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533A - Up and down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EMI-shielding lay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Up and down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EMI-shielding lay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533A
KR20160035533A KR1020150015796A KR20150015796A KR20160035533A KR 20160035533 A KR20160035533 A KR 20160035533A KR 1020150015796 A KR1020150015796 A KR 1020150015796A KR 20150015796 A KR20150015796 A KR 20150015796A KR 20160035533 A KR20160035533 A KR 20160035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ed
shielding film
tray
target
de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04164B1 (en
Inventor
홍상진
남창우
유충곤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6003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5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1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4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foil, film, plating coating, electro-deposition, vapour-deposition

Abstract

Disclosed are a fabrication method of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and a device thereof. The device to form the shielding film comprises: a chamber body; a target module arranged in the chamber body, including at least one magnet unit which generates a magnetic field; and an elevation member which elevates an object subject to be coated, separating the object from a conveying tray when forming a shielding film on at least one of an upper face and sides of the object with respect to sputtering the target module.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prevent peeling in advance, and is able to form a shielding film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a chip.

Description

승강 부재, 이를 이용하는 전자파 차단 차폐막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Up and down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EMI-shielding layer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I shielding layer forming method and a method of forming an EMI shielding lay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파 차단 차폐막 형성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A method of forming an EMI shielding film and an apparatus therefor are disclosed.

스퍼터링 장치는 증착 공정을 위해 타겟을 스퍼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39856호 등과 같이 많은 스퍼터링 장치가 존재하나, 타겟의 수명이 짧고 피증착물의 증착 두께 편차가 심한 경우가 대다수이다.The sputtering apparatus refers to a device for sputtering a target for a deposition proces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39856 and the like, there are many sputtering apparatuses, but a majority of the cases in which the lifetime of the target is short and the deposition thickness deviation of the deposited material is severe.

또한, 일반적으로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타겟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칩이나 기판의 상면에만 차폐막이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해 칩의 측면을 통해 칩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칩의 외주면에 차폐막을 형성하는 경우 칩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필링 현상으로 인해 차폐막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In general, when a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sputtering apparatus, the position of the target is fixed, and a shielding film is formed only on a top surface of a chip or a substrate. As a result, a problem of flowing into the chip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hip may occur. Further, when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i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ielding film is damaged due to the peeling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hip.

본 발명은 필링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칩의 외주면에 차폐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차폐막 형성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forming an EMI shielding film capable of forming a shielding film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hip by previously preventing a peeling phenomenon and an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링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칩의 외주면에 차폐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차폐막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a shielding film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hip by previously preventing a peeling phenomenon.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 바디; 상기 챔버 바디 내에 위치되고, 타겟 및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 유닛을 포함하는 타겟 모듈; 및 상기 타겟 모듈을 스퍼터링함에 따라 피증착물의 상면과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차폐막 형성시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켜 이송트레이와 분리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차폐막 형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hamber body; A target module positioned within the chamber body and including at least one magnet unit for generating a target and a magnetic field; And an elevating member for elevating and separating the object to be deposited when forming a shielding film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deposited by sputtering the target module and separating the object from the transfer tray.

상기 이송트레이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홀을 통해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킬 수 있다.The transfer tra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the elevating member can elevate the deposited material through the holes.

상기 승강 부재는, 피증착물이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송트레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에 대응하여 배열될 수 있다.The elevating memb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on which a material to be deposited is supported; And a tray for fixing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ortion can be arrang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onveyance tray.

상기 트레이는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가 승강하여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킬 수 있다.The tray is fixed, and the support part can move up and down by moving up and down.

상기 지지부는 고정되며, 상기 트레이가 승강하여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킬 수 있다.The support part is fixed, and the tray can be moved up and down to lift and raise the deposited material.

상기 차폐막은 상기 피증착물 상의 복수의 증착막들로 이루어져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복수의 증착막들이 각각 상기 피증착물에 형성될때마다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킬 수 있다.The shielding film is formed of a plurality of vapor deposition films o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and the material can be raised and lowered each time the plurality of vapor deposition films are formed o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피증착물이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되,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상기 피증착물의 상면 및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차폐막 형성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피증착물과 이송트레이가 분리되도록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upporting member on which the deposited material is supported; And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tray is moved up and down so that the deposited material and the transport tra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by a sputtering process The elevating member can be provided.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이송트레이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elevating member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ing tray.

상기 트레이는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가 승강하여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킬 수 있다.The tray is fixed, and the support part can move up and down by moving up and down.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증착물의 증착 공정 동안에는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지 않는다.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tray does not lift the deposited material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위치의 타겟 모듈로부터 분리된 타겟 물질로 피증착물의 상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위에 제 1 증착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증착막이 형성된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한 타겟 모듈로부터 분리된 타겟 물질로 상기 피증착물의 상기 제 1 증착막 위에 제 2 증착막을 형성하여 차폐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폐막이 형성된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폐막 형성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orming a first deposition layer on a top surface and on at least one side of a material deposit with a target material separated from a target module in a first location; Elevating the deposited material on which the first deposition layer is formed; Forming a second evaporation layer on the first evaporation layer of the evaporation material with a target material separated from the target modul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o form a shielding film; And a step of raising and lowering the deposited material on which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차폐막 형성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필링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칩의 외주면에 차폐막을 형성할 수 있다.The shielding film can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ip by preventing the peeling phenomenon in advance by providing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공정상의 불량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칩의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process defects and further reduce the defect rate of chip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을 위한 차폐막 형성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필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트레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의 동작에 따른 피증착물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파 차단을 위한 차폐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증착 공정 및 피증착물 분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ielding film forming structure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peeling.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delivery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an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lifting and lowering of a material to be deposi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n elev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shielding film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using a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each deposition process and the separation of a deposited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이용하여 전자파 방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를 차폐하는 차폐막(예를 들어, 금속막임)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hielding film (for example, a metal film)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using a sputtering process, for example.

