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725A -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725A
KR20160036725A KR1020140128291A KR20140128291A KR20160036725A KR 20160036725 A KR20160036725 A KR 20160036725A KR 1020140128291 A KR1020140128291 A KR 1020140128291A KR 20140128291 A KR20140128291 A KR 20140128291A KR 20160036725 A KR20160036725 A KR 20160036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transmission
data
network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252B1 (ko
Inventor
강지명
김영선
오휘명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28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2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9Details regarding a bus mas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43Bus networks involving priority mechanisms
    • H04L12/4015Bus networks involving priority mechanisms by scheduling the transmission of messages at the communication node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브 마스터 노드가,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전송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상기 서브 전송 경로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송하지 않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마스터 노드가, 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송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장애 발생에 따른 전송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속히 전송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TO PLURALITY OF NODES}
본 발명은 산업용 대량 객체 데이터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복수의 노드로 전송 시 특정 노드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원활히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용 대량 객체 데이터 전송 기술은 'Industrial Ethernet'를 기반으로 하는 30여개의 산업용 이더넷 시스템 중, 기술적인 측면, 표준화 상태 및 전략적 시장을 고려하여 PROFINET(RT, IRT), POWERLINK, EtherNet/IP, EtherCAT과 SERCOS ?등이 각광받고 있으나, 시스템 제어를 위한 데이터 전송 기술 개발은 난이도가 높아 기술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Industrial Ethernet'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Ethernet 전송 방식은 구성의 용이함과 확장성의 강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제어데이터와 같은 소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를 추가해야 하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용 이더넷 기술의 시장 확대는 산업 설비 자동화에 따른 이더넷 기반의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결과로, 지속적인 이더넷 기술의 시장 지배를 예측할 수 있으나, 최근 산업용 이더넷 기반의 데이터 전송 기술은 기술적 한계에 다다르고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량 객체 데이터 전송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차세대 전력망이 발달함에 따라 복수의 노드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실시간으로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시점이다.
일본공개특허 제4107110호, 2008년 04월 11일 등록(명칭: FIELD BUS SYSTEM, CNNECION CONFIRMING METHOD, MASTER AND SLAVE)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온 더 플라이(on the fly) 방식으로 전송 경로에 위치한 복수의 노드를 제어하기 위해, 메인 네트워크와 서브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구조에서 특정 서브 그룹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다른 서브 네트워크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전송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상기 서브 전송 경로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송하지 않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서브 마스터 노드; 및 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마스터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상기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서브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된 전송 데이터를 상기 서브 전송 경로를 통해 전달하고,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에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 발생을 알리는 응답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브 마스터 노드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마스터 노드에서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하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전송 메시지를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달하지 않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는, 선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선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와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한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메시지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내의 메인 전송 경로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부터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부터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메시지는 특정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메인 전송 경로 상의 하나 이상의 다음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노드에서의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마스터 노드에서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브 전송 경로를 거쳐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달하지 않고, 상기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에서의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선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와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한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네트워크 구성 정보 및 전송 정보를 추가한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메시지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내의 메인 전송 경로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다음 서브 마스터 노도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메시지는 특정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메인 전송 경로 상의 하나 이상의 다음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복수의 노드로 전송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달에서 전달되도록 하되, 장애가 발생 시 장애가 발생한 서브 네트워크를 제외하고 다른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서브 네트워크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장애 발생에 따른 전송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신속히 전송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 더 플라이 방식을 적용하여 전송 데이터를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에 전송함으로써, 각 슬레이브 노드에 전송 데이터를 전달 시 기존의 polling, time slicing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어 주기가 감소될 수 있어, 보다 빠른 속도로 슬레이브 노드들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 더 플라이 방식을 적용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마스터 노드에서 복수의 노드로 전송되는 전송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슬레이브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서브 마스터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특정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의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 발생 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산업용 대량 객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마스터 노드(100),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200) 및 서브 마스터 노드(3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마스터 노드(100)는 산업 현장에 설치된 대량의 노드로서, 전력 공급 설비(직류를 이용해 교류 만듦), 구동 제어 장치, 제조 설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스터 노드(100)는 산업 현장에서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200)를 제어하기 위한 객체로서, 온 더 플라이 방식으로, 전송 경로(메인 전송 경로 및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200)를 제어하기 위한 전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노드(100)는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여 전송 메시지에 실어 전송 경로를 따라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200)를 순차적으로 거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노드(100)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메시지를 온 더 플라이 방식으로 제어 주기 동안 메인 전송 경로 상의 서브 네트워크 내의 서브 마스터 노드들(300)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전송 메시지는 메인 전송 경로 상의 서브 네트워크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다시 마스터 노드(10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노드(100)로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는 각 노드의 응답 정보 등을 포함한 새로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슬레이브 노드(200)는 산업 현장에 설치된 전송 경로 상의 대량의 객체로서, 전력 공급 설비(직류를 이용해 교류 만듦), 구동 장치, 제조 설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슬레이브 노드(200)는 서브 네트워크 내의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하고, 서브 마스터 노드(200) 또는 이전 슬레이브 노드(200)로부터 전달된 전송 데이터 프레임을 분석하여 자신의 정보(전송 정보)를 취한 후, 자신의 정보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고, 전송 데이터 프레임을 다음 슬레이브 노드(200) 또는 자신의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마스터 