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540A -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540A
KR20160037540A KR1020140130232A KR20140130232A KR20160037540A KR 20160037540 A KR20160037540 A KR 20160037540A KR 1020140130232 A KR1020140130232 A KR 1020140130232A KR 20140130232 A KR20140130232 A KR 20140130232A KR 20160037540 A KR20160037540 A KR 20160037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application
response
execu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627B1 (ko
Inventor
유영택
Original Assignee
유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택 filed Critical 유영택
Priority to KR102014013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6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features or functions of an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2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during program execution, e.g. stack integrity ; Preventing unwanted data erasure; Buffer over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eth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 있어서, 락킹 앱(Locking App.)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서 락킹 앱에 의한 락킹이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터치의 입력에 따라 락킹 앱이 실행되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차단 또는 일시 정지되고 락킹 앱의 실행에 따라 학습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판단되고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되는 단계; 및 락킹 앱의 실행 종료에 따라, 차단 또는 일시 정지 중이던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이 제안된다. 또한,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이 제안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IN MOBILE TERMINAL, LOCKING APPLICATION PROGRAM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락킹을 설정하고 락킹 종료 시 차단 또는 일시 정지 중이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락킹 앱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락킹 앱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터치 스크린을 일반적인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있고, 스마트폰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학생이나 어린이까지도 스마트폰이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다수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게임 등과 같은 프로그램들이 쉽게 설치되고, 손쉽게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가 많다. 스마트폰이 학생이나 어린이까지 광범위하게 보급되는 반면에, 스마트폰을 통한 게임 활동이 증가하면서 일부 부작용도 생겨나고 있다. 스마트폰 등으로 손쉽게 게임할 수 있게 되면서, 예컨대, 학생들의 경우 스마트폰이 학습에 방해가 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스마트폰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여유시간에 게임을 통한 재충전의 기회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하지만, 게임에 몰입 등의 문제로 인하여 어린 자녀, 예컨대 학생들이나 어린이들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게임 등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때, 학생 및 어린이들의 부모가 빈번히 자녀들의 스마트폰을 관리하며 게임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통제하기는 것은 쉽지 않고, 자녀들과 쉽게 충돌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스마트폰 등은 모바일 기기의 특성으로 인해 어디서든지 간편한 학습용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충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예컨대, 자녀들의 스마트폰 사용 시 여가로 게임을 허용하면서도 동시에 학습 도구로 활용되도록 하는 방안들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9637호(2012년 3월 7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게임 등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락킹을 설정하고 락킹 종료 시 차단 또는 일시 정지 중이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락킹 앱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락킹 앱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 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 있어서, 락킹 앱(Locking App.)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서 락킹 앱에 의한 락킹이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터치의 입력에 따라 락킹 앱이 실행되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차단 또는 일시 정지되고 락킹 앱의 실행에 따라 학습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판단되고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되는 단계; 및 락킹 앱의 실행 종료에 따라, 차단 또는 일시 정지 중이던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이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이전에, 모바일 단말에서 또는 락킹 앱과 연동된 락킹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락킹 웹(Web)을 통하여, 락킹 앱에 의해 락킹될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락킹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락킹 설정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락킹 해제에 필요한 해제 조건을 더 입력받고,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되는 단계에서, 응답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응답의 결과가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된다.
게다가,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응답의 결과에 따라 해제 조건이 성립되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학습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로 피드백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락킹 앱 실행 시 디스플레이될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정보를 더 입력받는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락킹 앱에 연동된 락킹 서버를 통해 누적 집계되고, 누적 집계된 결과가 설정된 기준에 도달된 경우,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설정 입력을 통하여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설정된 수준, 난이도 중의 적어도 하나가 변경 설정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락킹 앱의 실행에 따른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를 제공받을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더 입력받고,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판단된 후 사용자의 설정 터치에 따라 응답의 결과 또는 그 누적 결과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의 설정 터치에 따라, 응답의 결과 또는 그 누적 결과에 포함된 오답에 관한 해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모바일 단말과 결합하여 전술한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들의 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모바일 단말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락킹 앱 프로그램이 제안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락킹 앱(Locking App.)에 의해 락킹될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락킹 설정정보 및 락킹 앱을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를 입력받고, 락킹 앱의 실행에 따라 제공받은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응답을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 모듈; 인터페이스 모듈에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 입력에 따른 락킹 앱의 실행에 의해 외부의 락킹 서버와 인터넷 연결을 수행하고, 락킹 앱의 실행 시 락킹 서버로부터 학습용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고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입력된 응답 또는 응답을 판단한 응답 결과를 락킹 서버로 제공하는 통신 모듈; 및 인터페이스 모듈에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 입력에 따라 락킹 앱을 실행시켜 락킹 설정정보에 포함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 또는 일시 정지시키고, 락킹 앱의 실행에 따라 통신 모듈을 통해 학습용 컨텐츠와 함께 수신된 정답을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수신된 응답과 비교하여 응답 결과를 판단하거나 통신 모듈을 통해 락킹 서버로 제공된 응답에 따른 결과를 제공받아 응답 결과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단 또는 일시 정지 중이던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락킹 앱의 실행을 종료시키는 락킹 앱 실행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이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는 락킹 설정정보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락킹 해제에 필요한 해제 조건 정보를 더 포함하고, 락킹 앱 실행 모듈은 응답 결과가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또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락킹 앱의 실행을 종료시킨다.
