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898A -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898A
KR20160036898A KR1020140129138A KR20140129138A KR20160036898A KR 20160036898 A KR20160036898 A KR 20160036898A KR 1020140129138 A KR1020140129138 A KR 1020140129138A KR 20140129138 A KR20140129138 A KR 20140129138A KR 20160036898 A KR20160036898 A KR 20160036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heat
temperature
finishing material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307B1 (ko
Inventor
김선일
Original Assignee
(주)다이유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이유진코리아 filed Critical (주)다이유진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2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0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61H33/067Installations for the inside of such cabins, e.g.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61H33/065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with steam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바닥 및 벽면 등의 찜질방 내부면에 면상발열체를 설치하여 내부면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면상발열체에서 복사하는 원적외선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 신체에 유익한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는 찜질방 외벽면의 내부인 내부면으로 구비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상으로 배치되어 발열기능 및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수행하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 상으로 형성되는 마감재와, 상기 면상발열체의 발열 온도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온도조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A Jjimjilbang inside structrue }
본 발명은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천장, 바닥 및 벽면 등의 찜질방 내부면에 면상발열체를 설치하여 내부면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면상발열체에서 복사하는 원적외선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 신체에 유익한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생활이 경제적으로 안정되면서 사람들은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휴게실 공간으로서 각종 기능을 갖춘 찜질방이 늘어나 연령과 성별에 상관없이 누구나 이용하게 되었다.
찜질방은 목욕, 온천, 사우나, 한증막 등의 서비스를 한 장소에서 종합적으로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목욕, 식사, 운동, 피부 관리, 수면, 오락 등을 한꺼번에 해결하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발전하여 사용자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기능을 갖추게 된 것이다.
찜질방에는 찜질방의 대표적이면서도 본질적인 기능인 열기가 제공되는 공간 내에 들어가 땀을 흘리면서 몸 속에 쌓여있는 각종 노폐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기능적인 독립공간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공간의 대표적인 공간으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배출되는 황토방은 가장 일반적인 기능공간이며, 이외에도 맥반석,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흑운모, 견운모, 천연옥, 자수정 등을 위주로 한 기능공간도 설치되는데 상기 기능물질의 기능 대부분은 원적외선의 복사 방출이다.
이러한 찜질방 내부에는 바닥, 벽면, 천장 등에 기능층을 형성하고 사용자 신체와 맞닿게 되는 바닥에는 보온층을 배치하여, 사용자는 신체의 손상없이 찜질방 내부에서 황토를 비롯한 기능층에서 복사하는 신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의 기능을 흡수하여 땀을 배출함으로써 신체 내부의 노폐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황토기능층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름보일러, 가스보일러, 전기보일러 등으로 데워지는 증기 또는 온수를 증기파이프 또는 온수파이프를 통해 흘려보내 증기/온수파이프와 함께 형성된 기능층의 온도를 상승시켜 황토기능층의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보다 원활한 원적외선 방출을 위해 찜질방 내부의 온도를 적어도 70~100℃의 온도범위로 매우 높게 형성하게 되며, 고온의 황토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피부 및 피하조직에 직접 도달하게 되어 그에 따른 원적외선 효과는 신체 내부에서 발휘되지만, 실내가 너무 고온이어서 사용자는 오래 실내에서 고온을 견디면서 머물 수 없으며 고온으로 인해 공기가 탁하고 호흡이 불편하게 되어 실질적인 사용자의 찜질시간은 적어져 원적외선 효과가 반감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증기/온수파이프와 함께 형성된 기능층의 온도를 상승시켜 황토기능층의 기능이 발휘하기 위해 파이프가 형성되는 내부면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건물의 하중이 증가하여 전체적인 건물의 안전에 문제가 생기게 되고, 또한 기름 또는 가스를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환경오염의 중대한 원인이 되며, 증기파이프 및 온수파이프를 설치하려면 우선 외벽체의 내부로 단열재를 형성하고 그 내부로 파이프를 설치하고 그 내부로 다시 기능층을 형성하며, 기능층 내부로 마감재를 형성해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시공단계가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특히 내부면의 두께를 줄여 하중의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안되었던 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6523호, '단열 및 방열구조를 가진 사우나실'의 명칭으로 내부면을 비닐 및 보온덮개로 구성되는 제1단열층, 그 내측으로 스티로폼, 밤라이트,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제2단열층, 그 내측으로 스팀파이프, 