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076A -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076A
KR20160039076A KR1020140131988A KR20140131988A KR20160039076A KR 20160039076 A KR20160039076 A KR 20160039076A KR 1020140131988 A KR1020140131988 A KR 1020140131988A KR 20140131988 A KR20140131988 A KR 20140131988A KR 20160039076 A KR20160039076 A KR 2016003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age
probability
rotating blade
safe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욱
최우성
김완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13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9076A/ko
Publication of KR2016003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1/00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D21/04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sponsive to undesired position of rotor relative to stator or to breaking-off of a part of the rotor, e.g. indicating such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하는 확률 산정부;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하는 피해 산정부; 및 확률 산정부에서 산정된 손상확률 및 피해 산정부에서 산정된 손상피해를 기초로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예측하는 안전도 예측부; 를 포함함으로써,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중에 안전도를 상시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prediction of rotation blade}
본 발명은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 블레이드는 회전중의 파손에 의해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600RPM으로 고속회전하는 터빈 블레이드는 파손발생시 경제적 피해뿐만 아니라 인명손상도 야기할 수 있다. 게다가 터빈 블레이드가 파손될 경우, 터빈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로터에 순간적으로 불균형이 발생되어 파손될 수 있다. 로터의 파손시 복구에 최소 6개월 이상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전기생산이 중단되어 피해비용이 수백억을 초과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파손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된 블레이드의 이용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는 보통 센서의 부착이 적합하지 않은 조건을 가지고 있으므로 블레이드 상태의 실시간 파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다른 방안으로 블레이드 주기적인 운전정지 및 검사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단기간 운전정지된 블레이드에 대한 전수검사(예를 들어 균열 검출을 위한 초음파 검사 및 비파괴 검사 등)의 수행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블레이드의 운전정지 주기가 길 경우, 상기 블레이드는 검사에서 양호한 상태로 평가되어도 운전 중에 손상이 발생되고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풍력 터빈 블레이드의 상태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하기의 특허문헌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38270호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중에 안전도를 상시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는,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하는 확률 산정부;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하는 피해 산정부; 및 상기 확률 산정부에서 산정된 손상확률 및 상기 피해 산정부에서 산정된 손상피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예측하는 안전도 예측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률 산정부는 해석적 손상확률, 검사기준 손상확률 및 검사유효성 기준 손상확률 중 적어도 둘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해 산정부는 손상형태, 정비기간, 설비종류, 운전조건 및 정비형태중 적어도 둘을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도 예측부는 산정된 손상확률의 등급 및 산정된 손상피해의 등급을 각각 결정하고, 손상확률의 등급 및 손상피해의 등급을 합산하여 안전도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은,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하는 확률 산정단계;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히스토리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하는 피해 산정단계; 및 상기 확률 산정단계에서 산정된 손상확률 및 상기 피해 산정단계에서 산정된 손상피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예측하는 안전도 예측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은,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를 검사하는 상태 검사단계;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히스토리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및 안전도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안전도의 등급을 판단하여 표시하는 표시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는 운전중인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비를 수행할 수 있고, 계획된 정비기간에 손상확률이 높게 나타난 블레이드를 집중검사하여 손상을 사전에 발견하고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은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중에 상시적으로 블레이드의 안전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이상발생시 사전정비를 수행함으로써, 블레이드 파손에 의한 대형사고를 예방하여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에 포함된 확률 산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에 포함된 피해 산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에 포함된 안전도 예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100)는, 확률 산정부(110), 피해 산정부(120), 안전도 예측부(130), 상태 측정부(140), 입력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확률 산정부(110)는,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정보는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 및 히스토리 등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률 산정부(110)는 해석적 손상확률, 검사기준 손상확률 및 검사유효성 기준 손상확률 중 적어도 둘을 산정하고, 아래 수학식1에 의해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POD는 손상확률, g는 해석적 손상확률, i는 검사기준 손상확률, e는 유효성 기준 손상확률이고, 산정되지 않은 값은 기 설정된 값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손상확률 산정과정은 도2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Figure pat00001
피해 산정부(120)는,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해 산정부(120)는 손상형태, 정비기간, 설비종류, 운전조건 및 정비형태중 적어도 둘을 평가하고, 아래 수학식2에 의해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COD는 손상피해이고, CD1은 손상형태, CD2는 정비기잔, CD3은 설비종류, CD4는 설비종류, CD5는 정비형태이고, 평가되지 않은 값은 기 설정된 값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손상피해 산정과정은 도3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Figure pat00002
안전도 예측부(130)는, 확률 산정부(110)에서 산정된 손상확률 및 피해 산정부(120)에서 산정된 손상피해를 기초로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도 예측부(130)는 산정된 손상확률의 등급 및 산정된 손상피해의 등급을 각각 결정하고, 손상확률의 등급 및 손상피해의 등급을 합산하여 안전도를 예측할 수 있다. 등급 결정 및 안전도 예측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상태 측정부(140)는,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측정부(140)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전에 상태를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한 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확률 산정부(1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태를 기초로 손상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회전 블레이드의 히스토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피해 산정부(120)는 상기 입력부(150)에서 입력받은 히스토리를 유형별로 나눠서 손상피해를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히스토리의 유형은 입력되는 정보의 특성 및 값에 따라 나눠질 수 있다.
