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744A -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장착한 차량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장착한 차량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744A
KR20160038744A KR1020150131124A KR20150131124A KR20160038744A KR 20160038744 A KR20160038744 A KR 20160038744A KR 1020150131124 A KR1020150131124 A KR 1020150131124A KR 20150131124 A KR20150131124 A KR 20150131124A KR 20160038744 A KR20160038744 A KR 2016003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bearing device
suspension bearing
pad
low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레피네
크리스토퍼 호위데이어
프랑소아 드 렘프
쟝 마르크 소우디
찰스 베뒤
데지르 비돗
실베인 부싯
Original Assignee
아크티에볼라게트 에스케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티에볼라게트 에스케이에프 filed Critical 아크티에볼라게트 에스케이에프
Publication of KR2016003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60G15/063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pring on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8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primarily for axial load, e.g. for vertically-arrang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61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specifically for bearings with purely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8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outside the gap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aces, e.g. sealing rings mounted to an end face or outer surface of a r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B60G2202/312The spring being a 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Gasket Seal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 축(X1)에 중심을 가진 베어링(20), 하부 컵(30) 및 상부 컵(4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컵(30)은 관형 축 방향 부분(51) 및 외측을 향하는 원형의 반경 방향 부분(52)을 포함한 몸체(50)를 가지며, 상기 하부 컵(30)은 상기 상부 컵(40)과 밀봉상태로 접촉하며 배열된 적어도 한 개의 밀봉부(80,90,280,290)를 가지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10)로서, 상기 하부 컵(30)은 상기 몸체(50)의 반경 방향 부분(52)을 통해 상기 밀봉부(80,90,280,290)와 연결된 내측 부분(71) 및, 서스펜션 스프링(3)을 지지하기 위한 볼록한 형상의 외측 부분(72)에 의해 경계를 형성하며 캠버 형상을 가진 댐퍼 패드(70,170,27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장착한 차량 및 상기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장착한 차량 및 제조방법{SUSPENSION BEARING DEVICE,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SUSPENSION BEARING DEVICE AND ME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서스펜션 베어링 특히, 맥퍼슨(Macpherson) 타입("맥퍼슨 서스펜션 베어링" 또는 MSBU)의 서스펜션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장착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는 특히 차량을 위한 서스펜션 시스템의 분야이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서스펜션 시스템은 액슬 및 차량 휠을 지지하는 스트럿을 포함한다.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상측 부재 및 서스펜션 스프링 사이에서 지면과 휠에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스트럿의 상측 부분에 배열된다. 상기 스프링은 댐퍼 피스톤 로드(piston rod)주위에 배열되고, 상기 댐퍼 피스톤 막대의 단부는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문헌 제 WO-A_2011/012484호에 공개된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의 예는, 구름 베어링, 하부 컵(cup) 및 상부 컵을 포함한다. 상기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는 차체 및 서스펜션 스프링사이에서 하중을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구름 베어링의 레이스(races)들사이에서 상대 각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 컵은, 충분히 높은 강성(rigidity)을 가지며 축 방향과 반경 방향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금속 강화 인서트(metal stiffening insert)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컵은 또한 가요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부재는 축 방향 스터드(stud)들에 의해 원형 링과 연결된 두 개의 밀봉부(seals) 및 원형 링을 포함한다.
