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230A -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230A
KR20160039230A KR1020167004839A KR20167004839A KR20160039230A KR 20160039230 A KR20160039230 A KR 20160039230A KR 1020167004839 A KR1020167004839 A KR 1020167004839A KR 20167004839 A KR20167004839 A KR 20167004839A KR 20160039230 A KR20160039230 A KR 2016003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touch detection
light emitting
circuit uni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721B1 (ko
Inventor
가즈요시 오마타
츠카사 야기
구니아키 시다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01L27/323
    • H01L51/56
    • H05B33/0896
    • H05B37/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4/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F21Y2105/00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20Electroluminescent [EL]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33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linear amplifier or follow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발광 기능과 터치 검출 기능을 겸비한 전극 구성의 유기 EL 소자와, 특정한 제어 회로 구성을 갖고, 스몰 포맷화 및 박막화와, 공정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는 유기 EL 모듈과, 그것을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모듈은, 터치 검출 기능을 갖고,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유기 EL 패널을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을 갖고, 상기 유기 EL 패널은, 내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의 전극을 갖고, 한 쌍의 전극이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에 접속되고, 또한 한 쌍의 전극 중 어느 한쪽이 터치 검출 전극이며, 상기 터치 검출 전극이 터치 검출 회로 유닛에 접속되고,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이, 각각 독립된 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MODULE, SMART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터치 검출 기능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과, 그것을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평면 형상의 광원체로서는, 도광판을 사용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약기함)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이하, 「유기 EL 소자」 또는 「OLED」라 약기함) 등을 들 수 있다.
2008년경부터, 세계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판매량이 비약적으로 신장해 오고 있다. 이들 스마트 디바이스에는, 그 조작성의 관점에서, 편평한 면을 갖는 키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공통 기능키 버튼인 아이콘부가 그것에 상당한다. 이 공통 기능키 버튼에는, 예를 들어 「홈」(사각형 등의 마크로 표시), 「되돌아가기」(화살표 마크 등으로 표시), 「검색」(확대경 마크 등으로 표시)을 나타내는 3종류의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예가 있다.
이러한 공통 기능키 버튼은, 시인성 향상의 관점에서, 표시하는 마크의 패턴 형상에 따라서, 예를 들어 LED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리 LED 도광판 등의 평면 발광 디바이스를 스마트 디바이스의 내부에 설치해서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LED 광원을 사용한 정전 용량식 정보 입력 유닛으로서, 센서 전극의 감도를 높임으로써, 센서 회로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 검출을 확실하게 해서,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센서 전극이 형성된 연성 인쇄 회로(이하, FPC라 약기함)와, 표면 패널과의 사이에, 아이콘 등의 부위를 회피하는 위치에, 동일 형상의 공기층보다도 유전율이 높은 접착제 층을 형성함으로써,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검출 전극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아이콘부의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LED 광원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최근 들어, 보다 저소비 전력화, 발광 휘도의 균일성 향상을 목적으로, 면 발광형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바이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있다. 이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바이스는, 아이콘부를 구성하고 있는 커버 유리측에 마크 등을 미리 인쇄해 두고, 그 해당 부분 이측에 배치됨으로써 표시 기능을 발현한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용 시에는 터치 기능이 필수적이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공통 기능키부에 이르기까지, 터치 검출을 위한 정전 용량 방식 터치 검출형 디바이스를 커버 유리의 이면측에 배치하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이 터치 검출 디바이스로서는, 필름/필름형의 터치 센서를, 커버 유리와 동등한 사이즈까지 확대시켜서 라미네이트한 것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두께에 제약이 없는 기종의 경우에는, 유리/유리 타입의 것이 사용되기도 한다. 터치의 검출 방식으로서는, 최근에는 정전 용량 방식의 것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메인 디스플레이용으로는,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이라고 불리는, x축, y축 방향 각각으로 세밀한 전극 패턴을 갖는 방식이 채용된다. 본 방식에서는, 소위 「멀티 터치」라고 불리는 2점 이상의 터치 검출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터치 센서가 이용되므로, 지금까지는 공통 기능키의 부분에는, 터치 기능을 갖지 않는 발광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소위 「인 셀」형, 또는 「온 셀」형의 디스플레이가 등장함으로써, 공통 기능키용의 발광 디바이스에, 독자적으로 터치 검출 기능을 설치하는 방식이 강하게 요구되게 되었다.
특히, 면 발광형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바이스의 경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를 구성하고 있는 양극, 음극, 또는 보호를 위해서 이용되는 메탈 호일층이 상기 표면형 정전 용량 방식의 정전 용량 변화 검출에 악영향을 주므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바이스에 정전 터치 기능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과 함께, 그 발광면측 상에, 어셈블리로서, 플렉시블 기판 상에 정전 용량 방식의 검출 회로와 배선부를 설치한 전기 접속 유닛, 예를 들어 연성 인쇄 회로(약칭: FPC)에 의해 구성되는 터치 기능 검출용의 터치 검출 전극을 별도의 구성으로 배치시킬 필요가 있고, 구성 부재의 증가에 의해 막이 두꺼워지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으며, 그 구성에는 큰 제약이 있었다. 이러한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방법에서는, 터치 기능 검출용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FPC)를 추가 조달할 필요가 있고, 경제적인 부하를 지는 것, 디바이스가 후막화되는 것, 제조 공정에서의 공정수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아이콘부에 적용하는 발광 디바이스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와, 그것의 구동을 제어하는 배선 재료가 효율적으로 배치되고, 소형화 및 박막화를 달성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에의 적성을 구비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942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6542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해결 과제는, 발광 기능과 터치 검출 기능을 겸비한 전극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와, 특정한 제어 회로를 갖고, 스몰 포맷화 및 박막화와, 공정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과, 그것을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중 어느 한쪽의 전극을 터치 검출 전극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을,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에 접속하는 구성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1. 터치 검출 기능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이며,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을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을 갖고,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은, 내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면 형상의 한 쌍의 전극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어느 한쪽이 터치 검출 전극이며, 상기 터치 검출 전극이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이, 각각 독립된 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2.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발광 기간과, 상기 터치 검출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이 분리되고, 상기 터치 센싱 기간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전기 용량이 검출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플로팅 전위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3.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발광 기간과, 상기 터치 검출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이 분리되고, 상기 터치 센싱 기간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전기 용량이 검출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플로팅 전위의 상태이며, 또한, 상기 한 쌍의 전극이 단락된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4.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이 연속적으로 발광하고, 상기 터치 검출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이 주기적으로 출현하는 구동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5. 상기 발광 기간의 마지막에, 역인가 전압 기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본 발명의 상기 수단에 의해, 발광 기능과 터치 검출 기능을 겸비한 전극 구성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와, 특정한 제어 회로 구성을 갖고, 스몰 포맷화 및 박막화와, 공정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과, 그것을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기술적 특징과 그 효과의 발현 기구는, 이하와 같다.
종래, 스마트 미디어에 구비되어 있는 아이콘 표시부에 적용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은, 후술하는 도 1에서 그 구성을 설명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 유닛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과, 터치 검출용의 터치 검출 전극, 예를 들어 연성 인쇄 회로(약칭: FPC)에 의해, 각각 발광 기능과 터치 검출 기능이 분리된 어셈블리에 의한 구성이므로, 후막화되어, 스몰 포맷화에 대해서는 장해가 되고 있다.
상기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이하, 「유기 EL 모듈」이라 약기함)에서는, 후술하는 도 2에 그 대표적인 구성을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이하, 「유기 EL 패널」이라 약기함)에 대하여, 제1 전기 제어 부재로서,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간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이하, 「유기 EL 소자」라 약기함)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을 갖고, 제2 전기 제어 부재로서,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을 터치 검출 전극으로서 기능시키고, 거기에 터치 검출 회로 유닛을 갖고, 또한,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이, 각각 독립된 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 유기 EL 패널 또는 유기 EL 소자의 구성에 있어서, 애노드 전극(양극) 또는 캐소드 전극(음극)을 터치 검출 전극(이하, 간단히 「검출 전극」이라고 함)으로 하고자 한 경우, 터치하는 손가락과 터치 검출 전극간의 정전 용량을 Cf라 하고,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간의 정전 용량을 Cel이라 하면, 터치 시(손가락 접촉시)의 정전 용량은 「Cf+Cel」이 되고, 손가락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는 「Cel」이 되지만, 통상의 경우에는, Cf<Cel이므로, 터치 검출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유기 EL 모듈에서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과, 터치 검출 회로 유닛을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또한 터치 검출 시에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간의 정전 용량(Cel)이 검출되지 않도록, 애노드 전극(양극) 및 캐소드 전극(음극)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간의 스위치를 오프로 하고, 애노드 전극(양극) 및 캐소드 전극(음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을 플로팅 전위의 상태로 함으로써, 터치 검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을, 각각 독립된 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몰 포맷화 및 박막화와, 공정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을, 각각 독립된 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터치 검출 회로 유닛에서 보면, 터치 검출 전극에는, 유기 EL 소자의 용량의 영향이 실효적으로 없어져, 손가락과 검지 전극 사이에서 형성되는 용량만이 검출됨으로써, 터치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플로팅 전위의 상태란, 전원이나 기기의 접지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부유 전위 상태를 말한다.
