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331A - 동축 케이블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331A
KR20160038331A KR1020140130994A KR20140130994A KR20160038331A KR 20160038331 A KR20160038331 A KR 20160038331A KR 1020140130994 A KR1020140130994 A KR 1020140130994A KR 20140130994 A KR20140130994 A KR 20140130994A KR 20160038331 A KR20160038331 A KR 2016003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imeters
insulator
outer conductor
conductor
coaxi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식
백종섭
신승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8331A/ko
Priority to US14/847,066 priority patent/US20160093419A1/en
Publication of KR2016003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 H01B3/445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from vinylfluorides or other fluoro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 H01B11/1856Discontinuous ins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구되는 난연등급 및 전기적 특성을 만족하면서도 종래보다 제조 비용이 저렴한 동축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요구되는 난연등급 및 전기적 특성을 만족하면서도 종래보다 제조 비용이 저렴한 동축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이란 중앙의 절연된 내부도체를 관상(管狀)의 외부도체가 둘러싸며 그 외부에 형성된 자켓을 포함하는 전송 매체이다. 즉, RF 신호등을 전송하는 선로의 일종으로, 중심부에서부터 내부도체, 절연체, 외부도체 및 자켓이 차례대로 형성된 케이블을 말한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 중 난연등급 중 PLENUM 등급 동축 케이블은 DAS(Distributed Antena System) 등의 구축에 사용될 수 있으며, 건물내 수평 배선에 주로 사용된다. 반면 PLENUM급 보다는 낮은 RISER 등급의 동축 케이블은 DAS 시스템 구축시 주로 수직배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축케이블들은 통신 케이블 감쇄량 또는 임피던스 규격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종래의 PLENUM 등급의 동축 케이블은 난연특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외곽에 형성되는 자켓은 산소지수가 80% 이상의 매우 높은 수준의 재료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산소지수 95%의 난연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난연 PVDF 자재는 산소지수가 95% 수준으로 매우 높아 난연성을 쉽게 확보할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 자켓을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PVC 등으로 변경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PVC 등은 난연성을 높이기 위해 난연입자를 포함하더라도 산소지수가 40 ~ 70% 정도의 수준으로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의 산소지수보다 낮아서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절연재의 재질의 단순 대체만으로 PLENUM급 난연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을 대체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PLENUM 난연등급 및 통신 케이블 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동축 케이블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요구되는 난연등급 및 전기적 특성을 만족하면서도 종래보다 제조 비용이 저렴한 동축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복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며,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로 구성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외부도체 및, 상기 외부도체 외측을 감싸며,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구성된 자켓을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도체의 직경은 3.0 밀리미터(mm) 내지 5.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는 상기 내부도체가 중심부에 관통되어 배치되며 4방향으로 리브가 연장되는 십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체의 단면적이 10 제곱 밀리미터(mm) 내지 16 제곱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도체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도체의 두께는 0.21 밀리미터(mm) 내지 0.2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도체의 주름관 구조의 깊이는 1.0 밀리미터(mm) 내지 1.3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켓을 구성하는 난연 폴리염화비닐의 산소지수는 40 내지 7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켓의 외경은 15 밀리미터(mm) 이상 17 밀리미터(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축 케이블의 2GHz 신호의 100미터(m) 감쇄량은 13.2 dB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축 케이블은 NFPA 262 화재 시험방법에 의한 PLENUM 난연등급을 만족하고, 100미터 2GHz 신호의 감쇄량이 13.2 dB 이하이며, 특성 임피던스는 48Ω 내지 52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부에 구비되는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의 외부를 둘러싸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외부도체 및, 상기 외부도체 외측을 감싸는 자켓을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내부도체와 상기 외부도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자켓은 산소지수가 40 내지 70인 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절연체의 단면적은 전체 케이블 단면적의 4.0 % ~ 9.0 %인 동축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도체의 재질은 동복 알루미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도체의 직경은 3.0 밀리미터(mm) 내지 5.