표시부(160)는, 안전도 예측부(130)에서 예측된 안전도의 등급을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60)의 표시를 확인하여 운전중인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비를 수행할 수 있고, 계획된 정비기간에 손상확률이 높게 나타난 블레이드를 집중검사하여 손상을 사전에 발견하고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중에 상시적으로 블레이드의 안전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이상발생시 사전정비를 수행함으로써, 블레이드 파손에 의한 대형사고를 예방하여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에 포함된 확률 산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확률 산정부(110)는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조건, 도면 및 재료물성을 이용하여 정응력 해석 및 동응력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확률 산정부(110)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초기균열을 이용하여 응력부식 균열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조건, 도면 및 재료물성 및 초기균열은 상태 측정부(140)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입력부(150)를 통한 입력정보일 수도 있고 기 입력된 운전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률 산정부(110)는 정응력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회전 블레이드의 저주기피로 손상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확률 산정부(110)는 동응력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회전 블레이드의 고주기피로 손상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확률 산정부(110)는 응력부식 균열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회전 블레이드의 응력부식 손상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률 산정부(110)는 저주기피로, 고주기피로 및 응력부식 등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서 발생하는 주요 손상별로 사전에 구축된 손상확률 데이터베이스 및 설비별 응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해석적 손상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즉, 확률 산정부(110)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응력을 해석하여 해석적 손상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석적 손상확률은 회전 블레이드의 장기간 사용에 의한 상태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여 오차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해석적 손상확률의 보정을 위하여, 확률 산정부(110)는 검사기준 손상확률 및 유효성 기준 손상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검사기준 손상확률은 검사시 발견된 이상상태에 대한 지수의 형태일 수 있다. 유효성 기준 손상확률은 검사방법 및 검사범위에 대한 지수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상태에 대한 지수는 아래 표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손상기구 검사결과 지수
저주기 피로 없음 0.1
발생 (정비) 0.5
발생 (방치) 1
부식 없음 0.1
존재 0.5
직경 1mm 이상 부식발생 1
침식 없음 0.1
존재 0.5
직경 1mm 이상 침식발생 1
도 3은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에 포함된 피해 산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피해 산정부(120)는 회전 블레이드의 검사결과를 이용하여 손상형태(CD1)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피해 산정부(120)는 회전 블레이드의 설계자료를 이용하여 설비종류(CD3) 및 운전조건(CD4)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피해 산정부(120)는 정비 보고서를 이용하여 정비기간(CD2) 및 정비형태(CD5)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블레이드의 검사결과, 설계자료 및 정비 보고서는 입력부(150)를 통한 입력정보일 수도 있고 기 입력된 운전정보일 수도 있다.
즉,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 발생시 쉽게 정비가능한 작은 손상과 부품제작등을 위해 장기간이 필요한 큰 손상은 피해 규모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해 산정부(120)는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에 따른 피해 규모의 차이를 반영하여 피해를 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도 예측부(130)는 상기 피해 규모의 차이를 반영하여 안전도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시 피해 규모 차이가 반영된 손상피해 평가기준은 아래 표2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구분 종류 발생상태 지수
CD1 손상형태 효율저하 1
강제감발 2
고장정지 5
CD2 정비기간 1일 이하 1
1주 이하 2
1달 이하 3
1달 이상 4
CD3 설비종류 보일러/BOP 1
터빈/발전기 2
CD4 운전조건 일반 1
고압 2
고온 3
고온고압 4
CD5 정비형태 보수 1
부품교체 2
설비교체 3
도 4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에 포함된 안전도 예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안전도 예측부(130)는 확률 산정부(110)에서 산정된 손상확률을 세로축에 배치하고 피해 산정부(120)에서 산정된 손상피해를 가로축에 배치하여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산정된 손상확률 및 손상피해는 확률 또는 지수에 따라 각각 5개의 등급으로 나눠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60)는 손상확률 등급 및 손상피해 등급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손상확률 등급 및 손상피해 등급을 합산하여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60)는 손상확률 등급과 손상피해 등급의 합산값이 4이하이면 녹색으로 등급을 표시할 수 있고, 손상확률 등급과 손상피해 등급의 합산값이 5에서 6사이이면 황색으로 등급을 표시할 수 있고, 손상확률 등급과 손상피해 등급의 합산값이 7이상이면 적색으로 등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60)는 블레이드의 안전도가 위험한 수준이면 적색을 표시하고, 블레이드의 안전도가 보통 수준이면 황색을 표시하고, 블레이드의 안전도가 안전한 수준이면 녹색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60)의 표시를 확인하고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설비관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은, 확률 산정단계(S10), 피해 산정단계(S20) 및 안전도 예측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확률 산정단계(S10)에서의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는,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피해 산정단계(S20)에서의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히스토리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할 수 있다.
안전도 예측단계(S30)에서의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는, 상기 확률 산정단계(S10)에서 산정된 손상확률 및 상기 피해 산정단계(S20)에서 산정된 손상피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예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은, 상태 검사단계(S40), 입력단계(S50) 및 표시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태 검사단계(S40)에서의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는,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입력단계(S50)에서의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히스토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표시단계(S60)에서의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는, 안전도 예측단계(S30)에서 예측된 안전도의 등급을 판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110: 확률 산정부
120: 피해 산정부 130: 안전도 예측부
140: 상태 측정부 150: 입력부
160: 표시부
S10: 확률 산정단계 S20: 피해 산정단계
S30: 안전도 예측단계 S40: 상태 검사단계
S50: 입력단계 S60: 표시단계