또한, 이때, 하나의 예에서, 락킹 앱 실행 모듈은 응답 결과가 해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한 학습용 컨텐츠의 디스플레이와 응답의 입력을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정보는 락킹 앱 실행 시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정보를 더 포함한다.
또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정보는 락킹 앱의 실행에 따른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를 제공받을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더 포함하고, 락킹 앱 실행 모듈은 통신 모듈을 통해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 결과를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게임 등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락킹을 설정하고 락킹 종료 시 차단 또는 일시 정지 중이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자녀들의 스마트폰 사용 시 여가로 게임을 허용하면서도 동시에 학습 도구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한 여가 또는 재충전의 기회를 가지는 동시에 사용자의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살펴보기에 앞서, 그 방법이 구현되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때, 도 1의 모바일 단말의 개략적인 블럭도 뿐만 아니라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메모리 모듈(10), 인터페이스 모듈(30), 통신 모듈(70) 및 락킹 앱 실행 모듈(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은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패널이 구비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때, 각 구성들을 도 1뿐만 아니라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모리 모듈(10)은 락킹 앱(Locking App.)을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된 락킹 앱은 락킹 앱 실행 모듈(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락킹 앱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하나로, 모바일 단말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 또는 일시 정지시켜 락킹 앱에 설정된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키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응답을 받고, 락킹 앱의 실행 종료 시 차단 또는 일시 정지시켰던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라 함은 게임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 모듈(10)은 락킹 앱(Locking App.)에 의해 락킹될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락킹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락킹 설정정보는 예컨대, 락킹 앱 실행 모듈(50)에 의해 실행된 락킹 앱에서 설정정보 입력을 위한 창(윈도우)가 오픈되어, 인터페이스 모듈(30)을 통해 입력받아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된 락킹 설정정보는 락킹 앱 실행 모듈(50)에 의해 통신 모듈(70)을 통해 락킹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락킹 앱과 연동되는 락킹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락킹 웹(Web) 상에서 락킹 설정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락킹 설정정보는 락킹 서버를 통해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락킹 설정정보는 락킹 앱 다운로드 설치시 설정하거나 또는 락킹 앱 아이콘 터치에 따른 실행으로 설정정보의 초기 설정 내지 변경 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웹(Web)을 통해서도 설정할 수도 있다.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되는 락킹 설정정보는 락킹 앱에 의해 락킹될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정보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락킹 해제에 필요한 해제 조건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때,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해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락킹 앱 실행이 종료될 수 있다. 예컨대, 락킹 해제에 필요한 해제 조건은 락킹이 설정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락킹 해제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락킹 설정될 애플리케이션 별로 각각 락킹 해제 조건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정보는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학습용 컨텐츠는 락킹 앱 실행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초등, 중등, 고등, 대학 등의 교과과정에 대한 컨텐츠, 영어, 일어, 중국어 등의 어학관련 컨텐츠, 시사상식 등에 관한 컨텐츠 등 다양한 학습 관련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학습용 컨텐츠는 문제형식으로 제시될 수 있고, 또는 학습 내용을 정리하거나 설명하는 형식으로 제시될 수도 있다.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정보라 함은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정하기 위한 정보를 말하고,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그 자체를 직접 정하는 정보이거나 또는 초등, 중등, 고등, 대학 교과과정의 학년 등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수준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정보는 락킹 앱의 실행에 따른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를 제공받을 타 모바일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 모바일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는 락킹 앱 실행에 따른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 결과를 수신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 모듈(10)에 락킹 설정정보의 저장 및 변경 등은 액세스 권한을 가진 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초기에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인 학생이 아니라 학생의 부모 등이 락킹 설정정보를 입력하여 저장시키고 액세스 권한으로 패스워드 등을 설정함으로써 액세스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락킹 설정정보의 저장 및/또는 변경을 위한 액세스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된 락킹 앱의 삭제 및/또는 비활성모드로 변경 시에도 액세스 권한을 가진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학생인 경우 모바일 단말에서 액세스 권한 없이 락킹 앱의 삭제 등을 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페이스 모듈(30)을 살펴본다. 