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430A -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430A
KR20160035430A KR1020140127031A KR20140127031A KR20160035430A KR 20160035430 A KR20160035430 A KR 20160035430A KR 1020140127031 A KR1020140127031 A KR 1020140127031A KR 20140127031 A KR20140127031 A KR 20140127031A KR 20160035430 A KR20160035430 A KR 20160035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inner box
box portion
barrier
box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126B1 (ko
Inventor
김종호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1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사 장치는, 멤브레인들이 접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방벽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누설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써, 광투과성을 가지고 방벽의 접착부위를 커버하며 내부 공간에 진공이 제공되는 내부상자부; 및 광투과성을 가지고 내부상자부를 커버하며 내부상자부와 이루는 사이 공간에 진공이 제공되는 외부상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Apparatus for testing barrier leakage of LNG tank}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누설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멤브레인들이 접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방벽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은 약 -163℃의 초저온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저장 또는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액화천연가스를 밀폐하기 위해 2개의 방벽(1차 방벽 및 2차 방벽)을 구비한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방벽은 복수의 금속 및 비금속 재질의 판형 부재인 멤브레인들을 적층하며 접착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금속 및 비금속 재질의 방벽은 액화천연가스의 누출을 막기 위해 높은 밀폐력과 접착력이 요구된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방벽의 시공 단계에서 방벽의 접착부위가 고르지 못하거나 접착제가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어 있지 않으면 이러한 접착부위의 접착불량을 미리 검출하여 그 접착불량을 해결해야 한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제조시에, 방벽의 접착부위에 접착불량이 발생하여 접착력과 밀폐력이 떨어지더라도 이를 해결하지 못한 상태로 제조 작업이 수행되면, 접착부위에 양호한 접착품질을 유지하기 어렵고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방벽의 접착품질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가 있기는 하나, 검사장치의 구성과 검사과정이 복잡하거나 검사자가 사용하기 용이하지 않는 등 접착부위의 접착불량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3259호(2012.02.1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방벽의 접착부위에 대한 접착품질을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멤브레인들이 접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방벽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누설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광투과성을 가지고, 방벽의 접착부위를 커버하며, 내부 공간에 진공이 제공되는 내부상자부; 및 광투과성을 가지고, 내부상자부를 커버하며, 내부상자부와 이루는 사이 공간에 진공이 제공되는 외부상자부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는 내부상자부에는 내부 공간에 진공이 제공되도록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제 1 배기라인이 설치될 수 있고, 외부상자부에는 사이 공간에 진공이 제공되도록 사이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제 2 배기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는 내부 공간에 제공되는 진공보다 높은 진공이 사이 공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는 사이 공간에 내부상자부와 외부상자부를 상호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는 내부상자부에 내부 공간과 외기를 연결하는 제 1 흡기라인이 설치될 수 있고, 제 1 흡기라인에는 제 1 밸브가 설치될 수 있고, 외부상자부에는 사이 공간과 외기를 연결하는 제 2 흡기라인이 설치될 수 있고, 제 2 흡기라인에는 제 2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에는 내부상자부와 방벽 사이 그리고 외부상자부와 방벽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의 내부상자부와 외부상자부는 아크릴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방벽의 접착부위의 접착품질을 간단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저렴하면서 넓은 면적을 검사할 수 있게 제작이 가능하여 효과적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의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의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사 장치(1)는 내부상자부(10), 외부상자부(20), 제 1 배기라인(11), 제 2 배기라인(21), 제 1 흡기라인(12), 제 2 흡기라인(22), 지지부재(30), 밀폐부재(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누설 검사 장치(1)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누설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이다.
내부상자부(10)는 광투과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외부에서 내부상자부(10)의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내부상자부(10)는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 등의 광투과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내부상자부(10)는 방벽의 접착부위(A)를 커버한다. 여기서 방벽의 접착부위(A)는 방벽을 형성하는 멤브레인들(M1, M2)이 서로 겹쳐 접착제로 접착된 부위를 말한다. 내부상자부(10)는 일면이 개방된 상태로 제작되고 개방된 면이 누설 검사를 실행할 접착부위(A)와 대면한다.
내부상자부(10)에는 제 1 배기라인(11)이 설치된다.
제 1 배기라인(11)은 진공펌프 등 진공제공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내부상자부(10)의 내부 공간(13)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내부 공간(13)에 진공을 제공한다. 이 때, 내부 공간(13)에는 누설 검사에 필요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진공이 제공된다. 예컨대, 내부 공간(13)에는 누설 검사를 위해 -0.2Bar의 진공이 제공될 수 있다.
진공이 제공된 내부상자부(10)를 통한 누설 검사는 비눗물 등의 시약(미도시)이 제공된 접착부위(A)에서 기포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실행된다. 만약, 접착부위(A)에 누설이 있다면, 내부상자부(10)의 내부 공간(13)에 진공이 제공되는 동안 접착부위(A)에서는 기포가 발생한다.
