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130A -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130A
KR20160035130A KR1020140125745A KR20140125745A KR20160035130A KR 20160035130 A KR20160035130 A KR 20160035130A KR 1020140125745 A KR1020140125745 A KR 1020140125745A KR 20140125745 A KR20140125745 A KR 20140125745A KR 20160035130 A KR20160035130 A KR 2016003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widget
digital signage
conten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2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130A/ko
Publication of KR2016003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하여 템플릿을 구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서 템플릿을 구성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작업 대상 템플릿을 선택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템플릿을 구성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측에 표시된 위젯(Widget)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템플릿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상에서 위젯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템플릿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Digital Signage Launcher}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안드로이드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템플릿을 구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각종 콘텐츠를 제공하는 옥내외 디지털 매체로서,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체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로 공항이나 호텔, 병원, 지하철 역사, 버스 정류장 등 공공 장소에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특정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 및 기존 상업용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에 특정 소프트웨어나 관리 플랫폼을 탑재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기기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통신 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가격 또한 과거보다 낮아지며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고객의 주목도를 높이고, 고객 참여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 및 컨텐츠가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에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OTV 네트워크의 경우, 네트워크 연결된 전광판을 옥외에 설치하고 광고 및 뉴스 등을 지역 단위로 방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현재 지하철 역사에는 광고 영상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 검색 서비스, 뉴스 및 스포츠 중계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기업들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와 프로모션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기업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 및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디지털 사이니지 화면은 다양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사이지니의 콘텐츠 페이지는 각각의 콘텐츠가 표시되기 위한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템플릿(template)이 요구된다. 콘텐츠 페이지에 정의된 템플릿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배치 위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문자 뉴스를 위한 템플릿은 콘텐츠 페이지의 좌측 상단 부분에 배치되고 광고 표시를 위한 템플릿은 콘텐츠 페이지의 우측 상단 부분에 배치되고 인터넷 방송 템플릿은 콘텐츠 페이지의 하단 부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페이지상의 템플릿의 배치 위치는 고정된 구조로 가지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디지털 사이니지는 동일한 콘텐츠 페이지 구성을 가진다.
특히,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템플릿의 배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템플릿 변경이 가능한 개발자에게 별도 요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사용자는 템플릿 변경을 위해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또한, 콘텐츠 페이지의 각 템플릿에 배치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콘텐츠 페이지 제작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직접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각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작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서 다시 수정 또는 보완과정을 거쳐 변경하여, 콘텐츠 페이지의 각 템플릿에 배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페이지의 이미지 템플릿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를 포토샵(photoshop) 등과 같은 그래픽 편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정한 후 다시 콘텐츠 페이지의 이미지 템플릿에 배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진다. 그리고 콘텐츠 페이지의 각 템플릿에 배치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 및 수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수정에 사용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콘텐츠 페이지 제작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 운용자는 웹페이지 또는 특정 앱상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템플릿을 구성한 후 원하는 컨텐츠를 해당 템플릿에 삽입하고, 미리 보기를 통해 해당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재생되는지를 확인한 이후에 해당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로 구성된 템플릿 정보 및 컨텐츠를 송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운용자는 해당 웹사이트를 통해서만 컨텐츠를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하여 템플릿을 구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의 디스플레이 형태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템플릿 구성 및 컨텐츠 삽입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련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젯(Widget) 기반의 템플릿 구성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련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서버와 연동되는 각각의 위젯을 이용하여 다용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웹사이트가 아닌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서 위젯 기반으로 템플릿을 구성하고 구성된 템플릿을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들)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하여 템플릿을 구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서 템플릿을 구성하는 방법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작업 대상 템플릿을 선택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템플릿을 구성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측에 표시된 위젯(Widget)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템플릿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된 템플릿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위젯을 포함하되, 상기 위젯에 사용자 선택된 컨텐츠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소정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위젯에 삽입된 컨텐츠의 고속 재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템플릿 구성 방법은 상기 구성된 템플릿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된 템플릿은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만 송출되거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과 네트워크 연동된 제1 내지 제N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선택된 템플릿을 설계하기 위한 템플릿 구성 영역과 상기 선택된 템플릿을 설계하기 위해 이용되는 위젯이 표시되는 위젯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표시된 위젯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으로 