인터페이스 모듈(30)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터치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 모듈(30)은 락킹 앱의 실행에 따른 결과들을 출력하고 설정 입력 등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모듈(30)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를 입력받는다. 이때,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락킹 앱에 의해 락킹 설정이 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30)은 락킹 앱 실행 모듈(50)에 의한 락킹 앱의 실행에 따라 제공받은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응답을 받아들인다. 예컨대, 인터페이스 모듈(30)은 락킹 앱 실행 모듈(5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출력 및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30)에서의 터치 입력은 정전식 또는 정압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30)은 응답의 입력을 위한 자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모바일 단말의 자판을 이용하여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통신 모듈(70)은 락킹 앱과 연동되는 락킹 서버와 인터넷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30)에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 입력에 따른 락킹 앱의 실행에 의해, 통신 모듈(70)은 외부의 락킹 서버와 인터넷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 모듈(70)은 락킹 앱 실행 모듈(50)의 제어에 따라 락킹 서버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70)은 락킹 앱의 실행 시 락킹 서버로부터 학습용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통신 모듈(70)은 학습용 컨텐츠와 함께 정답을 수신하여 락킹 앱 실행 모듈(5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제공된 학습용 컨텐츠는 락킹 앱 실행 모듈(50)을 통해 인터페이스 모듈(3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70)은 인터페이스 모듈(30)에서 입력된 응답을 락킹 앱 실행 모듈(50)을 통해 제공받거나 또는 락킹 앱 실행 모듈(50)에서 응답을 판단한 응답 결과를 제공받아 락킹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락킹 앱 실행 모듈(5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된 락킹 앱을 실행시키는 모듈, 예컨대, 프로세서이다.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락킹 앱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 자체이거나 락킹 앱과 프로세서의 조합이거나 또는 락킹 앱과 프로세서와 모바일 단말의 다른 소자들과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디스플레이된 락킹 앱 아이콘의 터치에 따라 락킹 앱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의 인터페이스 모듈(30)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락킹 설정정보에 락킹 설정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락킹 앱을 실행시켜 해당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 또는 일시 정지시킨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하거나 일시 정지시키는 방식은 특정 앱의 아이콘을 더미 아이콘으로 교체시켜 락킹 앱이 실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앱의 아이콘의 터치에 따른 신호가 락킹 앱을 실행시키도록 변경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락킹 앱 실행 모듈(50)에 의한 락킹 앱의 실행에 따라, 통신 모듈(70)을 통해 학습용 컨텐츠와 함께 수신된 정답을 인터페이스 모듈(30)로부터 수신된 응답과 비교하여 응답 결과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학습용 컨텐츠와 함께 수신된 정답은 예컨대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응답 결과는 예컨대, 디스플레이된 학습용 컨텐츠의 제출 문제에 대한 정답 율 또는 정답 개수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 모듈(30)에서의 응답 입력시간은 락킹 설정정보를 통해 설정되거나 초기에 설정될 수 있고, 응답 시간 초과시 오답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는,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인터페이스 모듈(30)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통신 모듈(70)을 통해 락킹 서버로 제공하고 락킹 서버로부터 제공된 응답에 따른 결과를 제공받아 응답 결과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판단 결과에 따라 차단 또는 일시 정지 중이던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락킹 앱의 실행을 종료시킨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정보에 락킹 해제에 필요한 해제 조건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응답 결과가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또는 인터페이스 모듈(30)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락킹 앱의 실행을 종료시킨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응답 결과가 해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또는 만일 해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30)을 통한 학습용 컨텐츠의 디스플레이와 응답의 입력을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반복되는 횟수는 락킹 설정정보의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반복시 동일한 컨텐츠의 반복이 아니라 동일 범주의 새로운 컨텐츠가 반복 제시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정보에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정보가 포함된 경우,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통신 모듈(70)을 통해 응답 결과를 