상기 밀봉부들은 오염입자들 또는 물이 스며드는 것으로부터 상기 베어링을 보호하도록 설계되는 반면에, 상기 원형 링은 서스펜션 링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과 진동을 부분적으로 흡수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불편한 소음이 상당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 링은 원형링의 두께가 작기 때문에 원형링의 축 방향 감쇄 효과는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게다가, 서스펜션 스프링은 상기 하부 컵의 강성 몸체(rigid body)와 반경 방향으로 충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제조업체는 통상 추가의 감쇄 부품, 즉 고무 절연체를 상기 베어링 장치와 서스펜션 스프링사이에 배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 축에 중심을 가진 베어링, 하부 컵 및 상부 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컵은 관형 축 방향 부분 및 외측을 향하는 원형의 반경 방향 부분을 포함한 몸체를 가지며, 상기 하부 컵은 상기 상부 컵과 밀봉상태로 접촉하며 배열된 적어도 한 개의 밀봉부를 가지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기 하부 컵은 상기 몸체의 반경 방향 부분을 통해 상기 밀봉부와 연결된 내측 부분 및, 서스펜션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볼록한 형상의 외측 부분에 의해 경계를 형성하며 캠버 형상을 가진 댐퍼 패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의 거동(behavior)은 중요한 진동 하에서 개선된다. 댐퍼 패드는 서스펜션 링에 의해 생성된 진동을 얇은 평면 링보다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상기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의 전체 성능은 더 우수한 하중 분배(load repartition)와 함께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댐핑 구성요소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자동차 제작업체의 조립 비용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적인 양태들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는 다음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밀봉부는 상기 댐퍼 패드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밀봉부 및 상기 댐퍼 패드는 상기 하부 컵의 몸체에 오버몰딩된다.
상기 밀봉부는 상기 댐퍼 패드와 구별되고 외측을 향하는 원형의 반경 방향 부분내에서 상기 댐퍼 패드와 접촉하며 배열된다.
상기 밀봉부 및 상기 댐퍼 패드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하부 컵은 상기 댐퍼 패드의 내측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패드와 밀봉 접촉상태로 배열된 두 개의 밀봉부를 가진다.
상기 댐퍼 패드의 내측 부분은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댐퍼 패드는, 상기 외측 부분이 상기 서스펜션 스프링에 의해 구속될 때 상기 댐퍼 패드의 재료 크리프를 수용하기 위해 원형 요홈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 요홈은 상기 몸체의 외측을 향하는 원형의 반경 방향 부분보다는 상기 관형 축 방향 부분과 더 근접하게 배열된다.
상기 댐퍼 패드는, 상기 몸체의 관형 축 방향 부분과 서스펜션 스프링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형 축 방향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관형 축 방향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댐퍼 패드는 중심 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5밀리미터보다 더 두껍고 예로서 8밀리미터에 해당하는 최대 두께를 가진다.
상기 댐퍼 패드는 중심 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중심 축과 수직으로 형성된 관형 축 방향 부분의 최대 두께보다 더 두꺼운 최대 두께를 가진다.
상기 댐퍼 패드의 외측 부분은 서로 다른 두 개의 경사부를 포함된다.
상기 하부 컵은 보강 인서트(stiffening insert)가 없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장착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이 적어도,
a) 밀봉부 및 댐퍼 패드를 밀봉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베어링 및 상부 컵을 가지고 하부 컵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적인 양태들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의 제작 방법은 다음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 상기 밀봉부 및 댐퍼 패드는 하부 컵의 몸체에 오버몰딩된다(overmolded).
- 상기 밀봉부 및 댐퍼 패드는 하부 컵의 몸체에 가황처리된다(vulcanized).
- 상기 밀봉부 및 댐퍼 패드는 하부 컵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밀봉부와 함께 바이-사출성형(bi-injection molding)에 의해 하부 컵의 몸체에 몰딩된다.
- 밀봉부와 댐퍼 패드는 동일한 재료로 제작된다.
- 밀봉부와 댐퍼 패드는 2개의 상이한 재료로 제작된다.
이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예시적인 예로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첨부도면에서:
- 도 1은 베어링, 하부 컵 및 상부 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의 단면도;
- 도 2는 도 1의 일부분(II)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오직 하부 컵만을 보여주며;
- 도 3 및 도 4는 도 2와 유사한 도면들로서,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위한 하부 컵의 제2 및 제3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과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10) 및 그 구성요소들을 보여준다. 상기 장치(10)에는 차량용 서스펜션 시스템의 스트럿(1)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스트럿은 도 1에 부분적으로만 도시된다.