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는 내부도체를 감싸는 내부 환형부 및 상기 내부 환형부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체의 단면적이 10 제곱 밀리미터(mm) 내지 16 제곱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도체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도체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도체의 두께는 0.21 밀리미터(mm) 내지 0.2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도체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주름산과 주름골의 높이차인 주름구조의 깊이는 1.0 밀리미터(mm) 내지 1.3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측 직경은 15 밀리미터(mm) 이상 17 밀리미터(mm)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체의 리브에 의하여 상기 외부도체와 상기 절연체 사이에 4개의 분할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켓은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측 직경이 5.0 밀리미터(mm) 이하인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며, 내부도체를 감싸는 내부 환형부 및 상기 내부 환형부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로 구성되며, 10 제곱 밀리미터(mm2) 내지 16 제곱 밀리미터(mm2)의 단면적을 갖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주름산과 주름골을 구비한 주름관 구조로 형성되는 외부도체 및, 상기 외부도체 외측을 감싸며, 산소지수가 40~70인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구성된 자켓을 포함하며, 케이블의 외측 직경은 15 밀리미터(mm) 내지 17 밀리미터(mm)인 동축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도체는 동복 알루미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도체의 재질은 구리 또른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축 케이블의 NFPA 262 화재 시험에서, 최대 연소길이는 1.52m 이하, 최대 연기밀도는 0.5 이하 및 평균 연기밀도는 0.15 이하이며, 특성 임피던스는 48Ω 내지 52Ω이며, 2GHz 주파수의 100 미터 감쇄량은 13.2 dB 이하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도체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도체의 두께는 0.21 밀리미터(mm) 내지 0.2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도체의 주름관 구조는 주름산과 주름골을 형성하는 주름관 구조이며, 주름산과 주름골의높이차는 1.0 밀리미터(mm) 내지 1.3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난연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 재질의 자켓을 적용하지 않고 비용이 저렴한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구성하여도 요구되는 PLENUM 난연 등급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은 재질의 변경으로 동축 케이블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은 제품의 가격 경쟁력 및 난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감쇄량 등의 전기적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의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의 두 가지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의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의 두 가지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은 동복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도체(110), 상기 내부도체(110)를 감싸며,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로 구성되는 절연체(130), 상기 절연체(130)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외부도체(150) 및, 상기 외부도체(150) 외측을 감싸며,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구성된 자켓(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도체(110)는 직경이 3.0 밀리미터(mm) 내지 5.0 밀리미터(mm)인 동복 알루미늄(CCA)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동복 알루미늄(COPPER CLAD ALUMINUM)은 도체의 경량화 요구 및 비용 절감의 요구에 의하여 개발된 도체로서, 알루미늄의 가벼운 무게 및 가격 그리고 구리의 전도성 및 인장특성 등의 장점을 골고루 가지며, 순수 구리에 비해 직경이 크게 증가되지 않으므로, 최근 이동통신 및 CATV용 등의 고주파 동축 케이블(100)의 내부도체(110) 및 파워 케이블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동복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도체(110)는 절연체(130)에 의하여 피복된다.
