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596Y1 -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기구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596Y1
KR200433596Y1 KR2020060025912U KR20060025912U KR200433596Y1 KR 200433596 Y1 KR200433596 Y1 KR 200433596Y1 KR 2020060025912 U KR2020060025912 U KR 2020060025912U KR 20060025912 U KR20060025912 U KR 20060025912U KR 200433596 Y1 KR200433596 Y1 KR 200433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wall
air
planar heating
indo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연
Original Assignee
조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연 filed Critical 조준연
Priority to KR2020060025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5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8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embedded in a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공간을 난방시 냉기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벽체 및 창호가 설치된 부위에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판상체의 난방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않아 실내 공간활용을 용이함과 아울러 냉기가 유입되는 부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실내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난방할 수 있도록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난방기구에 있어서, 상기 난방기구는 실내공간의 각 벽면에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기 위해 벽면에 부착 또는 거치가 가능하도록 판상체의 형상을 가지며, 제어기를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시 일측 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전극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열하는 면상발열체의 양 측면에 상기 면상발열체을 전체적으로 감싸 공급된 전원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절연재와,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공기정화부재가 분말 형태로 합침 가공된 직물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열에 의해 압착 가공된다.
면상발열체, 전극, 전기절연재, 공기정화부재

Description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기구{The heating implement using hanger type thick film heate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면상발열체 112 : 전극
120 : 전기절연재 130 : 직물지
132 : 공기정화부재 C : 제어기
L : 전선 W : 벽면
본 고안은 난방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을 난방시 냉기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벽체 및 창호가 설치된 부위에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판 상체의 난방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않아 실내 공간활용을 용이함과 아울러 냉기가 유입되는 부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실내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 또는 업소 등에서는 동절기에 실내의 난방을 목적으로 각종 난방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 전기를 이용한 전기히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기히터는 이동 및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실내의 공기나 바닥을 오염시킬 우려가 없어 쾌적한 실내공기 및 청결한 바닥상태가 요구되는 비교적 좁은 장소의 난방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히터는 전기에너지를 저항체에 의해 열에너지로 전환하고 이 열에 의해 난방효과를 내도록 한 것으로서, 발열체(저항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반사판에 의해 전방으로 확산시켜 난방효과를 내거나 또는 송풍기에 의해 열을 전방으로 보내어 난방효과를 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히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전기히터는 사용 및 보관시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됨으로써, 실내공간이 그만큼 협소해지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활용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자칫 부주의로 인해 전기히터에 발화성 물질이 닿을 경우 화재가 발생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기히터는 실내공간 중에서 유입되는 냉기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난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전기히터는 전기히터가 설치된 주위로만 열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종래 전기히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공간을 난방시 난방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않아 실내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내공간 중 냉기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벽체 및 창호가 설치된 부위에 직접 설치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냉기가 유입되는 부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실내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의 난방기구를 이루는 직물지에 자체 공기정화능력을 갖는 분말형태의 공기정화부재를 함침 가공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난방할 수 있도록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난방기구에 있어서,
상기 난방기구는 실내공간의 각 벽면에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기 위해 벽면에 부착 또는 거치가 가능하도록 판상체의 형상을 가지며, 제어기를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시 일측 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전극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열하는 면상발열체의 양 측면에 상기 면상발열체을 전체적으로 감싸 공급된 전원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절연재와,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공기정화부재가 분말 형태로 합침 가공된 직물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열에 의해 압착 가공된다.
한편, 상기 공기정화부재는 그 자체가 공기정화 능력을 갖는 수정, 토르마린, 일라이트, 옥 및 맥반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100)는 면상발열체(110), 전기절연재(120) 및 직물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면상발열체(110)는 절연섬유실에 카본을 코팅하여 지름이 약 0.2mm가 되도록 가공한다. 이때, 상기 카본이 코팅된 절연섬유실을 위사의 위치가 되도록 하고, 일반 절연섬유실을 경사의 위치가 되도록 한 후, 이들을 직조하여 제조한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110)는 그 일측 단부에 제어기(C)와 전선(L)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전극(11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면상발열체(110)의 양 측면에는 상기 면상발열체를 전체적으로 감싸 면상발열체(110)로 인가되는 전원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절연재(120)가 적층된다.
이때, 상기 전기절연재(120)는 PVC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기절연재(120)의 외측에는 직물지(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직물지(130) 내에는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부재(132)가 분말 형태로 합침 가공된다.
이때, 공기정화부재(132)는 그 자체가 공기정화능력을 갖는 수정, 토르마린, 일라이트, 옥 및 맥반석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정화부재(13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정은 그 자체에서 좋은 에너지가 방출됨은 물론, 주위의 나쁜 기운을 흡수하여 정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중국의 의학고서 『동의광물약전(東醫鑛物藥典)과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체온유지, 심장강화, 각종 진통, 염증의 치유, 불임여성 수태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그 비상한 힘이 소개되어 있을 뿐 아니라, 『동의보감』에도 자석영(紫石英) 곧 자수정에 대해 약재의 효과를 언급한 바 있는데 '자수정은 마음을 안정시키고 피부를 곱게 하며 아기를 잉태하지 못하는 것을 다스린다' 라는 내용이 있다. 또한 자수정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여 사람의 육체에는 생기를 주고 정신에는 안정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바 있다.
또한 토르마린은 자체적으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인위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음이온 발생기에서와 같이 오존이나 활성산소와 같은 물질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음이온은 노화나 염증, 피로 등에 의해 산성화되어 있는 것을 약 알칼리화 하는 환원력을 갖으며 그 외에 부패, 부식, 세균발생, 가스등 유해물질을 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바 있다.
또한 일라이트는 각종 미네랄이 다량 함유된 건강 신소재로 평가되고 있는 광석으로, 지구상의 그 어떤 광물에서도 발견된 적이 없는 141ion/cc 라는 기록적인 수치의 음이온을 방출한다. 또한, 상기 일라이트는 흡착탈취 효과가 탁월하며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92%)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일라이트는 다량의 음이온을 생성해 쾌적한 실내 공간과 환경을 만들어 줄뿐 아니라, 세포를 활성화하고 혈액을 정화하며, 자율신경계가 정상적이며 안정적으로 작용하도록 돕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바 있다.
또한, 옥은 인체에 필요한 광물질인 칼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옥에서 발산하는 파동이 우리 인체 세포에 골고루 침투하여 공명공진 작용을 함으로써 신경안정과 오장육부의 기능을 강화시켜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며, 혈액의 약 알칼리화, 체내의 유해 노폐물 배설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맥반석은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중금속 분해 작용과 인체에 활력을 주는 40여종 이상의 미네랄이 용출되어 신진대사와 피부건강에 효과가 있으며 원적외선의 방사와 산소함유량이 풍부해 생체에 활력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부재(132)에 의해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110)와 전기절연재(120) 및 직물지(130)는 이들을 서로 적층 시킨 후 열 압착 함으로써, 이들이 하나의 판상체의 형상을 갖도록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는 실내공간을 난방시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않아 실내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설치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면상별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100)를 벽면(W)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100)의 상부에 복수개의 고리(10)를 연결하고, 상기 고리(10)를 벽면(W)에 설치된 연결구(12)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100)가 벽면(W)에서 대해 직립상태를 유지하여 벽면을 차단한다.
또한, 그 다른 설치 실시예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W)에 힌지봉(22)을 갖는 "ㄷ"자형 플레이트(20)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봉(22)에 본 고안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100)를 감아 선택적으로 벽면(W)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100)는 상기 제어 기(C)와 전선(L) 및 전극(112)을 통해 상기 면상발열체(110)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면상발열체(110)에서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면상발열체(110)에서 발생한 열은 벽면(W) 또는 창호(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를 차단함과 아울러 그 냉기를 온기로 변환하여 실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간의 활용 효율성 및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100)의 표면에 적층/부착된 공기정화재가 함침/가공된 직물지(130)에 의해 실내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쾌적한 실내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실내공간을 난방시 난방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않아 실내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공간 중 냉기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벽체 및 창호가 설치된 부위에 직접 설치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냉기가 유입되는 부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실내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난방기구를 이루는 직물지에 자체 공기정화능력을 갖는 분말형태의 공기정화부재를 함침 가공함으로써, 상기 공기정화부재를 통해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난방할 수 있도록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난방기구에 있어서,
    상기 난방기구(100)는 실내공간의 각 벽면(W)에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기 위해 벽면에 부착 또는 거치가 가능하도록 판상체의 형상을 가지며, 제어기(C)를 통해 외부 전원이 인가시 일측 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전극(112)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발열하는 면상발열체(110)의 양 측면에 상기 면상발열체(110)을 전체적으로 감싸 공급된 전원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절연재(120)와,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공기정화부재(132)가 분말 형태로 합침 가공된 직물지(1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열에 의해 압착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재(132)는 그 자체가 공기정화 능력을 갖는 수정, 토르마린, 일라이트, 옥 및 맥반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벽걸이형 난방기구.
KR2020060025912U 2006-09-26 2006-09-26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기구 KR200433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912U KR200433596Y1 (ko) 2006-09-26 2006-09-26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912U KR200433596Y1 (ko) 2006-09-26 2006-09-26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596Y1 true KR200433596Y1 (ko) 2006-12-11

