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709A -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709A
KR20160039709A KR1020140132180A KR20140132180A KR20160039709A KR 20160039709 A KR20160039709 A KR 20160039709A KR 1020140132180 A KR1020140132180 A KR 1020140132180A KR 20140132180 A KR20140132180 A KR 20140132180A KR 20160039709 A KR20160039709 A KR 20160039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gold
tea extract
skin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145B1 (ko
Inventor
박선기
조현대
차영권
김형교
최순호
한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3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1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종래의 화학 화장료에 비하여 안전성이 매우 높아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EN ELASTICITY OF THE SKIN COMPRISING COLD LEAF EXTRACTS}
본 발명은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녹차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들을 온도 및 습도 변화,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중요한 피부 역시 인체의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노화가 진행되게 되고, 그 결과로서 피부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 생성, 피부 위축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 현상은 피부 표면의 주름 발생뿐 아니라 얼굴의 전체적인 라인의 변화를 가져 오게 된다.
피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은 노화에 수반되는 현상으로 생체기능의 저하로 인한 여러 가지 구조적 변화를 나타내는데 그 발생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즉,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aging)와 내인성 노화에 외부인자, 특히 자외선에 의한 손상이 덧붙여져서 발생하는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된다. 외부인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태양광선중의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다. 내인성 노화 과정에서는 특징적인 임상피부소견으로 미세한 주름, 진피의 위축, 그리고 피하지방층의 감소 등이 관찰되며, 광노화 과정에서는 거칠고 깊은 주름이 나타나고 비정상적인 탄력 섬유층 물질이 축적되어 피부가 가죽같이 두꺼워지며 느슨해진다.
화장은 자신을 보호할 목적이나 종교적인 필요성 또는 신분과 계급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왔으나, 산업의 발달로 소비계층이 확대되고 보다 아름다워지려는 심리적 욕망이 높아지면서 이것을 충족시키기 위한 문화적 상품으로 성장하였으며, 최근에는 건강하면서 미(美)를 함께 유지할 수 있는 화장품 쪽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처럼 화장품 산업도 점점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빠르게 성장해 나아가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화장품에 대한 수준 역시 함께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산업화와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초래되면서 현대인들은 안전과 건강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자연주의와 친환경이란 현대 화장품의 트렌드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보다 자연에 가까우면서 안전함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잘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대의 흐름은 화장품 산업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소비자들은 각종 유해요인으로 인한 피부 손상에 대하여 안전하고, 건강하면서 미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자연적인 컨셉의 화장품이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년 관련 소비 시장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Well-being 및 LOHAS 등과 같이 삶의 질 향상으로 단순한 아름다움에서 보다 강력한 개선효과를 통하여 건강하면서 미를 유지할 수 있는 Cosmeceutical 개념의 기능성 화장품에 소비자들의 관심과 니즈가 집중되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경제성, 편리성, 실용성이 소비 패턴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면서, 화장품 선정에 있어서 과거 무조건적인 유명 브랜드 선호, 비싼 화장품이 좋은 것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자신의 피부 타입에 잘 맞으면서 기능성 효과를 실감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화장품 관련 산업 전반에 있어서 규모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관련 분야에서 선도적인 기술개발이 필수적인 사항이 되고 있으나, 현재 화장품 산업은 10여 년간 외형적으로만 세계적인 수준의 성장을 이루었을 뿐, 기술적으로는 선진국의 개발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신소재 개발수준이 낙후되어 있으며, 내부적으로 수입화장품에 대한 국내 소비 시장의 잠식과 제품의 효능과 피부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제품이 무분별하게 수입되면서 소비자의 혼란이 가중되어 신뢰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화장품 주요 원료의 수입 의존도 심화, 기반기술의 낙후성 등으로 점점 빠르게 발전하는 화장품 산업에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들에 대한 효능의 한계성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으며, 제품에 활용되는 기술적인 면을 보면 각 기능별 효능을 발현하는 다양한 메카니즘은 상호 작용을 통하여 최적의 기능이 발현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제품이 국소적인 부분에 대응하는 정도의 기능성을 부여하고 있어 효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들은 제품의 효능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점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독자적으로 기 개발된 소재의 활용에 있어서도 각 사별로 특허 및 독점 등의 배타적 권리에 대한 문제로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고 있다.