상기 절연체(130)는 상기 내부도체(110)가 중심부에 관통되어 배치되며 4방향으로 리브(133)가 연장되는 십자형 구조를 가지며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30)는 상기 절연체(130)는 내부도체(110)를 감싸는 파이프 형태를 구성하는 내부 환형부(131) 및 상기 내부 환형부(131)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리브(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리브(133)는 복수 개가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도록 상기 내부 환형부(131)에서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완만하게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100)은 4개가 십자형으로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십자형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절연체(130)의 리브(133)는 내부도체(110)와 외부도체(150)를 이격시키며 절연체(130)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층은 복수 개의 리브(133)에 의하여 구획되어 복수 개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체(130)의 리브(133)에 의하여 상기 외부도체(150)와 상기 절연체(130) 사이에 4개의 분할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30) 외측에는 외부도체(150)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도체(15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50)는 주름관(corrugation)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주름관 구조에 의하여 유연성 및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50)의 두께는 0.21 밀리미터(mm) 내지 0.2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50)의 외측은 자켓(170)으로 피복될 수 있다. 상기 자켓(170)은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동축 케이블(100)의 절연체(130)의 재질로서 난연 폴리프로필렌(FRPP,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난연 폴리프로필렌(FRPP)의 유전율이 2.7 수준으로 본 발명의 절연체(130)의 재질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유전율 2.3 수준에 비하여 높다. 이는 동축 케이블(100)의 주요 특성인 감쇄량(손실)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과적으로 난연 폴리프로필렌(FRPP) 을 PLENUM급 동축 케이블(100)의 절연 자재로 적용할 수 없으므로, PLENUM급 동축 케이블(100)인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은 절연체(130)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를 적용한다.
종래의 PLENUM 등급의 동축 케이블(100)의 자켓(170) 재질은 산소지수가 95% 수준으로 매우 높은 난연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가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은 난연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 재질의 자켓(170)을 적용하지 않고, 자켓(170)을 산소지수가 40 내지 70인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구성한다.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의 원가가 난연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 재질에 비해 월등히 낮으므로, 동축 케이블(100)의 자켓(170)을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변경한다면 동축 케이블(100)의 가격 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의 산소지수가 낮아 CMP 등급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재료의 변경만으로는 부족하다.
이와 같은 난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은 난연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 자켓(170) 이외의 재질의 면적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도체(110)는 동복 알루미늄 재질이며, 상기 외부도체(150)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자켓(170) 이외에 난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은 절연체(130)일 수 있다.
상기 절연체(130)의 양과 난연성은 반비례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절연체(130)의 양을 줄이는 방법으로 자켓(170) 재질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PLENUM 난연 등급을 만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체(130)의 단면적은 10 제곱 밀리미터(mm2) 내지 16 제곱 밀리미터(mm2)가 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체(130)의 단면적은 전체 케이블 단면적의  4% ~ 9%에 해당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절연체(130)의 단면적이 9% 이상이 되면 난연 등급을 만족시키기 어렵고, 4%보다 작아지면 리브(133) 등이 너무 얇아져 외부도체(150)와 내부도체(110)를 분리 이격시키기 충분한 강성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의 자켓(170)의 외경, 즉 동축 케이블(100) 전체의 외경(D)은 15 밀리미터(mm) 이상 17 밀리미터(mm)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도체(150)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도체(150)의 주름관 구조의 깊이, 즉 주름과 구조를 구성하는 주름산과 주름골의 높이차인 주름구조의 높이(h)는 1 밀리미터(mm) 내지 1.3 밀리미터(mm)이고, 피치(P)는 약 4.8 밀리미터(mm) 내지 5.2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50)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도체(150)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도체(150)의 두께(t2)는 0.21 밀리미터(mm) 내지 0.2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의 제품과 종래의 동축 케이블(100)의 구성비교 및 성능 시험결과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종래의 동축 케이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내부도체 자재