일반적으로, 차폐막은 칩의 상면에만 형성된다. 이 경우, 전자파가 칩의 측면을 통하여 칩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Generally,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ip. In this case, electromagnetic waves may flow into the chip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hip.

따라서, 본 발명은 칩의 측면을 통한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칩의 측면에도 차폐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폐막은 칩의 상면 및 측면들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칩의 상면과 측면의 두께 편차 및 평탄도 등을 고려하여 차폐막을 형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hielding film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hip in order to shield the electromagnetic wave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hip. That is, the shiel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on both the top surfac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hip.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the shielding film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deviation and the flatness of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chip.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증착 공정 동안 칩을 상하로 움직여서 필링(Peel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칩의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되는 차폐막은 한번에 증착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칩의 측면에 형성되는 차폐막의 두께가 2㎛인 경우, 상기 스터퍼링 장치는 1㎛씩 순차적으로 2번에 걸쳐서 차폐막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eeling phenomenon by moving the chip up and down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At this time, the shielding films formed on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chip can be sequentially deposited without being deposited all at once.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shielding film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hip is 2 탆, the shielding film can be formed twice in order of 1 탆.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을 위한 차폐막 형성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필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hielding film forming structure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peeling phenomen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막 구조체(100)는 피증착물(105)과 해당 피증착물 상에 형성되는 차폐막(102)을 포함한다. 여기서, 피증착물(105)은 반도체 칩일 수 있다. 물론. 피증착물(105)은 반도체 칩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 반도체 기판, 통신 장비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피증착물(105)는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hielding film structure 100 includes a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and a shielding film 102 formed o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Here,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may be a semiconductor chip. sure. The deposited material 105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addition to a semiconductor chip, a substrate of a display panel, a semiconductor substrate, a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like. That is,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ncludes a semiconductor element.

일반적으로 차폐막은 피증착물(105)의 상면에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전자파가 칩의 측면을 통해 칩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Generally,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chip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hip.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증착물(105)의 상면과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차폐막(102)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증착물(100)의 상면 및 측면들 모두에 차폐막(102)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shielding film 102 can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Preferably, the shielding film 102 may be formed on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deposited material 100.

차폐막(102)은 단일 차폐막으로 피증착물(105)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차폐막이 피증착물(105)의 외주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hielding film 102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with a single shielding film and a plurality of shielding films may be sequential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그러나, 칩의 측면에도 차폐막을 형성하는 경우, 칩의 외주면에 차폐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완료한 후 칩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칩의 측면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막의 일부가 들뜨는 필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forming the shielding film on the side surface of the chip, after the step of forming the shielding film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ip is complet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hip from the side of the chip, .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필링 현상 없이 칩의 외주면에 차폐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device capable of forming a shielding film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ip without peel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형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트레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의 동작에 따른 피증착물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view showing a transfer tr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lifting and lowering of a material to be deposi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피증착물(105)에 형성되는 차폐막은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스퍼터링 장치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hielding film formed on the deposited material 105 can be formed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Therefore,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described below may be a sputtering apparatus.

도 3을 참조하면,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챔버 바디(310), 이송트레이(315), 승강부재(320), 마스크(325), 타겟 모듈(330) 및 전원부(3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includes a chamber body 310, a transfer tray 315, an elevating member 320, a mask 325, a target module 330, and a power source unit 335, do.

물론, 챔버 바디(310)에는 가스 투입구, 기판 투입구, 가스 배출구 등을 더 포함하나 이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Of course, the chamber body 310 may further include a gas inlet, a substrate inlet, and a gas outlet, but this is a well-known configuration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이송트레이(315)는 피증착물이 배열되며, 배열된 피증착물을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The transfer tray 315 is a means for arranging the objects to be deposited and moving the objects to be arranged in the designated direction.

도 3에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송트레이(315)는 챔버 외부에서 챔버 내부로 피증착물을 이동시키고, 피증착물의 외주면(즉, 상면 및 양측면)에 타겟 물질의 증착 공정이 완료되면 피증착물을 챔버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FIG. 3, the transfer tray 315 moves a material to be deposited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and when the target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the upper surface and both surfaces)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It is possible to move out of the chamber.

또한, 이송트레이(3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송트레이(315)에 형성된 각각의 홀에 피증착물(105)가 배열될 수 있다. 이송트레이(315)는 피증착물을 지지한 상태로 피증착물을 이동시키므로, 이송트레이(315)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은 피증착물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Further, the transfer tray 31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s shown in Fig. Here,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may be arranged in each hole formed in the transfer tray 315.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ransfer tray 315 are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because the transfer tray 315 moves the objects to be deposited while supporting the objects to be deposited.

또한, 도 4에는 이송트레이(315)에 형성되는 홀이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피증착물이 홀을 통해 승강될 수 있는 형상인 경우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FIG. 4, holes formed in the transfer tray 315 are shown as being squa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equally applicable to a case where the objects to be deposited can be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holes.