도 1은, 비교예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구성(애노드 전극이 검출 전극)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일례인 실시 형태 1의 구동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의 구성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서의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의 다른 일례(역인가 전압 부여)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의 발광 기간에서의 회로 작동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 작동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의 센싱 기간에서의 회로 작동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 작동도이다.
도 9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다른 일례인 실시 형태 2의 구동 회로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서의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의 발광 기간에서의 회로 작동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 작동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의 센싱 기간에서의 회로 작동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 작동도이다.
도 13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다른 일례인 실시 형태 3의 구동 회로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서의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의 센싱 기간에서의 회로 작동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 작동도이다.
도 16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다른 일례인 실시 형태 4에서의 구동 회로도(센싱 기간)이다.
도 17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다른 일례인 실시 형태 5에서의 구동 회로도(센싱 기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다른 구성(캐소드 전극이 터치 검출 전극)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일례로, 캐소드 전극이 터치 검출 전극인 실시 형태 6의 구동 회로도이다.
도 20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다른 일례로, 캐소드 전극이 터치 검출 전극인 실시 형태 7의 구동 회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은, 터치 검출 기능을 갖고,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을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을 갖고,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은, 내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면 형상의 한 쌍 전극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어느 한쪽이 터치 검출 전극이며, 상기 터치 검출 전극이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이, 각각 독립된 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의 청구항에 관한 발명에 공통되는 기술적 특징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보다 발현할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발광 기간과,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이 분리되고, 상기 터치 센싱 기간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전기 용량이 검출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플로팅 전위의 상태인 것이,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을 보다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발광 기간과,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이 분리되고, 상기 터치 센싱 기간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전기 용량이 검출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플로팅 전위의 상태로 하고, 또한 단락된 상태로 하는 것이,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을 보다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이 연속적으로 발광하고, 상기 터치 검출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이 불연속으로 출현하는 구동 방식인 것이,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어, 효율적인 센싱 기능을 발현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 기간의 마지막에, 역인가 전압 부여 기간을 가짐으로써,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을 보다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 EL 소자란, 한 쌍의 대향 전극 및 유기 기능층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유기 EL 패널이란,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밀봉 수지 및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된 구성을 말하며, 유기 EL 모듈이란, 유기 EL 패널에,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이 전기 접속 부재에 의해 접속되고, 발광 기능과 터치 검출 기능을 겸비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요소 및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태양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한 설명을 한다. 또한, 본 원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내지」는,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각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말미에 괄호 안에서 기재한 숫자는, 각 도면에서의 부호를 나타낸다.
《유기 EL 모듈》
본 발명의 유기 EL 모듈은, 유기 EL 패널에 전기 접속 부재를 접합한 유기 EL 모듈이며, 상기 전기 접속 부재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을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을 갖고,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을 구성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는, 내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면 형상의 한 쌍의 전극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이,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어느 한쪽이 터치 검출 전극이며, 상기 터치 검출 전극이,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종래형의 비교예의 유기 EL 모듈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비교예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유기 EL 모듈(1)에서는, 투명 기재(3) 상에, 애노드 전극(4, 양극)과, 예를 들어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으로 구성되는 유기 기능층 유닛(5)이 적층되어, 발광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유기 기능층 유닛(5)의 상부에는, 캐소드 전극(6, 음극)이 적층되어,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고 있다. 이 유기 EL 소자의 외주부는 밀봉용 접착제(7)로 밀봉되고, 그 표면에,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유해 가스(산소, 수분 등)의 발광부에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밀봉 부재(8)가 배치되고, 유기 EL 패널(2)을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한 쌍의 전극인 애노드 전극(4)과 캐소드 전극(6) 사이에는,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2)과는 분리된 상태에서, 투명 기재(3)의 유기 EL 소자를 형성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기판 상에 정전 용량 방식의 검출 회로와 배선부를 설치한 전기 접속 유닛(연성 인쇄 회로)에 의해 구성되는 터치 기능 검출용의 터치 검출 전극(10)이 설치되고, 그 주변을 밀봉용 접착제(7)로 밀봉되어 터치 검출부(9)를 형성하고, 그 상면부에, 커버 유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터치 검출 전극(10)에는, 터치(손가락 접촉)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기 EL 모듈에서는, 유기 EL 소자와, 터치 검출부(9)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후막의 구성으로 되어 있어, 스마트 디바이스 등의 스몰 포맷화나 박막화의 장해가 되고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유기 EL 모듈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구성의 일례로서, 애노드 전극이 터치 검출 전극인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유기 EL 모듈(1)에서는, 투명 기재(3) 상에, 터치 검출 전극인 애노드 전극(4A, 양극)과, 도 1과 동일한 유기 기능층 유닛(5)이 적층되어, 발광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유기 기능층 유닛(5)의 상부에는, 캐소드 전극(6, 음극)이 적층되어,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고 있다. 이 유기 EL 소자의 외주부가 밀봉용 접착제(7)로 밀봉되고, 그 표면에, 밀봉 부재(8)가 배치되어, 유기 EL 패널(2)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패널(2)에 있어서는, 유기 EL 소자의 보호를 목적으로, 애노드 전극(4A) 또는 캐소드 전극(6)보다도 표면측에 메탈 호일층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의 구성에 있어서는, 애노드 전극(4A, 양극)이, 유기 EL 소자를 발광시키는 대향 전극으로서 기능함과 함께, 터치 검출 전극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하는 구성인 것이 특징이다. 도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터치 검출 전극인 애노드 전극(4A)과 캐소드 전극(6) 사이에,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이 접속되고,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에는, 독립된 접지(27A)가 설치되어 있다.
애노드 전극(4A)은, 또한, 터치 검출 전극으로서 기능하고, 터치(손가락 접촉)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이 접속되고,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에도, 독립된 접지(27B)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애노드 전극(4A)을 검출 전극으로서 겸하는 구성을 도시했지만, 후술하는 도 1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캐소드 전극(6A)에 그 기능을 부여해도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유기 EL 모듈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구동 회로와 그 구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기 EL 모듈의 구성예: 터치 검출 전극=애노드 전극〕
(실시 형태 1)
도 3은, 유기 EL 모듈의 일례인 실시 형태 1의 구동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유기 EL 모듈(1)의 구동 회로도에 있어서, 중앙에 도시한 유기 EL 패널(2)은, 애노드 전극(4A,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고 있는 애노드 전극 배선(25)과, 캐소드 전극(6,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고 있는 캐소드 전극 배선(26)을 갖고, 양쪽 배선간에 다이오드인 유기 EL 소자(22)와, 콘덴서(21, Cel)가 접속되어 있다.
좌측의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에서는, 애노드 전극(4A, 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인출된 애노드 전극 배선(25)이 스위치 1(SW1)을 거쳐서,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에 접속되고, 한편, 캐소드 전극(6, 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인출된 캐소드 전극 배선(26)이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는, 접지(27)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접지(27)는, 상세하게는 시그널·접지라 부르고 있다.