동복 알루미늄
(Copper Clad Aluminum)

동복 알루미늄
(Copper Clad Aluminum)

내부도체 직경 (mm)

4.82

4.78

절연체 자재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절연 면적 (mm2)

18.0

12.6

외부도체 자재

구리(Cu)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외부도체 두께 (mm)

0.20

0.22

외부도체 주름관 깊이 (mm)

0.95

1.1

자켓 자재

난연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

난연 폴리염화비닐(PVC)

자켓(케이블) 외경 (mm)

14.8

16.0

자켓 두께 (mm)

0.5

1.1

임피던스 (Ω)

49.7(양호)

50.8(양호)

감쇄량
(dB/100m)

Max 13.2 dB/100m @ 2GHz


10.48(양호)


10.83(양호)



CMP급
난연 특성
(NFPA 262 기준)
최대 연소길이 (Peak Flame Spread)
1.52 미터 이하

1.52 미터 이하
최대 연기밀도
(Peak Optical Density)

0.5 이하

0.5 이하
평균 연기밀도
(Average Optical Density)

0.15 이하

0.15 이하
위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은 내부도체(110)의 직경이 종래의 동축 케이블(100)보다 축소되었다. 구체적으로, 내부도체(110)인 동복 알루미늄의 직경은 4.78 밀리미터(mm)로 설계되어, 본 발명의 설계기준인 내부도체(110) 직경의 3.0 밀리미터(mm) 내지 5.0 밀리미터(mm) 범위를 만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은 내부도체(110)를 감싸는 절연체(130)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구성되고 내부도체(110)를 감싸는 내부 환형부(131) 및 상기 내부 환형부(131)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리브(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단면적이 12.6 제곱 밀리미터(mm)로 종래 18 제곱 밀리미터(mm)보다 약 30% 축소되어 자켓(170)의 재질 변경에 따른 난연성 악화를 보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연체(130)의 단면적은 10 제곱 밀리미터(mm) 내지 16 제곱 밀리미터(mm)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도체(150)의 두께와 주름산과 주름골의 높이 차이인 깊이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도체(150)의 깊이 설계 기준인 1 밀리미터(mm) 내지 1.3 밀리미터(mm) 범위를 만족하도록 1.1 밀리미터(mm)로 설계되어 종래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도체(150)의 깊이인 0.95 밀리미터(mm)보다 크게 구성되어 종래보다 동축 케이블(100)의 강성이 보강되고 굽힙특성 역시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150)를 감싸고 있는 자켓(170)은 고가의 난연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VDF)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난연 폴리염화비닐(PVC)로 변경하고 그 두께도 종래 0.5 밀리미터(mm)에서 1.1 밀리미터(mm)로 증대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체(130)의 단면적을 축소하여 악화된 난연성을 보상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동축 케이블(100)의 구성을 변경하여도 종래의 PLENUM급 동축 케이블(100)과 마찬가지로 NFPA 262(Standard Method of Test for Flame Travel and Smoke of Wires and Cables for Use in Air-Handling Spaces) 시험에서 PLENUM급 난연 특성을 위하여 요구하는 최대 연소길이(Peak Flame Spread)가 1.52 미터(m)이하, 광투과율을 기준으로 하는 최대 연기밀도 0.5 이하 및 평균 연기밀도 0.15 이하의 요구 조건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100)의 전기적 특성인 감쇄량 시험에서도 2GHz 신호의 100미터 감쇄량이 10.83 dB으로 최대 감쇄기준인 13.2 dB 이하로 측정되어 감쇄량 조건을 만족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동축 케이블
110 : 내부도체
130 : 절연체
150 : 외부도체
170 : 자켓

Claims (28)