스트럿(1)은 차량의 휠(wheel)과 액슬(axle)을 지지하는데, 이들 휠과 액슬은 간결성을 위해 첨부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스트럿(1)은 차량의 휠이 평평한 지면 위에 정지되어(rest) 있을 때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 중앙 축(X1)을 따라 연장된다. 스트럿(1)은 댐퍼 로드(damper rod)(2), 서스펜션 스프링(3) 및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10)를 포함한다. 로드(2)와 스프링(3)은 도 1에 부분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또한, 스트럿(1)은 피스톤 몸체(piston body) 및 범퍼(bumper)도 포함하는데, 이들도 간결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댐퍼 로드(2)와 피스톤 몸체는 스트럿(1)에 속한 댐퍼 피스톤(damper piston)을 구성한다.
상기 장치(10)는 축(X1) 주위로의 회전체(revolution)의 전체적인 형태를 가진다. 장치(10)는 롤링 베어링(20), 하부 컵(30) 및 상부 컵(40)을 포함한다. 베어링(20)은 컵(30 및 40) 사이에서 경계를 형성하는(delimited) 챔버(12) 내에 위치된다. 상기 장치(10)는 컴팩트한 조립체(compact assembly)를 형성하여 취급하기에 실용적이다.
베어링(20)은 기울어진-접촉 롤링 베어링(angle-contact rolling bearing)이다. 베어링(20)은 바닥 및 외부 레이스(21), 상부 및 내부 레이스(22), 롤링 요소(23) 및 케이지(24)를 포함한다. 롤링 요소(23)는 케이지(24) 내에 위치된 볼(ball)로서, 외부 레이스(21)와 내부 레이스(22) 사이에서 기울어져 접촉된다. 대안의 예로서, 롤링 요소(23)는 롤러(roller)일 수도 있다. 레이스(21 및 22)는 스탬핑(stamping)에 의해 형성되고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의 레이스(21 및 22)는 베어링(20) 내에서 롤링 요소(23)를 위한 레이스웨이(raceway)를 형성한다. 베어링(20)은 컵(30 및 40) 사이에서 장치(10) 내의 축 방향 스톱(axial stop)을 형성한다. 따라서, 장치(10)는 스트럿(1) 내에서 축 방향 스톱을 형성한다. 베어링(20)은 한편으로는 레이스(21 및 22) 사이에서 축(X1) 주위로 상대적 피벗회전(relative pivoting) 할 수 있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 몸체에 대해 로드(2)가 기울어질 수 있게 한다(inclination).
하부 컵(30)은 서스펜션 스프링(3)을 위한 베어링 수단(bearing means)을 형성한다. 하부 컵(30)은 축(X1) 위에 중심이 위치한(centered) 가요성 부재(60) 및 몸체(50)를 포함한다. 하부 컵(30)은 보강 인서트(stiffening insert)가 없는 2-부분 조립체를 형성한다. 대안으로, 하부 컵(30)의 몸체(50)는 하나 또는 몇몇 개의 보강 인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몸체(50)는 관형의 축 방향 부분(51)과 환형의 외부방향 방사형 부분(52)을 포함한다. 상기 부분(52)은 부분(51)으로부터 축(X1)과 마주보도록 연장된다. 스프링(3)은 축 방향 부분(51)과 방사형 부분(52) 사이에 형성된 둥근 코너(53) 내에 수용된다(received). 부분(51)은 축 방향과 반경 방향으로 스프링(3)을 위한 가이드(guide)를 형성하는 반면, 부분(52)은 스프링(3)을 위한 축 방향 지지부(axial support)를 형성하며, 패드(70)가 몸체(50)와 스프링(3) 사이에 삽입된다(interposed). 몇몇 축 방향 채널(58 및 59)은 부분(52)을 통해 형성되는데, 이들은 각각 축(X1)에 대해 평행한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이들 채널(58 및 59)들은, 동일한 반경 방향 평면(radial plane)이 도 1과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X1)의 각각의 면 위에서 외부 채널(58)과 내부 채널(59)을 포함하도록, 축(X1) 주위에 분포된다(distributed). 몸체(50)는 금속성 재료 또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 가령, 예를 들어, 30% 또는 50% 유리 섬유로 강화된 폴리아미드 PA66로 제작된다.
