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115A -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115A
KR20160038115A KR1020140129934A KR20140129934A KR20160038115A KR 20160038115 A KR20160038115 A KR 20160038115A KR 1020140129934 A KR1020140129934 A KR 1020140129934A KR 20140129934 A KR20140129934 A KR 20140129934A KR 20160038115 A KR20160038115 A KR 20160038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rol signal
opening
feeding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235B1 (ko
Inventor
김영현
고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알테크널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알테크널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알테크널러지
Priority to KR1020140129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2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른 기 구비된 개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소정의 먹이통의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SMART FEEDING SYSTEM FOR MEASUR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METHOD THEREOF, FEEDING APPARATUS COMPRISED IN THE SYSTEM,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APPLICATION SAVED IN TH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BEING COMBINED WITH HARDWARE}
본 발명은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항 등의 물고기에 먹이를 주기 위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항에서 물고기를 키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물고기는 먹이를 주어야만 생활할 수 있으므로, 외출시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먹이를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물고기 먹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먹이 공급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먹이 공급 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서, 실제 사용자가 먹이를 준다는 느낌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물고기의 상태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먹이를 줄 필요도 있는데, 종래의 먹이 공급 장치는 이러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먹이 공급 장치는 일정한 위치로만 먹이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서, 먹이 공급 시점에 여러 마리의 물고기들이 먹이를 먹기 위해 한 곳으로 몰리다 서로 상처를 입히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78462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격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고기들에게 먹이를 공급해 줄 수 있고, 먹이 공급시 물고기들 간의 충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른 기 구비된 개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소정의 먹이통의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와 먹이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먹이 고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먹이 공급 장치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른 기 구비된 개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소정의 먹이통의 먹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 장치는, 통신 모듈과; 소정의 먹이가 보관되고 하단에 먹이 유출공이 구비된 먹이통과; 상기 먹이 유출공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먹이통의 먹이가 상기 먹이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항에서 물고기를 키우는 사람들은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조작하여 물고기에 먹이를 줄 수 있어, 물고기 키우는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때, 통신 단말기는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할 때마다 전송 기록을 누적 저장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먹이 공급 장치는 먹이를 공급할 때 개폐판이 먹이통의 먹이 유출공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한 후, 개폐판이 가변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여 먹이가 골고루 퍼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딩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먹이 공급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먹이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먹이 공급 장치에서 개폐판의 이동에 따라 먹이가 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개폐판이 저속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개폐판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딩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 공급 장치(100)와 통신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먹이 공급 장치(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 단말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 통신 모듈(210), 제어부(230), 입력부(240), 저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에 따른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이 표시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먹이 공급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블루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10)일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통신 모듈(210)일 수도 있다.
저장부(220)에는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설정값 등이 저장될 수 있고, 통신 단말기(200)의 동작에 따라 새로 생성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명령 조작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이 구비된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240)가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250)와 함께 터치스크린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입력부(240) 조작에 따라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ㅡ 그 생성된 먹이 공급 제어 신호가 통신 모듈(210)을 통해 먹이 공급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30)는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할 때마다 전송 기록을 저장부(220)에 누적 저장하고, 저장부(220)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먹이 공급 제어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20)에 '6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30)는 6시간동안 먹이 공급 제어 신호가 먹이 공급 장치(100)로 전송되지 않은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알람 신호의 출력은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 알림, 진동모터(미 도시함)를 통한 진동 알림, 스피커(미 도시함)를 통한 소리 알림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통신 단말기(200)의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앱(APP)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된 앱을 실행한 후, 해당 앱의 기능에 의해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먹이 공급 장치(100)로 전송하고, 그 전송 기록을 저장하며, 기 설정된 시간을 기초로 알람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먹이 공급 장치(100)는 통신 단말기(200)가 전송한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른 기 구비된 개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소정의 먹이통의 먹이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먹이 공급 장치(100)의 기능 블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 공급 장치(100)는 통신 모듈(116), 먹이통(180), 개폐부(117), 제어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먹이 공급 장치(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배터리 또는 외부 전력 공급부 등은 기 공지된 구성에 불과하므로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여기서 통신 모듈(1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이동통신 기지국(미 도시함)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먹이통(180)은 소정의 먹이를 보관하고, 키우는 물고기들이 있는 어항 등에 먹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특히 먹이통(180)의 하단에는 먹이통(180)의 먹이가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공이 구비되어 있다.