이송트레이(315)에 의해 지지된 피증착물(105)는 홀을 통해 승강부재(320)에 의해 승강되어 이송트레이(315)와 분리될 수 있다.The deposited material 105 supported by the conveyance tray 315 can be lifted by the elevating member 320 through the hole and separated from the conveyance tray 315. [

승강부재(320)는 타겟 물질을 피증착물의 외주면(즉, 상면 및 양측면)에 증착하는 공정시 피증착물을 승강시키는 수단이다. The lifting member 320 is a means for lifting the deposited material in the process of depositing the target materi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e., the upper surface and both the surfaces) of the deposited material.

승강부재(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트레이(315)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피증착물(105)를 지지하며 승강시키기 위해 지지부(510)와 지지부(510)이 고정되는 트레이(520)로 구성된다.5, the lifting member 320 includes a support 510 and a tray 520 on which the support 510 is fixed to support and lift the article to be deposited 105 supported by the conveying tray 315 ).

지지부(510)는 승강부재(320)에 의해 피증착물(105)이 승강되는 경우, 피증착물(105)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지지부(510)는 이송트레이(315)에 형성된 각 홀에 대응하여 배열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portion 510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whe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is mov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member 320. [ The support portions 510 may b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holes formed in the conveyance tray 315. [

또한, 지지부(510)는 이송트레이(315)에 형성된 각 홀을 통해 피증착물(105)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야 하므로 지지부(510)의 크기는 이송트레이(315)에 형성된 홀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51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hole formed in the conveyance tray 315 because the supporting portion 510 has to raise or lower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through holes formed in the conveyance tray 315 .

증착 공정시 피증착물(105)에 형성되는 차폐막은 복수의 증착막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승강부재(320)는 피증착물(105) 상에 증착막이 각각 형성될 때마다 피증착물(105)을 승강시켜 이송트레이(315)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증착 공정이 모두 완료된 후 차폐막이 형성된 피증착물(105)을 이송트레이(315)에서 분리하는 경우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필링 현상이 발생한다.The shielding film formed o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deposition films. At this time, the lifting member 320 can be lifted and separated from the transport tray 315 each time a deposition film is formed o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In this case, when the deposited material 105 on which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is separated from the transfer tray 315 after the deposi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peeling phenomenon occurs 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피증착물(105)상에 각각의 증착막이 형성될 때마다 피증착물(105을 이송트레이(315)와 분리시킬 수 있도록 승강시킴으로써 필링 현상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by, each time the deposition film is formed o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can be separated from the transfer tray 315 so that the peel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지지부(510)는 트레이(520)에 고정 배열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510 is fixedly arranged on the tray 520. Fig.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5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510)만 승강하여 이송트레이(315)의 홀을 관통하여 피증착물(105)을 지지하며 상승함으로써 피증착물(105)과 이송트레이(315)를 분리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지지부(510)가 하강하는 경우, 이송트레이(315)에 피증착물(105)이 놓여질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트레이(315)에 형성된 홀보다 지지부(510)의 크기가 작고, 피증착물(105)은 크므로 지지부(510)가 하강하더라도 피증착물(105)이 이송트레이(315)의 홀을 관통하여 하강하지는 않는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support part 510 is lifted and lowered while the tray 520 is fixed, and the support part 510 is lifted by supporting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through the hole of the conveying tray 315, The tray 315 can be removed. When the support portion 510 is lower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deposit 105 may be placed on the transfer tray 315. Since the size of the support portion 510 is smaller than the hole formed in the transfer tray 315 and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is large so that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is not transferred to the transfer tray 315 even if the support portion 510 is lowered, It does not descend through the hole of the plate.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520)에 지지부(5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510)가 승강하지 않고, 트레이(520) 자체가 승강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510 is fixed to the tray 520, the support portion 510 does not move up and down, and the tray 520 itself can be moved up and down.

이와 같은 경우, 피증착물 지지부(510)는 지지 트레이(5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 트레이(520) 자체의 승강으로 피증착물이 이송트레이(315)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승강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material supporting portion 510 is fixed to the support tray 520,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can be lifted and lowered through the holes formed in the transfer tray 315 by lifting and lowering the support tray 520 itself.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피증착물의 외주면에 타겟 물질(증착막 또는 차폐막)을 증착하는 공정을 복수 회 반복 수행하고, 증착 공정 사이에 필링 구간을 설정하여 승강부재(320)를 승강시켜 피증착물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depositing a target material (evaporation film or shielding film)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vaporation material is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and a peeling section is set between the evaporation steps to elevate the elevation member 320 So that the deposited material can be lifted and lowered.

즉, 증착 공정을 나누어 수행함으로써 피증착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타겟 물질(즉, 차폐막)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을 때 승강부재(320)를 승강시켜 피증착물이 승강되도록 하여 필링 현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hickness of the target material (that is, the shielding film)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is relatively thin by performing the deposition process separately, the material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lifting the lift member 320 to prevent the peeling phenomenon There is an advantage. This can be understood more clear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마스크(325)는 챔버 내부에서 이송트레이(315)와 타겟 모듈(330) 사이에 배열된다. A mask 325 is arranged between the transfer tray 315 and the target module 330 within the chamber.

마스크(325)는 증착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피증착물(105)의 면들 중 원하는 면에 차폐막(102) 또는 증착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mask 325 serves to form a shielding film 102 or a deposition film on a desired one of the surfaces of the object to be deposited 105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즉, 이송트레이(315)를 통해 피증착물이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증착물이 타겟 물질(즉, 차폐막)이 증착되는 경우, 마스크(325)가 이송트레이(315)의 상위에 존재하므로, 마스크(325)에 의해 피증착물의 일부분에만 타겟 물질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증착물의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되는 타겟 물질(즉, 차폐막)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at is, whe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is deposited on the target material (that is, the shielding film) while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is moved in the designated direction through the transfer tray 315, the mask 325 exists on the transfer tray 315, The thickness of the target material (that is, the shielding film) formed on the top and sides of the deposition target can be easily controlled by forming the target material only on a part of the deposition target.