가요성 부재(60)는 댐퍼 패드(70) 및 2개의 밀봉부(80,90)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동일한 재료와 동일한 몰딩 공정(molding operation)으로 제작된다. 가요성 부재(60)는 하부 컵(30)의 몸체(50) 위에 오버몰딩되는(overmolded)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가요성 부재(60)는 몸체(50) 위에서 가황처리될 수도 있다(vulcanized). 가요성 부재(60)는 가요성 재료,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가령, 고무,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작된다.
패드(70)는 내측 부분(71), 외측 부분(72), 원형 요홈(73), 관형 축 방향 부분(74) 및 외측을 향하는 원형의 작은 반경 방향 부분(75)을 포함한다. 부분(71)은 패드(70)의 내측의 상측부에 배열되고 몸체(50)의 외측을 향하는 원형의 반경 방향 부분(52)에 대해 배열된다. 좀 더 정확하게 설명하면, 부분(71)은 부분(52)에 단단히 고정되어 패드(70)는 몸체(50)에 고정된다. 부분(71)은 곡선의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부분(72)은 베어링 접촉 상태로 스프링(3)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부분(71)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패드(70)의 외측의 하측부에 배열된다. 부분(72)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두 개의 서로 다른 경사부(76,77)를 포함한다.
부분(72)은 부분(71)으로부터 연장되는 국소 축 방향 돌출부를 형성한다. 패드(70)는 부분(71,72)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캠버 형상(cambered shape)을 가지며 얇은 평면의 링보다 진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요홈(73)은 부분(74) 옆에서 부분(72)내에 형성된 원형의 그루브이다. 요홈(73)은 부분(72)의 외측에서 개방된다. 요홈(73)은, 부분(72)이 스프링(3)에 의해 구속될 때 패드(70)의 재료가 가지는 크리프(creep)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요홈(73)은 추가로 패드(70)의 가요성을 개선한다. 요홈(73)은 부분(52)보다 부분(51)에 더 근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크리프를 상기 부분(51)을 향해 안내한다. 부분(74)은 몸체(50)의 관형 축 방향 부분(51)을 따라 부분(72)으로부터 연장된다. 다시 말해, 부분(74)은 부분(51) 및 스프링(3)사이에 삽입된 패드(70)의 연장부이다. 따라서, 부분(74)에 의해 상기 스프링(3)은 부분(51)과 접촉하는 것이 회피된다. 부분(75)은 상기 패드(70)를 몰딩할 때 구해지는 작은 오버플로우(overflow)이다.
패드(7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X1)에 대해 평행한 방향(D1)으로 형성된 상이한 측정값(measurement)들을 가진다. 패드(70)는 부분(71)의 상측 지점(upper point)과 부분(72)의 하측 지점(lower point) 사이에서 방향(D1)을 따라 형성된 최대 돌출 두께(e1)를 가진다. 상기 두께(e1)는 5밀리미터보다 더 두껍고, 예를 들어 8밀리미터와 같다. 또한, 두께(e1)는 축(X1)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51)의 최대 두께(e51)보다 더 두껍다. 패드(70)는 부분(52)의 에지(edge)와 요홈(73)의 바닥 사이에서 방향(D1)을 따라 형성된 최소 국부 두께(e2)를 가진다. 요홈(73)은 깊이(e3)를 가지는데, 이 깊이(e3)는 두께(e1)의 20% 내지 40% 사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74)은 요홈(73)의 바닥과 에지 사이의 방향(D1)을 따라 형성된 길이(e4)를 가진다. 길이(e4)는 두께(e1)보다 더 길다.