  1. 동복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며,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로 구성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외부도체; 및,
    상기 외부도체 외측을 감싸며,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구성된 자켓;을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체의 직경은 3.0 밀리미터(mm) 내지 5.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내부도체가 중심부에 관통되어 배치되며 4방향으로 리브가 연장되는 십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단면적이 10 제곱 밀리미터(mm) 내지 16 제곱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도체의 두께는 0.21 밀리미터(mm) 내지 0.25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의 주름관 구조의 깊이는 1.0 밀리미터(mm) 내지 1.3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을 구성하는 난연 폴리염화비닐의 산소지수는 4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의 외경은 15 밀리미터(mm) 이상 17 밀리미터(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2GHz 신호의 100미터(m) 감쇄량은 13.2 dB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은 NFPA 262 화재 시험방법에 의한 PLENUM 난연등급을 만족하고, 100미터 2GHz 신호의 감쇄량이 13.2 dB 이하이며, 특성 임피던스는 48Ω 내지 52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11. 중심부에 구비되는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의 외부를 둘러싸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외부도체 및, 상기 외부도체 외측을 감싸는 자켓을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내부도체와 상기 외부도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상기 자켓은 산소지수가 40 내지 70인 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절연체의 단면적은 전체 케이블 단면적의 4.0 % ~ 9.0 %이며,
    상기 동축 케이블의 NFPA 262 화재 시험에서, 최대 연소길이는 1.52m 이하, 최대 연기밀도는 0.5 이하 및 평균 연기밀도는 0.15 이하이며, 특성 임피던스는 48Ω 내지 52Ω이며, 2GHz 주파수의 100 미터 감쇄량은 13.2 dB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체의 재질은 동복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체의 직경은 3.0 밀리미터(mm) 내지 5.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내부도체를 감싸는 내부 환형부 및 상기 내부 환형부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단면적이 10 제곱 밀리미터(mm) 내지 16 제곱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도체의 두께는 0.21 밀리미터(mm) 내지 0.25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는 주름산과 주름골을 형성하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주름산과 주름골의 높이차인 주름구조의 깊이는 1.0 밀리미터(mm) 내지 1.3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측 직경은 15 밀리미터(mm) 이상 17 밀리미터(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리브에 의하여 상기 외부도체와 상기 절연체 사이에 4개의 분할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은 난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23. 외측 직경이 5.0 밀리미터(mm) 이하인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며, 내부도체를 감싸는 내부 환형부 및 상기 내부 환형부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로 구성되며, 10 제곱 밀리미터(mm2) 내지 16 제곱 밀리미터(mm2)의 단면적을 갖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주름산과 주름골을 구비한 주름관 구조로 형성되는 외부도체; 및,
    상기 외부도체 외측을 감싸며, 산소지수가 40~70인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구성된 자켓;을 포함하며,
    케이블의 외측 직경은 15 밀리미터(mm) 내지 17 밀리미터(mm)인 동축 케이블.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체는 동복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의 재질은 구리 또른 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NFPA 262 화재 시험에서, 최대 연소길이는 1.52m 이하, 최대 연기밀도는 0.5 이하 및 평균 연기밀도는 0.15 이하이며, 특성 임피던스는 48Ω 내지 52Ω이며, 2GHz 주파수의 100 미터 감쇄량은 13.2 dB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는 주름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외부도체의 두께는 0.21 밀리미터(mm) 내지 0.25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의 주름관 구조는 주름산과 주름골을 형성하는 주름관 구조 및 의 주름산과 주름골의 높이차는 1.0 밀리미터(mm) 내지 1.3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KR1020140130994A 2014-09-30 2014-09-30 동축 케이블 KR20160038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994A KR20160038331A (ko) 2014-09-30 2014-09-30 동축 케이블
US14/847,066 US20160093419A1 (en) 2014-09-30 2015-09-08 Coaxial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994A KR20160038331A (ko) 2014-09-30 2014-09-30 동축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331A true KR20160038331A (ko) 2016-04-07

