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403A - 다단식 기름 분리기 - Google Patents

다단식 기름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403A
KR20160036403A KR1020140128621A KR20140128621A KR20160036403A KR 20160036403 A KR20160036403 A KR 20160036403A KR 1020140128621 A KR1020140128621 A KR 1020140128621A KR 20140128621 A KR20140128621 A KR 20140128621A KR 20160036403 A KR20160036403 A KR 20160036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eparation
oil
separa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380B1 (ko
Inventor
천관석
조동인
김원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3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다단식 기름 분리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혼합 유체를 이송하는 유입관; 상기 혼합 유체가 유입되어 비중 차이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분리조; 상기 제1 분리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중력에 의해 유입되고, 상기 제1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비중 차이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분리조; 상기 제2 분리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상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비중 차이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분리조 및 상기 제2 분리조의 하부 분리 유체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유입되는 제3 분리조; 상기 제3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를 배출하는 기름 배출관; 및 상기 제3 분리조의 하부 분리 유체를 배출하는 물 배출관을 포함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식 기름 분리기{MULTIPLE-STAGE OIL SEPARATORS}
본 발명은 다단식 기름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는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로써, 해상에 부유한 상태로 해저에서 기름을 채굴한 후 이를 저장 및 하역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다. 한편, 해저에서 채굴된 기름은 해수와 혼합된 상태로 FPSO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FPSO의 상부에는 기름과 해수를 분리할 수 있는 탑 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름과 해수를 분리할 수 있는 기름 분리 장치는 FPSO뿐만 아니라 드릴십(drillship)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2252호(2013. 09. 17, 시추선의 드레인 처리장치 및 이를 갖는 시추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혼합 유체, 예를 들어 물과 기름의 혼합 유체가 복수의 분리조를 차례로 거치면서 물과 기름으로 분리 배출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혼합 유체를 이송하는 유입관; 상기 혼합 유체가 유입되어 비중 차이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분리조; 상기 제1 분리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중력에 의해 유입되고, 상기 제1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비중 차이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분리조; 상기 제2 분리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상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비중 차이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분리조 및 상기 제2 분리조의 하부 분리 유체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유입되는 제3 분리조; 상기 제3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를 배출하는 기름 배출관; 및 상기 제3 분리조의 하부 분리 유체를 배출하는 물 배출관을 포함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조의 상부와 상기 제2 분리조를 연결하는 제1 기름 이송관; 및 상기 제1 분리조의 하부와 상기 제3 분리조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물 이송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조에서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센서; 및 상기 제1 물 이송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위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개폐되는 제1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리조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는 제2 위어(weir); 상기 제2 위어에 의해 상기 제1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제2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를 상기 제3 분리조의 상부로 이송하는 제2 기름 이송관; 및 상기 제2 분리조의 하부와 상기 제3 분리조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 물 이송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리조에서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센서; 및 상기 제2 물 이송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위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개폐되는 제2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름 이송관에 설치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름 이송관의 출구 단은 상기 제3 분리조의 내부로 수평 연장되어, 상부에는 복수의 기름 배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복수의 물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분리조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는 제3 위어(weir)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름 배출관은 상기 제3 위어에 의해 상기 제2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제3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3 분리조의 하부 분리 유체에서 기름을 검출하는 기름 검출 센서; 상기 물 배출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분리조의 하부로 연결되는 반송관; 및 상기 물 배출관 및 상기 반송관에 설치되어, 상기 기름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개폐되는 밸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혼합 유체가 복수의 분리조를 차례로 거치면서 물과 기름의 분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분리조에서 배출되는 하부 분리 유체, 예를 들어 물은 최종 분리조에서 다시 한 번 물과 소량의 기름으로 분리됨으로써, 물이 기름 함유 상태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기름 분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기름 분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기름 분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기름 분리기(10)는 유입관(100), 제1 분리조(200), 제2 분리조(300), 제3 분리조(400), 기름 배출관(500) 및 물 배출관(6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관(100)은 혼합 유체, 예를 들어 물과 기름의 혼합 유체를 이송할 수 있다.