스팀파이프를 매립하는 마감재 등이 적층되는 사우나실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외벽과 제2단열층 사이에 제1단열층을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내부면의 설치 두께가 두꺼워지고 스팀파이프에서 발생하는 열이 마감재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고 방사상으로 국부적으로만 전달되어 가열되므로 발열 효율이 내부로 전달되는데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보완하고자 또 다른 제안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596호,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체'의 명칭으로 내부면을 석고보드, 단열재로 구성되는 제1단열층, 그 내부로 프레임이 형성되는 제2단열층, 그 내부로 석고보드, 단열재로 구성되는 제3단열층, 그 내부로 발열판, 그 내부로 가열배관 및 가열배관을 매설하는 황토몰탈층, 그 내부로 마감층을 적층하는 찜질방 구조체를 제안하였으나, 이 제안 역시 내부면의 두께는 적어도 가열배관 및 가열배관을 매설하는 황토몰탈층과 프레임이 형성되는 제2단열층을 포함하는 여러 단열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를 최소한으로 확보하여 형성해야 하므로 그 두께의 혁신적인 감소는 기대하기 어려우며, 또한 가열배관이 황토몰탈층에 열 전도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함석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발열판을 추가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는 가열배관의 발열 범위는 가열배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한정된 범위 내에만 열 도달이 가능하므로 발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열배관 상에 알루미늄 발열판을 추가 적층하여 발열 효율을 높이는 것이어서, 상기 제안을 적용하기 위해서도 내부면의 두께는 크게 줄일 수 없고 기능층인 황토몰탈층에 전달하는 가열배관의 발열 효율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방안에서 제안되었던 상기의 종래 기술들의 공통적인 문제는 모두 증기나 온수가 유동하는 증기/온수 파이프를 찜질방 내부면과 외벽 사이에 매설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파이프로 형성되는 열원(熱源)은 모두 선상발열체(線狀發熱體)에 의한 선상 발열방식이어서, 파이프 내부에서 유동하게 되는 증기나 온수의 열과 온도에 의해 간접적으로 기능층의 온도를 상승하는 방식은 발열 전달효율이 비효율적이어서 그 전기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어 전력 낭비를 초래한다는 문제점과 찜질방 실내의 온도를 적어도 70℃ 이상으로 보통 70~100℃의 온도범위를 유지하여 실내가 너무 고온이 되어 사용자의 찜질방 사용시간이 단축되고 공기가 탁해져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또한 발생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65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5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찜질방의 내부면으로 증기나 온수가 흐르는 파이프를 매설하지 않아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천장, 벽면, 바닥을 그대로 활용 가능하면서도 내부면의 두께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황토와 같은 기능층을 대신하여 30~60℃의 비교적 낮은 온도범위에서도 90% 이상의 원적외선 복사효율을 발휘하는 큐빅 나노분말과 탄소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面狀發熱體)를 찜질방의 내부면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건강한 호흡을 유지하면서 충분하게 찜질방 사용시간을 즐기면서 원적외선 효과를 누릴 수 있음과 동시에 건물 하중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내부면의 두께를 좀더 줄일 수 있으며, 방사상으로 한정된 범위 이내에만 전달되는 파이프와 같은 선상발열체(線狀發熱體)의 선상 발열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도록 전체 면에 걸쳐 골고루 고르게 퍼지는 도달범위를 가지는 면상발열체를 설치하여 면상 발열효율을 크게 개선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찜질방 외벽면의 내부인 내부면으로 구비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상으로 배치되어 발열기능 및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수행하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 상으로 형성되는 마감재와, 상기 면상발열체의 발열 온도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온도조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상발열체는 면상발열체의 과다 승온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면상발열체 상에 부착되는 바이메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감재는, 상기 면상발열체가 바닥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강화마루가 마감재로 선택되고, 상기 면상발열체가 내부 벽면이나 천장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절연성 내열필름이 마감재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는 찜질방의 내부면 즉 천장, 벽면, 바닥에 증기나 온수가 흐르는 파이프를 매설하지 않기 때문에 건물 내부의 천장, 벽면, 바닥을 그대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고, 황토와 같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층을 대신하여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동일하게 발휘하는 큐빅 나노분말과 탄소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를 찜질방의 내부면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내부면의 두께를 혁신적으로 감소하여 건물 하중을 증가하지 않아 건물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방사상으로 한정된 범위 이내에만 전달되는 선상 발열효율을 전체 면에 걸쳐 골고루 고르게 퍼지는 도달범위를 가지는 면상발열체를 적용하여 설치하여 면상 발열효율을 크게 개선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가 설치된 찜질방의 내부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중에서 바닥 구조체 및 벽면 구조체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에 설치되는 면상발열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가 찜질방 내부면에 21개가 설치되는 경우의 전기적 연결도.