개폐부(117)는 후술하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먹이 유출공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5)는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모듈(116)을 통해 수신되는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부(117)를 제어하여 먹이통(180)의 먹이가 먹이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먹이 공급 장치(100)의 구조의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동 도면에는 먹이 공급 장치(100)가 스탠드(150)에 의해 고정되어 어항(300) 등에 먹이 공급을 위하여 위치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이러한 먹이 공급 장치(100)의 단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 공급 장치(100)는 먹이통(180)에는 먹이, 예를 들어 물고기 사료(140) 등이 채워져 있다. 먹이통(180)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면(141)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경사면 일부에는 먹이 유출공(1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먹이통(180)의 먹이(140)는 이 먹이 유출공(14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는 개폐부(117)는 개폐판(170)과, 그 개폐판(170)이 먹이 유출공(142)에 맞닿도록 하거나 떨어지도록 하는 개폐판 이동부와, 개폐판(170)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개폐판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판 이동부는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제1 모터(113), 제1 모터(113)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 전환부(112), 운동 전환부(112)와 맞닿아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왕복 샤프트(120),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판 회전부는 회전 운동을 발생시키는 제2 모터(130), 제2 모터 및 개폐판(170)과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17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모터의 외부에는 스프링(160)을 누를 수 있는 돌출부(161)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15)는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판(170)이 먹이 유출공(142)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즉, 먹이 유출공(142)을 막고 있던 상태에서 막지 않도록 개폐판 이동부를 제어한다.
개폐판 이동부의 제어에 따라 먹이 유출공(142)이 개방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었다.
도 4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변환되는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모터(113)가 제어부(115)가 제어에 따라 일정각도만큼 회전하면 제1 모터(113)의 회전과 더불어 운동 전환부(112)도 함께 회전하고, 운동 전환부(112)에 닿아 있던 왕복 샤프트(120)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왕복 샤프트(120) 아래쪽에는 제2 모터가 연결되어 있는데, 제2 모터는 왕복 샤프트(120)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160)을 압축시키며 아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모터의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던 개폐판(170)은 도 5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먹이통(180)의 먹이 유출공(142)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먹이통(180)의 먹이(140)는 먹이 유출공(142)을 통해 외부(예를 들어 어항)로 유출된다.
반대로, 제1 모터가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도 5의 상태에서 도 4의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동자하여 결국 먹이통(180)의 먹이 유출공(142)은 닫히게 되고, 먹이통(180)의 먹이(140) 유출은 중단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즉, 개폐판 이동부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먹이통(180)의 중앙에는 상술한 제2 모터(130), 왕복 샤프트(120), 회전 샤프트(171), 용수철(160) 등이 위치하는 공간이 먹이(140)가 보관되는 영역과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폐판(17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통(180)의 아래 경사면(141)과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먹이통(180)의 먹이(140)가 먹이 유출공(142)을 통해 유출될 때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개폐판(170)에 닿게 되는데, 개폐판(170)에 닿은 먹이(140)들이 아래쪽으로 굴러서 잘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에서는 회전 샤프트의 일부가 먹이통(180)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데, 회전 샤프트가 회전하는 경우 개폐판(170)도 함께 회전한다.
즉, 제어부(115)는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판이 먹이 유출공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개폐판 이동부를 제어한 후, 기 설정된 속도로 개폐판이 회전하도록 개폐판 회전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제2 모터(130)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모터의 회전 샤프트(171)에 연결된 개폐판(170)은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5)는 개폐판이 사인곡선의 속도 변화를 이루도록 제2 모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개폐판(170)이 회전함에 따라 먹이통(180)의 먹이 유출공(14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던 먹이(140)들은 개폐판(170)에 닿는 순간에 개폐판(170)의 회전 속도에 따라 튕겨져 나가는 정도가 변하게 된다.
도 5와 같이 개폐판(170)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거의 먹이통(180)의 수직방향으로만 먹이(140)가 떨어지지만, 도 6과 같이 개폐판(170)이 저속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먹이통(180)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로 먹이(140)가 분산되게 되고, 도 7과 같이 개폐판(170)이 고속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먹이통(180)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위치로 먹이(140)가 분산되게 된다.
즉, 개폐판(17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먹이통(180)의 먹이 유출공(142)을 통해 유출되는 먹이들의 분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써, 제어부(115)는 먹이 공급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개폐판(170)이 먹이통(180)의 먹이 유출공(142)을 개방시키도록 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소정 시간 간격으로 개폐판(170)이 가변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여 유출된 먹이(140)가 어항 내에 골고루 분산 되면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 구비된 먹이 공급 앱을 실행시킨다(단계 S1).
이때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먹이 공급 장치(100)에 전송한다(단계 S3).
이때 사용자에 입력되거나 또는 기 설정되어 있던 로그인 정보(패스워드 등)가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먹이 공급 장치(100)는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던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6).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인 경우 먹이 공급 장치(100)는 개폐판(170)을 이동시켜 먹이 유출공(142)을 개방시킨다(단계 S7).
이어서 먹이 공급 장치(100)는 개폐판(170)을 가변적으로 회전시키는데(단계 S9), 이에 따라 먹이 유출공(142)을 통해 유출되는 먹이는 먹이통 수직방향으로만 떨어지는 게 아니라 골고루 확산되면서 떨어지게 된다.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먹이 공급 장치(100)는 개폐판(170) 회전을 중단하고, 개폐판(170)을 원상태로 복구하여 먹이통의 먹이 유출공(142)이 닫히도록 한다(단계 S11).