타겟 모듈(330)은 증착되는 타겟 물질인 타겟(331)을 포함하며, 캐소드로 기능할 수 있다. 타겟(331)은 피증착물(105)에 증착될 물질(타겟 물질)을 포함하며, 원형 형상 등을 가진다.The target module 330 includes a target 331, which is a target material to be deposited, and can function as a cathode. The target 331 includes a material (target material) to be deposited on the deposited material 105, and has a circular shape or the like.

이러한, 타겟 모듈(330)은 챔버 내부에서 정해진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즉, 타겟 모듈(330)은 피증착물(105)의 증착 공정 동안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움직이고,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한 후 다시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움직이며 증착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is target module 330 can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in the chamber. That is, the target module 33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returns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and then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제1 위치에서의 타겟 모듈(330)을 스퍼터링함에 따라 피증착물(105)의 상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제1 증착막을 형성할 수 있다. 피증착물(105) 상에 제1 증착막이 형성된 후 승강부재(320)는 피증착물(105)을 상승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하강시킨다.For example, the first deposition layer can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and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deposit 105 by sputtering the target module 330 at the first position. After the first deposition layer is formed on the deposit 105, the lift member 320 raises the deposit 105 and then descends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이어서, 타겟 모듈(330)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움직이고, 제2 위치에서 타겟 모듈(330)을 스퍼터링함에 따라 제1 증착막 위에 제2 증착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증착막이 형성된 후, 승강부재(320)는 피증착물(105)을 상승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하강시킨다.Subsequently, the second deposi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first deposition layer by moving the target module 33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sputtering the target module 330 at the second position. After the second deposition film is formed, the lifting member 320 raises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and then descends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제1 증착막과 제2 증착막이 형성되는 증착 공정 동안 피증착물(105)은 이송 부재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정해진 구간만큼 움직일 수 있다.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in which the first deposition layer and the second deposition layer are formed, the deposition target 105 can be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transfer member.

이때, 피증착물(105은 이송 부재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정해진 구간 단위로 각 증착 공정이 완료된 후 움직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may be sequential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transfer member, and may be moved after each deposition process is complet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같이, 제1 증착 공정과 제2 증착 공정이 완료되면, 타겟 모듈(230)은 다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하고, 제1 위치에서의 타겟 모듈(230)을 스퍼터링함에 따라 제2 증착막 위에 제3 증착막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증착막이 형성된 후 승강부재(320)는 피증착물(105)을 상승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하강시킨다.Thus, when the first deposition process and the second deposition process are completed, the target module 230 returns agai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as the target module 230 is sputtered at the first position, A third deposi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deposition layer. After the third deposition film is formed, the lifting member 320 raises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and then descends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제3 증착막이 형성된 후 타겟 모듈(330)은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움직이고, 제3 위치에서의 타겟 모듈(330)을 스퍼터링함에 따라 제3 증착막 위에 제4 증착막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증착막이 형성된 후 승강부재(320)는 피증착물(105)을 상승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하강시킨다.After the third deposition layer is formed, the target module 33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deposi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third deposition layer by sputtering the target module 330 at the third position. After the fourth deposition film is formed, the lifting member 320 raises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and then descends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이와 같이, 타겟 모듈(330)의 위치 가변에 따라 피증착물(105)의 상면과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차폐막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ielding film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arget module 330.

또한, 도 3에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타겟 모듈(330)에 포함된 타겟(331)은 스퍼터링 공정 동안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타겟 모듈(330)의 회전 범위는 예를 들어, 0도 내지 360도 일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FIG. 3, the target 331 included in the target module 330 may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during the sputtering process. The rotational range of the target module 330 may be, for example, from 0 degrees to 360 degrees.

스퍼터링 공정 동안 타겟(331)을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타겟(331)이 고르게 스퍼터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타겟(331)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rotating the target 331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during the sputtering process, the target 331 can be evenly sputtered, and consequently, the life of the target 331 can be prolonged.

타겟 모듈(3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킹 플레이트(Backing plate)(332)와 마그넷부(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arget module 330 includes a backing plate 332 and a magnet 333 as shown in FIG.

백킹 플레이트(332)는 타겟(331)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백킹 플레이트(332)는 원형,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백킹 플레이트(332)에는 전원부(335)로부터 전원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가되며, 그 결과 백킹 플레이트(332)는 캐소드로 기능할 수 있다.The backing plate 332 serves to support the target 331 and is made of metal. The backing plate 332 may have a circular or oval shape. Power is directly or indirectly applied to the backing plate 332 from the power supply unit 335, so that the backing plate 332 can function as a cathode.

타겟(331)은 피증착물로 증착될 물질(이하, 타겟 물질이라 칭하기로 함)을 포함한다. 또한, 타겟(331)은 원형 형상 등을 가지며, 백킹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target 331 includes a material to be deposited as a material to be deposi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arget material). Further, the target 331 has a circular shape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cking plate.