이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에는, 정전류 구동 회로, 또는 정전압 구동 회로가 내장되고, 유기 EL 소자의 발광 타이밍을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 역 바이어스 인가(역인가 전압)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를 갖는다. 또한, 도 3에서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와, SW1이 각각 독립된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에, 스위치 1(SW1)이 내장된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이란, 도 3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 배선(25), SW1,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 및 캐소드 전극 배선(26)으로 구성되어 있는 회로 범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로서는, 그 구성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의 공지된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유기 EL 소자 구동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광 소자 구동 회로는,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미리 설정한 발광 소자의 발광 패턴에 따라,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의 사이에, 발광 소자인 유기 EL 소자의 발광 광량에 따라서 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 광소자 구동 회로로서는, 승압형 또는 강압형의 DC-DC 컨버터 회로, 전류값의 피드백 회로, DC-DC 컨버터의 스위치 제어 회로 등을 포함하는 정전류 회로가 알려져 있고,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569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6593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40246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의 일례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는, 발명에 관한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는, 승압형 또는 강압형의 DC-DC 컨버터 회로(31), DC-DC 컨버터의 스위치 소자 제어 회로(32), 전류값의 피드백 회로(33)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저항을 R1, 비교 전위를 Vref라 하면, 유기 EL 소자(22)에 흐르는 전류(IOLED)가 Vref/R1이 되도록, 유기 EL 소자(22)의 애노드 전위가 DC-DC 컨버터 회로(31)에서 승압 또는 강압됨으로써, 정전류 회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회로(33)는, VX=Vref가 되도록, DC-DC 컨버터 회로(31)의 출력(Vout)에 피드백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Vref=0.19V, R1=100Ω라 하면, 정전류값 Vref/R1=1.9mA가 되도록, Vout가 DC-DC 컨버터 회로(31)에 의해 조정된다.
한편, 우측에 기재한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은, 검출 전극으로서 기능시키는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인출된 애노드 전극 배선(25)을, 스위치 3(SW3)을 거쳐서 터치 검출 회로부(24)에 접속되고, 이 터치 검출 회로부(24)는, 독립된 접지(27B)에 연결되어 있다. 이 터치 검출 회로부(24) 내부에 스위치 3(SW3)이 내장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터치 검출 회로부(24)로서는, 그 구성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종래의 공지된 터치 검출 회로부를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검출 회로는, 증폭기, 필터, AD 변환기, 정류 평활 회로, 비교기 등으로 구성되고, 대표예로서는, 자기 용량 검출 방식, 직렬 용량 분압 비교 방식(오므론 방식)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2-0737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889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53000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터치 검출 회로를 참조할 수 있다.
스위치 1, 3(SW1 및 SW3)은, FET(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TFT(박막 필름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치 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되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
계속해서, 도 3에서 도시한 실시 형태 1에서의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터치 검출 기간)의 시계열적인 작동에 대해서, 타이밍 차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5에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의 일례로서 타이밍 차트의 패턴 1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회로 구성을 포함하는 유기 EL 모듈(1)에 있어서는, 스위치 1(SW1)의 ON/OFF 제어에 의해,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EL 패널의 발광 기간과,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을 분리해서 구동시킴으로써, 아이콘부에서의 터치 센서 기능을 발현시킬 수 있다.
도 5에서의 최상단의 칼럼은,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에서의 SW1의 ON/OFF의 작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차트이며, 그 밑에, SW3의 작동 타이밍이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에서는, 하이 기간이 스위치의 ON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최하단의 그래프는, 유기 EL 소자에 대한 인가 전압의 이력을 나타내는 차트로, SW1이 「ON」 상태가 되면, OLED 오프 전압으로부터 전압이 상승하고, 발광에 필요한 전압이 된 시점에서 발광이 개시된다. 계속해서, SW1을 「OFF」로 하면, OLED에의 전류 공급이 정지되고, 소등된다. 그러나, SW1을 「OFF」로 해도, 순간적으로 소등되지는 않고, OLED 충방전 시정수(τ)에 따라, 일정한 시간(t1)을 걸려서 소등한다.
한편, SW3은,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의 구동을 컨트롤하는 스위치이며, SW1이 「ON」인 상태에서는 「OFF」 상태로 하고, SW1을 「OFF」로 한 후, 「ON」으로 하여, 터치 검출을 행한다. 단, SW3을 「ON」으로 하는 타이밍은, 상기 설명한 SW1을 「OFF」로 하고, 소정의 대기 시간(t1)을 거친 뒤, 「ON」으로 한다. 이 대기 기간(t1)으로서는, OLED 충방전 시정수(τ)의 0τ 내지 5τ 정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의 패턴 1에 있어서, SW1을 「ON」으로 하고 나서 「OFF」로 할 때까지의 기간이, 발광 기간(LT)이며, SW1을 「OFF」로 해서, 대기 시간(t1)을 지나서, SW3을 「ON」으로 해서 터치 검출을 행한 후, 「OFF」로 할 때까지의 기간이, 센싱 기간(ST)이며, LT+ST를 1프레임 기간(1FT)이라 칭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모듈에서의 발광 기간(LT), 센싱 기간(ST) 및 1프레임 기간(1FT)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용할 환경에 적합한 조건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례로서는, OLED의 발광 기간(LT)으로서는, 0.1 내지 2.0msec.의 범위 내이며, 센싱 기간(ST)으로서는 0.05 내지 0.3msec.의 범위 내이며, 1프레임 기간(1FT)으로서는, 0.15 내지 2.3msec의 범위 내를 들 수 있다. 또한, 1프레임 기간(1FT)으로서는, 플리커 저감의 목적에서는, 60Hz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의 다른 일례로서, OLED에 역 바이어스 인가 전압을 부여하는 방법에 의한 타이밍 차트의 패턴 2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도 5에 기재된 OLED 인가 전압의 패턴에 대하여, SW1을 「ON」으로 한 후, 발광 기간의 마지막에서 「OFF」로 하기 직전에,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간에 역인가 전압(역 바이어스 전압의 인가)을 부여함으로써, OLED 소등 시의 충방전을 억제한 타이밍 차트로, SW3의 패턴으로서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대기 시간(t1)을 둘 필요가 없다.
도 7은, 실시 형태 1의 발광 기간(LT)에서의 회로 작동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 작동도이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발광 기간(LT)에서는, SW1을 「ON」 상태로 하고,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에서 발광 조건을 제어하여, 발광 제어 정보 루트(LT)에 따라, 유기 EL 소자(22)를 발광시킨다.
이 때,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에 접속하고 있는 SW3은 「OFF」 상태로 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1의 센싱 기간(ST)에서의 회로 구동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 구동도이다.
도 8에 있어서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의 SW1을 「OFF」로 해서, 발광 소자 구동 회로를 개방으로 하고,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의 스위치 3(SW3)을 「ON」으로 한 상태에서, 유기 EL 패널(2)을 구성하고 있는 검출 전극인 애노드 전극(4)의 유리 기판 상면부를 손가락(15)으로 터치함으로써, 손가락(15)과 검출 전극인 애노드 전극(4) 사이에 정전 용량(Cf)이 발생한다. 정전 용량(Cf)은 어스(접지)에 연결된다. 29는, 센싱 시의 터치 검출 정보 루트이다.
이 때, SW1은 「OFF」 상태에서, 한 쌍의 전극이 유기 EL 패널의 전기 용량이 검출되지 않는 플로팅 전위가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정전 용량으로서 Cf>Cel인 상태이므로, 터치 검출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도 9는, 본 발명의 유기 EL 모듈의 다른 일례인 실시 형태 2의 구동 회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유기 EL 모듈(1)에서는, 기본적인 구동 회로 구성은, 먼저 설명한 도 3의 구동 회로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애노드 전극 배선(25)과 캐소드 전극 배선(26)에 쇼트(단락)시키기 위해서 제4 스위치 4(SW4)를 설치한 구성이다.
이 때,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에, 스위치 1(SW1)이 내장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터치 검출 회로부(24) 내부에 스위치 3(SW3)이 내장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서의 발광 기간과 센싱 기간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의 패턴 3을 나타낸다.
