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372A -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372A
KR20160040372A KR1020140133318A KR20140133318A KR20160040372A KR 20160040372 A KR20160040372 A KR 20160040372A KR 1020140133318 A KR1020140133318 A KR 1020140133318A KR 20140133318 A KR20140133318 A KR 20140133318A KR 20160040372 A KR20160040372 A KR 20160040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ontainer
unit
discharg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379B1 (ko
Inventor
박태현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3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 resin, an ink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토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제공되어 기판으로 액정을 토출하는 헤드와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액정의 무게를 측정하는 액정 측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액정 측정 유닛은 액정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결합되어 액정을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용기 내에 액정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몸체와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음압을 제공하여 상기 액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감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 내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연장되어 제공되며 끝단은 흡입구가 형성되는 액정 토출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UNIT OF MEASURING QUANTITY OF LIQUID CRYSTAL AND APPARATUS OF DISPENSING LIQUID CRYSTAL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을 토출량을 측정하는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 전화기, 휴대형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액정 표시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액정표시 장치는 블랙 매트릭스, 컬러 필터, 공통 전극 및 배향막이 형성된 컬러 필터 기판과; 박막트랜지스터(TFT), 화소 전극 및 배향막이 형성된 어레이 기판 사이에 액정 층을 형성하여, 액정의 이방성에 따른 빛의 굴절률의 차이를 이용해 영상 효과를 얻는다.
컬러 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액정 주입 방법 또는 액정 적하 방법이 있다. 액정 주입 방법은 컬러 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합착하고, 그 사이 공간으로 액정을 주입하여 충전하는 방법이다. 액정 적하 방법은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상의 실라인 영역에 실라인을 형성한 후 실라인에 의해 정의된 표시 영역 내에 액정을 적하하는 방법이다. 액정이 적하된 컬러 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은 얼라인된 후 적하된 액정이 전면에 고르게 퍼지도록 가압되며, 자외선(UV) 및 열처리 공정을 통해 씰 패턴을 경화시킴으로써 컬러 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이 합착된다.
한편, 액정을 측정하는 측정 유닛에 있어서, 액정의 토출량을 측정한 뒤 용기 내에 액정을 제거해야 한다. 액정의 제거는 용기의 통을 빼내어 용기 내의 액정을 제거한 다음 다시 용기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과정은 수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기의 액정을 외부로 배출시 용기의 하부로 배출관을 연결하여 배출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되는 액정 중 일부가 배출관의 내부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액정 측정 유닛은 액정의 무게를 ㎍단위의 스케일까지 측정 가능한 전자 저울로 제공된다. 따라서 용기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에 일부 남아있는 액정은 액정의 무게 측정시 정밀한 측정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액정 토출 장치에서 토출되는 액정의 토출량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정 토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정 토출 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제공되어, 기판으로 액정을 토출하는 헤드와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액정의 무게를 측정하는 액정 측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액정 측정 유닛은 액정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결합되어 액정을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용기 내에 액정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몸체와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음압을 제공하여 상기 액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감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 내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연장되어 제공되며 끝단은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의 측벽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의 측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구는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 제공되고, 수평면에 대해 경사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정 측정 유닛은 커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정 측정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정 측정 유닛은 액정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결합되어 액정을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용기 내에 액정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몸체와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음압을 제공하여 상기 액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감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 내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연장되어 제공되며 끝단은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의 측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구는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 제공되고, 수평면에 대해 경사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정 측정 유닛은 커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액정 측정 유닛의 용기에 액정을 외부로 배출 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이루어져 액정 측정 유닛의 측정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액정 측정 유닛의 용기에 액정을 외부로 배출 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이루어져 작업 속도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토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정 토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헤드의 노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헤드 이동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 1 이동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액정 측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액정 측정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액정 측정 유닛에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액정 측정 유닛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잉크젯 방식 액정 도포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액정 도포 설비(1)는 액정을 토출하는 잉크젯 방식으로 기판에 액정(Liquid Crystal)을 도포하는 설비이다. 기판은 액정 표시 패널의 컬러 필터(CF) 기판 또는 박막트랜지스터(TFT) 기판일 수 있으며, 액정은 컬러 필터(CF) 기판 또는 박막트랜지스터(TFT) 기판의 전면에 도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 도포 설비(1)는 액정 토출부(10), 기판 이송부(20), 로딩부(30), 언로딩부(40), 액정 공급부(50), 그리고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액정 토출부(10)와 기판 이송부(20)는 제 1 방향(12)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제 1 방향(12)은 액정 토출부(10)와 기판 이송부(20)의 배열 방향이고, 제 2 방향(14)은 수평면 상에서 제 1 방향(12)에 수직한 방향이고, 제 3 방향(16)은 제 1 방향(12)과 제 2 방향(14)에 수직한 방향이다.