최근, 근현대 사회의 빠른 트렌드 변화에 속도를 맞추어 녹차 열풍이 사상 최고로 확산되고 있고, 녹차가 우리의 생활 전반에 자연스럽게 뿌리내리고 있는 시점에서 녹차에 대하여 조금 더 깊이 알아보는 것은 매우 시기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녹차가 갈수록 음료, 식품 재료, 생활 용품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것은 녹차가 그만큼 인간에게 크게 유용하기 때문이다. 그 중 국내 생산 제품 중에는 유기농 녹차 , 제주산 녹차 , 보성 녹차 등을 이용한 화장품이 속속 출시되었으며(이니스프리 그린티 씨드 라인 등), 국외에서도 녹차를 컨셉으로 이용한 화장품 들이 곳곳에 포진해 있다(엘리자베스아덴 그린티 등). 녹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중에는 EGCG 유도체 (EGCG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가 함유된 화장품이 있는데 피부에 도포시 생체내에서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작용을 억제하고,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생체막의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로서,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기능 ,피부의 탄력상승, 피부노화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다.
한편, 최근 우리나라 녹차 중 가장 유명하다고 알려진 보성 녹차에 금을 더한 황금차라는 것이 발명되어 큰 이슈를 끌고 있는데 황금차 안에 들어있는 금(金)은 동의보감에 안정, 자양작용, 본초강목에 해독작용 등의 효능들이 있다고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미국 유럽 각국의 금에 대한 연구결과, 면역력 강화, 혈액 순환 촉진, 피부 활성화, 관절염의 통증제거, 두뇌 활동 증진 등 다양한 효능들이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 동의보감에서 『금(金)은 성분이 고르고, 맛이 시며, 독이 없고, 진신(鎭神)과 안혼(安魂) 및 백(魄)과 진심(鎭心)하고 오장(五臟)을 더하며 첨정보수(添精補髓)하고, 오장 (五臟)의 풍간(風竿)과 실지한 증세를 치료하고 어린이의 경기를 낫게 한다』라고 쓰여 있는데 이는 금이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금의 피부적용으로 알려진 기술은 아직 많지 않고 실질적으로 화장품에서조차 비쥬얼적으로 보여지는 컨셉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것이 용액상태의 콜로이달 골드(Colloidal Gold)이다. 이 콜로이달 골드(Colloidal Gold) 용액을 이용하여 개발한 것이 황금차이다.
콜로이달 금(Colloidal Gold)을 이용한 금차는 7,000평에 1억1천만 원의 금용액(Colloidal Gold)을 차나무에 주어 기른 찻잎에 금미네랄을 함유하여 금과 차의 효능이 결합된 세계 최초이며 유일무이한 귀한 차이다. 뿐만 아니라 일체의 농약, 제초제, 화학비료, 축분의 사용을 배제하고 김을 매고, 손으로 벌레를 잡는 등 국제 유기농 인증 기준을 뛰어 넘는 완벽한 친환경 농법을 실현하는 이유로 일반 관행농법에 비해 수확량이 1/4 가량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기능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한발 더 다가가 확실한 효능과 안전성이 확보된 재료를 사용하여 피부 탄력개선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금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금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종래의 화학 화장료에 비하여 안전성이 매우 높아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금녹차 추출물내 금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 검량선이다.
도 2는 금녹차 내 카테킨류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금녹차 추출물 내 카테킨류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 내 카테킨류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금녹차 추출물의 온도별 점도를 시간경과에 따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금녹차 추출물을 1 중량% 함유하는 크림의 방부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금녹차 추출물을 3 중량% 함유하는 크림의 방부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사용한 경우 피부 탄력 개선 정도(R7)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비크림을 사용한 경우 피부 탄력 개선 정도(R7)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금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상기 금녹차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녹차 잎을 분쇄하고,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다음, 여과 및 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액으로는 20 내지 40% 에탄올 용액, 바람직하게는 30%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며, 추출조건은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0℃에서 4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추출된 금녹차 추출물을 0.2 내지 5㎛ 메쉬로 여과한 다음,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에서 농축하여 금녹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금녹차 추출물은 분말 형태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금녹차는 금용액(colloidal gold)을 차나무에 주어 기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금용액 주기, 찻잎 따기, 선별 및 덖기, 비비기, 건조, 보관, 선별, 가향 및 포장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금녹차의 재배조건은 차나무의 일반적인 재배조건과 동일하다
단지 금녹차의 재배 중 금용액을 주는 시기는 기상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새잎이 나오기 10~15일 전인 4월 하순경, 차나무 뿌리 부근에 콜로이드 상태의 금용액(Colloidal Gold) 200L을 100배의 음용수에 희석하여 처음 관수하며, 이후에는 7월 하순까지 1개월의 간격을 두고 월1회 100L씩을 추가로 관수한다. 이 때 금용액의 크기는 3나노 이하이며, 금용액의 농도는 약 50ppm이고, 금용액 양(용액의 양/면적)은 500L / 20,560m₂로 한다.