앞의 도 5에 비하여, 도 10에 기재된 SW4를 갖는 구성에서는, 발광 기간(LT)에서는, full로 SW1을 「ON」으로 해서 OLED를 발광시키고, 센싱 기간(ST)으로 이행한 순간에, SW1을 「OFF」로 하는 것과 동시에, SW3 및 SW4를 「ON」으로 한다. 쇼트 스위치인 SW4를 「ON」으로 함으로써, OLED의 전극간에 잔류하고 있는 충방전 성분을 순시에 제거함으로써, 대기 시간(t1)을 두지 않고, 발광 기간(LT)으로부터 센싱 기간(ST)으로 이행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의 발광 기간에서의 회로 작동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 작동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발광 기간에 있어서는, 기본적인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의 회로 구성은, SW1을 「ON」으로 하고, SW4 및 SW3을 「OFF」 상태로 하고 있으며, 회로의 상태는 도 7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하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의 센싱 기간에서의 회로 작동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 작동도이며,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의 SW1을 「OFF」로 해서, 발광 소자 구동 회로를 개방으로 한 상태에서, 검출 전극인 애노드 전극(4A, 도시하지 않음)의 유리 기판 상면부를 손가락(15)으로 터치함으로써, 손가락(15)과 터치 검출 전극인 애노드 전극(4A, 도시하지 않음)간에 정전 용량(Cf)이 발생하고, 그 정전 용량(Cf)에 따라 터치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 때,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 내의 스위치 4(SW4)를 동시에 「ON」 상태로 함으로써, 대향 전극간의 충방전을 순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의 설명에서는,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의 「ON/OFF」 제어를 스위치(SW3)로 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후술하는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SW3) 대신에, 콘덴서(30)를 사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3)
도 13은, 유기 EL 모듈의 다른 일례인 실시 형태 3의 구동 회로도이다.
도 13에 있어서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에는, 스위치부(SW1)가 없고,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이 연속적으로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터치 검출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이 주기적으로 출현하는 구동 방식의 일례이다.
도 13에 있어서,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측은, 스위치가 존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항상 회로가 「ON」이 연결된 상태에 있고, 유기 EL 소자(22)가 연속해서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는, 독립된 접지(27A)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우측에 기재한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은, 터치 검출 전극으로서 기능시키는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인출된 애노드 전극 배선(25)을, 스위치 3(SW3)을 거쳐서 터치 검출 회로부(24)에 접속되고, 이 터치 검출 회로부(24)는, 독립된 접지(27B)에 연결되어 있다.
도 13에서는,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의 SW3을 「ON」 상태로 하고, 유기 EL 패널(2)을 구성하고 있는 검출 전극인 애노드 전극(4A, 도시하지 않음)의 유리 기판 상면부를 손가락(15)으로 터치함으로써, 손가락(15)과 검출 전극인 애노드 전극(4A, 도시하지 않음)간에 정전 용량(Cf)이 발생하여,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연속해서 발광하는 발광 기간과 간헐 센싱 기간에 의해 구성되는 타이밍 차트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SW1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 회로가 항상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OLED 인가 전압은, 항상 「ON」 상태에 있고, 항상 발광하고 있다. 이에 반해,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의 SW3을 「ON/OFF」함으로써, 터치 검출을 주기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의 센싱 기간(ST)에서의 회로 작동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 작동도이다.
도 15에 있어서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이 항상 연결된 상태에 있다. 터치 검지 동작으로서는,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의 스위치 3(SW3)을 「ON」으로 한 상태에서, 유기 EL 패널(2)을 구성하고 있는 검출 전극인 애노드 전극(4A, 도시하지 않음)의 유리 기판 상면부를 손가락(15)으로 터치함으로써, 손가락(15)과 검출 전극인 애노드 전극(4A, 도시하지 않음)간에 정전 용량(Cf)이 발생한다. 정전 용량(Cf)은 접지(16)에 연결된다. ST는, 센싱 시의 터치 검출 정보 루트이다.
(실시 형태 4)
도 16은, 유기 EL 모듈의 다른 일례인 실시 형태 4의 구동 회로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실시 형태 4에서는, 상기 도 3에 기재한 실시 형태 1의 구동 회로에 비하여,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을 구성하고 있는 스위치(SW3) 대신에, 콘덴서(Cs)(30)를 편입시킨 구성이다. 콘덴서(Cs)(30)를 회로에 편입시킴으로써, 스위치 3(SW3)과 동일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에, 스위치 1(SW1)이 내장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터치 검출 회로부(24) 내부에 콘덴서(Cs)(30)가 내장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5)
도 17은, 유기 EL 모듈의 다른 일례인 실시 형태 5의 구동 회로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실시 형태 5에서는, 상기 도 13에 기재한 실시 형태 3의 구동 회로(SW1이 없는 구성)에 비하여,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을 구성하고 있는 스위치(SW3) 대신에, 콘덴서(Cs)(30)를 편입시킨 구성이다. 콘덴서(Cs)(30)를 회로에 편입시킴으로써, 스위치 3(SW3)과 동일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23)에, 스위치 1(SW1)이 내장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터치 검출 회로부(24) 내부에 콘덴서(Cs)(30)가 내장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유기 EL 모듈의 다른 구성예: 터치 검출 전극=캐소드 전극〕
도 2 내지 도 17에 있어서는, 터치 검출 전극을 애노드 전극(4A, 양극)으로 한 예를 도시했지만, 캐소드 전극(6A, 음극)을 터치 검출 전극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다른 구성으로, 캐소드 전극을 검출 전극으로 하는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도 2에 기재된 터치 검출 전극이 애노드 전극(4A, 양극)인 것에 대하여, 도 18의 구성에서는 캐소드 전극(6A)을 터치 검출 전극으로서 배치하고, 상기 캐소드 전극(6A)에, 접지(27B)를 갖는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이 접속되고, 캐소드 전극(6A)면측이 손가락 접촉에 의한 터치 검출면이 된다.
또한, 도 2와 마찬가지로, 애노드 전극(4)과 캐소드 전극(6A)간에,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이 접속되고,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에는, 접지(27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패널(2)에 있어서는, 유기 EL 소자의 보호를 목적으로, 애노드 전극(4) 또는 캐소드 전극(6)보다도 표면측에 메탈 호일층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6)
도 19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일례로, 캐소드 전극(6A, 도시하지 않음)이 터치 검출 전극인 실시 형태 6의 구동 회로도이며, 상기 도 3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실시 형태 1의 구동 회로도에 비하여, 터치 검출 회로부(24)에의 배선이, SW3을 거쳐서 캐소드 전극 배선(26)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도면이며, 기타 구성은, 도 3 내지 도 8과 완전히 동일하다.
(실시 형태 7)
도 20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의 다른 일례로, 캐소드 전극(6A, 도시하지 않음)이 터치 검출 전극인 실시 형태 7의 구동 회로도이며, 상기 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시한 실시 형태 3의 구동 회로도에 비하여, 터치 검출 회로부(24)에의 배선이, SW3을 거쳐서 캐소드 전극 배선(26)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도면이며, 기타 구성은, 도 13 내지 도 15와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실시 형태 6 및 실시 형태 7에서는, 캐소드 전극(6A)이 검출 전극인 구동 회로도의 일례를 도시했지만, 그 밖에도, 동일한 회로 구성으로, 상기 실시 형태 2 및 실시 형태 4, 5에서 예시한 구성에 있어서, 터치 검출 전극으로서, 애노드 전극 대신에, 캐소드 전극(6A)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구성》
유기 EL 모듈(1)을 구성하는 유기 EL 패널(2)은, 예를 들어 상기 도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투명 기재(3) 상에, 애노드 전극(4, 양극)과, 유기 기능층 유닛(5)이 적층되어, 발광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유기 기능층 유닛(5)의 상부에는, 캐소드 전극(6, 음극)이 적층되어,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고 있다. 이 유기 EL 소자의 외주부를 밀봉용 접착제(7)로 밀봉하고, 그 표면에, 밀봉 부재(8)가 배치되어, 유기 EL 패널(2)을 구성하고 있다.
이하에, 유기 EL 소자의 구성의 대표예를 나타낸다.
(i) 양극/정공 주입 수송층/발광층/전자 주입 수송층/음극
(ii) 양극/정공 주입 수송층/발광층/정공 저지층/전자 주입 수송층/음극
(iii) 양극/정공 주입 수송층/전자 저지층/발광층/정공 저지층/전자 주입 수송층/음극
(iv) 양극/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음극
(v) 양극/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정공 저지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음극
(vi) 양극/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전자 저지층/발광층/정공 저지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음극
또한, 발광층이 복수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발광층간에는 비발광성의 중간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중간층은 전하 발생층이어도 되고, 다광자 유닛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유기 EL 소자의 구성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76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6855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773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8721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916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918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256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3599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432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432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423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433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451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0324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032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139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174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17494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투명 기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적용 가능한 투명 기재(3)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명 재료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투명 기재(3)로서는, 유리, 석영,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유리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유리, 소다 석회 실리카 유리, 납 유리, 붕규산염 유리, 무알칼리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리 재료의 표면에는, 인접하는 층과의 밀착성, 내구성, 평활성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연마 등의 물리적 처리,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박막의 형성이나, 이들 박막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셀로판,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CAP),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나이트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및 그들의 유도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신디오택틱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노르보르넨 수지,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류,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케톤이미드, 폴리아미드, 불소 수지,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 및 폴리아릴레이트류, 아톤(상품명, JSR사제) 및 아펠(상품명, 미츠이가가쿠사제)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한 투명 기재(3) 상에, 필요에 따라,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수분이나 산소 등, 유기 EL 소자의 열화를 초래하는 성분의 침입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재료이면 되고, 예를 들어 산화규소, 이산화규소, 질화규소 등의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리어층의 취약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이들 무기층과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층의 적층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층과 유기층의 적층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양자를 교대로 복수회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노드 전극: 양극)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양극으로서는, Ag, Au 등의 금속 또는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Cul, 또는 인듐-주석의 복합 산화물(ITO), SnO2 및 ZnO 등의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지만, 금속 또는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은 또는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이다. 또한, 양극측이 광 취출측이 되는 경우에는,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 양극인 것이 필요해진다.