액정 토출부(10)와 기판 이송부(20)는 서로 간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액정 토출부(10)의 일측에는 기판 이송부(20)가 위치한다. 액정 토출부(10)의 타측에는 액정 공급부(50)와 제어부(90)가 배치된다. 액정 공급부(50)와 제어부(90는 기판 이송부(2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액정 공급부(50)와 제어부(90)는 제 2 방향(14)으로 나란히 위치한다.
기판 이송부(20)의 타측에는 로딩부(30)와 언로딩부(40)가 위치한다. 로딩부(30)와 언로딩부(40)는 액정 토출부(1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된다. 로딩부(30)와 언로딩부(40)는 제 2 방향(14)으로 나란히 위치한다.
액정이 도포될 기판은 로딩부(30)로 반입된다. 기판 이송부(20)는 로딩부(30)에 반입된 기판을 액정 토출부(10)로 이송한다. 액정 토출부(10)는 액정 공급부(50)로부터 액정을 공급받아, 액정을 토출하는 잉크젯 방식으로 기판상에 액정을 토출한다. 액정 토출이 완료되면, 기판 이송부(20)는 액정 토출부(10)로부터 언로딩부(40)로 기판을 이송한다. 액정이 도포된 기판은 언로딩부(40)로부터 반출된다. 제어부(90)는 액정 토출부(10), 기판 이송부(20), 로딩부(30), 언로딩부(40), 그리고 액정 공급부(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토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정 토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액정 토출부(10)는 베이스(1800), 기판 지지 유닛(100), 갠트리(200), 갠트리 이동 유닛(300), 헤드들(400), 헤드 이동 유닛(500), 액정 공급 유닛(600), 액정 측정 유닛(800), 노즐 검사 유닛(900), 그리고 헤드 세정 유닛(1000)을 포함한다.
베이스(18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1800)의 상면에는 기판 지지 유닛(100)이 배치된다. 기판 지지 유닛(100)은 기판(S)이 놓이는 지지판(110)을 가진다. 지지판(110)은 사각형 형상의 판일 수 있다. 지지판(110)의 하면에는 회전 구동 부재(120)가 연결된다. 회전 구동 부재(120)는 회전 모터일 수 있다. 회전 구동 부재(120)는 지지판(100)에 수직한 회전 중심 축을 중심으로 지지판(110)을 회전시킨다.
지지판(110)이 회전 구동 부재(120)에 의해 회전되면, 기판(S)은 지지판(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액정이 도포될 기판에 형성된 셀의 장변 방향이 제 2 방향(14)을 향하는 경우, 회전 구동 부재(120)는 셀의 장변 방향이 제 1 방향(12)을 향하도록 기판을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판(110)과 회전 구동 부재(120)는 직선 구동 부재(130)에 의해 제 1 방향(12)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직선 구동 부재(130)는 슬라이더(132)와 가이드 부재(134)를 포함한다. 회전 구동 부재(120)는 슬라이더(132)의 상면에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134)는 베이스(1800)의 상면 중심부에 제 1 방향(12)으로 길게 연장된다. 슬라이더(132)에는 리니어 모터(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슬라이더(132)는 리니어 모터(미도시)에 의해 가이드 부재(134)를 따라 제 1 방향(12)으로 직선 이동된다.