일반적으로, 금용액을 준 금녹차와 금용액을 주지 않은 녹차는 수확량, 녹차 크기 등에서 육안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금녹차 추출물을 리포좀화하여 수용액 상태에서도 안정하고 피부침투력이 우수한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금녹차 추출물의 리포좀화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1) 지질 안정화부 및 친수성 활성화 물질을 70℃~80℃ 범위에서 지질농축부 및 친유성 활성 물질부를 45℃~50℃ 범위에서 녹여서 용해한다.
(2) 지질농축부에 친유성 활성물질부를 용해시킨 후 지질 안정화 부에 첨가하여 교반기(Agitator)로 1,000~20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3) 상기 혼합물에 친수성 활성 물질부를 투입하여 1,000~2,0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4) 고압형 유화기를 이용하여 3~4회의 유화에 의하여 리포좀으로 형성시킨다.
상기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은 피부에 전달을 더욱 쉽게 만들고, 안정화시키며, 약리 물질의 피부전달에 중요한 지점인 인지질에 구성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피부 구조와 유사한 구조와 조성으로 구성(Ceramide/Cholesterol/Phospholipid complex)되며,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이 피부의 보습효과를 부여하고 항산화제인 Vitamin-E Acetate가 피부 항산화에 도움을 주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에 있어 탁월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형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비비크림, 씨씨크림, 헤어토닉, 샴푸, 린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화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종래의 화학 화장료에 비하여 안전성이 매우 높아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 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어 피부 노화방지에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금녹차 추출물 제조
수확한 금녹차를 분쇄한 다음, 30% 에탄올을 이용하여 8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어서, 5메쉬 망으로 여과한 다음, 60℃에서 농축하여 금녹차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 제조
일반적인 리포좀화 기술에 따라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에서 사용된 인지질은 Lecinol S-10 [일본 니코 케미칼(Nikko Chemical)], Lipoid S 75-3 [독일 리포이드(Lipoid)사], Lipoid S100 [독일 리포이드(Lipoid)사]이고, 친유성 항산화제는 Vitamin E Acetate [독일 바스프(BASF)]이다.
<시험예 1> 금녹차 추출물 금함량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금녹차 추출물에서 금함량을 하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은 도 1에 나타내었다.
(1) 조작 조건
원료명 : 금녹차, 금녹차 추출물
분석기기 : GENESIS ICP-OES
시험물질명 : Au
시험환경온습도 : 23℃, 37% R,H
(2) 시험방법
① 본 제품약 0.2g을 정밀하게 취한다.
② 황산 3ml, 질산 3ml, 불화수소산 1ml를 넣고 마이크로웨이브 분해장치로 180℃로하여 20분간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한다.
③ 용해한 액에 초순수증류수를 가하여 정확하게 50ml로 하여 이액을 검액으로 한다.
(3) 표준액 : Au - 0.01 ppm, 0.1 ppm, 1 ppm
(4) 함량 계산식
함량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A는 검량선에서 구한 금검량 값(ppm)을 나타내고,
D는 희석부피(50ml)를 나타내고,
S는 검체 채취량(g)을 나타낸다.