노드(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자신의 정보 즉, 전송 정보는 제어 정보, 업데이트 정보, 실행 정보 및 요청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노드(200)는 서브 네트워크 내에 장애가, 장애 발생을 알리는 응답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슬레이브 노드(200)는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부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서브 마스터 노드(300)는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슬레이브 노드들 중 하나로서,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마스터 노드(300)는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전송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마스터 노드(300)는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서브 전송 경로 상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200)로 전송하지 않고,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노드(100)에서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200)로 전송되는 전송 메시지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은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200)로 전송할 전송 메시지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포함한 8바이트(Byte)의 헤더, 가변적인 길이를 갖는 데이터, 4바이트(Byte)의 오류체크(CRC) 및 12 바이트(Byte)의 'Interframe Gap'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영역에는 각 노드로 전송할 전송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그램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 노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그램은 각 노드에서 추출되고, 해당 영역에 대신 응답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헤더 및 오류체크(CRC) 등의 데이터 프레임의 각 영역의 크기는 상술한 크기에 고정된 것이 아닌,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노드(100),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200) 및 서브 마스터 노드(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마스터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노드(100)는 제어부(110), 데이터 송수신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20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데이터를 전송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데이터 처리 모듈(111) 및 데이터 프레임 생성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모듈(111)은 전송 경로를 따라 노드들을 순차적으로 거쳐 전송되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처리하여 장애가 발생한 서브 네트워크 즉, 슬레이브 노드(200)를 확인하여 장애 복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 모듈(111)은 마스터 노드(100)와 하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선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와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200)를 포함한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 모듈(111)은 전송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 (200)중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300)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 모듈(111)은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메시지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내의 메인 전송 경로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부터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 생성 모듈(112)은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 모듈(111)에서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고,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데이터 송수신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120)는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 메시지에 실어 메인 전송 경로에 위치한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부터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120)는 특정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특정 서브 네트워크 내의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부터 전송된 장애 발생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마스터 노드(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생성된 전송 정보, 네트워크 구성 정보 및 수신된 응답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슬레이브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슬레이브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200)는 데이터 송수신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및 동작 수행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메인 전송 경로 상에서 순차적으로 전송된 전송 메시지를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프레임을 데이터 처리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전송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 후 동작 결과, 현재 상태 또는 요청된 정보 등에 대한 응답 정보가 추가된 데이터 프레임을 데이터 처리부(220)로부터 전달받아 이를 전송 메시지에 실어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슬레이브 노드(200) 또는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서브 네트워크 상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 발생 정보가 추가된 응답 데이터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데이터 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전송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전송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신의 정보(전송 정보)만을 추출하여 동작 수행부(230)로 추출한 자신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20)는 전송 정보에 따른 동작 수행에 대한 결과, 요청에 따른 응답 또는 현재 상태 등의 응답 정보를 데이터 프레임에 추가하고, 데이터 프레임을 데이터 송수신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220)는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 발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장애 발생 정보를 포함한 응답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데이터 송수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수행부(230)는 슬레이브 노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수행부(230)는 데이터 처리부(220)로부터 전달된 전송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수행부(230)는 동작 수행에 따른 결과 및 요청에 따른 응답 정보 및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파악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데이터 처리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서브 마스터 노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마스터 노드(300)는 데이터 송수신부(310), 데이터 처리부(320), 동작 수행부(330) 및 저장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전송 경로 상에서 순차적으로 전송된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프레임을 데이터 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200)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하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 장애가 발생 시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슬레이브 노드(2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데이터 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자신의 노드가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20)에서 특정 슬레이브 노드(200)에서 장애가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특정 슬레이브 노드(200) 이전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200)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장애 여부를 확인하고, 전송 메시지를 서브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200)로 전달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320)는 확인된 응답 메시지를 마스터 노드(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전송 데이터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자신의 정보만을 취하고, 취한 자신의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 수행부(330)로 취한 자신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320)는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거쳐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 내의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320)는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320)는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거쳐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응답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응답 데이터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마스터 노드(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동작 수행부(330)는 서브 마스터 노드(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서브 마스터 노드(300)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수행부(330)는 데이터 처리부(320)로부터 전달된 전송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수행부(330)는 동작 수행에 따른 결과 및 요청에 따른 응답 정보 및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파악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데이터 처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서브 마스터 노드(3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수신된 전송 정보, 동작 수행 결과 정보 및 서브 네트워크 내의 슬레이브 노드(200)로부터 수신된 응답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3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복수의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101단계에서 마스터 노드(100)는 메인 전송 경로 및 서브 전송 경로를 따라 슬레이브 노드들(200)(서브 마스터 노드(300) 포함)을 순차적으로 거쳐 전송되는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한다.