갠트리(200)는 지지판(110)이 이동되는 경로의 상부에 제공된다. 갠트리(20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갠트리(200)는 베이스(18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갠트리(200)는 길이 방향이 제 2 방향(14)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갠트리 이동 유닛(300)은 갠트리(200)를 제 1 방향(12)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갠트리 이동 유닛(300)은 제 1 이동 유닛(310)과 제 2 이동 유닛(320)을 포함한다. 제 1 이동 유닛(310)은 갠트리(200)의 일단에 제공되고, 제 2 이동 유닛(320)은 갠트리(200)의 타단에 제공된다. 제 1 이동 유닛(310)은 베이스(1800)의 일측에 제공된 가이드 레일(31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 2 이동 유닛(320)은 베이스(1800)의 타측에 제공된 가이드 레일(32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갠트리(200)를 제 1 방향(12)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헤드들(400)은 기판에 액정의 액적을 토출한다. 헤드들(400)은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헤드들(400)은 제 2 방향(14)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갠트리(200)에 결합된다. 헤드들(400)은 헤드 이동 유닛(500)에 의해 갠트리(200)에 결합된다. 헤드들(400)은 헤드 이동 유닛(500)에 의해 갠트리(200)의 길이 방향, 즉 제 2 방향(14)으로 직선 이동한다. 또한 제 3 방향(16)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헤드들(400)은 각각 헤드 이동 유닛(500)에 대해 제 3 방향(16)에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헤드들(400)의 저면에는 액정의 액적을 토출하는 복수개의 노즐들(410a,410b)이 제공된다. 일 예로, 헤드(410)에는 128개 또는 256개의 노즐들(410a,410b)이 제공될 수 있다. 노즐들(410a,410b)은 일정 피치의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노즐들(410a,410b)은 ㎍단위의 양으로 액정을 토출할 수 있다.
각각의 헤드들(400)에는 노즐들(410a,410b)에 대응하는 수만큼의 압전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노즐들(410a,410b)의 액적 토출량은 압전 소자들에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헤드 이동 유닛(500)은 개별 헤드들(40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3 개의 헤드(410,420,430)가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헤드(410,420,430)가 3 개 제공되므로, 헤드 이동 유닛(500) 또한 헤드(410,420,430)의 수에 대응하도록 3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헤드 이동 유닛(500)은 1 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헤드들(400)은 개별 이동이 아니라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헤드들(400)이 제공되는 수에 대응하여 헤드 이동 유닛(500)은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헤드 이동 유닛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 1 이동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헤드 이동 유닛(500)은 제 1 이동 유닛(520)과 제 2 이동 유닛(540)을 포함한다. 제 1 이동 유닛(520)은 개별 헤드(410)를 갠트리(200)의 길이 방향인 제 2 방향(14)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제 2 이동 유닛(540)은 개별 헤드(410)를 제 3 방향(16)으로 직선 이동시키거나, 제 3 방향(16)에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제 1 이동 유닛(520)은 가이드 레일들(522a,522b), 슬라이더들(524a, 524b), 그리고 이동 플레이트(526)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들(522a,522b)은 제 2 방향(14)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공된다. 가이드 레일들(522a,522b)은 갠트리(200)의 전면에 제 3 방향(16)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들(522a,522b)에는 슬라이더들(524a, 524b)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들(524a, 524b)에는 직선 구동기가 제공된다. 일 예로 직선 구동기는 리니어 모터(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동 플레이트(526)는 슬라이더들(524a, 524b)에 결합된다. 이동 플레이트(526)의 상부 영역은 상부에 위치한 슬라이더(524a)에 결합된다. 이동 플레이트(526)의 하부 영역은 하부에 위치한 슬라이더(524b)에 결합된다. 이동 플레이트(5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들(522a,522b)을 따라 제 2 방향(14)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와 같이, 헤드(410,420,430)가 제 2 방향(14)을 따라 개별 이동됨에 따라, 헤드(410,420,43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제 2 이동 유닛(540)은 가이드 부재(542), 슬라이더(544), 검출기(546) 그리고 제어기(548)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542)는 제 1 이동 유닛(520)의 이동 플레이트(526)에 결합된다. 가이드 부재(542)는 슬라이더(544)의 제 3 방향(16)으로 직선 이동을 안내한다.