상기 시험방법에 따라 분석계산된 금녹차 및 금녹차 추출 분말의 금 함량은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검체 취한량(g) Au 측정 (ppm) 검체내의 금 함량 (ppm)
0.2017 0.032 7.93
검체 취한량(g) Au 측정 (ppm) 검체내의 금 함량 (ppm)
0.2032 0.028 6.89
<시험예 2> 금녹차 추출물 카테킨 함량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금녹차 추출물에서 카테킨 함량을 하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 장비
Agilent 1200 Series
Quaternary Pump
Auto Sampler
Diode Array Detector
Agilent TC - C18(2), 5um, 4.6×250 mm
(2) 시약
(-)-Catechin 표준물질
- 제조사 : Sigma-Aldrich
- 순도: 100.0%
- 제조번호 : 110M1438V
(-)-Epigallocatechin gallate 표준물질
- 제조사 : Sigma-Aldrich
- 순도 : 95.0%
- 제조번호 :071M1809V
(-)-Epicatechin 표준물질
- 제조사 : Sigma-Aldrich
- 순도 : 99.0%
- 제조번호 :SLBB3492V
(-)-Epicatechin gallate 표준물질
- 제조사 : Sigma-Aldrich
- 순도 : 99.0%
- 제조번호 : SLBC1851V
- Acetonitrile (HPLC Grade)
- Methanol (HPLC Grade)
- Tetrahydrofuran (HPLC Garde)
- Formic acid
(3) 실험조건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험조건에 따라 수행하였다.
유속 0.6 mL/min
검출기 280 nm
주입량 10 uL
이동상 A) 4.5% Formic acid
B) 90% ACN + 10% A = 8 : 2
컬럼온도 25℃
분석시간 30분
(4) 표준액 조제
- (-) Catechin 표준물질 약 3 mg, (-)-Epicatechin 표준물질 약 2 mg, (-)-Epicatechin gallate 표준물질 약 5 mg을 각각 정밀하게 취해 10 mL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메탄올로 녹인 후 정확히 눈금까지 채워 표준액을 만든다.
- (-)-Epigallocatechin gallate 표준물질 약 12 mg 정밀하게 취해 100 mL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메탄올로 녹인 후 정확히 눈금까지 채워 표준액을 만든다.
(5) 검액 조제
- 본 시료 약 0.3 ~ 1.0 g을 정밀하게 달아 50 mL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5 mL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넣어 분산시킨 뒤, 메탄올을 넣어 정확히 눈금까지 채운다.
- 위의 액을 초음파로 분산시킨 다음 여과하여 검액으로 한다.
(6) 계산
카테킨 함량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7) 측정 데이터
측정 데이터는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하기 표 6 및 도 2, 표 7 및 도 3, 및 표 8 및 도 4에는 각각 금녹차, 금녹차 추출물 및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의 Caechin류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측 정 항 목 단 위 금녹차 금녹차
추출물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
시료량 g 0.5421 0.3836 0.9213
(-)-Catechin 검액의 피크면적 mAU*s - - -
(-)-Epigallocatechin gallate 검액의 피크면적 4863.60 14252.70 -
(-)-Epicatechin 검액의 피크면적 - - -
(-)-Epicatechin gallate 검액의 피크면적 2404.80 7008.99 -
(-)-Catechin 표준물질의 양 mg 3.6
(-)-Epigallocatechin gallate 표준물질의 양 12.7
(-)-Epicatechin 표준물질의 양 2.2
(-)-Epicatechin gallate 표준물질의 양 5.8
(-)-Catechin 표준액의 피크면적 mAU*s 2817.86
(-)-Epigallocatechin gallate 표준액의 피크면적 1680.29
(-)-Epicatechin 표준액의 피크면적 2086.83
(-)-Epicatechin gallate 표준액의 피크면적 13694.0
시 험 항 목 단 위 시 험 결 과 시 험 방 법
(-)-Catechin % 불검출(검출한계 0.001) HPLC
(-)-Epigallocatechin gallate 3.22
(-)-Epicatechin 불검출(검출한계 0.005)
(-)-Epicatechin gallate 0.93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금녹차의 Caechin류의 함량은 (-)-Catechin(불검출), (-)-Epigallocatechin gallate(3.22%), (-)-Epicatechin(불검출) 및 (-)-Epicatechin gallate(0.93%)로 나타냈었으며, (-)-Epigallocatechin gallate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 험 항 목 단 위 시 험 결 과 시 험 방 법
(-)-Catechin % 불검출(검출한계 0.001) HPLC
(-)-Epigallocatechin gallate 13.34
(-)-Epicatechin 불검출(검출한계 0.005)
(-)-Epicatechin gallate 3.83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금녹차 추출물 분말 Caechin류의 함량은 (-)-Catechin(불검출), (-)-Epigallocatechin gallate(13.34%), (-)-Epicatechin(불검출) 및 (-)-Epicatechin gallate(3.83%)로 나타냈었으며 (-)-Epigallocatechin gallate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 험 항 목 단 위 시 험 결 과 시 험 방 법
(-)-Catechin % 불검출(검출한계 0.001) HPLC
(-)-Epigallocatechin gallate 불검출(검출한계 0.01)
(-)-Epicatechin 불검출(검출한계 0.005)