투명 양극은 은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층인데, 구체적으로는, 은 단독으로 형성해도, 또는 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은(Ag)을 함유하는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한 합금으로서는, 예를 들어 은·마그네슘(Ag·Mg), 은·구리(Ag·Cu), 은·팔라듐(Ag·Pd), 은·팔라듐·구리(Ag·Pd·Cu), 은·인듐(Ag·In), 은·금(Ag·Au)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극을 구성하는 각 구성 재료 중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양극으로서는, 은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하고, 두께가 2 내지 20nm의 범위 내에 있는 투명 양극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4 내지 12nm의 범위 내이다. 두께가 20nm 이하이면, 투명 양극의 흡수 성분 및 반사 성분이 낮게 억제되어, 높은 광투과율이 유지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은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층이란, 투명 양극중의 은의 함유량이 60질량% 이상인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은의 함유량이 80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은의 함유량이 90질량%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은의 함유량이 98질량%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양극에서 말하는 「투명」이란, 파장 550nm에서의 광투과율이 50% 이상인 것을 말한다.
투명 양극에 있어서는, 은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층이, 필요에 따라 복수의 층으로 나누어서 적층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양극이, 은을 주성분으로 해서 구성하는 투명 양극인 경우에는, 형성하는 투명 양극의 은막의 균일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그 하부에, 하지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층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갖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지층 상에 투명 양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중간 전극〕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는,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유기 기능층군과 발광층으로 구성되는 유기 기능층 유닛을 2개 이상 적층한 구조를 갖고, 2개 이상의 유기 기능층 유닛간을, 전기적 접속을 얻기 위한 독립한 접속 단자를 갖는 중간 전극층 유닛으로 분리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발광층〕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발광층은, 발광 재료로서 인광 발광 화합물 또는 형광 발광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발광층은, 전극 또는 전자 수송층으로부터 주입된 전자와, 정공 수송층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이 재결합해서 발광하는 층이며, 발광하는 부분은 발광층의 층 내이어도 발광층과 인접하는 층과의 계면이어도 된다.
이러한 발광층으로서는, 포함되는 발광 재료가 발광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그 구성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동일한 발광 스펙트럼이나 발광 극대 파장을 갖는 층이 복수층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각 발광층간에는 비발광성의 중간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층의 두께의 총합은, 1 내지 100n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낮은 구동 전압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1 내지 30nm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층의 두께의 총합이란, 발광층간에 비발광성의 중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간층도 포함하는 두께이다.
이상과 같은 발광층은, 후술하는 발광 재료나 호스트 화합물을,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LB법(랭뮤어·블로젯, Langmuir Blodgett법) 및 잉크젯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은, 복수의 발광 재료를 혼합해도 되고, 인광 발광 재료와 형광 발광 재료(형광 도펀트, 형광성 화합물이라고도 함)를 동일 발광층중에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발광층의 구성으로서는, 호스트 화합물(발광 호스트 등이라고도 함) 및 발광 재료(발광 도펀트 화합물이라고도 함)를 함유하고, 발광 재료로부터 발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트 화합물>
발광층에 함유되는 호스트 화합물로서는, 실온(25℃)에서의 인광 발광의 인광 양자 수율이 0.1 미만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광 양자 수율이 0.0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중에서, 그 층 내에서의 체적비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트 화합물로서는, 공지된 호스트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복수종의 호스트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호스트 화합물을 복수종 사용함으로써 전하의 이동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고효율화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발광 재료를 복수종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발광을 섞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임의의 발광색을 얻을 수 있다.
발광층에 사용되는 호스트 화합물로서는, 종래 공지된 저분자 화합물이어도,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어도 되고, 비닐기나 에폭시기와 같은 중합성 기를 갖는 저분자 화합물(증착 중합성 발광 호스트)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호스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70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579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8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4305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54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295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145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488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608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5083호 공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112407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9/0030202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2001/039234호, 국제 공개 제2008/056746호, 국제 공개 제2005/089025호, 국제 공개 제2007/063754호, 국제 공개 제2005/030900호, 국제 공개 제2009/086028호, 국제 공개 제2012/023947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54297호 공보, 유럽 일본 특허 제2034538호 명세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발광 재료>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발광 재료로서는, 인광 발광성 화합물(인광성 화합물, 인광 발광 재료 또는 인광 발광 도펀트라고도 함) 및 형광 발광성 화합물(형광성 화합물 또는 형광 발광 재료라고도 함)을 들 수 있다.
<인광 발광성 화합물>
인광 발광성 화합물이란, 여기 삼중항으로부터의 발광이 관측되는 화합물이며, 구체적으로는 실온(25℃)에서 인광 발광하는 화합물이며, 인광 양자 수율이 25℃에서 0.01 이상의 화합물이라고 정의되지만, 바람직한 인광 양자 수율은 0.1 이상이다.
상기 인광 양자 수율은, 제4판 실험 화학 강좌 7의 분광 II의 398페이지(1992년판, 마루젠)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용액중에서의 인광 양자 수율은,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인광 발광성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임의의 용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광 양자 수율로서 0.01 이상이 달성되면 된다.
인광 발광성 화합물은,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에 사용되는 공지된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원소의 주기율표에서 8 내지 10족의 금속을 함유하는 착체계 화합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리듐 화합물, 오스뮴 화합물, 백금 화합물(백금 착체계 화합물) 또는 희토류 착체이며, 그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이리듐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이, 2종 이상의 인광 발광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발광층에서의 인광 발광성 화합물의 농도비가 발광층의 두께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공지된 인광 발광성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Nature 395, 151(1998), Appl.Phys.Lett.78, 1622(2001), Adv.Mater.19, 739(2007), Chem.Mater.17, 3532(2005), Adv.Mater.17, 1059(2005), 국제 공개 제2009/100991호, 국제 공개 제2008/101842호, 국제 공개 제2003/040257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835469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202194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087321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244673호 명세서 등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Inorg.Chem.40, 1704(2001), Chem.Mater.16, 2480(2004), Adv.Mater.16, 2003(2004), Angew.Chem.lnt.Ed.2006, 45, 7800, Appl.Phys.Lett.86, 153505(2005), Chem.Lett.34, 592(2005), Chem.Commun.2906(2005), Inorg.Chem.42, 1248(2003), 국제 공개 제2009/050290호, 국제 공개 제2009/000673호, 미국 특허 제733223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9/0039776호, 미국 특허 제6687266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008670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8/0015355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7396598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138657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7090928호 명세서 등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Angew.Chem.lnt.Ed.47, 1(2008), Chem.Mater.18, 5119(2006), Inorg.Chem.46, 4308(2007), Organometallics 23, 3745(2004), Appl.Phys.Lett.74, 1361(1999), 국제 공개 제2006/056418호, 국제 공개 제2005/123873호, 국제 공개 제2005/123873호, 국제 공개 제2006/082742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260441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7534505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190359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733872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7279704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03874호 명세서 등에 기재된 화합물도 들 수 있다.