유입관(100)은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드릴십(drillship) 등의 원유 생산 설비의 라이저(riser) 또는 이에 연결되는 배관일 수 있다. 이 경우, 물은 채굴 과정에서 유입된 해수일 수 있고, 기름은 해저에서 채굴된 원유일 수 있다.
유입관(100)은 제1 분리조(2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분리조(200)는 유입관(100)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 유체가 비중 차이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분리조(200)로 유입되는 혼합 유체는 제1 분리조(200)의 내부 공간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상부 분리 유체와 하부 분리 유체로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제1 분리조(200)에서 혼합 유체의 상부로 분리되는 유체를 제1 상부 분리 유체라 하고, 혼합 유체의 하부로 분리되는 유체를 제1 하부 분리 유체라 한다. 제1 상부 분리 유체는 기름에 물이 일부 포함된 유체일 수 있고, 제1 하부 분리 유체는 물에 기름이 일부 포함된 유체일 수 있다.
제1 상부 분리 유체는 제1 기름 이송관(210)을 통해 제2 분리조(300)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기름 이송관(210)은 제1 분리조(200)의 상부와 제2 분리조(300), 예를 들어 제2 분리조(300)의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하부 분리 유체는 제1 물 이송관(220)을 통해 제3 분리조(400)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물 이송관(220)은 제1 분리조(200)의 하부와 제3 분리조(400)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분리조(200)에는 제1 수위센서(2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위센서(230)는 제1 분리조(200)에서 제1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물 이송관(220)에는 제1 개폐밸브(2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개폐밸브(240)는 제1 수위센서(23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1 물 이송관(22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폐밸브(240)는, 제1 수위센서(230)에서 감지된 제1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가 기 설정값 이하이면, 제1 물 이송관(220)을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상부 분리 유체 또는 제1 하부 분리 유체 중 제1 상부 분리 유체와의 계면에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기름 함량이 높은 유체가 제1 물 이송관(220)을 통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개폐밸브(240)를 폐쇄하는 기준이 되는 제1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는 제1 물 이송관(220)의 입구 높이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분리조(300)는 제1 분리조(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분리조(200)에서 제1 기름 이송관(210)을 통해 배출되는 제1 상부 분리 유체는 펌프 작용 없이도 중력에 의해 제2 분리조(300)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분리조(300)에는 제2 위어(weir)(31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위어(310)는 제2 분리조(300)의 내부 저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제2 분리조(300)의 하부 공간을 제1 공간(301) 및 제2 공간(303)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공간(301)에는 제1 기름 이송관(210)을 통해 이송되는 제1 상부 분리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상부 분리 유체는 제1 공간(301)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상부 분리 유체와 하부 분리 유체로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제1 공간(301)에서 제1 상부 분리 유체의 상부로 분리되는 유체를 제2 상부 분리 유체라 하고, 제1 상부 분리 유체의 하부로 분리되는 유체를 제2 하부 분리 유체라 한다. 제2 상부 분리 유체는 기름에 제1 상부 분리 유체보다 적은 물이 일부 포함된 유체일 수 있고, 제2 하부 분리 유체는 물에 기름이 일부 포함된 유체일 수 있다.
제2 위어(310)는 제2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보다 큰 높이로 형성되어 제2 상부 분리 유체를 제1 상부 분리 유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상부 분리 유체는 제2 위어(310)를 넘어 제2 공간(303)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공간(303)의 제2 상부 분리 유체는 제2 기름 이송관(320)을 통해 제3 분리조(400)로 이송될 수 있다.
제2 기름 이송관(320)은 제2 공간(303)과 제3 분리조(400)의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기름 이송관(320)에는 히터(330)가 설치될 수 있다.