슬라이더(544)는 가이드 부재(542)에 제 3 방향(16)으로 직선 이동 또는 제 3 방향(16)에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544)에는 직선 구동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직선 구동기는 리니어 모터(미도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544)에는 회전 구동기가 내장될 수 있다. 헤드(410)는 슬라이더(544)에 결합되며, 슬라이더(544)의 제 3 방향(16) 직선 이동에 의해 제 3 방향(16)으로 이동된다.
검출기(546)는 갠트리(200)에 설치될 수 있다. 검출기(546)는 헤드(410)와 기판(S) 사이의 간격을 검출한다. 검출기(546)는 레이저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548)는 검출기(546)의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기(548)는 제어 신호 생성 후, 슬라이더(544)에 내장된 리니어 모터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리니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검출기(546)의 검출 결과에 따라 헤드(410)와 기판(S)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된 기준치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기(548)는 리니어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여 헤드(410)와 기판(S)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액정 공급 유닛(600)은 액정 공급 모듈(620)과 압력 조절 모듈(640)을 포함한다. 액정 공급 모듈(620)과 압력 조절 모듈(640)은 갠트리(200)에 결합될 수 있다. 액정 공급 모듈(620)은 액정 공급부(50)로부터 액정을 공급받아서, 액정을 개별 헤드(410,420,430)에 공급한다. 압력 조절 모듈(640)은 액정 공급 모듈(620)에 양압 또는 음압을 제공하여 액정 공급 모듈(620)의 압력을 조절한다.
액정 측정 유닛(800)은 개별 헤드(410,420,430)의 액정 토출량을 측정한다. 액정 측정 유닛(800)은 베이스(1800) 상의 기판 지지 유닛(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액정 측정 유닛(800)은 개별 헤드(410,420,430) 마다 전부의 노즐들(410a,410b)로부터 토출되는 액정 토출량을 측정한다. 개별 헤드(410,420,430)의 액정 토출량 측정을 통해, 개별 헤드(410,420,430)의 노즐들(410a,410b)의 이상 유무를 거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개별 헤드(410,420,430)의 액정 토출량이 기준치를 벗어나면, 노즐들(410a,410b)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액정 측정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액정 측정 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액정 측정 유닛에 용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액정 측정 유닛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액정 측정 유닛(800)은 계측 유닛(1100), 커버 유닛(1300), 실링 유닛(1500), 그리고 방진 유닛(1700)을 포함한다. 계측 유닛(1100)은 베이스(1800) 상에 위치한다. 계측 유닛(1100)은 후술할 용기(1111) 내 수용된 액정의 무게를 측정한다. 커버 유닛(1300)은 계측 유닛(1100)의 상측에서 계측 유닛(1100)을 개폐한다. 실링 유닛(1500)은 계측 유닛(1100)과 커버 유닛(1300) 사이에 제공된다. 방진 유닛(1700)은 베이스(1800)와 계측 유닛(1100) 사이에 제공된다.
계측 유닛(1100)은 용기(1111), 선반(1113), 저울 몸체(1115), 배출관(1116), 밸브(1117), 그리고 감압부재(1118)를 포함한다. 용기(1111)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된다. 일 예로, 용기(1111)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용기(1111)는 직육면체의 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용기(1111)의 내부에는 수용공간(AS)이 제공된다. 수용공간(AS)에는 헤드(410)로부터 토출되는 액정이 수용된다. 선반(1113)은 용기(1111)의 하부를 지지한다. 선반(1113)은 용기(1111)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저울 몸체(1115)는 선반(1113)의 하측에 제공된다. 저울 몸체(1115)는 선반(1113)과 연동하여 용기(1111) 내 수용된 액정의 무게를 측정한다. 저울 몸체(1115)는 액정의 무게를 ㎍단위의 스케일(Scale)까지 측정 가능한 전자 저울로 제공될 수 있다.
배출관(1116)은 용기(1111) 내부에 액정을 밖으로 배출한다. 배출관(1116)은 용기(1111) 측벽에 결합되어 제공된다. 배출관(1116)은 용기(1111)의 측벽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제공된다.