마그넷부(333)는 백킹 플레이트(332)를 기준으로 타겟(331)의 반대측에 위치된다. 또한, 마그넷부(333)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 유닛(33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넷 유닛(333-1)은 NSN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마그넷 유닛(333-1)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소자로, 영구 자석이나 전자석일 수 있다. 또한, 마그넷 유닛(333-1)은 이송트레이(315)와 마주보도록 배열될 수 있다.The magnet portion 333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arget 331 with respect to the backing plate 332. In addition, the magnet unit 333 may include at least one magnet unit 333-1. Here, the magnet unit 333-1 may have NSN polarity. That is, the magnet unit 333-1 is an element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and may be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Further, the magnet unit 333-1 may be arranged to face the conveyance tray 315. [

마그넷 유닛(333-1)이 자기장을 발생시키므로, 글로우 방전에 따른 이온들이 자기장 영역으로 집중되어 타겟(331)으로부터 분류된 타겟 불질이 퍼지는 증착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Since the magnet unit 333-1 generates a magnetic fiel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ange of deposition in which the ions due to the glow discharge are concentrated in the magnetic field region and target fluorine classified from the target 331 spreads.

도 3에는 마그넷부(333)가 하나의 마그넷 유닛(333-1)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마그넷부(333)는 복수의 마그넷 유닛을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3, the magnet unit 333 includes one magnet unit 333-1.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agnet unit 333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 units.

또한, 마그넷부(333)는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으며, 일정 범위내에서 스윙(swing)할 수도 있다.Further, the magnet portion 333 may be rotated by itself or may swing within a certain range.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피증착물의 상면과 측면에 모두 증착물(즉, 차폐막)을 형성하므로, 마그넷부(333)는 측면 증착이 용이하도록 360도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deposition material (i.e., shielding film) is formed on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the magnet portion 333 can be rotated 360 degrees so as to facilitate side deposition.

또한, 마그넷부(333)는 타겟 모듈(330)의 위치 가변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magnet unit 333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arget module 330.

전원부(335)는 차폐막 형성 장치(300)의 내부 구성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The power supply unit 335 functions to provide power for operat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파 차단을 위한 차폐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각 증착 공정 및 피증착물 분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shielding film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using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 cross- Fig.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피증착물의 상면에는 4㎛로 차폐막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2㎛로 각각 차폐막을 형성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a shielding film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vaporation material by 4 mu m and a shielding film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by 2 mu m, respectively.

또한, 증착 공정시 1㎛로 피증착물의 상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차폐막을 형성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It is also assumed that a shielding film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with a thickness of 1 탆 in the deposition step.

단계 710에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피증착물(105)가 지지된 상태로 이송트레이(315)를 챔버 내부로 이동시킨다. In step 710,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moves the transfer tray 315 into the chamber with the deposited material 105 supported.

이어, 단계 715에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챔버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고, 챔버 내부로 스퍼터링 가스를 주입시킨다. 여기서, 스퍼터링 가스는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Ar) 가스일 수 있다. 스퍼터링 가스는 캐소드와 애노드의 전위차에 의한 글로우(glow) 방전으로 인해 이온화된다. 즉, 스퍼터링 가스는 플라즈마 상태로 변화된다. Next, in step 715,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turns the inside of the chamber into a vacuum state and injects the sputtering gas into the chamber. Here, the sputtering gas may be, for example, argon (Ar) gas, which is an inert gas. The sputtering gas is ionized by a glow discharge caused b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That is, the sputtering gas is changed into a plasma state.

단계 720에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타겟 모듈(330)을 제1 위치에 위치시킨 후 자기장을 발생시켜 이온들을 집중시키고, 제1 위치에서 타겟 모듈(330)을 스퍼터링함에 따라 타겟(331)로부터 분리된 타겟 물질로 피증착물(105)의 상면과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제1 증착막을 형성한다(제1 증착 공정).In step 720,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positions the target module 330 in the first position, generates a magnetic field to concentrate the ions, and sputtering the target module 330 in the first position, A first deposition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deposition target 105 with a separated target material (first deposition process).

증착 공정 동안 타겟이 고르게 스퍼터되도록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타겟을 회전시킨다. 즉, 이온화에 따라 생성된 이온들이 타겟의 표면과 충돌하게 되며, 그로 인해 타겟으로부터 분리된 타겟 물질(즉, 증착물)이 피증착물로 증착되게 된다. 이때, 마그넷 유닛에 의한 자기장으로 인하여 이온들이 대부분 증착 범위에 집중된 상태로 타겟과 충돌하게 되여 해당 부분이 스퍼터(sputter)된다.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rotates the target so that the target is uniformly sputtered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That is, the ions generated by the ionization collide with the surface of the target, thereby causing the target material (i.e., deposition material) separated from the target to be deposited into the deposition material. At this time, due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unit, most of the ions are concentrated in the deposition range, collide with the target,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is sputtered.

이에 따라, 차폐막 형성 장치(200)가 타겟을 회전시키면, 타겟이 고르게 스퍼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타겟 전체가 증착 공정 동안 고르게 스퍼터되어 타겟의 수명이 길어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200 rotates the target, the target can be uniformly sputtered, and as a result, the whole target is uniformly sputtered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target.

또한, 타겟의 수명이 길어지게 되는 경우 결과적으로는 차폐막 형성 장치의 원가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when the lifetime of the target becomes longer, the cost of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can be reduced as a result.

타겟이 회전하는 동안 마그넷부도 회전 또는 스윙(swing)한다.The magnet section also rotates or swings while the target rotates.

타겟(231)의 회전과 함께 마그넷부(233)를 회전 또는 스윙시키는 이유는 타겟(231)이 회전하는 동안 마그넷부(233)를 회전 또는 스윙하지 않는 것에 비해 플라즈마 영역이 넓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the magnet 233 is rotated or swung with the rotation of the target 231 is that the plasma region is wider than the magnet 233 does not rotate or swing while the target 231 rotates.