드래그앤드롭(Drag and Drop)되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은 격자 모양의 셀로 구성되되, 상기 위젯이 상기 셀 단위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상기 셀 단위로 상기 위젯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속된 템플릿을 추가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추가 생성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템플릿 추가 생성 버튼은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 표시된 위젯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 밖으로 터치 이동되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서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삭제된 위젯은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 표시된 위젯이 터치 선택되면, 상기 터치 선택된 위젯에 삽입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팝업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선택 팝업 창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 유지되어 있는 바로 선택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 상기 위젯에 표시될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전송 받기 위한 컨텐츠 추가 버튼,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를 삭제하기 위한 컨텐츠 삭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새로운 템플릿을 추가하기 위한 템플릿 새로 추가 버튼, 최근 작업중인 템플릿을 확인하기 위한 최근 작업 템플릿 보기 버튼, 작업 완료된 템플릿을 선택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하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템플릿 구성을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가 탑재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작업 대상 템플릿을 선택 받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사용자 선택된 템플릿을 구성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위젯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템플릿의 구성에 이용 가능한 위젯(Widget)을 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된 위젯이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템플릿 구성 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선택된 템플릿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으로 이동된 위젯이 터치 선택되면, 상기 터치 선택된 위젯에 삽입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팝업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상기 위젯에 삽입된 컨텐츠의 재생 화면을 고속으로 확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상기 구성된 템플릿을 송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성된 템플릿은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만 송출되거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과 네트워크 연동된 제1 내지 제N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표시된 위젯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으로 드래그앤드롭(Drag and Drop)되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은 격자 모양의 셀로 구성되되, 상기 위젯이 상기 셀 단위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상기 셀 단위로 상기 위젯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속된 템플릿을 추가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추가 생성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템플릿 추가 생성 버튼은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 표시된 위젯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 밖으로 터치 이동되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서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삭제된 위젯은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선택 팝업 창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 유지되어 있는 바로 선택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 상기 위젯에 삽입될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전송 받기 위한 컨텐츠 추가 버튼,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를 삭제하기 위한 컨텐츠 삭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새로운 템플릿을 추가하기 위한 템플릿 새로 추가 버튼, 최근 작업중인 템플릿을 확인하기 위한 최근 작업 템플릿 보기 버튼, 작업 완료된 템플릿을 선택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하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안드로이드 운용 체제가 탑재되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가 상기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젯은 광고 위젯, 게임 위젯, 뉴스 위젯, 날씨 위젯, 방송 위젯, 동영상 재생 위젯, 시계 위젯, 달력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동되되, 상기 위젯에 대응되는 서버와 각각 연동하여 상기 위젯에 표시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하여 템플릿을 구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의 디스플레이 형태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템플릿 구성 및 컨텐츠 삽입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련쳐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위젯(Widget) 기반의 템플릿 구성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련쳐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다양한 서버와 연동되는 각각의 위젯을 이용하여 템플릿을 구성하므로, 다양한 사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용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웹사이트가 아닌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서 위젯 기반으로 템플릿을 구성하고 구성된 템플릿을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들)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한 템플릿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한 템플릿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한 컨텐츠 삽입 및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한 컨텐츠 송출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단말(10),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 네트워크(30), 광고 서버(40), 게임 서버(50), 방송 서버(60),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70), 클라우드 서버(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10)은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은 소정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을 포함함-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과의 통신이 가능하고, 무선 통신-예를 들면, 무선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통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맥스(Wimax) 통신 등을 포함함-을 통해 네트워크(30)에 접속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인터넷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망은 상기한 무선 통신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네트워크(30)와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에 접속된 서버로부터 각종 컨테츠-여기서, 컨텐츠는 광고 영상/이미지, 게임 정보, 방송 정보, 뉴스 등을 포함함-를 수신하여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템플릿 구성 및 컨텐츠 삽입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Launcher)가 탑재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는 디지털 사이니지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배치를 위한 템플릿 구성 및 구성된 템플릿에 원하는 컨텐츠를 삽입하는데 이용되는 용용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이 때, 템플릿은 위젯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위젯은 그 기능에 따라 특정 서버와 연동되어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 탑재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운용자는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상에서 미리 설정된 위젯을 단순히 드래그앤드랍(Drag