히터(330)는 제2 기름 이송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제2 상부 분리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2 기름 이송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제2 상부 분리 유체에 포함된 기름은 상층류를 형성하고 제2 상부 분리 유체에 일부 포함된 물은 하층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히터(330)는 제2 기름 이송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제2 상부 분리 유체의 유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기름 이송관(320)의 출구 단은 제3 분리조(400)의 내부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제2 기름 이송관(320)의 출구 단 상부에는 복수의 기름 배출공(32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복수의 물 배출공(3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상부 분리 유체가 제2 기름 이송관(320)을 통해 이송되면서 형성된 상층류는 기름 배출공(321)을 통해 제3 분리조(400)의 상부 측으로 배출될 수 있고, 하층류는 물 배출공(323)을 통해 제3 분리조(400)의 하부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공간(301)의 제2 하부 분리 유체는 제2 물 이송관(340)을 통해 제3 분리조(400)로 이송될 수 있다.
제2 물 이송관(340)은 제1 공간(301)의 하부와 제3 분리조(400)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분리조(300)에는 제2 수위센서(3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위센서(350)는 제1 공간(301)에서 제2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물 이송관(340)에는 제2 개폐밸브(36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개폐밸브(360)는 제2 수위센서(35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2 물 이송관(34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폐밸브(360)는, 제2 수위센서(350)에서 감지된 제2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가 기 설정값 이하이면, 제2 물 이송관(340)을 폐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상부 분리 유체 또는 제2 하부 분리 유체 중 제2 상부 분리 유체와의 계면에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기름 함량이 높은 유체가 제2 물 이송관(340)을 통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개폐밸브(360)를 폐쇄하는 기준이 되는 제2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는 제2 물 이송관(340)의 입구 높이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제3 분리조(400)는 제2 분리조(3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분리조(200)에서 제1 물 이송관(220)을 통해 배출되는 제1 하부 분리 유체, 제2 분리조(300)에서 제2 기름 이송관(320)을 통해 배출되는 제2 상부 분리 유체 및 제2 분리조(300)에서 제2 물 이송관(340)을 통해 배출되는 제2 하부 분리 유체는 펌프 작용 없이도 중력에 의해 제3 분리조(400)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2 기름 이송관(320)에는 히터(330) 설치 및 제2 기름 이송관(320)의 출구 단 형상 등으로 인해 증가된 유체 저항을 고려하여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분리조(400)에는 제3 위어(weir)(410)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위어(410)는 제3 분리조(400)의 내부 저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제3 분리조(400)의 하부 공간을 제3 공간(401) 및 제4 공간(403)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3 공간(401)의 상부에는 제2 기름 이송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제2 상부 분리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제2 상부 분리 유체는 제3 공간(401)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상부 분리 유체와 하부 분리 유체로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제3 공간(401)에서 제2 상부 분리 유체의 상부로 분리되는 유체를 제3 상부 분리 유체라 하고, 제2 상부 분리 유체의 하부로 분리되는 유체를 제3 하부 분리 유체라 한다. 제3 상부 분리 유체는 기름에 제2 상부 분리 유체보다 적은 물이 일부 포함된 유체일 수 있고, 제3 하부 분리 유체는 물에 기름이 일부 포함된 유체일 수 있다.
제3 위어(410)는 제3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보다 큰 높이로 형성되어 제3 상부 분리 유체를 제2 상부 분리 유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상부 분리 유체는 제3 위어(410)를 넘어 제4 공간(403)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4 공간(403)의 제3 상부 분리 유체는 기름 배출관(500)을 통해 제3 분리조(4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3 공간(401)의 하부에는 제1 물 이송관(220)을 통해 이송되는 제1 하부 분리 유체와 제2 물 이송관(340)을 통해 이송되는 제2 하부 분리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하부 분리 유체 및 제2 하부 분리 유체에 일부 포함된 기름은 제3 공간(401)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제3 상부 분리 유체로 유입되어 분리될 수 있다.