그런 다음 1102단계에서 마스터 노드(100)는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한 전송 메시지를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에 위치한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 메시지는 메인 전송 경로에 위치한 서브 마스터 노드들(300)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각 서브 마스터 노드(300)에서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200)로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103단계에서 서브 마스터 노드(100)는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마스터 노드(100)에서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자신의 정보만을 취하여 자신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1104단계에서 서브 마스터 노드(100)는 서브 네트워크(제1 서브 넷)를 통해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200)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1105단계에서 서브 마스터 노드(100)로부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 슬레이브 노드(200)는 전송 메시지에서 자신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신의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1106단계에서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슬레이브 노드(200)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1107단계에서 슬레이브 노드(200)는 다음 슬레이브 노드(200)로의 전송 메시지 전송이 실패하면, 서브 마스터 노드(100)로 전송 메시지 전송 실패를 알리는 전송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1104단계 내지 1107단계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과 달리, 서브 마스터 노드(100)는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전송 메시지 전송 주기와 별도로 서브 네트워크 내의 슬레이브 노드들(200)로 상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 마스터 노드(100)는 슬레이브 노드들(200)로부터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통해 서브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108단계에서 서브 마스터 노드(100)는 장애가 발생한 슬레이브 노드(200) 또는 서브 네트워크 내 슬레이브 노드들(200)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바로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제2 서브 넷) 내의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상술한 서브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서브 마스터 노드(100)는 서브 전송 경로 상을 거쳐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다음 서브 네트워크 내의 서브 마스터 노드(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109단계 내지 1114단계에서 다음 서브 마스터 노드(300)는 이전 서브 마스터 노드(3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1115단계에서 서브 전송 경로를 거쳐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 또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를 다음 서브 마스터 노드(300) 또는 마스터 노드(100)로 전송한다.
마스터 노드(100)로 전송 메시지가 되돌아온 경우, 1116단계에서 마스터 노드(100)는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응답 데이터를 확인하여 확인된 응답 데이터를 처리하고, 장애가 발생한 서브 네트워크가 존재하면, 해당 서브 네트워크 내의 장애를 확인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복수의 노드로 전송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달에서 전달되도록 하되, 장애가 발생 시 장애가 발생한 서브 네트워크를 제외하고 다른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서브 네트워크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장애 발생에 따른 전송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신속히 전송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 더 플라이 방식을 적용하여 전송 데이터를 대량 노드에 전송함으로써, 각 노드에 전송 데이터를 전달 시 기존의 polling, time slicing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어 주기가 감소될 수 있어, 보다 빠른 속도로 슬레이브 노드들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마스터 노드 110: 제어부
111: 데이터 처리 모듈 112: 데이터 프레임 생성 모듈
120: 데이터 송수신부 130: 저장부
200: 슬레이브 노드 210: 데이터 송수신부
220: 데이터 처리부 230: 동작 수행부
300: 서브 마스터 노드 310: 데이터 송수신부
320: 데이터 처리부 330: 동작 수행부
340: 저장부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전송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상기 서브 전송 경로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송하지 않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서브 마스터 노드; 및
    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마스터 노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서브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된 전송 데이터를 상기 서브 전송 경로를 통해 전달하고,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에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 발생을 알리는 응답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브 마스터 노드로 전송하는 슬레이브 노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3.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마스터 노드에서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하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및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하여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전송 메시지를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달하지 않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전송 데이터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자신의 정보만을 취하고, 취한 자신의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거쳐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 내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마스터 노드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상기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거쳐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응답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응답 데이터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특정 슬레이브 노드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슬레이브 노드 이전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여 확인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노드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9. 선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선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와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한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메시지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내의 메인 전송 경로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부터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부터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메시지는 특정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메인 전송 경로 상의 하나 이상의 다음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 및 상기 서브 마스터 노드 및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가 추가된 전송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 데이터 영역, 헤더 영역 및 오류 체크 영역으로 형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구성하고,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전송 메시지에 실어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12. 