도 5는 탄소를 비롯한 각종 재료의 복사율 대비 온도특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A)는, 찜질방 외벽면의 내부인 내부면으로 구비되는 단열층(10)과, 상기 단열층(10) 상으로 배치되어 발열기능 및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수행하는 면상발열체(20)와, 상기 면상발열체(20) 상으로 형성되는 마감재(30)와, 상기 면상발열체(20)의 발열 온도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온도조절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층(10)은 단열층(10) 외부의 외벽면으로부터의 냉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단열층 상으로 형성되는 후술하는 면상발열체(20)의 발열이 외벽면으로 전달되어 발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면상발열체(20)의 발열을 찜질방 내부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열층(10)은 단열재로 형성되는데, 단열재는 열전도율을 작게 하기 위해 다공질이 되도록 형성하여 기공 속의 공기의 단열성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는 코르크, 면, 펠트, 탄화코르크, 거품고무 등의 유기질계 단열재와 석면, 유리솜, 석영솜,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분말, 마그네시아 분말, 규산칼슘, 펄라이트 등의 무기질계 단열재로 구분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열층(10)을 형성하는 단열재는 약 150℃ 이하의 온도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유기질계 단열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친환경적 단열재인 다공질의 면 또는 펠트 재질의 단열재로 형성된 단열층(10)이 구비된다.
상기 단열층(10) 상으로 상기 면상발열체(2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면상발열체(20)는 모두 동일한 온도로 발열기능 및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면상발열체(20)는, 큐빅이 나노입자로 분쇄되고 이러한 나노입자분말이 탄소와 섞여서 원사로 되고 이러한 원사가 0.2~0.8mm의 길이로 바람직하게는 0.5mm의 길이로 절단되어 펄프액에 혼입되어 형성되는 나노입자초지(21)와, 상기 나노입자초지(21)의 면 가장자리에 은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인쇄된 은페이스트 위에 전극을 부착하여 전극이 부착된 상기 나노입자초지(21)의 양 표면에 라미네이팅된 유기화합물층(2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면상발열체(20)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1053호,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면상발열체'의 명칭으로 공지된 면상발열체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면상발열체(20)가 방출하게 되는 원적외선은 파장이 길기 때문에 공기 중에는 흡수되지 않고 피가열체 예를 들면 사람의 신체와 접촉하게 되면 피부 및 피부 깊숙이 피하조직까지 도달하여 자기공명에 의해 복사열이 방출되면서 피부 표면 및 피부 깊숙이 쌓여있는 각종 노폐물을 땀과 함께 배출하게 되어 사용자는 편안하게 찜질방에서 원적외선의 유익한 효능을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노입자분말이 탄소와 섞여 있는 원사와 펄프액이 혼입 형성된 나노입자초지(21)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첨부된 도 5의 도시와 같이, 탄소는 온도 300K(=27℃)부터 그 복사율을 가장 크게 가지면서 탄소의 복사율은 0.9 이상을 실현하게 되어, 종래 찜질방의 황토방의 70~100℃ 범위의 고온까지 온도를 높일 필요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찜질방에서는 비교적 낮은 온도인 30~60℃의 온도범위에서 90% 이상의 원적외선 복사효율을 실현하는 탄소가 함유된 상기 면상발열체(20)에 의해, 사용자는 호흡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편안하게 상온에서 원적외선의 자기공명에 의한 복사열을 피부 및 피하조직에서 동시에 접하면서 찜질의 효능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면상발열체(20)는 30~60℃의 온도범위에서 90% 이상의 원적외선 복사효율을 직접적으로 실현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열전달을 받게 되는 황토층의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 가스, 기름 등을 매우 많이 사용하여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종래의 찜질방에 대비하여 그 전력량의 소모가 대폭 절감되어 전기요금이 대폭 절감되고,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감축하여 친환경적인 찜질방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발열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상기 면상발열체(20) 상으로 마감재(30)가 설치된다. 상기 마감재(30)는 면상발열체(20)의 전극에 전기가 흐르기 때문에 절연성을 가지게 되며,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20)의 발열로 인해 사용자 신체에 화상과 같은 위해를 끼치지 않도록 예방한다.