(-)-Epicatechin gallate 불검출(검출한계 0.05)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의 Caechin류의 함량은 (-)-Catechin(불검출), (-)-Epigallocatechin gallate(불검출), (-)-Epicatechin(불검출) 및 (-)-Epicatechin gallate(불검출)로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금녹차와 금녹차 추출물 분말에서 (-)-Epigallocatechin gallate와 (-)-Epicatechin gallate는 검출되었지만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에서는 불검출되었다. 리포좀화되면서 (-)-Epigallocatechin gallate와 (-)-Epicatechin gallate가 불안정하여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형예 1> 금녹차 추출물 함유 로션 제형 제조
하기 표 9에 나타낸 조성비율에 따라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로션 제형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4
<제형예 2> 금녹차 추출물 함유 크림 제형 제조
하기 표 10에 나타낸 조성비율에 따라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유화제, 오일, 항산화제, 보존제를 유상 용해부에서 80~82℃로 가열 용해하여, 일부 첨가물과 용제를 78~80℃로 가열 용해되어진 제조부에 투입하여 HOMO MIXER를 이용하여 유화 후 40℃까지 냉각, 나머지 첨가제를 넣고 혼합 교반 및 냉각하였다.
Figure pat00005
<제형예 3> 금녹차 추출물 함유 비비크림 제형 제조
하기 표 11에 나타낸 조성비율에 따라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비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6
<시험예 3> pH 안정도 측정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pH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화장품의 pH는 피부표면의 pH 영역인 약산성과 중성에 맞추어져 있다. 피부가 알칼리성이 되면 저항력이 약해지고 세균의 번식에 의해서 염증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피부에는 중성 또는 약산성의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pH의 변화가 크지 않고 안정해야 한다.
pH 측정결과는 하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하기 표 12에서, A : 대조군, B : 금녹차 추출물 0.5% 함유 크림, C : 금녹차 추출물 1.00% 함유 크림, D : 금녹차 추출물 3.00% 크림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상기 표 12에서 보듯이, 금녹차 추출물 첨가 크림은 58일 동안 수치상의 큰 변화없이 안정한 pH를 유지함을 확인했다.
<시험예 4> 점도 측정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점도를 4℃, 25℃, 44℃ 및 50℃에서 각각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A : 대조군, B : 금녹차 추출물 0.5% 함유 크림, C : 금녹차 추출물 1.00% 함유 크림, D : 금녹차 추출물 3.00% 크림을 나타낸다.
도 5에서 보듯이, 금녹차 추출물을 첨가한 크림을 제조한 후 1일 후의 점도 및 58일 후 점도를 측정하였다. 58일 동안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안정함을 보여줬다.
<시험예 5> 방부력 검증 시험
화장품에는 다량의 물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세균이나 진균에 의한 오염이 일어나기 쉽다. 미생물이 오염된 제품은 향취이상, 색상변화, 점도변화, 질감변화, 곰팡이 발생 등의 품질 저하 현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각막 궤양과 같은 심각한 안질환등 인체에 유해한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화장품에서 제품의 품질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생물 부패를 막아주는 방부제가 필수적이며 유통기간이 비교적 길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방부성을 관찰하였다.
도 6은 금녹차 추출물 1% 함유 크림의 방부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금녹차 추출물 3% 함유 크림의 방부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7에서 보듯이, 금녹차 추출물 함유 크림에 세균을 접종후 7일 후 0.1% 이하로 감소되었으며, 14, 21, 28일에는 더 이상의 증가가 없었다. 그리고 곰팡이와 효모 또한 7일 후 접종균의 0.1% 이하로 감소되었으며 14, 21, 28일에 더 이상의 증가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접종된 균수가 7일 후 99.9%이상 감소되어 방부력 검증의 기준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피부탄력 개선 효과 시험
본 시험은 4주의 기간 동안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시험장비 Cutometer®(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탄력 개선 효능을 평가하는 인체 적용시험으로 측정 지표는 Gross Elasticity를 나타내는 R7수치를 이용하여 탄력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상기 제형예 2에서 제조된 금녹차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의 피부탄력 개선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장비 Cutometer는 흡입강을 이용하여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 property)을 이용하여 피부의 신장력 (distensibility), 탄력성(elasticity)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이다.