제3 공간(401)의 제3 하부 분리 유체는 물 배출관(600)을 통해 제3 분리조(4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기름 배출관(500)은 제4 공간(403)과 기름 저장 탱크를 연결할 수 있다.
기름 배출관(500)에는 제3 상부 분리 유체의 이송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물 배출관(600)은 제3 공간(401)에 연결되어, 제3 공간(401)에서 배출되는 제3 하부 분리 유체를 다단식 기름 분리기(10) 또는 선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물 배출관(600)에는 기름 검출 센서(610)가 설치될 수 있다.
기름 검출 센서(610)는 물 배출관(600)을 통해 배출되는 제3 하부 분리 유체에서 기름을 검출할 수 있다.
물 배출관(600)에서는 반송관(620)이 분기될 수 있다.
반송관(620)은 기름 검출 센서(610)의 하류 측의 물 배출관(610)에서 분기되어 제2 분리조(300)의 하부, 구체적으로는 제1 공간(301)의 하부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물 배출관(610)에서 분기된 반송관(620)과 제1 공간(301)의 하부로 연결되는 반송관(620)이 도면부호 ①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 배출관(600) 및 반송관(620)에는 기름 검출 센서(610)의 검출 결과에 따라 물 배출관(600) 및 반송관(62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는 물 배출관(600)에 설치되는 제3 개폐밸브(630) 및 반송관(620)에 설치되는 제4 개폐밸브(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폐밸브(630)는 반송관(620)의 분기 지점보다 하류 측의 물 배출관(6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개폐밸브(630)는 물 배출관(61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제4 개폐밸브(640)는 반송관(6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4 개폐밸브(640)는 반송관(62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물 배출관(600)에는 제3 하부 분리 유체의 이송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름 검출 센서(610)가 물 배출관(600)을 통해 배출되는 제3 하부 분리 유체에서 기름을 검출하면, 제3 개폐밸브(630)는 물 배출관(610)을 폐쇄하고, 제4 개폐밸브(640)는 반송관(620)을 개방함으로써, 물 배출관(600)을 통해 배출되는 제3 하부 분리 유체를 제2 분리조(300)로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기름 분리기(10)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드릴십(drillship) 등의 원유 생산 설비의 탑 사이드(top side)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기름 분리기(10)는 일체화된 구조로 인하여 탑 사이드에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기름 분리기(10)에 포함되는 펌프 및 각종 밸브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기름 분리기(10)는 리퀴드 머드(liquid mud), 가스(gas) 등의 상 분리에도 응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다단식 기름 분리기 100: 유입관
200: 제1 분리조 210: 제1 기름 이송관
220: 제1 물 이송관 230: 제1 수위센서
240: 제1 개폐밸브 300: 제2 분리조
301: 제1 공간 303: 제2 공간
310: 제2 위어 320: 제2 기름 이송관
321: 기름 배출공 323: 물 배출공
330: 히터 340: 제2 물 이송관
350: 제2 수위센서 360: 제2 개폐밸브
400: 제3 분리조 401: 제3 공간
403: 제4 공간 410: 제3 위어
500: 기름 배출관 600: 물 배출관
610: 기름 검출 센서 620: 반송관
630: 제3 개폐밸브 640: 제4 개폐밸브

Claims (8)

  1. 혼합 유체를 이송하는 유입관;
    상기 혼합 유체가 유입되어 비중 차이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분리조;
    상기 제1 분리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중력에 의해 유입되고, 상기 제1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비중 차이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분리조;
    상기 제2 분리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상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가 비중 차이에 의해 상하로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분리조 및 상기 제2 분리조의 하부 분리 유체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유입되는 제3 분리조;
    상기 제3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를 배출하는 기름 배출관; 및
    상기 제3 분리조의 하부 분리 유체를 배출하는 물 배출관을 포함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조의 상부와 상기 제2 분리조를 연결하는 제1 기름 이송관; 및
    상기 제1 분리조의 하부와 상기 제3 분리조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물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조에서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수위센서; 및
    상기 제1 물 이송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위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개폐되는 제1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조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는 제2 위어(weir);
    상기 제2 위어에 의해 상기 제1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제2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를 상기 제3 분리조의 상부로 이송하는 제2 기름 이송관; 및
    상기 제2 분리조의 하부와 상기 제3 분리조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 물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조에서 하부 분리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센서; 및