Family

ID=5558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994A KR20160038331A (ko) 2014-09-30 2014-09-30 동축 케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93419A1 (ko)
KR (1) KR201600383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852A (ko) * 2017-11-20 2019-07-08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통신용 동복알루미늄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동복 알루미늄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5212A (zh) * 2016-07-01 2016-08-24 江苏珠影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交联聚乙烯绝缘多芯同轴电力电缆
US10283239B2 (en) * 2016-12-20 2019-05-07 American Fire Wire, Inc. Fire resistant coaxial cable and manufacturing technique
US11145434B2 (en) * 2019-05-08 2021-10-12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Low voltage power conductor and system
DE102019132583A1 (de) * 2019-12-02 2021-06-02 Auto-Kabel Management Gmbh Elektrisches Kab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ischen Kabels
US10726974B1 (en) 2019-12-13 2020-07-28 American Fire Wire, Inc. Fire resistant coaxial cable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11942233B2 (en) 2020-02-10 2024-03-26 American Fire Wire, Inc. Fire resistant corrugated coaxial cable
JP6977198B1 (ja) * 2021-10-05 2021-12-08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
US20230282394A1 (en) * 2022-03-07 2023-09-07 John Mezzalingua Associates, LLC Radio frequency (rf) plenum cable with reduced insertion los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8133A (en) * 1996-02-27 1999-04-27 Lucent Technologies Inc. Coaxial cable for plenum applications
FR2747832B1 (fr) * 1996-04-23 1998-05-22 Filotex Sa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une gaine aeree en un materiau isolant autour d'un conducteur, et cable coaxial muni d'une telle gaine
FI962715A (fi) * 1996-07-01 1998-01-02 Nk Cables Oy Koaksiaalinen suurtaajuuskaapeli sekä sen eriste
US6288328B1 (en) * 1999-03-19 2001-09-11 Avaya Technology Corp. Coaxial cable having effective insulated conductor rotation
US6693241B2 (en) * 2002-04-24 2004-02-17 Andrew Corporation Low-cost, high performance, moisture-blocking, coaxial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040151446A1 (en) * 2002-07-10 2004-08-05 Wyatt Frank B. Coaxial cable having wide continuous usable bandwidth
WO2004013870A1 (ja) * 2002-08-06 2004-02-12 Ube-Nitto Kasei Co., Ltd. 細径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83878A1 (en) * 2004-02-23 2005-08-25 Herbort Tom A. Plenum cable
KR100816587B1 (ko) * 2006-08-17 2008-03-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발포 동축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8433B1 (ko) * 2007-10-15 2010-03-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발포 동축케이블
US20090233052A1 (en) * 2008-03-17 2009-09-1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ductors Having Polymer Insulation On Irregular Surface
JP5421565B2 (ja) * 2008-09-24 2014-02-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
KR101140233B1 (ko) * 2009-02-24 2012-04-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동축케이블
JP2015002100A (ja) * 2013-06-17 2015-01-05 日立金属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
JP5811145B2 (ja) * 2013-06-17 2015-11-11 日立金属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852A (ko) * 2017-11-20 2019-07-08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통신용 동복알루미늄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동복 알루미늄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93419A1 (en)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8331A (ko) 동축 케이블
EP1683165B1 (en) Data cable with cross-twist cabled core profile
EP1335390B1 (en) Communication cables with oppositely twinned and bunched insulated conductors
US7202418B2 (en) Flame retardant and smoke suppressant composite high performance support-separators and conduit tubes
US7196272B2 (en) High performance support-separators for communications cables
US7465879B2 (en) Concentric-eccentric high performance, multi-media communications cables and cable support-separators utilizing roll-up designs
US7473849B2 (en) Variable diameter conduit tubes for high performance, multi-media communication cable
US20060169479A1 (en) Jacket construction having increased flame resistance
JP2002512420A (ja) 高性能データケーブル
CA2677681A1 (en) Data cable with cross-twist cabled core profile
WO2018133423A1 (zh) 绝缘芯线、cmp级高阻燃数据电缆及两者的制作工艺
US7544894B2 (en) Cable structure
CN104681195A (zh) 一种隔热阻燃耐腐蚀电力电缆
KR20180123761A (ko) 전력 케이블
KR20190104121A (ko) 다수의 도체그룹을 갖는 전력케이블
CN211455364U (zh) 一种硅橡胶绝缘仪表电缆
CN111640533A (zh) 一种轧纹护套铜芯矿物绝缘电缆
CN220796310U (zh) 电缆
US759981A (en) Electric cable.
JP6469029B2 (ja) ケーブル型アンテナ
KR20230125890A (ko) 가동용 이더넷 케이블
CN202443774U (zh) 一种轻型仪表控制软电缆
JP2010129511A (ja) 開放同軸ケーブル及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