즉, 타겟(231)의 회전과 함께 마그넷부(233)를 회전 또는 스윙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타겟 물질(증착 물질)의 입사 각도를 넓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타겟(231)과 함께 마그넷부(233)를 회전 또는 스윙시켜 타겟 물질의 입사 각도를 고정하지 않음으로써 피증착물의 상부 및 측면들에 증착되는 차폐막의 증착 두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That is, by rotating or swinging the magnet unit 233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target 231,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target material (deposition material) can be advantageously widen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viation of the deposition thickness of the shielding film deposited on the top and sides of the deposition target can be reduced by not rotating the swinging magnet 233 together with the target 231 to fix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target material .

타겟 모듈(330)이 제1 위치에서 스퍼터링됨과 동시에 피증착물(105)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deposited material 105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target module 330 is sputtered at the first position.

다른 예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제1 위치에서의 타겟 모듈(330)의 스퍼터링 공정에 따른 피증착물(105)의 증착 공정이 완료되면, 피증착물(105)이 놓여진 이송 부재를 제1 방향으로 지정된 범위만큼 이동시킬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deposition process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is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the sputtering process of the target module 330 at the first position, the transfer material on which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is placed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Quot ;. < / RTI >

상기의 제1 증착 공정에 의해 피증착물(105)의 상면 및 우측면에 각각 1㎛의 증착물이 형성될 수 있다. 1 mu m of deposition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right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by the above-described first deposition process.

이와 같은 증착 공정 동안 타겟(331)은 계속해서 회전할 수 있으며, 타겟(331)이 회전하는 동안 마그넷부(333)도 지정된 각도로 스윙할 수 있다.During such a deposition process, the target 331 may continue to rotate and the magnet portion 333 may also swing at a specified angle while the target 331 is rotating.

제1 증착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도 8의 8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20)는 상승 또는 하강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During the first deposition process, as shown in 810 of FIG. 8, the lifting member 320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neither raised nor lowered.

제1 증착 공정이 완료되면, 단계 725에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승강부재(320)를 상승시켜 이송트레이(315)와 피증착물을 분리시킨 후 다시 승강부재(320)를 하강시킨다(제1 분리 공정). After the first deposi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raises the elevating member 320 to separate the conveying tray 315 from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and then descends the elevating member 320 again Separation process).

도 8의 815를 참조하면,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제1 증착 공정이 완료된 후 필링 방지 구간 동안 승강부재(320)를 상승시켜 피증착물을 이송트레이(315)에서 분리하여 이송트레이(315)의 상위로 상승시킨 후 승강부재(3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320)을 승강시켜 이송트레이(315)와 피증착물을 분리시키는 공정을 분리 공정이라 통칭하기로 한다. 8,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raises the lifting member 320 during the peeling prevention period after the first deposition process is completed, separates the deposited material from the conveying tray 315, And then the elevating member 320 can be lowered. The process of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member 320 to separate the conveying tray 315 from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is referred to as a separating process.

이와 같은 분리 공정을 수행하는 도중에는 이송 부재가 피증착물(105)를 이동시키지 않고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the conveying member may not move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and may not move.

단계 730에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제1 분리 공정이 완료된 이후 타겟 모듈(330)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움직이고, 제2 위치에서 타겟 모듈(330)을 스퍼터링함에 따라 제1 증착막 위에 제2 증착막을 형성한다(제2 증착공정).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moves the target module 33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fter the first separation process is completed and sputtering the target module 330 at the second position, Thereby forming a second deposition film (second deposition process).

제1 증착 공정에 따라 제1 증착막이 형성되면, 제1 증착막 위에 제2 증착막을 형성하기 위해 타겟 모듈(330)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움직인다. 여기서, 제2 위치는 제1 위치에서 45도 우하향된 지정된 위치일 수 있다.When the first deposition layer is 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deposition process, the target module 330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o form a second deposition layer on the first deposition layer. Here, the second position may be a designated position 45 degrees downward from the first position.

타겟 모듈(33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움직임에 따라 마그넷부(333)는 타겟 물질의 증착 범위를 조정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As the target module 33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magnet portion 333 can rotate to adjust the deposition range of the target material.

제2 증착 공정 결과 피증착물(105)의 상면에는 2㎛의 증착막이 형성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1㎛의 증착막이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second deposition process, a deposition film of 2 탆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posited material 105, and a deposition film of 1 탆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제2 증착 공정 동안 피증착물(105)이 놓여진 이송트레이(315)는 제1 방향으로 지정된 구간만큼 이동될 수 있다.During the second deposition process, the transport tray 315 on which the deposit 105 is placed can be mov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irst direction.

물론, 제1 증착 공정과 마찬가지로 제2 증착 공정이 완료되면, 피증착물(105)이 놓여진 이송 부재는 제1 방향으로 지정된 구간만큼 이동될 수 있다.Of course, as with the first deposition process, once the second deposi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transfer member on which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is placed can be moved by a designated s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도 8의 820에 제2 단계 증착 공정시 피증착물의 이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8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증착 공정 동안에는 승강부재(320)는 피증착물을 상승시키지 않는다.820 of FIG. 8 shows the moving state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in the second-step deposition process. As shown in 820 of FIG. 8, during each deposition process, the lifting member 320 does not raise the deposited material.