    상기 제2 물 이송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위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개폐되는 제2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름 이송관에 설치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름 이송관의 출구 단은 상기 제3 분리조의 내부로 수평 연장되어, 상부에는 복수의 기름 배출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복수의 물 배출공이 형성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분리조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는 제3 위어(weir)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름 배출관은 상기 제3 위어에 의해 상기 제2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제3 분리조의 상부 분리 유체를 배출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3 분리조의 하부 분리 유체에서 기름을 검출하는 기름 검출 센서;
    상기 물 배출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분리조의 하부로 연결되는 반송관; 및
    상기 물 배출관 및 상기 반송관에 설치되어, 상기 기름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개폐되는 밸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다단식 기름 분리기.
KR1020140128621A 2014-09-25 2014-09-25 다단식 기름 분리기 KR101652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21A KR101652380B1 (ko) 2014-09-25 2014-09-25 다단식 기름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621A KR101652380B1 (ko) 2014-09-25 2014-09-25 다단식 기름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03A true KR20160036403A (ko) 2016-04-04
KR101652380B1 KR101652380B1 (ko) 2016-08-30

Family

ID=5579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621A KR101652380B1 (ko) 2014-09-25 2014-09-25 다단식 기름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3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226Y1 (ko) * 1978-02-03 1982-03-09 기무라 사다아끼 유수 분리기
KR20090109076A (ko) * 2009-09-22 2009-10-19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저비중세척액을 이용한 변기장치 및 그 변기장치의 분리조에 담긴 분뇨와 세척액을 분리 배출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226Y1 (ko) * 1978-02-03 1982-03-09 기무라 사다아끼 유수 분리기
KR20090109076A (ko) * 2009-09-22 2009-10-19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저비중세척액을 이용한 변기장치 및 그 변기장치의 분리조에 담긴 분뇨와 세척액을 분리 배출시키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380B1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44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s-liquid separation
US10837261B2 (en) Inlet-outlet system and method for subsea storage
US8657940B2 (en) Separation and capture of liquids of a multiphase flow
EA037695B1 (ru) Разделение нефти, воды, газа и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при добыче нефти и/или газа
US20150260026A1 (en) Split Flow Pipe Separator
NO311814B1 (no)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utvinning av olje
US201302206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s liquid separation in oil and gas drilling operations
WO2002099249A1 (en) Discharging sand from a vessel at elevated pressure
US20110259430A1 (en) Separ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gas by-pass of a liquid pump in a production system
WO2011073203A1 (en) Separating multiphase effluents of an underwater well
KR101652380B1 (ko) 다단식 기름 분리기
US997506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oil from a fluid mixture
US20140318763A1 (en) System for the continuous circulation of produced fluids from a subterranean formation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DK3105414T3 (en)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liquid and gas flowing through a multiphase tube
KR20130075213A (ko) 유수분리용 세틀링탱크가 구비된 선박
CA2937392C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oil from a fluid mixture
KR102203738B1 (ko)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탑사이드 분리기 시스템
KR101824396B1 (ko) 다상 혼합물 분리장치
KR20170076326A (ko) 선박의 슬러그 제어 방법 및 슬러그 제어 시스템
AU2009217851B2 (en) Separation and capture of liquids of a multiphase flow
BRPI0903055B1 (pt) Separador gravitacional de água de fundo de poç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