배출관(1116)은 수평부(1116a)와 경사부(1116b)를 포함한다. 수평부(1116a)는 용기(1111)의 측벽 상부 영역에서 용기(1111)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수평부(1116a)의 끝단은 경사부(1116b)와 연결된다. 경사부(1116b)는 용기(1111)의 측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제공된다.
경사부(1116b)의 끝단에는 흡입구(1119)가 형성된다. 흡입구(1119)는 용기(1111)의 내부에 액정을 배출관(1116)의 상부로 빨아들인다. 흡입구(1119)의 끝단은 경사면(1119a)으로 제공된다. 경사면(1119a)은 용기(1111)의 측벽을 향해서 상향 경사지게 제공된다. 흡입구(1119)의 끝단이 경사지게 제공되어 수평면으로 제공될 때보다 용기(1111) 내부에 액정을 더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밸브(1117)는 배출관(1116)에 설치된다. 밸브(1117)는 용기(1111) 내부에 액정을 측정할 때는 배출관(1116)은 닫아준다. 용기(1111) 내부에 액정을 배출관(111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 밸브(1117)는 열린다. 밸브(1117)는 용기(1111)의 외측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감압 부재(1118)는 용기(1111) 내부에 음압을 제공하여 액정을 외부로 배출한다. 감압 부재(1118)는 배출관(1116)과 연결되어 제공된다. 일 예로 감압 부재(1118)는 펌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감압 부재(1118)는 펌프 이외에 용기(1111)의 내부에 음압을 제공하는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용기(1111) 내 제공된 배출관(1116) 및 감압 부재(1118)로 용기(1111) 내부에 액정을 제거시 수동으로 비우지 않아도 돼 액정 측정 유닛(800)에서 액정 측정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커버 유닛(1300)은 하우징(1310), 커버(1321), 그리고 구동기(1331)를 포함한다.
하우징(1310)은 제1프레임(1311), 제2프레임(1313), 제3프레임(1315) 그리고 제4프레임(1317)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311), 제2프레임(1313), 제3프레임(1315) 그리고 제4프레임(1317)은 각각 판 형으로 제공된다. 제1프레임(1311)과 제2프레임(1313)은 계측 유닛(1100)의 상측에서 제 1 방향(12)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공된다. 제3프레임(1315)과 제4프레임(1317)은 계측 유닛(1100)의 상측에서 제 2 방향(14)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공된다. 제4프레임(1317)은 제1프레임(1311)과 제2프레임(1313) 사이의 일측에서 제 1 방향(12)에 나란하게 놓인다. 제3프레임(1315)은 제1프레임(1311)과 제2프레임(1313)의 중단에서 제4프레임(1317)과 나란하게 놓인다. 제3프레임(1315)은 제1프레임(1311)과 제2프레임(1313) 사이를 제 1 공간(S1)과 제 2 공간(S2)으로 구획한다. 제 1 공간(S1)에는 용기(1111)와 선반(1113)이 놓인다. 제 2 공간(S2)에는 후술할 구동기(1331)가 배치된다. 제3프레임(1315)의 측면에는 제 2 공간(S2)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 브라켓(1316)이 제공된다. 지지 브라켓(1316) 상에는 후술할 구동기(1331)가 놓인다.
커버(1321)는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커버(1321)의 일단에는 제 1 레일부재(1323)가 제공된다. 제 1 레일 부재(1323)는 제 1 측판(1323a), 제 2 측판(1323b), 그리고 연결부재(1323c)를 포함한다. 제 1 측판(1323a)은 커버(1321)의 일단에서 제 3 방향(16)과 나란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측판(1323a)의 제 1 방향(12) 폭은 커버(1321)의 제 1 방향(12) 폭과 동일하게 제공된다. 제 2 측판(1323b)은 제 1 측판(1323a)과 나란하되, 제3프레임(1315)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연결부재(1323c)는 제 1 측판(1323a)과 제 2 측판(1323b)을 연결한다. 연결부재(1323c)는 커버(1321)와 나란한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레일 부재(1318)는 제4프레임(1317)의 일측면 상단에 제공된다. 제 2 레일 부재(1318)는 제 1 레일 부재(1323)의 연결부재(1323c)와 제 2 측판(1323b)이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구동기(1331)는 지지 브라켓(1316) 상에 놓인다. 이와 달리, 구동기(1331)는 제3프레임(1315)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구동기(1331)는 커버(1321)를 제 1 방향(12)으로 이동시킨다. 커버(1321)와 구동기(1331)는 브라켓들(1333,1335)로 연결된다. 제 1 브라켓(1333)은 커버(1321)의 타단에서 제 3 방향(16)과 나란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브라켓(1335)은 제 1 브라켓(1333)의 하측 말단에서 제 2 방향(14)과 나란하며 프레임(1315)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2 공간(S2)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브라켓(1335)은 구동기(1331)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구동기(1331)는 실린더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기(1331)는 리니어 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실링 유닛(1500)은 플레이트(1510)와 실링 부재(153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510)는 계측 유닛(1100)과 커버 유닛(1300) 사이에 제공된다. 플레이트(1510)에는 계측 유닛(1100)의 선반(1113)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선반(1113)은 홀을 관통하여 플레이트(1510)의 상방향으로 일부가 노출된다.