밀봉부(80,90)는 물 또는 오염물질 입자의 침투(infiltration)에 대해 베어링(20)과 챔버(12)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밀봉부(80)는 챔버(12)의 외측면 위에 배열되며 밀봉부(90)는 챔버(12)의 내측면 위에 배열된다. 밀봉부(80)는 채널(58)을 통해 패드(70)의 부분(71)에 연결된 몇몇 스터브(82)를 포함하며, 밀봉부(90)는 채널(59)을 통해 패드(70)의 부분(71)에 연결된 몇몇 스터브(92)를 포함한다. 스터브(82,92)는 채널(58 및 59)과 같이 축(X1) 주위에 분포된다. 밀봉부(80)는 2개의 밀봉 립(84 및 86)을 포함하는 반면, 밀봉부(90)는 상부 컵(40)의 내측 밀봉 표면과 접촉하며 배열된 하나의 밀봉 립(94)을 포함한다.
스프링(3)은 축(X1)과 로드(2) 주위에 감겨져 있다(wound). 스프링(3)은 상측면 위에 배열된 장치(10)와 바닥면 위에 배열된 댐퍼 피스톤의 몸체 사이에서 정지하도록 위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스프링(3)은 패드(70)의 부분(72 및 74)과 베어링 접촉(bearing contact)하고 있는 하부 컵(30)의 둥근 코너(53) 내에 위치된다. 스프링(3)은 자동차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에 따라 탄성 변형가능하다. 서스펜션 시스템이 작동 중에 있을 때, 스프링(3)은 패드(70)에 대해 상부를 향하는 축 방향 힘을 가하는데,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이 힘들을 하부 컵(30)에 전달하며, 그 뒤 이 힘들은 장치(10) 내로 전달된다.
본 발명으로 인해, 댐퍼 패드(70)와 스프링(3) 사이의 접촉 영역(contact area)은 공지된 종래 기술의 장치들에 비해 증가된다. 부분(72 및 74)들은 각각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스프링(3)을 지탱하도록(bearing) 구성된다. 본 장치(10)와 스프링(3) 사이의 진동 흡수, 소음 감소 및 하중 분배(load repartition)가 향상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10)를 위한 하부 컵(30)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며 동일하게 작동한다. 아래 설명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른 차이점들만 설명한다.
도 3은 관형의 축 방향 부분(74)이 없는 패드(170)를 가진 가요성 부재(160)를 도시한다. 패드(170)는 부분(72)의 일부분인 작은 내측 비드(inner bead)(174)를 가진다. 패드(170)는 스프링을 반경 방향이 아닌 축 방향으로 지탱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패드(170)는 패드(70)보다 더 단순하고 비용이 더 저렴하다.
도 4는 밀봉부(280,290)로부터 분리된 패드(270)를 도시한다. 패드(270)는 제1 재료,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유체(automotive fluid)와 압축 응력(compression stress)에 대해 우수한 저항을 가진 제1 엘라스토머로 제작된다. 밀봉부(280 및 290)는 제2 재료,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마찰계수를 가진 제2 엘라스토머로 제작된다. 대안으로, 밀봉부(280,290)는 제2 및 제3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260)는 스프링(3)에 의해 생성된 진동을 흡수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으며 밀봉부(280 및 290)는 물 또는 오염물질 입자의 침투에 대해 베어링(20)을 보호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요소(260, 280 및 290)는 각각의 기능(function) 즉 댐핑(damping) 또는 밀봉(sealing)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가요성 부재(260)는 채널(58 및 59)을 통해 부분(71)을 향해 연장되는 스터브(278 및 279)와 패드(270)를 포함한다. 패드(270)와 밀봉부(280 및 290)는 각각의 스터브(278)가 밀봉부(280)의 스터브(282)와 접촉하고 각각의 스터브(279)가 바디(50)의 부분(52) 내측에 있는 밀봉부(290)의 스터브(292)와 접촉하도록 바이-사출성형(bi-injection molding)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패드(270)와 밀봉부(280 및 290)는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2개 이상의 상이한 재료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 밖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요소(20, 30 또는 40)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장치(10)는 컵(30 및 40) 사이에 위치된 몇몇 베어링(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부분(71)은 볼록한 형상 대신에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이 어떻든 간에, 하부 컵(30)은 내측 부분(71)에 의해 경계를 형성하는 캠버 형상의 댐퍼 패드를 가지고, 상기 내측 부분은 몸체(50)의 반경 방향 부분(52)을 통해 밀봉부와 연결된다.