메인 네트워크를 통해 마스터 노드에서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서브 네트워크를 통해 서브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전송 경로를 거쳐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인 네트워크의 메인 전송 경로 상에 위치한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달하지 않고, 상기 다음 서브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에서의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전송 데이터에 자신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자신의 정보만을 취하고, 취한 자신의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마스터에서의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4. 마스터 노드와 선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선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와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를 포함한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네트워크 구성 정보 및 전송 정보를 추가한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메시지를 상기 메인 네트워크 내의 메인 전송 경로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다음 서브 마스터 노도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메시지는 특정 서브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서브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노드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메인 전송 경로 상의 하나 이상의 다음 서브 네트워크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 전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노드에서의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마스터 노드로부터 되돌아온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노드에서의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KR1020140128291A 2014-09-25 2014-09-25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61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291A KR101615252B1 (ko) 2014-09-25 2014-09-25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291A KR101615252B1 (ko) 2014-09-25 2014-09-25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725A true KR20160036725A (ko) 2016-04-05
KR101615252B1 KR101615252B1 (ko) 2016-04-27

Family

ID=5580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291A KR101615252B1 (ko) 2014-09-25 2014-09-25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2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81608A (zh) * 2023-08-17 2023-09-19 中移信息系统集成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7110A (ja) 1990-08-29 1992-04-08 Hitachi Chem Co Ltd 表皮付きパッドの製造方法
KR20070088338A (ko) * 2006-02-24 2007-08-29 아락사라 네트워크 가부시키가이샤 링 네트워크 및 마스터 노드
JP2009005053A (ja) * 2007-06-21 2009-01-08 Nec Corp パケット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パケット転送方法
KR20140021304A (ko) * 2012-08-10 2014-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7110A (ja) 1990-08-29 1992-04-08 Hitachi Chem Co Ltd 表皮付きパッドの製造方法
KR20070088338A (ko) * 2006-02-24 2007-08-29 아락사라 네트워크 가부시키가이샤 링 네트워크 및 마스터 노드
JP2009005053A (ja) * 2007-06-21 2009-01-08 Nec Corp パケット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パケット転送方法
KR20140021304A (ko) * 2012-08-10 2014-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81608A (zh) * 2023-08-17 2023-09-19 中移信息系统集成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6781608B (zh) * 2023-08-17 2023-11-21 中移信息系统集成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252B1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3536B2 (en) Distribution node, autom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al-time-relevant and non-real-time-relevant data packets
CN103004143B (zh) 一种传送帧的方法和通信网络
JP2016511978A (ja) ネットワーク仮想化のデータ伝送のための方法、デバイス、及びルーティングシステム
CN103944828A (zh) 一种协议报文的传输方法和设备
WO2018049545A1 (zh) Sdn中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CN104518973A (zh) 一种基于sdn环境的数据的可靠组播传输方法
KR102271639B1 (ko) Avb 스트림의 모듈식 배향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1483571B (zh) 一种rrpp的配置方法、系统及设备
JP2016005247A (ja) ネットワーク伝送システム、そのマスタノード、スレーブノード
KR101576050B1 (ko) 복수 노드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179431B1 (ko) 이더캣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US10182001B2 (en) Method for cross-trafficking between two slaves of an annular data network
US10389806B2 (en) Method for asynchronous data communication in a real-time capable ethernet data network
KR101615252B1 (ko)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ES2250056T3 (es) Procedimiento combinado de comunicacion maestro /esclavo-productor/consumidor para una red.
KR101615259B1 (ko) 복수의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EP33311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imple device replacement in a class a (cca) network
KR101623076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복수의 노드를 통합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210311A1 (zh) 以太总线交换机、以太总线架构以及数据通讯方法
Aristova Ethernet in industrial automation: Overcoming obstacles
US11522762B2 (en) Coord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application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time-critical data
KR101544592B1 (ko) 능동적 큐 할당 방식의 고가용성 분산임베디드 네트워크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07273B1 (ko) 복수의 노드를 제어 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umar et al. A Study on the Suitability of Ethernet/IP and EtherCAT for Industrial Time Critical Applications
KR101442567B1 (ko) 링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프레임기반 라우팅을 이용한 프레임 무손실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