KR101667624B1 (ko) * | 2014-07-07 | 2016-10-20 | (주)한국열융합기술 | 열풍기 |
-
2018
- 2018-01-30 KR KR1020180011385A patent/KR1018809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045B1 (ko) * | 2006-03-19 | 2007-10-04 | 박시영 | 개폐식 비닐하우스 클립 |
KR100729381B1 (ko) * | 2007-01-04 | 2007-06-18 | 이영수 | 간접 온풍기 |
KR100909680B1 (ko) * | 2009-01-15 | 2009-07-29 | 신자용 | 농업용 열풍시스템 |
KR20120037612A (ko) * | 2010-10-12 | 2012-04-20 | 신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난방용 열풍기 |
KR20140136782A (ko) * | 2013-05-21 | 2014-12-01 | 주식회사 채움터 | 열매체유와 전기를 이용한 온풍장치 |
KR101588391B1 (ko) * | 2014-02-28 | 2016-01-28 | 이진성 | 부착형 전기 온풍 장치 |
KR101667624B1 (ko) * | 2014-07-07 | 2016-10-20 | (주)한국열융합기술 | 열풍기 |
KR101638853B1 (ko) | 2014-10-08 | 2016-07-12 | 이영준 | 농업용 전기 온풍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38736A1 (de) * | 2018-08-21 | 2020-02-27 |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 Heizvorrichtung zum erwärmen von luft |
CN112601916A (zh) * | 2018-08-21 | 2021-04-02 | 特鲁玛杰拉特技术有限公司 | 用于加热空气的加热装置 |
US20210260962A1 (en) * | 2018-08-21 | 2021-08-26 |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 Heating device for heating air |
CN112601916B (zh) * | 2018-08-21 | 2022-04-15 | 特鲁玛杰拉特技术有限公司 | 用于加热空气的加热装置 |
KR102401654B1 (ko) | 2021-12-29 | 2022-05-25 | 주식회사 대광기전 | 전기온풍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72016A (en) | 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 comprising modular subterranean heat exchange units with multiple parallel secondary conduits | |
KR101880932B1 (ko) | 농업용 전기 온풍기 | |
US5339890A (en) | 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 comprising modular subterranean heat exchange units with concentric conduits | |
US1889238A (en) | Solar heater | |
CN107772540A (zh) | 烤烟电子烟及其烟锅结构 | |
US20160069589A1 (en) | Radiator heating device using vacuum spiral heat pipe | |
US4869234A (en) | Passive solar heater | |
CA1252442A (fr) | Aerotherme | |
US2405783A (en) | Electric heater | |
KR100680306B1 (ko) | 고체연료용 온풍기 | |
KR101797707B1 (ko) |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접이식 히터기 | |
KR100689656B1 (ko) | 전기와 열매체를 이용한 온풍기 | |
KR101746570B1 (ko) | 온풍기 | |
CN210241738U (zh) | 踢脚线式取暖器 | |
KR20070104875A (ko) | 근적외선을 이용한 순간온수기 | |
KR200256827Y1 (ko) | 이동형 전기히터방열기 | |
JPH07260189A (ja) | 空気調和装置 | |
KR200421038Y1 (ko) | 열매체를 이용한 전기 난방기 | |
KR100927333B1 (ko) | 열매유를 이용한 농업용 온풍기 | |
KR20080018023A (ko) | 공기조화기 | |
EP1369655A1 (en) | Thermal diffuser, in particular for household radiators | |
CN221197522U (zh) | 取暖器 | |
KR102500664B1 (ko) | 무동력 온풍공급장치 | |
KR200290968Y1 (ko) | 이동형 전기히터방열기 | |
CN105333612B (zh) | 户外便携式废气分离自发电取暖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