외부상자부(20)는 일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외부상자부(20)는 내부상자부(1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내부상자부(10)를 커버하고 내부상자부(10)와의 사이에 사이 공간(23)을 형성한다.
외부상자부(20)는 내부상자부(10) 내부에서 실행되는 누설 검사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광투과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예컨대, 외부상자부(20)는 내부상자부(10)와 같은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 등의 광투과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사 장치(1)의 내부상자부(10)와 외부상자부(20)는 광투과성이 높은 재질인 아크릴로 제작될 수 있다. 아크릴의 광투과성은 외부에서 누설 검사 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아크릴은 광투과성의 특성 외에 무게가 가벼워 장치의 휴대성과 이동성을 높일 수 있고, 후술하는 배기라인(11, 21)과 흡기라인(12, 22)의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다.
외부상자부(20)에는 제 2 배기라인(21)이 설치된다.
제 2 배기라인(21)은 진공펌프 등 진공제공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사이 공간(23)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사이 공간(23)에 진공을 제공한다.
일례로, 제 1 배기라인(11)과 제 2 배기라인(21)은 서로 독립한 진공제공수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 1 배기라인(11)과 제 2 배기라인(21)은 하나의 진공제공수단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배기라인(11)과 제 2 배기라인(21)에는 밸브(미도시) 등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사이 공간(23)에 제공된 진공은 내부상자부(10)와 외부상자부(20)로 구성된 누설 검사 장치(1)를 방벽에 부착시킨다.
내부 공간(13)에 제공되는 진공은 누설 검사가 실행되는 동안 내부상자부(10)를 방벽에 부착시키는 기능도 한다. 그런데 내부 공간(13)에 제공되는 진공은 누설 검사에 필요한 진공으로 대기압(1 atm = 1.01325 bar)과의 차이가 적다. 그래서 내부 공간(13)의 진공은 내부상자부(10)와 방벽 사이에 대한 부착성이 약하다.
만약, 진공을 이용하는 누설 검사 장치가 단일 상자 형태로 제작된다면, 단일 상자에는 누설 검사에 필요한 진공과 부착성을 높이기 위한 진공이 모두 제공되어야 하고, 단일 상자는 높은 진공에 의하여 내측으로 수축되어 누설 검사의 진행 중 파손될 위험이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사 장치(1)는 내부 공간(13)에는 누설 검사에 필요한 진공을, 사이 공간(23)에는 부착성을 높이기 위한 높은 진공을 제공하여 누설 검사의 진행 중 높은 진공으로 인한 내부상자부(10)에 대한 파손의 위험이 낮다.
달리 표현하면, 누설 검사 장치(1)는 누설 검사를 위한 진공과 부착하기 위한 진공이 공간을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사 장치(1)에 가해지는 진공압력을 분산되게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구조적 안정성은 넓은 면적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사 장치(1)를 크게 제작이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 공간(23)에는 내부 공간(13)에 제공된 진공보다 높은 진공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누설 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내부상자부(10)의 방벽과 접촉하는 부분(이하, "접촉부"라 함)에서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있지 않으면, 접착부위(A)에 과도하게 제공되어 내부상자부(10)의 접촉부로 흐른 시약 등에 의하여 내부상자부(10)의 접촉부에서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포가 내부상자부(10)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면 방벽의 접착부위(A)에서 발생하는 기포와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아 누설 검사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한다.
이때, 사이 공간(23)의 진공이 내부 공간(13)의 진공보다 높으면, 즉, 사이 공간(23)의 내부 압력이 내부 공간(13)의 내부 압력보다 낮으면, 내부상자부(10)의 접촉부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내부상자부(10)의 내측이 아닌 외부상자부(20) 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검사자는 내부상자부(10)의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기포와 접착부위(A)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구별할 수 있어 누설 위치의 판단에 대한 혼동을 줄이고, 불필요하게 혼동에 의한 반복 검사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 공간(23)에는 내부상자부(10)와 외부상자부(20)를 상호 지지하는 지지부재(30)를 설치될 수 있다.
사이 공간(23)과 내부 공간(13)에 압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외부상자부(20)는 외부의 대기압에 의하여 내부상자부(10)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내부상자부(10)는 사이 공간(23)의 압력보다 높은 내부 공간(13)의 압력에 의하여 외부상자부(20)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래서 내부상자부(10)는 외부상자부(20)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외부상자부(20)는 내부상자부(10)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지지부재(30)는 내부상자부(10)와 외부상자부(20)를 서로 지지하여 내부상자부(10)와 외부상자부(20)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사 장치(1)의 파손을 방지한다.