Family

ID=4178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912U KR200433596Y1 (ko) 2006-09-26 2006-09-26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5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10B1 (ko) * 2014-04-14 2014-09-22 박광수 탄소섬유 면상발열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10B1 (ko) * 2014-04-14 2014-09-22 박광수 탄소섬유 면상발열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7485B2 (ja) 赤外線電熱架空発熱床板
KR101610307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찜질방 내부면 구조체
KR200475691Y1 (ko) 급속 가열이 가능한 찜질방
KR20190027478A (ko)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KR101173290B1 (ko) 빨래 건조실 겸용 개인용 사우나
KR200459079Y1 (ko) 건식 반신욕기
KR20200029728A (ko) 황토침대
KR200461634Y1 (ko) 건식 족욕기
KR200433596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난방기구
WO2017159967A1 (ko) 양자 에너지와 음이온 방사 온열장치
KR200456157Y1 (ko) 휴대용 찜질기
KR100950294B1 (ko) 원적외선 면상발열체가 구비된 온열섬유장판
KR200466006Y1 (ko) 휴대용 전기 찜질기
CN201342072Y (zh) 电气石汗蒸房
JP2007296165A (ja) 岩塩浴装置
KR20210076250A (ko) 황토패널이 포함된 냉난방판넬
KR101099554B1 (ko) 원적외선 전기 히터
KR200463988Y1 (ko) 참숯이 내장된 황토패널을 이용한 찜질 및 난방장치
KR102349179B1 (ko) 세라믹 사우나 장치
KR200307029Y1 (ko) 토르마린을 이용한 가습기 겸 전기난방장치
KR200280721Y1 (ko) 간이 사우나
KR101102583B1 (ko) 휴대용 온열기
KR101110757B1 (ko) 관형 원적외선 히터
CN208088887U (zh) 一种可释放水负离子的汗蒸房
RU2200808C1 (ru) Способ отопления помещ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