실링 부재(1530)는 선반(1113)과 홀 사이에 제공된다. 실링 부재(1530)는 선반(1113)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실링 부재(153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링 부재(1530)는 선반(1113)과 홀 사이를 밀폐하여 저울 몸체(1115)의 상면과 플레이트(1510)의 하면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기류 등이 선반(1113)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한다.
방진 유닛(1700)은 지지 플레이트(1710)와 방진부재(1730)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1710)는 계측 유닛(1100)의 저울 몸체(1115)의 하부를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1710)는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플레이트(171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방진부재(1730)는 지지 플레이트(1710)의 하부 가장자리에 복수개 제공된다. 일 예로, 방진부재(1730)는 지지 플레이트(1710)의 모서리부 하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방진부재(1730)는 베이스(1800)의 진동이 계측 유닛(1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예로, 방진부재(1730)는 겔(Gel)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방진부재(1730)는 스프링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헤드들(410,420,430)은 갠트리 이동 유닛(300)과 헤드 이동 유닛(500)에 의해 제 1 방향(12)과 제 2 방향(14)으로 이동되어 액정 측정 유닛(8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 이동 유닛(500)은 헤드들(410,420,430)을 제 3 방향(16)으로 이동시켜 헤드들(410,420,430)과 액정 측정 유닛(800)과의 상하 방향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노즐 검사 유닛(900)은 광학 검사를 통해 헤드들(410,420,430)에 제공된 개별 노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액정 측정 유닛(800)에서 거시적인 노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불특정의 노즐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노즐 검사 유닛(900)은 개별 노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면서 노즐에 대한 전수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노즐 검사 유닛(900)은 베이스(1800) 상의 기판 지지 유닛(10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들(410,420,430)은 갠트리 이동 유닛(300)과 헤드 이동 유닛(500)에 의해 제 1 방향(12)과 제 2 방향(14)으로 이동되어 노즐 검사 유닛(9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 이동 유닛(500)은 헤드들(410,420,430)을 제 3 방향(16)으로 이동시켜 헤드들(410,420,430)과 노즐 검사 유닛(900)과의 상하 방향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헤드 세정 유닛(1000)은 퍼징(Purging) 공정과 흡입(Suction) 공정을 진행한다. 퍼징(Purging) 공정은 헤드들(410,420,4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정의 일부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공정이다. 흡입(Suction) 공정은, 퍼징(Purging) 공정 후, 헤드들(410,420,430)의 노즐면에 잔류하는 액정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액정 도포 설비 10: 액정 토출부
20: 기판 이송부 30: 로딩부
40: 언로딩부 50: 액정 공급부
90: 제어부 100: 기판 지지 유닛
200: 갠트리 300: 갠트리 이동 유닛
400: 헤드들 500: 헤드 이동 유닛
600: 액정 공급 유닛 800: 액정 측정 유닛
900: 노즐 검사 유닛 1000: 헤드 세정 유닛
1100: 계측 유닛 1111: 용기
1113: 선반 1115: 저울 몸체
1116: 배출관 1117: 밸브
1118: 감압 부재 1119: 흡입구
1300: 커버 유닛 1500: 실링 유닛
1700: 방진 유닛 1800: 베이스

Claims (10)

  1. 액정 토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제공되어, 기판으로 액정을 토출하는 헤드;와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액정의 무게를 측정하는 액정 측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액정 측정 유닛은,
    액정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결합되어 액정을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용기 내에 액정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몸체와,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밸브와 그리고
    상기 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음압을 제공하여 상기 액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감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 내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연장되어 제공되며 끝단은 흡입구가 형성되는 액정 토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의 측벽에 연결되어 제공되는 액정 토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의 측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액정 토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 제공되고, 수평면에 대해 경사면으로 제공되는 액정 토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측정 유닛은 커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액정 토출 장치.