그 외에도, 상이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10)는 특정 적용 분야에 꼭 맞을 수 있다.
20......베어링,
30......하부 컵,
40......상부 컵,
51......관형 축 방향 부분,
52......반경 방향 부분,
70,170,270.....댐퍼 패드,
80,90,280,290.....밀봉부.

Claims (15)

  1. 중심 축(X1)에 중심을 가진 베어링(20), 하부 컵(30) 및 상부 컵(4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컵(30)은 관형 축 방향 부분(51) 및 외측을 향하는 원형의 반경 방향 부분(52)을 포함한 몸체(50)를 가지며, 상기 하부 컵(30)은 상기 상부 컵(40)과 밀봉상태로 접촉하며 배열된 적어도 한 개의 밀봉부(80,90,280,290)를 가지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컵(30)은
    상기 몸체(50)의 반경 방향 부분(52)을 통해 상기 밀봉부(80,90,280,290)와 연결된 내측 부분(71) 및,
    서스펜션 스프링(3)을 지지하기 위한 볼록한 형상의 외측 부분(72)에 의해 경계를 형성하며 캠버 형상을 가진 댐퍼 패드(70,170,27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80,90)는 상기 댐퍼 패드(70,17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80,90) 및 상기 댐퍼 패드(70,170)는 상기 하부 컵(30)의 몸체(50)에 오버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280,290)는 상기 댐퍼 패드(270)와 구별되고 외측을 향하는 원형의 반경 방향 부분(52)내에서 상기 댐퍼 패드(270)와 접촉하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280,290) 및 상기 댐퍼 패드(270)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컵(30)은 상기 댐퍼 패드(70,170,270)의 내측 부분(71)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패드(40)와 밀봉 접촉상태로 배열된 두 개의 밀봉부(80,90,280,290,39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패드(70,170,270)의 내측 부분(71)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패드(70,170,270)는, 상기 외측 부분(72)이 상기 서스펜션 스프링(3)에 의해 구속될 때 상기 댐퍼 패드(70,170,270)의 재료 크리프를 수용하기 위해 원형 요홈(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패드(70,270)는, 상기 몸체(50)의 관형 축 방향 부분(51)과 서스펜션 스프링(3)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형 축 방향 부분(51)을 따라 연장되는 관형 축 방향 부분(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패드(70,170,270)는 중심 축(X1)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5밀리미터보다 더 두껍고 예로서 8밀리미터에 해당하는 최대 두께(e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패드(70,170,270)는 중심 축(X1)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중심 축(X1)과 수직으로 형성된 관형 축 방향 부분(51)의 최대 두께(e51)보다 더 두꺼운 최대 두께(e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패드(70,170,270)의 외측 부분(72)은 서로 다른 두 개의 경사부(76,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컵(30)은 보강 인서트(stiffening insert)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장착한 차량.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적어도,
    a) 밀봉부(80,90,280,290) 및 댐퍼 패드(70,170,270)를 밀봉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10)를 제조하기 위해 베어링(20) 및 상부 컵(40)을 가지고 하부 컵(30)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50131124A 2014-09-30 2015-09-16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장착한 차량 및 제조방법 KR201600387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306532.4 2014-09-30
EP14306532.4A EP3002136A1 (en) 2014-09-30 2014-09-30 Suspension bearing device,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uspension bea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744A true KR20160038744A (ko) 2016-04-07

Family

ID=5166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24A KR20160038744A (ko) 2014-09-30 2015-09-16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장착한 차량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89947A1 (ko)
EP (1) EP3002136A1 (ko)
JP (1) JP2016070502A (ko)
KR (1) KR20160038744A (ko)
CN (1) CN1054597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1471B3 (de) * 2012-11-27 2014-05-28 Thyssen Krupp Bilstein Gmbh Kopflageranordnung zur Anbindung eines Federbeins an einen Fahrzeugaufbau