단계 735에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제2 증착 공정이 완료되면 승강부재를 상승시켜 이송트레이(315)와 피증착물을 분리시킨 후 다시 승강부재(320)를 하강시켜 분리 공정을 수행한다(제2 분리 공정).(도 8의 825 참조). 도 8에서는 증착 공정과 분리 공정이 각각 두단계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4단계의 증착 공정과 분리 공정이 반복될 수 있다.In step 735,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separates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from the transfer tray 315 by raising the elevation member when the second deposition process is completed, and then performs the separation process by descending the elevation member 320 again 2 separation process) (see 825 in FIG. 8). In FIG. 8, although the deposition process and the separation process are respectively shown in two stages, the four-stage deposition process and the separation process may be repea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분리 공정이 완료된 후 단계 740에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타겟 모듈(330)을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원상 복귀시키고, 제1 위치에서 타겟 모듈(330)을 스퍼터링함에 따라 제2 증착막 위에 제3 증착막을 형성한다(제3 증착 공정).After the second separ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returns the target module 330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in step 740, and sputtering the target module 330 in the first position, And a third vapor deposition film is formed on the vapor deposition film (third vapor deposition process).

제3 증착 공정시에, 피증착물(105)이 놓여진 이송 부재는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피증착물(105)을 지정된 구간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증착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피증착물(105)이 놓여진 이송 부재는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피증착물(105)을 지정된 구간만큼 이동시킬 수도 있다.In the third deposition process, the conveying member on which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is placed can move the object to be deposited 105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a designated interval. Similarly, after the third deposi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transfer member on which the deposition target 105 is placed may move the target material 105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타겟 모듈(330)이 움직임에 따라 피증착물(105)의 증착 범위를 조정하기 위해 마그넷부(333) 또한 지정된 구간만큼 회전될 수 있다.Also, as the target module 330 move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 magnet portion 333 may also be rotated by a specified interval to adjust the deposition range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제3 증착 공정에 따라 피증착물(105)의 상면 및 우측 측면에 각각 1㎛의 증착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증착물의 상면에는 3㎛의 증착막이 형성되고, 좌측면에는 1㎛의 증착막이 형성되며, 우측면에는 2㎛의 증착막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deposition process, a deposition film having a thickness of 1 mu m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105, respectively. As a result, a deposition film of 3 mu m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posited material, a deposition film of 1 mu m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a deposition film of 2 mu m is formed on the right side.

제3 증착 공정이 완료된 후 단계 745에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승강부재를 상승시켜 이송트레이(315)와 피증착물을 분리시킨 후 다시 승강부재(320)를 하강시켜 분리 공정을 수행한다(제3 분리 공정).After the third deposi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raises the elevating member to separate the conveying tray 315 from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and then separates the elevating member 320 again 3 separation process).

제3 분리 공정이 완료되면, 단계 750에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타겟 모듈(330)을 제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움직이고, 제3 위치에서 타겟 모듈(330)을 스퍼터링함에 따라 제3 증착막 위에 제4 증착막을 형성한다(제4 증착 공정).When the third separ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moves the target module 33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in step 750 and sputtering the target module 330 in the third position, (Fourth deposition step).

이에 따라, 피증착물의 상면 및 좌측면에 각각 1㎛의 증착물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us, 1 mu m of deposition material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top and left surfaces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결과적으로 피증착물의 상면에는 4㎛의 증착물이 형성되고,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2㎛의 증착물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a deposition material of 4 탆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posited material, and a deposition material of 2 탆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respectively.

제4 증착 공정이 완료된 후 단계 755에서 차폐막 형성 장치(300)는 승강부재(320)를 상승시켜 이송트레이(315)와 피증착물을 분리시킨 후 다시 승강부재(320)를 하강시킨다(제4 분리 공정).After the fourth deposi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shielding film forming apparatus 300 raises the elevating member 320 to separate the conveying tray 315 from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and then descends the elevating member 320 again fair).

이와 같이, 타겟 모듈의 위치를 가변하고, 마그넷부를 회전시키며 피증착물을 스캔 형태로 이동시키면서 피증착물에 단계적으로 차폐막을 형성하고, 이송트레이(315)로부터 피증착막을 분리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증착 공정이 완료된 이후 피증착물 분리시 필링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target module is changed, the magnet part is rotated, the deposited material is moved in the scan mode,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in a stepwise manner on the deposited material, and the deposited film is separated from the transfer tray 315,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eel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when the deposited material is separated after completion.

또한, 마그넷부(333)의 일부를 뾰족한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피증착막의 측면에 형성되는 차폐막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shielding film formed on the side of the evaporated film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implementing a part of the magnet portion 333 in a sharp shap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차폐막 형성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lm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a variety of means for electronically processing information, and may be recorded in a storage medium. The storag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300: 차폐막 형성 장치
310: 챔버 바디
315: 이송트레이
320: 승강부재
325: 마스크
330: 타겟 모듈
335: 전원부
300: Shielding film forming device
310: chamber body
315: Feed tray
320:
325: Mask
330: target module
335:

Claims (11)