락킹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락킹 서버로부터 응답 결과를 누적한 누적 집계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누적 집계 결과가 설정된 기준에 도달된 경우 락킹 설정정보에 포함된 수준, 난이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확인 설정을 통하여 락킹 설정정보에 포함된 수준, 난이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변경 설정된 정보는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정보에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를 제공받을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가 포함된 경우에,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통신 모듈(70)을 통해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 결과를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락킹 앱 실행 모듈(50)은 인터페이스 모듈(30)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 결과에 포함된 오답에 관한 해설 정보를 통신 모듈(70)을 통해 락킹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인터페이스 모듈(3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응답 결과와 함께 학습현황 보기와 같은 터치 버튼을 형성시켜 사용자의 터치를 받아 학습현황을 통한 오답에 관한 해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학습현황 보기를 통해 현재의 응답결과 뿐만 아니라 누적결과 또는/및 유사 등급의 사용자들의 평균, 유사 등급에서의 수준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학습현황 보기를 통해 현재 컨텐츠 과목에 대한 결과 뿐만 아니라 다른 컨텐츠 과목에 대한 결과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학습현황 보기' 명칭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하나의 모습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실시예들 및 도 1이 참조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터치 입력 단계(S100), 락킹 앱 실행 단계(S300), 응답 결과 판단 및 락킹 앱 종료 단계(S500, S500a, S500b, S500c, S500d)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단계(S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 3 내지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락킹 설정 단계(S50, S50a, S50b, S50c)를 더 포함한다.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락킹 설정 단계(S50, S50a, S50b, S50c)부터 살펴본다.
도 3 내지 7을 참조하면, 락킹 설정 단계(S50, S50a, S50b, S50c)는 터치 입력 단계(S100) 이전에 진행된다. 락킹 설정 단계(S50, S50a, S50b, S50c)에서는, 락킹 앱에 의해 락킹될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락킹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락킹 설정이 수행된다. 이때, 모바일 단말에서 락킹 설정정보 입력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락킹 앱과 연동된 락킹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락킹 웹(Web)을 통하여 락킹 설정정보 입력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락킹 웹을 통해 락킹 설정정보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입력된 락킹 설정정보가 락킹 서버를 통해 모바일 단말의 락킹 앱으로 제공되어 모바일 단말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 단계(S50a, S50b, S50c)에서,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락킹 해제에 필요한 해제 조건을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 단계(S50b, S50c)에서는,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락킹 앱 실행 시 디스플레이될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게다가, 도 6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 단계(S50c)에서는,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를 제공받을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락킹 해제 조건,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정보, 및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는 각각 별개로 또는 2 이상 조합되어 락킹 설정정보로 입력될 수 있다.
락킹 설정 단계(S50, S50a, S50b, S50c)에서 설정된 락킹 설정정보는 예컨대, 도 1의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터치 입력 단계(S100)를 살펴본다. 터치 입력 단계(S100)에서는, 락킹 앱(Locking App.)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서 락킹 앱에 의한 락킹이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를 입력받는다. 이때, 도 1의 인터페이스 모듈(30)을 통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를 입력받는다.
계속해서,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락킹 앱 실행 단계(S300)를 살펴본다. 락킹 앱 실행 단계(S300)에서는, 터치 입력 단계(S100)에서의 터치의 입력에 따라 락킹 앱이 실행된다. 터치의 입력에 따라 락킹 앱이 실행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차단 또는 일시 정지된다. 즉,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락킹이 수행된다. 또한, 터치 입력에 따른 락킹 앱의 실행에 따라 학습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다. 이때, 락킹 앱의 실행은 예컨대, 도 1의 락킹 앱 실행 모듈(50)에 의해 수행되고 인터페이스 모듈(30)을 통하여 학습용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및 응답 입력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응답 결과 판단 및 락킹 앱 종료 단계(S500, S500a, S500b, S500c, S500d)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응답 결과 판단 및 락킹 앱 종료 단계(S500, S500a, S500b, S500c, S500d)에서는, 락킹 앱 실행 단계(S300)에서 입력된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판단되고,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된다. 이때, 학습용 컨텐츠의 응답 결과에 따라,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된다.