지지부재(30)는 아크릴 재질의 판 형태나 봉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외부에서 누설 검사 과정을 확인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재질, 형태, 개수, 및 설치 위치에 한정되지 않게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내부상자부(10)에는 내부상자부(10)와 외기를 연결하는 제 1 흡기라인(12)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흡기라인(12)에는 제 1 밸브(미도시)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 1 흡기라인(12)과 제 1 밸브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 공간(13)으로 유입시켜 누설검사를 위하여 내부 공간(13)에 형성된 진공을 제거할 수 있다.
외부상자부(20)에는 외부상자부(20)와 외기를 연결하는 제 2 흡기라인(22)이 설치될 수 있다. 제 2 흡기라인(22)에는 제 2 밸브(미도시)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 2 흡기라인(22)과 제 2 밸브는 외부의 공기를 사이 공간(23)으로 유입시켜 사이 공간(23)에 형성된 진공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사 장치(1)에는 밀폐부재(40)가 제공될 수 있다.
밀폐부재(40)는 방벽과 접촉하는 내부상자부(10)의 접촉부에 배치되고, 방벽과 접촉하는 외부상자부(20)의 접촉부에 배치된다. 밀폐부재(40)의 재질은 고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밀폐부재(40)는 누설 검사 장치(1)가 방벽에 배치될 때 미끄러짐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내부상자부(10) 및 외부상자부(20)와 방벽과의 사이가 보다 더 밀착되게 하여 누설 검사의 진행 과정에 누설 검사 장치(1)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하 도 2 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1)를 이용한 누설 검사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누설 검사를 실행할 접착부위(A)에 시약을 제공한다. 이때 시약은 비눗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멤브레인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기포의 관찰이 용이한 것으로 다양하게 선택이 가능하다.
이후, 누설 검사 장치(1)를 방벽의 접착부위(A)에 배치시킨다. 이때, 내부상자부(10)는 접착부위(A)를 커버하고, 외부상자부(20)는 내부상자부(10)를 커버한다.
다음으로, 내부 공간(13)에는 제 1 배기라인(11)을 통하여 진공이 제공되고, 사이 공간(23)에는 제 2 배기라인(21)을 통하여 진공이 제공된다. 내부 공간(13)에는 누설 검사를 위한 진공이, 사이 공간(23)에는 누설 검사 장치(1)를 방벽에 부착시키기 위한 진공이 제공된다.
누설 검사는 내부 공간(13)에 제공된 진공에 의하여 접착부위(A)에서 기포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실행된다.
누설 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밀폐부재(40)는 내부상자부(10) 및 외부상자부(20)와 방벽과의 사이가 보다 더 밀착되게 하여 누설 검사의 진행 중 장치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접착부위(A)에 대한 누설 여부를 확인한 후,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사 장치(1)는 방벽에서 분리된다. 이 경우, 내부상자부(10)에 설치된 제 1 흡기라인(12)과 외부상자부(20)에 설치된 제 2 흡기라인(22)을 통하여 내부상자부(10)와 외부상자부(20)에 각각 제공된 진공이 제거된다.
제 1 흡기라인(12)에 설치된 제 1 밸브는 누설 검사의 진행 중에는 내부 공간(13)에 진공이 유지되는 동안 제 1 흡기라인(12)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막거나 누설 검사를 마친 후 외부공기를 내부 공간(13)으로 유입시킬 때 급격한 압력변화로 내부상자부(10)의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흡기라인(22)에 설치된 제 2 밸브는 제 1 밸브와 동일한 기능으로 제 2 흡기라인(22)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막거나 외부 공기의 유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사 장치(1)는 간단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접착부위(A)의 접착품질을 검사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저렴하면서 넓은 면적을 검사할 수 있게 제작이 가능하여 효과적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10 : 내부상자부
11 : 제 1 배기라인
12 : 제 1 흡기라인
13 : 내부 공간
20 : 외부상자부
21 : 제 2 배기라인
22 : 제 2 흡기라인
23 : 사이 공간
30 : 지지부재
40 : 밀폐부재
M1, M2 : 멤브레인
A : 접착부위

Claims (7)

  1. 멤브레인들이 접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방벽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누설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광투과성을 가지고, 상기 방벽의 접착부위를 커버하며, 내부 공간에 진공이 제공되는 내부상자부; 및
    광투과성을 가지고, 상기 내부상자부를 커버하며, 상기 내부상자부와의 사이 공간에 진공이 제공되는 외부상자부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상자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에 진공이 제공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제 1 배기 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외부상자부에는 상기 사이 공간에 진공이 제공되도록 상기 사이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제 2 배기 라인이 설치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 공간에는 상기 내부 공간에 제공되는 진공보다 높은 진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 공간에 상기 내부상자부와 상기 외부상자부를 상호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상자부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외기를 연결하는 제 1 흡기 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흡기 라인에는 제 1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상자부에는 상기 사이 공간과 외기를 연결하는 제 2 흡기 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흡기 라인에는 제 2 밸브가 설치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상자부와 상기 방벽 사이 그리고 상기 외부상자부와 상기 방벽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재가 제공되는,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상자부와 상기 외부상자부의 재질은 아크릴인, 액화천연가스 누설 검사 장치.