Claims (11)

  1.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하는 확률 산정부;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하는 피해 산정부; 및
    상기 확률 산정부에서 산정된 손상확률 및 상기 피해 산정부에서 산정된 손상피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예측하는 안전도 예측부; 를 포함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를 측정하는 상태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률 산정부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응력을 해석하여 손상확률을 산정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히스토리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해 산정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히스토리를 유형별로 나눠서 손상피해를 산정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예측부에서 예측된 안전도의 등급을 결정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도 예측부는 산정된 손상확률의 등급 및 산정된 손상피해의 등급을 각각 결정하고, 손상확률의 등급 및 손상피해의 등급을 합산하여 안전도를 예측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5.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하는 확률 산정부; 및
    상기 확률 산정부에서 산정된 손상확률을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예측하는 안전도 예측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확률 산정부는 해석적 손상확률, 검사기준 손상확률 및 검사유효성 기준 손상확률 중 적어도 둘을 산정하고, 하기의 수학식:
    Figure pat00003

    에 의해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하며,
    여기서, POD는 손상확률, g는 해석적 손상확률, i는 검사기준 손상확률, e는 유효성 기준 손상확률이고, 산정되지 않은 값은 기 설정된 값이 적용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6. 회전 블레이드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하는 피해 산정부; 및
    상기 피해 산정부에서 산정된 손상피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예측하는 안전도 예측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피해 산정부는 손상형태, 정비기간, 설비종류, 운전조건 및 정비형태중 적어도 둘을 평가하고, 하기의 수학식:
    Figure pat00004