나아가, 국제 공개 제2005/076380호, 국제 공개 제2008/140115호, 국제 공개 제2011/134013호, 국제 공개 제2010/086089호, 국제 공개 제2012/020327호, 국제 공개 제2011/051404호, 국제 공개 제2011/073149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1408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198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3552호 공보 등에 기재된 화합물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인광 발광성 화합물로서는 Ir을 중심 금속에 갖는 유기 금속 착체를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탄소 결합, 금속-질소 결합, 금속-산소 결합, 금속-황 결합 중 적어도 1개의 배위 양식을 포함하는 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한 인광 발광성 화합물(인광 발광성 금속 착체라고도 함)은, 예를 들어 Organic Letter지, vol3, No.16, 2579 내지 2581페이지(2001), Inorganic Chemistry, 제30권, 제8호, 1685 내지 1687페이지(1991년), J.Am.Chem.Soc., 123권, 4304페이지(2001년), Inorganic Chemistry, 제40권, 제7호, 1704 내지 1711페이지(2001년), Inorganic Chemistry, 제41권, 제12호, 3055 내지 3066페이지(2002년), New Journal of Chemistry., 제26권, 1171페이지(2002년), Europea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제4권, 695 내지 709페이지(2004년), 또한 이들 문헌 중에 기재되어 있는 참고 문헌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형광 발광성 화합물>
형광 발광성 화합물로서는, 쿠마린계 색소, 피란계 색소, 시아닌계 색소, 크로코늄계 색소, 스쿠아릴륨계 색소, 옥소벤즈안트라센계 색소, 플루오레세인계 색소, 로다민계 색소, 피릴륨계 색소, 페릴렌계 색소, 스틸벤계 색소, 폴리티오펜계 색소 또는 희토류 착체계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기능층군〕
계속해서, 유기 기능층 유닛을 구성하는 발광층 이외의 각 층에 대해서, 전하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저지층의 순서대로 설명한다.
(전하 주입층)
전하 주입층은, 구동 전압 저하나 발광 휘도 향상을 위해서, 전극과 발광층의 사이에 설치되는 층으로, 「유기 EL 소자와 그 공업화 최전선(1998년 11월 30일 NTS사 발행)」의 제2편 제2장 「전극 재료」(123 내지 166페이지)에 그 상세가 기재되어 있으며, 정공 주입층과 전자 주입층이 있다.
전하 주입층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정공 주입층이라면, 양극과 발광층 또는 정공 수송층의 사이, 전자 주입층이라면 음극과 발광층 또는 전자 수송층의 사이에 존재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명 전극에 인접해서 전하 주입층을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간 전극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전자 주입층 및 정공 주입층 중 적어도 한쪽이, 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된다.
정공 주입층은, 구동 전압 저하나 발광 휘도 향상을 위해서, 투명 전극인 양극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층이며, 「유기 EL 소자와 그 공업화 최전선(1998년 11월 30일 NTS사 발행)」의 제2편 제2장 「전극 재료」(123 내지 166페이지)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정공 주입층은, 일본 특허 공개 평9-454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26006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288069호 공보 등에도 그 상세가 기재되어 있고, 정공 주입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포르피린 유도체,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트리아졸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졸론 유도체,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히드라존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폴리아릴알칸 유도체, 트릴아릴아민 유도체, 카르바졸 유도체, 인돌로카바졸 유도체, 이소인돌 유도체, 안트라센이나 나프탈렌 등의 아센계 유도체, 플루오렌 유도체, 플루오레논 유도체 및 폴리비닐카르바졸, 방향족 아민을 주쇄 또는 측쇄에 도입한 고분자 재료 또는 올리고머, 폴리실란, 도전성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예를 들어, PEDOT(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SS(폴리스티렌술폰산), 아닐린계 공중합체,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등) 등을 들 수 있다.
트릴아릴아민 유도체로서는, α-NPD(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로 대표되는 벤지딘형이나, MTDATA(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로 대표되는 스타버스트형, 트릴아릴아민 연결 코어부에 플루오렌이나 안트라센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표 제2003-519432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3514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헥사아자트리페닐렌 유도체도 마찬가지로 정공 수송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주입층은, 구동 전압 저하나 발광 휘도 향상을 위해서, 음극과 발광층의 사이에 설치되는 층이며, 음극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투명 전극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유기 EL 소자와 그 공업화 최전선(1998년 11월 30일 NTS사 발행)」의 제2편 제2장 「전극 재료」(123 내지 166페이지)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전자 주입층은, 일본 특허 공개 평6-3258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75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74586호 공보 등에도 그 상세가 기재되어 있으며, 전자 주입층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스트론튬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대표되는 금속, 불화 리튬, 불화 나트륨, 불화 칼륨 등으로 대표되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 불화 마그네슘, 불화 칼슘 등으로 대표되는 알칼리 금속 할라이드층, 불화 마그네슘으로 대표되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층, 산화몰리브덴, 산화알루미늄 등으로 대표되는 금속 산화물, 리튬8-히드록시퀴놀레이트(Liq) 등으로 대표되는 금속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투명 전극이 음극인 경우에는, 금속 착체 등의 유기 재료가 특히 적절하게 사용된다. 전자 주입층은 매우 얇은 막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성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그 층 두께는 1nm 내지 1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정공 수송층)
정공 수송층이란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을 갖는 정공 수송 재료를 포함하고, 넓은 의미에서 정공 주입층 및 전자 저지층도 정공 수송층의 기능을 갖는다. 정공 수송층은 단층 또는 복수층 설치할 수 있다.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정공의 주입 또는 수송, 전자의 장벽성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이며, 유기물, 무기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트리아졸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폴리아릴알칸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졸론 유도체, 페닐렌디아민 유도체, 아릴아민 유도체, 아미노 치환 칼콘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스티릴안트라센 유도체, 플루오레논 유도체, 히드라존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실라잔 유도체, 아닐린계 공중합체, 도전성 고분자 올리고머 및 티오펜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상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포르피린 화합물, 방향족 제3급 아민 화합물 및 스티릴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방향족 제3급 아민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제3급 아민 화합물 및 스티릴아민 화합물의 대표예로서는, N,N,N',N'-테트라페닐-4,4'-디아미노페닐, N,N'-디페닐-N,N'-비스(3-메틸페닐)-〔1,1'-비페닐〕-4,4'-디아민(약칭: TPD), 2,2-비스(4-디-p-톨릴아미노페닐)프로판, 1,1-비스(4-디-p-톨릴아미노페닐)시클로헥산, N,N,N',N'-테트라-p-톨릴-4,4'-디아미노비페닐, 1,1-비스(4-디-p-톨릴아미노페닐)-4-페닐시클로헥산, 비스(4-디메틸아미노-2-메틸페닐)페닐메탄, 비스(4-디-p-톨릴아미노페닐)페닐메탄, N,N'-디페닐-N,N'-디(4-메톡시페닐)-4,4'-디아미노비페닐, N,N,N',N'-테트라페닐-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비스(디페닐아미노)쿼드리페닐, N,N,N-트리(p-톨릴)아민, 4-(디-p-톨릴아미노)-4'-〔4-(디-p-톨릴아미노)스티릴〕스틸벤, 4-N,N-디페닐아미노-(2-디페닐비닐)벤젠, 3-메톡시-4'-N,N-디페닐아미노스틸벤젠 및 N-페닐카르바졸 등을 들 수 있다.
정공 수송층은, 상기 정공 수송 재료를,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잉크젯법을 포함하는 인쇄법 및 LB법(랭뮤어·블로젯, Langmuir Blodgett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박막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의 층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5nm 내지 5㎛ 정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nm의 범위이다. 이 정공 수송층은, 상기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1층 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정공 수송층의 재료에 불순물을 도프함으로써, p성을 높게 할 수도 있다. 그 예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4-2970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961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02175호 공보 및 J.Appl.Phys., 95, 5773(2004) 등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정공 수송층의 p성을 높게 하면, 보다 저소비 전력의 소자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전자 수송층)
전자 수송층은, 전자를 수송하는 기능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고, 넓은 의미에서 전자 주입층, 정공 저지층도 전자 수송층에 포함된다. 전자 수송층은, 단층 구조 또는 복수층의 적층 구조로서 설치할 수 있다.