챔버 바디;
상기 챔버 바디 내에 위치되고, 타겟 및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 유닛을 포함하는 타겟 모듈; 및
상기 타겟 모듈을 스퍼터링함에 따라 피증착물의 상면과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차폐막 형성시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켜 이송트레이와 분리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차폐막 형성 장치.
Chamber body;
A target module positioned within the chamber body and including at least one magnet unit for generating a target and a magnetic field; And
And an elevat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deposited material from the transfer tray when the deposited material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deposited material by sputtering the target module when forming the shielding fil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트레이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홀을 통해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막 형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tray has a plurality of holes,
Wherein the lifting member lifts and deposits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through the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는,
피증착물이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송트레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막 형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member
A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deposited material is supported; And
And a tray for fixing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arrang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onveyance tra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가 승강하여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막 형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y is fixed, and the support part elevates and lifts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고정되며, 상기 트레이가 승강하여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막 형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ixed, and the tray is moved up and down to lift and lower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은 상기 피증착물 상의 복수의 증착막들로 이루어져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복수의 증착막들이 각각 상기 피증착물에 형성될때마다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막 형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of a plurality of vapor deposition films on the deposited material,
Wherein the elevating member elevates the deposited material each time the plurality of evaporated films are formed on the deposited material.
피증착물이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되,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상기 피증착물의 상면 및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차폐막 형성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피증착물과 이송트레이가 분리되도록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부재.
A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deposited material is supported; And
And a tray for fixing the support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tray elevates and descends so that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and the transfer tray are separated when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by the sputtering proces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이송트레이 하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부재.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elevating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ray.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가 승강하여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부재.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y is fixed, and the supporting part lifts up and down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증착물의 증착 공정 동안에는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부재.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tray does not lift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of the material to be deposited.
제 1 위치의 타겟 모듈로부터 분리된 타겟 물질로 피증착물의 상면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 위에 제 1 증착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증착막이 형성된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한 타겟 모듈로부터 분리된 타겟 물질로 상기 피증착물의 상기 제 1 증착막 위에 제 2 증착막을 형성하여 차폐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폐막이 형성된 상기 피증착물을 승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폐막 형성 방법.
Forming a first deposition layer on a top surface and at least one side of a deposition material with a target material separated from a target module at a first location;
Elevating the deposited material on which the first deposition layer is formed;
Forming a second evaporation layer on the first evaporation layer of the evaporation material with a target material separated from the target modul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o form a shielding film; And
And raising and lowering the evaporation material on which the shielding film is formed.
KR1020150015796A 2014-09-23 2015-02-02 Up and down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EMI-shielding layer using the same KR1017041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6622 2014-09-23
KR1020140126622 2014-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533A true KR20160035533A (en) 2016-03-31
KR101704164B1 KR101704164B1 (en) 2017-02-07

Family

ID=5565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796A KR101704164B1 (en) 2014-09-23 2015-02-02 Up and down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EMI-shielding lay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16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662A (en) * 2016-07-13 2018-01-2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Manufacturing method of circuit module and film formation apparatus
RU183138U1 (en) * 2018-03-20 2018-09-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радиотехники и электроники им. В.А. Котельник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Composite target for producing nanocomposites by magnetron sputte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3707A (en) * 2008-07-04 2010-01-21 Showa Shinku:Kk Sputtering apparatus
KR20100072816A (en) * 2008-12-22 2010-07-01 주성엔지니어링(주)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trate
KR20140084604A (en) * 2012-12-27 2014-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ubstrate-clamping unit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organic material using the same
KR20140106034A (en) * 2013-02-25 2014-09-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lexible Organic Solar Cell and Fabric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3707A (en) * 2008-07-04 2010-01-21 Showa Shinku:Kk Sputtering apparatus
KR20100072816A (en) * 2008-12-22 2010-07-01 주성엔지니어링(주)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trate
KR20140084604A (en) * 2012-12-27 2014-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ubstrate-clamping unit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organic material using the same
KR20140106034A (en) * 2013-02-25 2014-09-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lexible Organic Solar Cell and Fabric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662A (en) * 2016-07-13 2018-01-2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Manufacturing method of circuit module and film formation apparatus
RU183138U1 (en) * 2018-03-20 2018-09-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радиотехники и электроники им. В.А. Котельник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Composite target for producing nanocomposites by magnetron sput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164B1 (en)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9752B (en) Biasable flux optimizer/collimator for pvd sputter chamber
JP6298138B2 (en) Film forming system, magnetic body part, and film manufacturing method
TWI780173B (en) Sputtering device
KR101971343B1 (en) Film formation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duct with film form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electric component
JP6171108B2 (en) Film forming apparatus and film forming method
KR20160055126A (en) Film formation mask, film formation device, film formation method, and touch panel substrate
TWI316744B (en) Wafer holder
US20130101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Film Uniformity
US20130270104A1 (en) Combinatorial processing using mosaic sputtering targets
KR101704164B1 (en) Up and down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EMI-shielding layer using the same
KR101942011B1 (en) Flat edge design for better uniformity and increased edge life
KR1016863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EMI-shielding layer using a sputtering process
US20120181166A1 (en) Pvd process with synchronized process parameters and magnet position
US20220341029A1 (en) Em source for enhanced plasma control
TWI632246B (en) Chamber pasting method in a pvd chamber for reactive re-sputtering dielectric material
JP5075662B2 (en) Multi-target sputtering system
US20140174921A1 (en) Multi-Piece Target and Magnetron to Prevent Sputtering of Target Backing Materials
JP5299049B2 (en) Sputtering apparatus and sputtering method
JP2003077975A (en) Multi-chamber sputter processing device
JP6509553B2 (en) Sputtering device
KR101988336B1 (en) Inline sputtering apparatus
JP2007046124A (en) Magnetron sputtering system, and thin film deposition method
JP6928331B2 (en) Sputtering equipment and sputtering method
TW202302893A (en) Cathode unit for magnetron sputtering device, and magnetron sputtering device
US2019037869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gnetron assemblies in semiconductor process cha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