찜질방은 천장, 벽면, 바닥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이므로,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 맞닿게 되는 바닥에 설치되는 상기 마감재(30)는, 첨부된 도 2a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강화마루(31)가 선택된다. 상기 강화마루(31)는 내열성을 가지되 보온성을 함께 유지하므로 상기 강화마루(31)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면상발열체(20)의 발열은 상기 강화마루(31)에 전달되나 사용자의 신체는 면상발열체(20)의 발열에 의해 화상과 같은 위해를 받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벽면이나 천장은, 첨부된 도 2b의 도시와 같이, 상기 면상발열체(20) 상으로 절연성 내열필름(32)이 상기 마감재(30)로 선택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마감재(30)로서의 절연성 내열필름(32) 상으로는 여러 가지 다양한 무늬가 인쇄될 수 있어, 상기 절연성 내열필름(32)이 부착된 상기 면상발열체(20)는 상기 절연성 내열필름(32) 상에 다양한 이미지를 인쇄하여 액자형태를 형성할 수 있어 찜질방의 내부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인테리어 요소의 기능을 아울러 할 수도 있다.
상기 마감재(30)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강화마루(31) 또는 절연성 내열필름(32)은 공지의 강화마루 또는 절연성 내열필름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면상발열체(20) 상으로 바이메탈(50)이 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바이메탈(50)은 후술하는 온도조절기(40)가 고장 나서 작동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추가로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서, 온도조절기(40)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과다하게 상기 면상발열체(20)의 온도가 승온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야 할 온도조절기(40)가 그 자동제어기능을 상실하여 이에 따라 제어작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되면, 찜질방의 내부온도는 적정 온도 이상이 되고 면상발열체(20)의 배선에 고온 및 고열에 의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내부온도 과다상승을 온도조절기(40)와 함께 이중으로 방지하게 된다.
즉, 온도조절기(40)가 고장난 경우에도, 면상발열체(20)가 과열이 발생되게 되고 바이메탈(50)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설정된 온도, 예를 들면, 100℃ 로 바이메탈(50)의 변형온도가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 면상발열체(20)가 100℃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에는 바이메탈(50)이 변형되어 전기회로를 단락시켜 면상발열체(20)의 100℃ 이상으로의 가열이 방지되므로 면상발열체(20)의 과다한 온도의 상승이 방지가 되는 것이다.
상기 온도조절기(40)는 상기 면상발열체(20)의 온도를 설정하여 그 온도까지 승온하고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그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온도조절기(40)에는 설정온도를 선택하는 온도설정부, 설정된 온도까지 승온하고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설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공지의 온도조절기를 적용하여 사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A)의 설치 및 작동효과를 설명한다.
찜질방의 외부벽의 실내 내부면으로 먼저 단열재(10)를 설치하게 된다. 단열재(10) 상으로는 탄소 재질의 나노입자초지(21) 및 유기화합물층(22)으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20)를 배치하게 되며, 배치되는 면상발열체(20) 상에는 이미 단자선(미도시)이 배선되어 있어 면상발열체(20)는 병렬연결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면상발열체(20) 상으로 설치되는 마감재(30)는 찜질방 내부면이 바닥인지 또는 벽면 및 천장인지에 따라 마감재(30)로서 강화마루(31) 또는 절연성 내열필름(32)을 선택하여 배치하면 시공은 완료된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벽면에 설치되는 마감재(30)인 절연성 내열필름(32) 상으로 목재로 형성되는 안전 펜스(미도시)가 더 추가 설치되어 사용자 신체가 직접 상기 절연성 내열필름(32)에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시공완료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A)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병렬연결된 모든 면상발열체(20)는 온도조절기(40)에 의해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하게 되고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조절기(40)의 제어에 의해 온도 상승은 멈추게 되어 설정온도를 유지하면서 찜질방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까지 상승시키면서 발열 및 원적외선 방출을 하게 된다. 열원(熱源)으로서의 면상발열체(20)는 직접 방식으로 발열을 하게 되는 동시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므로, 종래의 증기 또는 온수 파이프를 열원으로 하고 파이프를 통해 간접적으로 황토층을 가열시키는 찜질방에 비해 발열 효율이 크게 향상되며, 종래 70~100℃의 온도로 높일 필요없이 30~60℃의 온도범위에서도 원적외선 복사효율이 90% 이상 발휘되어 사용자는 비교적 저온에서 편안하게 호흡을 하면서 면상 발열 및 원적외선 방출에 의해 사용자 신체에 골고루 찜질의 효능을 체감할 수 있으며, 찜질방 내부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필요가 없어 전기 사용량이 획기적으로 절감되어 비용을 크게 절감하면서도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줄어들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는 찜질방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열원과 기능층을 제조하는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여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은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A :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1 : 외벽면