단층 구조의 전자 수송층 및 적층 구조의 전자 수송층에 있어서, 발광층에 인접하는 층 부분을 구성하는 전자 수송 재료(정공 저지 재료를 겸함)로서는, 캐소드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발광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된 화합물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트로 치환 플루오렌 유도체, 디페닐퀴논 유도체, 티오피란디옥시드 유도체, 카르보디이미드, 플루오레닐리덴메탄 유도체, 안트라퀴노디메탄, 안트론 유도체 및 옥사디아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사디아졸 유도체에 있어서, 옥사디아졸 환의 산소 원자를 황 원자로 치환한 티아디아졸 유도체, 전자 흡인 기로서 알려져 있는 퀴녹살린 환을 갖는 퀴녹살린 유도체도, 전자 수송층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고분자쇄에 도입한 고분자 재료 또는 이들 재료를 고분자의 주쇄로 한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8-퀴놀리놀 유도체의 금속 착체, 예를 들어 트리스(8-퀴놀리놀) 알루미늄(약칭: Alq3), 트리스(5,7-디클로로-8-퀴놀리놀) 알루미늄, 트리스(5,7-디브로모-8-퀴놀리놀) 알루미늄, 트리스(2-메틸-8-퀴놀리놀) 알루미늄, 트리스(5-메틸-8-퀴놀리놀) 알루미늄, 비스(8-퀴놀리놀) 아연(약칭: Znq) 등 및 이들 금속 착체의 중심 금속이 In, Mg, Cu, Ca, Sn, Ga 또는 Pb로 치환된 금속 착체도, 전자 수송층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은, 상기 재료를,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잉크젯법을 포함하는 인쇄법 및 LB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박막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의 층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5nm 내지 5㎛ 정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nm의 범위 내이다. 전자 수송층은 상기 재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일 구조여도 된다.
(저지층)
저지층으로서는, 정공 저지층 및 전자 저지층을 들 수 있고, 상기 설명한 유기 기능층 유닛(3)의 각 구성층 이외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층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2042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04359호 공보 및 「유기 EL 소자와 그 공업화 최전선(1998년 11월 30일 NTS사 발행)」의 237페이지 등에 기재되어 있는 정공 저지(홀 블록)층 등을 들 수 있다.
정공 저지층이란, 넓은 의미에서는, 전자 수송층의 기능을 갖는다. 정공 저지층은, 전자를 수송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정공을 수송하는 능력이 현저하게 작은 정공 저지 재료를 포함하고, 전자를 수송하면서 정공을 저지함으로써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수송층의 구성을 필요에 따라, 정공 저지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정공 저지층은, 발광층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 저지층이란, 넓은 의미에서는, 정공 수송층의 기능을 갖는다. 전자 저지층은, 정공을 수송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전자를 수송하는 능력이 현저하게 작은 재료를 포함하고, 정공을 수송하면서 전자를 저지함으로써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공 수송층의 구성을 필요에 따라서 전자 저지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하는 정공 저지층의 층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nm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nm의 범위이다.
〔음극〕
음극은, 유기 기능층군이나 발광층에 정공을 공급하기 위해서 기능하는 전극 막이며, 금속, 합금, 유기 또는 무기의 도전성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금, 알루미늄, 은, 마그네슘, 리튬, 마그네슘/구리 혼합물, 마그네슘/은 혼합물, 마그네슘/알루미늄 혼합물, 마그네슘/인듐 혼합물, 인듐, 리튬/알루미늄 혼합물, 희토류 금속, ITO, ZnO, TiO2 및 SnO2 등의 산화물 반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음극은, 이들 도전성 재료를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박막을 형성시켜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으로서의 시트 저항은, 몇백 Ω/□ 이하가 바람직하고, 막 두께는 통상 5nm 내지 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nm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가, 음극측으로부터도 발광광(L)을 취출하는, 양면 발광형의 경우에는, 광투과성이 양호한 음극을 선택해서 구성하면 된다.
〔밀봉 부재〕
유기 EL 소자를 밀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밀봉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밀봉 부재와, 음극 및 투명 기판을 접착제로 접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밀봉 부재로서는, 유기 EL 소자의 표시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오목판 형상이어도, 평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투명성 및 전기 절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밀봉 부재로서는, 유리판, 중합체판, 필름, 금속판,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유리판으로서는, 특히 소다 석회 유리, 바륨·스트론튬 함유 유리, 납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붕규산 유리, 바륨 붕규산 유리, 석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체판으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피드, 폴리술폰 등을 들 수 있다. 금속판으로서는, 스테인리스, 철, 구리, 알루미늄, 마그네슘, 니켈, 아연, 크롬, 티타늄, 몰리부텐, 실리콘, 게르마늄 및 탄탈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합금을 들 수 있다.
밀봉 부재로서는, 유기 EL 소자를 박막화할 수 있는 관점에서, 중합체 필름 및 금속 필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체 필름은, JIS K 7129-1992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 온도 25±0.5℃, 상대 습도 90±2% RH에서의 수증기 투과도가 1×10-3g/m2·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JIS K 7126-1987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된 산소 투과도가 1×10-3ml/m2·24h·atm (1atm은, 1.01325×105Pa임) 이하이며, 온도 25±0.5℃, 상대 습도 90±2% RH에서의 수증기 투과도가 1×10-3g/m2·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부재와 유기 EL 소자의 표시 영역(발광 영역)의 간극에는, 기상 및 액상으로는 질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기체나 불화탄화수소, 실리콘 오일과 같은 불활성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부재와 유기 EL 소자의 표시 영역의 간극을 진공으로 하거나, 간극에 흡습성 화합물을 봉입할 수도 있다.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방법〕
유기 EL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투명 기재 상에, 양극, 유기 기능층군(1), 발광층, 유기 기능층군(2) 및 음극을 적층해서 적층체를 형성한다.
먼저, 투명 기재를 준비하고, 상기 투명 기재 상에, 원하는 전극 물질, 예를 들어 양극용 물질을 포함하는 박막을 1㎛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nm의 범위 내의 막 두께가 되도록,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시켜, 양극을 형성한다. 동시에, 양극 단부에,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접속 전극부를 형성한다.
이어서, 이 위에, 유기 기능층군(1)을 구성하는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 발광층, 유기 기능층군(2)을 구성하는 전자 수송층 등을 순서대로 적층한다.
이들 각 층의 형성은, 스핀 코팅법, 캐스트법, 잉크젯법, 증착법, 인쇄법 등이 있지만, 균질한 층이 쉽게 얻어지고, 또한, 핀 홀이 생성되기 어려운 등의 점에서, 진공 증착법 또는 스핀 코팅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층마다 상이한 형성법을 적용해도 된다. 이들 각 층의 형성에 증착법을 채용할 경우, 그 증착 조건은 사용하는 화합물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보트 가열 온도 50 내지 450℃, 진공도 1×10-6 내지 1×10-2Pa, 증착 속도 0.01 내지 50nm/초, 기판 온도 -50 내지 300℃, 층 두께 0.1 내지 5㎛의 범위 내에서, 각 조건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해서 유기 기능층군(2)을 형성한 후, 이 상부에 음극을 증착법이나 스퍼터법 등의 적당한 형성법으로 형성한다. 이 때, 음극은, 유기 기능층군에 의해 양극에 대하여 절연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기 기능층군의 상방으로부터 투명 기판의 주연에 단자 부분을 인출한 형상으로 패턴 형성한다.
음극의 형성 후, 이들 투명 기재, 양극, 유기 기능층군, 발광층 및 음극을 밀봉재로 밀봉한다. 즉, 양극 및 음극의 단자 부분(각 전극의 인출 배선)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투명 기재 상에, 적어도 유기 기능층군을 덮는 밀봉재를 설치한다.
또한, 유기 EL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유기 EL 소자의 각 전극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12), 또는 터치 검출 회로 유닛(14)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지만, 그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전기적인 접속 부재(인출 배선)로서는, 도전성을 구비한 부재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이방성 도전막(ACF),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금속 페이스트인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방성 도전막(ACF)이란,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에 혼합한 도전성을 갖는 미세한 도전성 입자를 갖는 층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도전성 입자 함유층으로서는, 이방성 도전 부재로서의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는 층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도전성 입자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입자, 금속 피복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ACF로서는, 예를 들어 MF-331(히다치가세이제) 등의, 수지 필름에도 적용 가능한 저온 경화형의 ACF를 들 수 있다.