한편, 통신 단말기(200)는 먹이 공급 제어 신호의 전송 기록을 누적 저장하여 관리하고(단계 S5), 추후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공하여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먹이 공급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먹이 공급 장치 200 : 통신 단말기
115 : 제어부 116 : 통신 모듈
117 : 개폐부 180 : 먹이통
210 : 통신 모듈 220 : 저장부
230 : 제어부 240 : 입력부
2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1.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른 기 구비된 개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소정의 먹이통의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와 상기 먹이 공급 장치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직접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상기 먹이 공급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할 때마다 전송 기록을 누적 저장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5. 통신 단말기와 먹이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먹이 고급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먹이 공급 장치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른 기 구비된 개폐 장치의 동작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소정의 먹이통의 먹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와 상기 먹이 공급 장치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직접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상기 먹이 공급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전송할 때마다 전송 기록을 누적 저장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의 제어방법.
  9. 통신 모듈과;
    소정의 먹이가 보관되고 하단에 먹이 유출공이 구비된 먹이통과;
    상기 먹이 유출공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먹이통의 먹이가 상기 먹이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이 상기 먹이 유출공에 맞닿도록 하거나 떨어지도록 하는 개폐판 이동부와;
    상기 개폐판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개폐판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먹이 공급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판이 상기 먹이 유출공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개폐판 이동부를 제어한 후, 기 설정된 속도로 상기 개폐판이 회전하도록 상기 개폐판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 공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판이 사인곡선의 속도 변화를 이루도록 상기 개폐판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 공급 장치.
KR1020140129934A 2014-09-29 2014-09-29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167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934A KR101673235B1 (ko) 2014-09-29 2014-09-29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934A KR101673235B1 (ko) 2014-09-29 2014-09-29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15A true KR20160038115A (ko) 2016-04-07
KR101673235B1 KR101673235B1 (ko) 2016-11-08

Family

ID=5578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934A KR101673235B1 (ko) 2014-09-29 2014-09-29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2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1601A (zh) * 2016-04-07 2016-06-1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供给提醒系统及方法
KR20220048222A (ko) * 2020-10-12 2022-04-19 (주) 디엔디이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료공급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480A (ja) * 2005-12-14 2007-06-28 Mochizuki Tekkosho:Kk 粉粒体の均等送出装置
KR100784625B1 (ko) 2006-06-09 2007-1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물고기 먹이 공급장치
KR20130118000A (ko) * 2012-04-19 2013-10-29 김형근 원격어항관리시스템
KR20140066327A (ko) * 2012-11-23 2014-06-02 현상수 물고기로 패턴, 문자 표현이 가능한 수족관
KR20140108823A (ko) * 2013-02-28 2014-09-15 정지원 물고기용 먹이 공급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480A (ja) * 2005-12-14 2007-06-28 Mochizuki Tekkosho:Kk 粉粒体の均等送出装置
KR100784625B1 (ko) 2006-06-09 2007-1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물고기 먹이 공급장치
KR20130118000A (ko) * 2012-04-19 2013-10-29 김형근 원격어항관리시스템
KR20140066327A (ko) * 2012-11-23 2014-06-02 현상수 물고기로 패턴, 문자 표현이 가능한 수족관
KR20140108823A (ko) * 2013-02-28 2014-09-15 정지원 물고기용 먹이 공급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1601A (zh) * 2016-04-07 2016-06-1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供给提醒系统及方法
KR20220048222A (ko) * 2020-10-12 2022-04-19 (주) 디엔디이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료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235B1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26890B (zh) 智能终端控制方法及装置
CN110868626B (zh) 一种内容数据预加载的方法及装置
US20170099804A1 (en) Smart pet interactive device
US2015035061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environments using smart devices
CN105607834B (zh) 屏幕控制方法、装置及终端
JP6529517B2 (ja) カメラデバイスの位置決め制御方法及び位置決め制御装置、カメラデバイス、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N104065818A (zh) 提醒用户的方法及装置
CN106131802B (zh) 数据广播方法、数据广播装置和电子设备
EP3065475A1 (en) Transmitting power control and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CN103955179A (zh) 一种远程智能控制方法和装置
CN105848190A (zh) Ota升级方法和装置
CN106201686A (zh) 应用的管理方法、装置及终端
WO2019120045A1 (zh) 随机数据的发放方法、系统及智能终端
CN106095038A (zh) 用于防止电池膨胀的方法及其电子设备
TW201519674A (zh) 資料頻寬管理系統及方法
CN103984664B (zh) 访问云空间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60041843A (ko) 송신 파워 조절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5635207A (zh) 运行状态检测方法和装置
CN103973979A (zh) 一种配置拍摄参数的方法及装置
US102572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4837049A (zh) 用户终端设备、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60033064A (ko)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73235B1 (ko) 계측 및 정보관리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및 제어방법, 그 시스템에 포함된 먹이 공급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N103905653A (zh) 移动设备数据业务控制方法及装置
CN103944991A (zh) 控制数据同步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