응답 결과 판단 및 락킹 앱 종료 단계(S500, S500a, S500b, S500c, S500d)는 응답 결과 판단 단계(S510)와 락킹 앱 종료 단계(S530, S530a)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결과 판단 단계(S510)에서는 락킹 앱 실행 단계(S300)에서 입력된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판단된다. 락킹 앱 종료 단계(S530, S530a)에서는 학습용 컨텐츠의 응답 결과에 따라,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된다.
예컨대, 응답 결과 판단 및 락킹 앱 종료 단계(S500, S500a, S500b, S500c, S500d)에서는 응답 결과가 모바일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520, S520a). 예컨대,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설정 터치에 따라 응답의 결과 또는 그 누적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520a).
또한,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락킹 설정 단계(S50a, S50b, S50c)에서 락킹 해제 조건이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설정된 경우에, 락킹 앱 종료 단계(S530a)에서는 응답의 결과가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된다.
계속하여,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응답 결과 판단 및 락킹 앱 종료 단계(S500a, S500b, S500c)에서는 응답 결과의 판단(S510) 결과, 해제 조건이 성립되지 않거나, 또는 만일 해제조건이 성립되더라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학습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로 피드백된다(S540).
또한, 하나의 예에 따라, 도 5를 참조하면, 락킹 설정 단계(S50b)에서 락킹 설정정보로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정보가 설정 입력된 경우에, 응답 결과 판단 및 락킹 앱 종료 단계(S500b)는 응답 결과 누적 집계 및 설정 변경과정(S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응답 결과 누적 집계 및 설정 변경과정(S530)에서는,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락킹 앱에 연동된 락킹 서버를 통해 누적 집계되고(S551), 누적 집계된 결과가 설정된 기준에 도달된 경우,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설정 입력을 통하여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설정된 수준, 난이도 중의 적어도 하나가 변경 설정될 수 있다(S553).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락킹 설정 단계(S50c)에서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가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입력되어 설정된 경우에, 응답 결과 판단 및 락킹 앱 종료 단계(S500c)에서는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전송될 수 있다(S525). 예컨대,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인 학생들의 부모 등의 모바일 번호 내지 이메일 주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자녀들에게 여가시간 또는 재충전 시간에 게임 등과 같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을 허가하면서도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을 통한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응답 결과 판단 및 락킹 앱 종료 단계(S500d)에서는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판단(S510)된 후 사용자의 설정 터치에 따라 응답의 결과 또는 그 누적 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520a). 또한, 응답 결과 판단 및 락킹 앱 종료 단계(S500d)에서는, 사용자의 설정 터치에 따라, 응답의 결과 또는 그 누적 결과에 포함된 오답에 관한 해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520b).
다음으로, 다시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단계(S700)를 살펴본다.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단계(S700)에서는, 락킹 앱의 실행 종료에 따라, 차단 또는 일시 정지 중이던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른 락킹 앱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하나의 모습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의 실시예들 및 도 2 내지 7이 참조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된다.
즉, 하나의 예에 따른 락킹 앱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과 결합하여 전술한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킨다. 이때, 락킹 앱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의 저장매체, 예컨대 도 1의 메모리 모듈(10)에 저장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 메모리 모듈 30 : 인터페이스 모듈
50 : 락킹 앱 실행 모듈 70 : 통신 모듈

Claims (14)

  1.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 있어서,
    락킹 앱(Locking App.)이 설치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락킹 앱에 의한 락킹이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터치의 입력에 따라 상기 락킹 앱이 실행되어,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차단 또는 일시 정지되고 상기 락킹 앱의 실행에 따라 학습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판단되고 상기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되는 단계; 및
    상기 락킹 앱의 실행 종료에 따라, 차단 또는 일시 정지 중이던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 청구항 1에서,
    상기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또는 상기 락킹 앱과 연동된 락킹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락킹 웹(Web)을 통하여, 상기 락킹 앱에 의해 락킹될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락킹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락킹 설정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3. 청구항 2에서,
    상기 락킹 설정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상기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락킹 해제에 필요한 해제 조건을 더 입력받고,
    상기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되는 단계에서, 상기 응답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응답의 결과가 상기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락킹 앱의 실행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4. 청구항 3에서,
    상기 응답의 결과에 따라 상기 해제 조건이 성립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용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로 피드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5. 청구항 2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락킹 설정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상기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상기 락킹 앱 실행 시 디스플레이될 상기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정보를 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6. 청구항 5에서,
    상기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상기 락킹 앱에 연동된 상기 락킹 서버를 통해 누적 집계되고,
    누적 집계된 결과가 설정된 기준에 도달된 경우, 자동으로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 입력을 통하여 상기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설정된 상기 수준, 난이도 중의 적어도 하나가 변경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7. 청구항 2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락킹 설정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상기 락킹 설정정보의 하나로 상기 락킹 앱의 실행에 따른 상기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를 제공받을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더 입력받고,
    상기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상기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8.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가 판단된 후 사용자의 설정 터치에 따라 상기 응답의 결과 또는 그 누적 결과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사용자의 설정 터치에 따라, 상기 응답의 결과 또는 그 누적 결과에 포함된 오답에 관한 해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9. 모바일 단말과 결합하여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락킹 앱 프로그램.