KR1020140127031A 2014-09-23 2014-09-23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KR101644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031A KR101644126B1 (ko) 2014-09-23 2014-09-23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031A KR101644126B1 (ko) 2014-09-23 2014-09-23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430A true KR20160035430A (ko) 2016-03-31
KR101644126B1 KR101644126B1 (ko) 2016-07-29

Family

ID=5565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031A KR101644126B1 (ko) 2014-09-23 2014-09-23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1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274A (ko) * 2019-08-27 2021-03-0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누설검사장치
WO2021198574A1 (fr) * 2020-04-02 2021-10-07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édé de test d'étanchéité d'une membrane et dispositif de détection de fuite associé
WO2021209421A1 (fr) * 2020-04-15 2021-10-21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e contrôle de l'étanchéité de composants d'étanchéité
US11892374B2 (en) 2019-04-15 2024-02-06 Gaztransport Et Technigaz Device for monitoring the tightness of sealing compon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9638A (ja) * 1999-05-20 2000-11-30 Niigata Plant Service Kk バキュームテスタ及び気密性検査方法。
JP2002018757A (ja) * 2000-07-05 2002-01-22 Toyota Kihan:Kk 複数重ねの吸着パッドを備えた真空吸着リフト
KR20120013259A (ko) 2011-12-16 2012-0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용 2차 방벽 검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9638A (ja) * 1999-05-20 2000-11-30 Niigata Plant Service Kk バキュームテスタ及び気密性検査方法。
JP2002018757A (ja) * 2000-07-05 2002-01-22 Toyota Kihan:Kk 複数重ねの吸着パッドを備えた真空吸着リフト
KR20120013259A (ko) 2011-12-16 2012-0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용 2차 방벽 검사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2374B2 (en) 2019-04-15 2024-02-06 Gaztransport Et Technigaz Device for monitoring the tightness of sealing components
KR20210025274A (ko) * 2019-08-27 2021-03-0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누설검사장치
WO2021198574A1 (fr) * 2020-04-02 2021-10-07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édé de test d'étanchéité d'une membrane et dispositif de détection de fuite associé
FR3108980A1 (fr) * 2020-04-02 2021-10-08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édé de test d’étanchéité d’une membrane et dispositif de détection de fuite associé
WO2021209421A1 (fr) * 2020-04-15 2021-10-21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e contrôle de l'étanchéité de composants d'étanchéité
FR3109442A1 (fr) * 2020-04-15 2021-10-22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e contrôle de l’étanchéité de composants d’étanchéit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126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126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누설 검사 장치
US8261596B2 (en) Seal assembly with leak monitoring
EP3372974A1 (en) Negative-pressure airtightness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9810600B2 (en) Method for detecting a leak on a non-rigid test specimen
CN204694421U (zh) 阀门检漏测试装置
FI20106145A0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utkiliitoksen koeponnistamiseksi
TWI611620B (zh) 檢測裝置、檢測方法及電池檢測室
EP3098585B1 (en) Inspec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leaks in vacuum bag assemblies
JP6857179B2 (ja) リークテスト方法およびリークテスト用疑似漏れ器
KR10097348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누설 검사 장치
JP5049199B2 (ja) 外圧検出型漏れ検査装置及びそれを使った漏れ検査方法
CN113748324A (zh) 用于监测密封部件的密闭性的装置
EP2238424B1 (en) Differential comparative pressure monitoring system
JP2010043946A (ja) 気体の漏れの有無を判定する方法
CN102818680A (zh) 一种试压装置
KR102243396B1 (ko) 헬륨 기밀 검사장치용 노즐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헬륨 기밀 검사장치
KR20140129717A (ko) 차량 에어컨 배관용 호스파이프의 누설검사 장치
JP2000283879A (ja) 電子機器の防水検査装置
BR112014020553B1 (pt) Dispositivo e método de inspeção de parte soldada
JP2014226613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リーク検査方法
JP6199552B2 (ja) 高圧ガスタンクの検査方法
KR101215043B1 (ko) 선박블록 조립체의 불량 검사방법
KR102633347B1 (ko) 고압가스 연료공급시스템의 리크 검사시스템 및 방법
Wheatley et al. Comparative vacuum monitoring (CVM™) as an alternate means of compliance (AMOC)
JP7394435B2 (ja) アイジョイント金具付きホースの気体式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