10 : 단열층 20 : 면상발열체
21 : 나노입자초지 22 : 유기화합물층
30 : 마감재 31 : 강화마루
32 : 절연성 내열필름 40 : 온도조절기
50 : 바이메탈

Claims (3)

  1.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천장, 벽면, 바닥으로 이루어지는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A)는,
    찜질방 외벽면의 내부인 내부면으로 구비되는 단열층(10)과,
    상기 단열층(10) 상으로 배치되어 발열기능 및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수행하는 나노입자초지(21)와 유기화합물층(22)으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20)와,
    상기 면상발열체(20) 상으로 형성되는 마감재(30)와,
    상기 면상발열체(20)의 발열 온도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온도조절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20)는 설정온도 대비 과다 승온을 방지하는 바이메탈(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메탈(50)은 상기 면상발열체(20)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30)는, 상기 면상발열체(20)가 바닥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강화마루(31)가 마감재(30)로 선택되고, 상기 면상발열체(20)가 내부 벽면이나 천장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절연성 내열필름(32)이 마감재(30)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KR1020140129138A 2014-09-26 2014-09-26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KR10161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38A KR101610307B1 (ko) 2014-09-26 2014-09-26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38A KR101610307B1 (ko) 2014-09-26 2014-09-26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898A true KR20160036898A (ko) 2016-04-05
KR101610307B1 KR101610307B1 (ko) 2016-04-07

Family

ID=5578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138A KR101610307B1 (ko) 2014-09-26 2014-09-26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3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3922A1 (it) * 2020-02-26 2021-08-26 Salzano Caterina “cabina per trattamenti dimagranti e/o attività fisica e metodo di gestione di detta cabina”
CN114795756A (zh) * 2022-03-03 2022-07-29 广州美利康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动力的健康舱
KR20230013215A (ko) * 2021-07-16 2023-01-26 공영일 에너지 절약형 가정용 사우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826A (ko) 2017-03-02 2018-09-12 정상준 그래파이트 기반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시스템
KR102261040B1 (ko) 2020-12-02 2021-06-07 넥스트원 주식회사 사우나용 면상 발열체
KR102607537B1 (ko) 2023-04-03 2023-11-30 넥스트원 주식회사 찜질방
KR102649002B1 (ko) 2023-04-03 2024-03-20 넥스트원 주식회사 침대
KR102604024B1 (ko) 2023-04-03 2023-11-23 넥스트원 주식회사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전기쇼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3922A1 (it) * 2020-02-26 2021-08-26 Salzano Caterina “cabina per trattamenti dimagranti e/o attività fisica e metodo di gestione di detta cabina”
KR20230013215A (ko) * 2021-07-16 2023-01-26 공영일 에너지 절약형 가정용 사우나 장치
CN114795756A (zh) * 2022-03-03 2022-07-29 广州美利康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动力的健康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307B1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307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JP5317485B2 (ja) 赤外線電熱架空発熱床板
KR20200029728A (ko) 황토침대
KR101567526B1 (ko) 온열매트
KR101066259B1 (ko) 천연 한지층을 구비한 침대
KR20120017528A (ko) 난방용 핫 코일
JP4716504B2 (ja) 岩盤浴用人工石盤及び岩盤浴ベッド
KR200443137Y1 (ko) 온수매트
KR101841674B1 (ko) 모래를 이용한 온열보료
KR101225496B1 (ko) 적외선 구역 복사 전기 가온장치
KR200414838Y1 (ko) 맥섬석 세라믹을 갖는 침대보료
KR20150002531U (ko) 통기층을 구비한 온열 매트리스
KR20050110542A (ko) 황토 발열다다미
CN202873097U (zh) 碳纤维远红外线暖毯
KR20130056366A (ko) 옥을 함유한 난방필름
KR200433596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기구
KR101384264B1 (ko) 토르말린 혼합 황토를 이용한 찜질방
KR200418175Y1 (ko) 황토침대용 매트
KR960000126Y1 (ko) 바이오 세라믹스, 돌 및 흙을 이용한 조립식 전기 온돌판
KR200463988Y1 (ko) 참숯이 내장된 황토패널을 이용한 찜질 및 난방장치
KR200190726Y1 (ko) 온돌조립체
KR200361887Y1 (ko) 한증막 가열용 발열구조
KR20140033864A (ko) 스코리아를 이용한 원적외선 온열 매트
CN106263888A (zh) 远红外理疗毯
KR200480781Y1 (ko) 침대용 온열보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