DE102016204015A1 (de) * 2016-03-11 2017-09-14 Aktiebolaget Skf Aufhängungsaxiallagervorrichtung
US20180111436A1 (en) * 2016-10-26 2018-04-26 Vibracoustic North America L.P. Proportional radial loading spring isolator
US10065472B2 (en) * 2017-01-10 2018-09-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ual bearing strut assemblies and vehicle suspension systems with dual bearing strut assemblies
JP6873363B2 (ja) * 2017-06-08 2021-05-19 日立Astemo株式会社 ロアスプリングシート
DE102017210728A1 (de) 2017-06-26 2018-12-27 Aktiebolaget Skf Aufhängungsaxiallagervorrichtung
DE102018217666A1 (de) * 2018-10-16 2020-04-16 Aktiebolaget Skf Aufhängungsaxiallagervorrichtung
DE102019208307A1 (de) * 2019-06-06 2020-12-10 Aktiebolaget Skf Aufhängungsaxiallagervorrichtung und ein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ausgerüstetes Federbein
KR20220036656A (ko) * 2020-09-16 2022-03-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356630B (zh) * 2020-11-19 2022-05-10 广州橙行智动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弹簧垫上支座和车辆弹簧减震总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63Y2 (ko) * 1985-06-11 1993-06-10
GB2176571B (en) * 1985-04-24 1988-07-13 Honda Motor Co Ltd Shock absorber mount assembly for motor vehicle suspension
FR2915929B1 (fr) * 2007-05-09 2009-07-31 Snr Roulements Sa Butee de suspension a element filtr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928187B1 (fr) * 2008-02-28 2010-04-02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FR2934656B1 (fr) * 2008-08-01 2013-05-17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FR2948066B1 (fr) * 2009-07-17 2012-01-20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FR2948739B1 (fr) 2009-07-29 2016-02-19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FR2989634B1 (fr) * 2012-04-23 2015-01-30 Skf Ab Dispositif de butee de suspension et jambe de force equipee d'un tel dispositif
DE102012212520B3 (de) * 2012-07-18 2013-1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ederbeinla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70502A (ja) 2016-05-09
CN105459750A (zh) 2016-04-06
EP3002136A1 (en) 2016-04-06
US20160089947A1 (en)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541B1 (ko)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및 이러한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 및 그 제작 방법
KR20160038744A (ko)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 서스펜션 베어링 장치를 장착한 차량 및 제조방법
US9964145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US10428869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US8474846B2 (en) Thrust bearing and suspension for vehicle
US11167613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uspension strut equiped with such a device
KR20110079624A (ko) 범프 스톱 및 맥퍼슨 스트럿
KR102621573B1 (ko) 서스펜션 스러스트 베어링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서스펜션 스트럿
US10753389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KR20160026700A (ko) 스트럿 베어링 유닛, 스트럿 베어링 유닛을 장착한 엔진 차량 및 제조방법
CN111457013B (zh) 悬架推力轴承装置和配备有这种装置的悬架支柱
US20210010538A1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uspension strut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11396908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uspension strut equiped with such a device
US20200238779A1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uspension strut equiped with such a device
US11370260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uspension strut equipped with such a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