1. 피험자 선정
하기와 같은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피험자 23명 선정하였다.
1)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의 성인 여성으로 피부과 전문의의 검사를 통해 시험에 적합한 피부상태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 사람
2) 시험에 대한 충분한 설명(시험과정, 발생 가능한 부작용 등)을 받아 이를 이해하고 자유의지로 시험에 참여하기로 한 사람
3) 시험기간 동안 원활한 추적관찰이 가능한 사람
2. 도포 방법
총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매일 아침 저녁 하루 2회 피험자 자가 도포하였다.
3. 평가 방법
a. Cutometer®를 이용한 기기평가
b.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사용 안전성 평가
4. 시험 순서
1) 첫 번째 방문일
- 방문일 12시간 전부터 기초제품의 사용을 금지하였다.
- 피험자는 시험 방법과 일정 및 위험성과 가능한 이상반응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기초정보를 작성하고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 시험자가 제공하는 기준 세안제를 이용하여 세안 후 페이퍼 타올로 가볍게 두드려 물기를 제거한 후 30분간 항온항습 조건(20~24℃, 40~60%RH)에서 안정을 취하였다.
- 평가 시마다 동일한 부위에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측정부위를 구획하였다.
- 양측 입꼬리(lip commissure)와 동측 이주(tragus)를 연결한 가상선의 1/2지점
- Cutometer Parameter setting : On-time 2 sec / Off-time 2 sec / Pressure 450 mbar / Repetition 3 times
- 피험자 주의사항과 제품 사용법을 교육한 후 제품을 배포하였다.
- 시험기간 동안 매일 전화 등의 방법으로 제품사용의 순응도를 체크하였다.
2) 두 번째 방문일 (2주차)
- 첫 방문일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부위에서 기기평가를 시행하였다.
- 피부과 전문의가 이상반응 유무를 평가하였다.
3) 세 번째 방문일 (4주차)
- 첫 방문일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부위에서 기기평가를 시행하였다.
- 피부과 전문의가 이상반응 유무를 평가하였다.
- 사용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5. 평가 및 분석 방법
(1) Cutometer를 이용한 탄력 개선 효과 평가
: 측정부위의 제품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에 측정된 피부 탄력 측정치 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Wilcoxon 부호순의 검정을 이용해 분석 및 검증하였다.
: 탄력효과 개선 정도를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값으로 도출하였다.
Figure pat00008
(2)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안전성평가
: 시험기간 중 피험자 방문일 마다 제품사용에 의한 부작용(홍반, 부종, 인설,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 및 기타 이상증)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6. 결과
시험 결과는 하기 표 13(피부탄력 측정값 (R7)-우측), 표 14(피부탄력 측정값 (R7)-좌측) 및 표 15(피부탄력 측정값 (R7) 변화)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8에 피부 탄력 개선 정도(R7)를 나타내었다.
ID 제품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1 0.4720 0.4824 0.5246
2 0.3529 0.3710 0.3818
3 0.4606 0.4972 0.5242
4 0.4629 0.4740 0.4831
5 0.4066 0.4590 0.4866
6 0.3575 0.4133 0.4387
7 0.3611 0.3889 0.4128
8 0.3311 0.3879 0.4464
9 0.4030 0.4159 0.4298
10 0.3705 0.3941 0.4571
11 0.3810 0.4059 0.4299
12 0.3061 0.3122 0.3447
13 0.4556 0.4644 0.4908
14 0.3503 0.3750 0.3941
15 0.3599 0.3759 0.4042
16 0.4455 0.4526 0.4591
17 0.3245 0.3309 0.3824
18 0.4033 0.4269 0.4342
19 0.3268 0.3396 0.3827
20 0.3531 0.3661 0.4038
21 0.2796 0.3415 0.3729
22 0.2931 0.3232 0.3500
23 0.3639 0.4051 0.4394
ID 제품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1 0.4784 0.5128 0.5326
2 0.3558 0.3742 0.3953
3 0.4508 0.4848 0.5032
4 0.4604 0.4776 0.4882
5 0.4044 0.4564 0.4744
6 0.3473 0.4029 0.4367
7 0.3776 0.3988 0.4231
8 0.3230 0.3622 0.4075
9 0.3980 0.4148 0.4253
10 0.3687 0.3826 0.4363
11 0.3948 0.4237 0.4387
12 0.3036 0.3102 0.3315
13 0.4576 0.4680 0.4987
14 0.3581 0.3769 0.4045
15 0.3597 0.3742 0.4216
16 0.4447 0.4488 0.4534
17 0.3258 0.3391 0.3851
18 0.4056 0.4292 0.4349
19 0.3102 0.3333 0.3736
20 0.3491 0.3634 0.3987
21 0.2838 0.3452 0.3793
22 0.3006 0.3367 0.3794
23 0.3750 0.4140 0.4450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우측 측정값 0.3748 0.4001 0.4293
우측 탄력 개선율(%) - 6.75% 14.53%
P-value - <0.001* <0.001*
좌측 측정값 0.3753 0.4013 0.4290
좌측 탄력 개선율(%) - 6.91% 14.29%
P-value - <0.001* <0.001*
*P-value < 0.05
총 23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총 4주간 본 발명의 금녹차 함유 영양크림의 피부 탄력 개선 효능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중도탈락자 없이 총 23명의 피험자가 모두 시험을 완료하였다.