  10. 락킹 앱(Locking App.)에 의해 락킹될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락킹 설정정보 및 상기 락킹 앱을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를 입력받고, 상기 락킹 앱의 실행에 따라 제공받은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대한 응답을 받아들이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의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 입력에 따른 상기 락킹 앱의 실행에 의해 외부의 락킹 서버와 인터넷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락킹 앱의 실행 시 상기 락킹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용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입력된 응답 또는 상기 응답을 판단한 응답 결과를 상기 락킹 서버로 제공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의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락킹 앱을 실행시켜 상기 락킹 설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 또는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락킹 앱의 실행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학습용 컨텐츠와 함께 수신된 정답을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수신된 상기 응답과 비교하여 응답 결과를 판단하거나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락킹 서버로 제공된 상기 응답에 따른 결과를 제공받아 상기 응답 결과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단 또는 일시 정지 중이던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상기 락킹 앱의 실행을 종료시키는 락킹 앱 실행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는 상기 락킹 설정정보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락킹 해제에 필요한 해제 조건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 앱 실행 모듈은 상기 응답 결과가 상기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락킹 앱의 실행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락킹 앱 실행 모듈은 상기 응답 결과가 상기 해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한 상기 학습용 컨텐츠의 디스플레이와 상기 응답의 입력을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3. 청구항 10 내지 12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락킹 설정정보는 상기 락킹 앱 실행 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상기 학습용 컨텐츠의 과목, 수준, 난이도, 문제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4. 청구항 10 내지 12 중의 어느 하나에서,
    상기 락킹 설정정보는 상기 락킹 앱의 실행에 따른 상기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응답의 결과를 제공받을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 앱 실행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학습용 컨텐츠에 대한 상기 응답 결과를 상기 타 모바일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140130232A 2014-09-29 2014-09-29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 KR10165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232A KR101650627B1 (ko) 2014-09-29 2014-09-29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232A KR101650627B1 (ko) 2014-09-29 2014-09-29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540A true KR20160037540A (ko) 2016-04-06
KR101650627B1 KR101650627B1 (ko) 2016-08-23

Family

ID=5579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232A KR101650627B1 (ko) 2014-09-29 2014-09-29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6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637A (ko) 2010-08-26 2012-03-0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잠금/해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637A (ko) 2010-08-26 2012-03-0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잠금/해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627B1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68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selection of contextual dashboards
US11727093B2 (en) Setting and terminating restricted mode operation on electronic devices
US9069458B2 (en) Kid mode user interface with application-specific configurability
US9361469B2 (en)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secure screen sharing of sensitive information
CN101587421A (zh) 一种触摸屏的解锁方法、系统及触摸屏设备
EP3033662A1 (en) Remote support of computing devices
KR2014008882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46407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2089483A1 (zh) 音频播放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50317293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eipt and presentation of input and feedback
CN103413082A (zh) 应用程序的控制方法、装置和客户端
KR102583089B1 (ko)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룰 실행 방법, 서버 장치 및 룰 실행 시스템
KR102070732B1 (ko)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CN106233243A (zh) 多架构管理器
CN112698895A (zh) 电子设备的显示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9223586B1 (en) Run-time limitations of software applications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CN113485779A (zh) 应用程序的操作引导方法和装置
WO2016019695A1 (zh) 语音互动的方法及终端
KR101650627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
CN105339946A (zh) 用于提供安全环境的设备和方法
KR201401271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3399689A (zh) 一种解锁界面快捷方式生成及显示方法和装置
KR102201735B1 (ko) 외부 서버와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06156646A (zh) 一种信息调用方法及电子设备
WO2021082957A1 (zh) 终端功能管理方法、终端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