    에 의해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하며,
    여기서, COD는 손상피해이고, CD1은 손상형태, CD2는 정비기잔, CD3은 설비종류, CD4는 설비종류, CD5는 정비형태이고, 평가되지 않은 값은 기 설정된 값이 적용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7.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하는 확률 산정단계;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히스토리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하는 피해 산정단계; 및
    상기 확률 산정단계에서 산정된 손상확률 및 상기 피해 산정단계에서 산정된 손상피해를 기초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안전도를 예측하는 안전도 예측단계; 를 포함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률 산정단계는 해석적 손상확률, 검사기준 손상확률 및 검사유효성 기준 손상확률 중 적어도 둘을 산정하고, 하기의 수학식:
    Figure pat00005

    에 의해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확률을 산정하며,
    여기서, POD는 손상확률, g는 해석적 손상확률, i는 검사기준 손상확률, e는 유효성 기준 손상확률이고, 산정되지 않은 값은 기 설정된 값이 적용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 산정단계는 손상형태, 정비기간, 설비종류, 운전조건 및 정비형태중 적어도 둘을 평가하고, 하기의 수학식:
    Figure pat00006

    에 의해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손상피해를 산정하며,
    여기서, COD는 손상피해이고, CD1은 손상형태, CD2는 정비기잔, CD3은 설비종류, CD4는 설비종류, CD5는 정비형태이고, 평가되지 않은 값은 기 설정된 값이 적용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상태를 검사하는 상태 검사단계;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히스토리를 입력받는 입력단계; 를 더 포함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안전도의 등급을 판단하여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도 예측단계는 산정된 손상확률의 지수 및 산정된 손상피해의 지수를 각각 산정하여 손상확률의 지수와 손상피해의 지수를 합산하여 안전도를 에측하는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방법.
KR1020140131988A 2014-09-30 2014-09-30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160039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988A KR20160039076A (ko) 2014-09-30 2014-09-30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988A KR20160039076A (ko) 2014-09-30 2014-09-30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076A true KR20160039076A (ko) 2016-04-08

Family

ID=5590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988A KR20160039076A (ko) 2014-09-30 2014-09-30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90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24139B (zh) 一种基于设备工况变化的实时设备性能监测方法
EP1626272B1 (en) Non-destructive monitoring of material integrity
US8109150B2 (en) Crack-propagation prediction method and program
KR20160143140A (ko) 전력설비 건전성 평가시스템
CN109944809B (zh) 一种诊断浆液循环泵故障的方法
KR20190115953A (ko) 편차의 변화율을 이용한 발전 설비의 위험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9506A (ko) 발전설비의 위험도 기반 정비 시스템
JP2012058937A (ja) 原子力プラントの機器診断方法および機器診断装置
KR101857393B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JP2012018623A (ja) 異常データ分析システム
JP2009180722A (ja) 対象設備の最適保全時期決定の支援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対象設備の最適保全時期決定のための支援装置
KR101140698B1 (ko) 잠재적 발전정지유발기기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1683B1 (ko) 결함 예측 방법
CN116617616A (zh) 一种消防管道监测方法、系统、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160039076A (ko) 회전 블레이드 안전도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554459B1 (ko) 대기중 기기의 가용도 향상 방법
RU2518407C1 (ru)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изделия во время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JP4528533B2 (ja) 原子力発電プラント機器検査方法および原子力発電プラント機器検査システム
KR20110029395A (ko) 증기 터빈의 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9360A (ko) 저압터빈의 경년열화평가방법
RU2580569C2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2262091B1 (ko) 구조물의 실시간 결함 진단 및 예방 방법
JPH09113673A (ja) プラントの異常監視方法及び異常監視装置
JP2005214631A (ja) 状態監視保全装置及び状態監視保全方法
KR101140337B1 (ko) 잔여수명 평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