그 결과, 상기 표 13 및 14에서 보듯이, 우측 및 좌측 시험부위의 탄력 개선율은 사용 2주 후에 각각 6.75%, 6.91%로 확인되었고, 사용 4주 후에 14.53%, 14.29%로 확인되었으며, 사용 2주 후부터 지속적으로 사용 전과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화장품 사용 4주간 피부 이상반응을 평가하여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9
그 결과 모든 피험자들에서 시험기간 중 특별한 이상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시험예 7>
상기 제형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금녹차 함유 조성물을 함유하는 비비크림에 대하여 상기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탄력 개선효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단, 피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매일 1회씩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17(피부탄력 측정값 (R7)-우측), 표 18(피부탄력 측정값 (R7)-좌측) 및 표 19(피부탄력 측정값 (R7) 변화)에 나타내었다. 또한, 도 8에 탄력 개선 정도(R7)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9에는 피부 탄력 개선 정도(R7)를 나타내었다.
ID 제품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1 0.4844 0.4967 0.5152
2 0.4091 0.4255 0.4751
3 0.4692 0.4826 0.5201
4 0.3539 0.3631 0.3668
5 0.3937 0.3896 0.4513
6 0.4211 0.4566 0.4768
7 0.4668 0.4489 0.4952
8 0.4614 0.4694 0.5062
9 0.323 0.3411 0.3724
10 0.3903 0.4394 0.4092
11 0.3276 0.3591 0.4172
12 0.3139 0.3323 0.3683
13 0.3456 0.347 0.3662
14 0.4059 0.4061 0.4408
15 0.3606 0.4127 0.4139
16 0.4295 0.4401 0.4722
17 0.3548 0.3447 0.3519
18 0.3314 0.3708 0.3976
19 0.3402 0.3793 0.4
20 0.3282 0.3483 0.3892
21 0.3781 0.3792 0.4103
22 0.4245 0.4292 0.4385
ID 제품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1 0.4872 0.506 0.5147
2 0.4066 0.4229 0.4548
3 0.4654 0.4775 0.5068
4 0.3597 0.362 0.3722
5 0.3887 0.3858 0.4249
6 0.4178 0.4344 0.4735
7 0.4678 0.4551 0.5118
8 0.4665 0.4785 0.514
9 0.3674 0.3452 0.3733
10 0.4164 0.436 0.4012
11 0.3597 0.3806 0.4232
12 0.3302 0.355 0.3907
13 0.3539 0.3462 0.3621
14 0.3655 0.3874 0.4102
15 0.3479 0.4056 0.4115
16 0.4138 0.4269 0.4706
17 0.3546 0.3439 0.3633
18 0.3293 0.3636 0.4135
19 0.3379 0.3531 0.3841
20 0.3242 0.3599 0.4019
21 0.3785 0.3973 0.4113
22 0.4072 0.4298 0.4533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우측 측정값 0.3870 0.4028 0.4297
우측 탄력 개선율(%) - 4.09% 11.06%
P-value - <0.001* <0.001*
좌측 측정값 0.3885 0.4024 0.4292
좌측 탄력 개선율(%) - 3.59% 10.49%
P-value - <0.002* <0.001*
*P-value < 0.05
상기 표 17 및 18에서 보듯이, 시험부위의 탄력 개선율은 우측 뺨과 좌측 뺨에서 각각 사용 2주 후에 4.09%, 3.59%로 확인되었고, 사용 4주 후에는 11.06%, 10.49%로 확인되었으며 사용 2주 후부터 사용 전과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화장품 사용 4주간 피부 이상반응을 평가하여 하기 표 20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0
그 결과 모든 피험자들에서 시험기간 중 특별한 이상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금녹차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은 사용 2주차에서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탄력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사용 중 특별한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안전한 제품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금녹차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종래의 화학 화장료에 비하여 안전성이 매우 높아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금녹차를 이용하여 새로운 고기능의 화장품을 개발한다는 것은 우리나라를 뛰어넘어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의 녹차를 알림과 동시에 고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이용하여 국가적인 가치창출을 이끌어 내는 것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 개발되었던 효능 및 안전성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던 각종 제품으로 인해 실추되었던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고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며, 수입화장품으로 잠식되었던 국내 소비시장에서 관련 제품의 영역을 확대해 나감으로서 소비시장을 지키고, 더 나아가 기능성 원료의 수입대체 효과 및 해외 수출을 통한 외화획득 효과까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개발된 기술은 당사의 제품 개발에 국한하지 않고, 당사의 업태 특성상 여러 협력업체와 기술을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제품으로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기술은 향후 보다 다양한 기능성 소재 및 제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정형화된 연구 pattern으로 확립되는 기반기술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8)