  6. 액정 측정 유닛에 있어서,
    액정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결합되어 액정을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용기 내에 액정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몸체와,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에 음압을 제공하여 상기 액정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감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 내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연장되어 제공되며 끝단은 흡입구가 형성되는 액정 측정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의 측벽에 연결되어 제공되는 액정 측정 유닛.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의 측벽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액정 측정 유닛.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 제공되고, 수평면에 대해 경사면으로 제공되는 액정 측정 유닛.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측정 유닛은 커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액정 측정 유닛.
KR1020140133318A 2014-10-02 2014-10-02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 KR10221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318A KR102218379B1 (ko) 2014-10-02 2014-10-02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318A KR102218379B1 (ko) 2014-10-02 2014-10-02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372A true KR20160040372A (ko) 2016-04-14
KR102218379B1 KR102218379B1 (ko) 2021-02-23

Family

ID=5580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318A KR102218379B1 (ko) 2014-10-02 2014-10-02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3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6928A (zh) * 2016-08-29 2016-12-14 贵州晟昌科技有限公司 风机吹干装置及液晶模组生产系统
KR20190066903A (ko) * 2017-12-06 2019-06-1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43836A (ko) * 2019-06-17 2020-12-28 세메스 주식회사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566A (ko) * 2009-11-26 2011-06-01 세메스 주식회사 액정 토출 장치 및 방법
KR20120011643A (ko) * 2010-07-29 2012-02-08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토출 장치
KR20130019707A (ko) * 2011-08-17 2013-02-27 세메스 주식회사 액정 토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566A (ko) * 2009-11-26 2011-06-01 세메스 주식회사 액정 토출 장치 및 방법
KR20120011643A (ko) * 2010-07-29 2012-02-08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토출 장치
KR20130019707A (ko) * 2011-08-17 2013-02-27 세메스 주식회사 액정 토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6928A (zh) * 2016-08-29 2016-12-14 贵州晟昌科技有限公司 风机吹干装置及液晶模组生产系统
KR20190066903A (ko) * 2017-12-06 2019-06-1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43836A (ko) * 2019-06-17 2020-12-28 세메스 주식회사 액적 토출량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379B1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742B1 (ko) 처리액 토출 장치
KR101713688B1 (ko) 기판 처리 장치
CN104226525A (zh) 处理液排出装置
KR101584362B1 (ko) 약액 토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10058566A (ko) 액정 토출 장치 및 방법
KR20130015612A (ko) 잉크젯 헤드의 정렬 방법
KR20160040372A (ko)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
KR101872776B1 (ko) 액정 토출 장치
KR101968536B1 (ko) 처리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30019707A (ko) 액정 토출 장치
KR20160053142A (ko) 기판 처리 장치
KR102232668B1 (ko) 액 공급 유닛, 이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KR102262108B1 (ko) 액정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토출 장치
KR101495283B1 (ko) 헤드세정유닛, 이를 가지는 처리액 토출 장치, 그리고 헤드세정방법
KR101096123B1 (ko) 액정 토출 장치
KR101818426B1 (ko) 액정 토출 장치
KR101955604B1 (ko) 처리액 공급 유닛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1688958B1 (ko) 헤드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KR101955608B1 (ko) 처리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KR102323321B1 (ko) 헤드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KR101455742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헤드 유닛의 세정 방법
KR102297379B1 (ko) 헤드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KR102218380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세정 방법
KR102250365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726832B1 (ko) 액 공급 유닛 및 이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