금속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니켈, 코발트, 은, 구리, 금, 팔라듐 등을 들 수 있고, 금속 피복 수지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 코어의 표면을 니켈, 구리, 금 및 팔라듐 중 어느 하나의 금속을 피복한 입자를 들 수 있고, 금속 페이스트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금속 나노 입자 페이스트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EL 모듈의 적용 분야》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은, 스몰 포맷화 및 박막화를 달성하여, 공정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이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
도 21은, 아이콘부에 본 발명의 유기 EL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도 2 내지 도 20에서 설명한 터치 검출 기능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MD)과, 액정 표시 장치(120) 등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120)로서는, 종래 공지된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1에서는,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MD)이 발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정면측에서 보면 각종 표시 패턴(111)의 발광이 시인된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MD)이 비발광 상태인 경우에는, 각종 표시 패턴(111)이 시인되지 않는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표시 패턴(111)의 형상은, 일례이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도형, 문자, 모양 등이어도 된다. 여기서, 「표시 패턴」이란, 유기 EL 소자의 발광에 의해 표시되는 도안(도면의 무늬나 모양), 문자, 화상 등을 말한다.
〔조명 장치〕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은, 조명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을 구비한 조명 장치로서는, 가정용 조명, 차내 조명,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등, 표시 장치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 밖에, 시계 등의 백라이트, 간판 광고, 신호기, 광 기억 매체 등의 광원, 전자 사진 복사기의 광원, 광통신 처리기의 광원, 광센서의 광원 등, 나아가 표시 장치를 필요로 하는 일반의 가정용 전기 기구 등 넓은 범위의 용도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은, 스몰 포맷화 및 박막화를 달성하여, 공정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MD 유기 EL 모듈
2 : 유기 EL 패널
3 : 투명 기재
4 : 애노드 전극
4A : 터치 검출 전극을 겸한 애노드 전극
5 : 유기 기능층 유닛
6 : 캐소드 전극
6A : 터치 검출 전극을 겸한 캐소드 전극
7 : 밀봉용 접착제
8 : 밀봉 부재
9 : 터치 검출부
10 : 종래형의 터치 검출 전극
11 : 커버 유리
12 :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
14 : 터치 검출 회로 유닛
15 : 손가락
16 : 접지(어스)
21 : 콘덴서(Cel)
22 : 유기 EL 소자
23 :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
24 : 터치 검출 회로부
25 : 애노드 전극 배선
26 : 캐소드 전극 배선
27 : 접지
28 : 발광 제어 정보 루트
29 : 터치 검출 정보 루트
30 : 콘덴서(Cs)
31 : DC-DC 컨버터 회로
32 : DC-DC 컨버터의 스위치 소자 제어 회로
33 : 전류값의 피드백 회로
100 : 스마트 디바이스
111 : 표시 패턴
120 : 액정 표시 장치
1FT : 1프레임 기간
Cf : 손가락 접촉시의 정전 용량
LT : 발광 기간
R1 : 검출 저항
ST : 센싱 기간
SW1 : 스위치 1
SW3 : 스위치 3
SW4 : 스위치 4
t1 : 대기 시간
τ : OLED 충방전 시정수

Claims (7)

  1. 터치 검출 기능을 갖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이며,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을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를 갖는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을 갖고,
    상기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은, 내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면 형상의 한 쌍의 전극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이,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어느 한쪽이 터치 검출 전극이며, 상기 터치 검출 전극이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터치 검출 회로 유닛과, 발광 소자 구동 회로 유닛이, 각각 독립된 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발광 기간과, 상기 터치 검출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이 분리되고, 상기 터치 센싱 기간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전기 용량이 검출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플로팅 전위의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발광 기간과, 상기 터치 검출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이 분리되고, 상기 터치 센싱 기간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전기 용량이 검출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이 플로팅 전위의 상태이며, 또한, 상기 한 쌍의 전극이 단락된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 구동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이 연속적으로 발광하고, 상기 터치 검출 회로부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센싱 기간이 주기적으로 출현하는 구동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기간의 마지막에, 역인가 전압 기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167004839A 2014-06-06 2014-09-18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KR101828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7598 2014-06-06
JPJP-P-2014-117598 2014-06-06
PCT/JP2014/074713 WO2015186266A1 (ja) 2014-06-06 2014-09-18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及び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230A true KR20160039230A (ko) 2016-04-08
KR101828721B1 KR101828721B1 (ko) 2018-02-12

Family

ID=5476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839A KR101828721B1 (ko) 2014-06-06 2014-09-18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74757B2 (ko)
EP (1) EP3154315B1 (ko)
JP (1) JP6365665B2 (ko)
KR (1) KR101828721B1 (ko)
CN (1) CN105493626B (ko)
WO (1) WO2015186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6708B2 (en) * 2011-01-21 2014-10-21 Peter Sui Lun Fong Light emitting diode switch device and array
US10209841B2 (en) * 2014-09-10 2019-02-19 Sharp Kabushiki Kaisha Position inpu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inputting function
US20200042124A1 (en) * 2015-06-22 2020-02-06 Konica Minolta,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ce module, smart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10229316B2 (en) * 2016-01-29 2019-03-12 Synaptics Incorporated Compound collimating system using apertures and collimators
US10817092B2 (en) 2016-03-11 2020-10-27 Konica Minolta,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ce module, smart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CN106201142B (zh) * 2016-07-15 2018-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US10261622B2 (en) * 2016-10-10 2019-04-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ound reference floating in a touch-sensitive display
CN106356394B (zh) 2016-10-27 2018-09-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电子设备
CN108224148B (zh) * 2018-01-04 2023-04-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照明面板及其驱动方法,照明装置
CN108167668B (zh) * 2018-01-04 2021-0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照明面板、照明面板的驱动方法和照明灯具
JP2023154469A (ja) * 2022-04-07 2023-10-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4259B2 (ja) * 1996-03-14 2002-05-20 松下電工株式会社 El照光式タッチスイッチ
US7361860B2 (en) * 2001-11-20 2008-04-22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Integrated touch sensor and light apparatus
US7348946B2 (en) * 2001-12-31 2008-03-25 Intel Corporation Energy sensing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TE375544T1 (de) * 2004-04-22 2007-10-15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Steuerschnittstelle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JP4464985B2 (ja) * 2007-04-27 2010-05-19 ビステオン・ジャパン株式会社 El発光式タッチスイッチ
JP4791427B2 (ja) * 2007-09-19 2011-10-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El発光式タッチスイッチ
TWI479714B (zh) * 2008-01-29 2015-04-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具整合式之鄰近感測器的有機發光二極體照明裝置
US8552936B2 (en) 2008-09-08 2013-10-08 Koninklijke Philips N.V. OLED device with capacitive proximity sensing means
WO2010032329A1 (ja) * 2008-09-22 2010-03-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El発光装置
US9086753B2 (en) * 2008-10-01 2015-07-21 Koninklijke Philips N.V. OLED device and an electronic circuit
US8624849B2 (en) * 2009-04-20 2014-01-07 Apple Inc. Touch actuated sensor configuration integrated with an OLED structure
JP2012022168A (ja) * 2010-07-15 2012-02-02 Sony Corp 有機el表示装置、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20044041A (ko) * 2010-10-27 2012-05-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JP5664369B2 (ja) 2011-03-15 2015-02-04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
JP2013065429A (ja) 2011-09-16 2013-04-11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静電容量式情報入力ユニット、携帯型端末装置、及び静電容量式情報入力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833759B2 (ja) * 2012-07-24 2015-12-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光源を有する照明モジュール及び照明システム
CN103700345B (zh) * 2013-12-27 2015-09-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US9122349B1 (en) * 2014-03-19 2015-09-01 Bidirectional Display Inc. Image sensor panel and method for capturing graphical information using same
JP6245102B2 (ja) * 2014-07-23 2017-12-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EP3187983A4 (en) * 2014-08-25 2018-04-18 Konica Minolta,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module, smart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20160121006A1 (en) * 2014-10-30 2016-05-05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ntibacterial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6266A1 (ja) 2015-12-10
US9574757B2 (en) 2017-02-21
CN105493626A (zh) 2016-04-13
US20160363305A1 (en) 2016-12-15
KR101828721B1 (ko) 2018-02-12
JP6365665B2 (ja) 2018-08-01
JPWO2015186266A1 (ja) 2017-04-20
CN105493626B (zh) 2017-05-03
EP3154315A4 (en) 2018-01-03
EP3154315A1 (en) 2017-04-12
EP3154315B1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921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KR101828721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KR101828722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US9985628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module and smart device
JP6801664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及び照明装置
KR102222227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WO2016181704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及びスマートデバイス
JP2016099921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並びにこれを備えたスマートデバイス及び照明装置
WO2018123723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情報処理装置、入力装置及び照明装置
WO2018123887A1 (ja) パッシブマトリックス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及びタッチ検出方法
WO2018168617A1 (ja) 面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