  1. 금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녹차 추출물이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녹차 추출물이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녹차 추출물이 금녹차 잎을 분쇄하고, 20 내지 40% 에탄올 용액으로 60 내지 100℃에서 4 내지 6시간 추출한 다음 0.2 내지 5㎛ 메쉬로 여과하고 50 내지 80℃에서 농축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 지질 안정화부 및 친수성 활성화 물질을 70℃~80℃에서 지질농축부 및 친유성 활성 물질부를 45℃~50℃에서 녹여서 용해하는 단계;
    (2) 지질농축부에 친유성 활성물질부를 용해시킨 후 지질 안정화 부에 첨가하여 교반기로 1,000~20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혼합물에 친수성 활성 물질부를 투입하여 1,000~2,0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및
    (4) 고압형 유화기를 이용하여 3~4회의 유화에 의하여 리포좀으로 형성시키는 단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녹차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비비크림, 씨씨크림, 헤어토닉, 샴푸, 린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 방법.
KR1020140132180A 2014-10-01 2014-10-01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9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180A KR101690145B1 (ko) 2014-10-01 2014-10-01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180A KR101690145B1 (ko) 2014-10-01 2014-10-01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709A true KR20160039709A (ko) 2016-04-12
KR101690145B1 KR101690145B1 (ko) 2017-01-10

Family

ID=5580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180A KR101690145B1 (ko) 2014-10-01 2014-10-01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669B1 (ko) * 2019-08-30 2021-08-23 아이큐어 주식회사 항염,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438A (ko) * 2011-01-26 2012-08-0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퉁퉁마디 및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438A (ko) * 2011-01-26 2012-08-0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퉁퉁마디 및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연구보고서, 금녹차를 이용한 탄력효과를 지닌 고기능화장품 개발(2013.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145B1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716B1 (ko)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5909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발효 식물성 오일 화장료 조성물
CN103228262B (zh) 含有马尾藻提取物、海鹿角提取物和褐海藻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KR100435855B1 (ko)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KR20090095359A (ko) 그리포니아 추출물과 편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모발용 조성물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CN104274357B (zh) 一种含有植物酊剂的头皮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083030B1 (ko) 파피루스 추출물과 갈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1558A (ko) 피부장벽 강화효과가 우수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36933B1 (ko) 화장료 조성물
CN107693439A (zh) 一种沙棘亮白保湿沐浴露
KR20120057020A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90145B1 (ko) 금녹차 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853195A (zh) 皮肤治疗组合物和防腐体系
CN107496286B (zh) 一种淡化细纹补水滋润型水乳及其制备方法
JP4579564B2 (ja) シワ改善剤
CN109260066A (zh) 一种美白祛斑霜
CN103957904A (zh) 含有茶氨酸衍生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101831756B1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KR101524534B1 (ko)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3698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