and Drop)하여 원하는 템플릿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 운용자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의 디스플레이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위젯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템플릿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운용자는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통해 컨텐츠를 관리하고, 해당 컨텐츠의 재생 일정을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운용자는 디지털 사이니 런쳐에 탑재된 컨텐츠 미리 보기 기능 및 컨텐츠 빨리 보기 기능 등을 이용하여 새로 구성된 템플릿에 삽입될 컨텐츠가 화면에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를 실제 컨텐츠 송출 이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네트워크(30)에 연결된 다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과 연동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서울역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a)은 네트워크(30)를 통해 부산역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b)과 연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사이니지 운용자는 서울역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a)에서 안드로이드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하여 템플릿을 구성할 수 있다. 이 후, 운용자는 새로 구성된 템플릿에 컨텐츠를 삽입한 후 컨텐츠 정상 표시 여부를 서울역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a)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확인 결과, 삽입된 컨텐츠가 화면에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운용자는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의 소정 메뉴 선택을 통해 네트워크(30)에 연결된 부산역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b)로 새로 구성된 템플릿 정보 및 컨텐츠 삽입 정보를 전송하여 동일한 컨텐츠가 네트워크 연결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들)에서 동시에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탑재된 얼굴 인식 수단을 이용하여 카메라 촬상된 사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을 확인하고, 확인된 연령대 및 성별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네트워크(30)에 연결된 해당 서버에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획득된 컨텐츠는 기 구성된 템플릿의 해당 위젯 영역에 삽입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는 모션 센싱 수단이 탑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다른 기기의 사용 없이 손/발을 이용한 제스쳐 등의 직관적인 움직임만으로 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게임 조정 능력이 없이도 적극적으로 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 일 예로, 모션 센서를 이용한 게임은 스키, 테니스, 탁구, 골프 등의 스포츠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통신부(110), 모션 센싱 모듈(120), 출력부(130), A/V(Audio/Video) 입력부(140), 접근 감지 모듈(145), 메모리부(150), 음성 인식 모듈(160), 얼굴 인식 모듈(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통신부(110)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과 네트워크(30) 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과 단말(10)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외부의 방송 서버(60)로부터 선택된 방송 채널에 상응하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케이블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서버(60)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Guide) 등의 정보가 방송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및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무선 인터넷 모듈(115)을 통해 네트워크(30)에 접속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이동 통신 모듈(113)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를 통해 네트워크(30)에 연결된 광고 서버(40), 게임 서버(50), SNS 서버(70), 클라우드 서버(80) 등에 접속하여 광고, 게임, 뉴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NFC 태깅을 통해 단말(10)에 저장된 단말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 IP 주소 등을 포함함-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상기한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10)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를 이용해 게임을 하는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의 출력 화면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10) 화면에 미러링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 화면에 표시된 광고 및 뉴스 정보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10)에 전송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120)은 게임 중 게임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된 움직임 정보를 제어부(18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움직임 정보는 제어부(180)에 의해 내부적으로 처리되거나 게임 서버(5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게임 서버(50)는 센싱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게임 화면을 구성하여 디지털 사이니지(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모션 센싱 모듈(120)은 근접 센싱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근접 센싱 기술은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한 기술일 수 있다.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31), 음향 출력 모듈(13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디지털 사이니지(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20)가 게임 모드인 경우 게임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20)가 광고 모드인 경우에는 광고 서버(40)로부터 수신된 광고 영상/이미지를 미리 정의된 화면 구성에 따라 표시한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20)가 방송 모드인 경우에는 방송 서버(60)로부터 수신된 방송 관련 정보를 미리 정의된 화면 구성에 따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상기한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가 조합된 화면을 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화면 상단에는 게임 영상이, 화면 하단에는 광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디지털 사이니지(20)의 바디 중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의 내부 영역 또는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싱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싱 모듈은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근접 센싱 모듈은 접촉식 센싱 모듈에 비해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음향 출력 모듈(133)은 방송 모드, 광고 모드, 게임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3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음향 출력 모듈(133)은 사용자 접근 감지에 따른 게임 참여 유도 멘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141)와 마이크(1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41)에 촬상된 사용자의 모습은 얼굴 인식 모듈(170)에 전달되어 사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을 분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카메라(141)는 디지털 사이니지(2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43)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 인식 모드의 경우, 음성 인식 모듈(160)에 전달되며, 음성 인식 모듈(160)은 탑재된 음성 인식 수단을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1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접근 감지 모듈(145)은 디지털 사이니지(20)에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접근 감지에 사용되는 기술은 적외선 감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광고 영상/이미지, 게임 영상, 게임 참여 유도를 위한 음성 안내 메시지, 뉴스 정보, 각종 응용 프로그램 등)가 임시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15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160)은 마이크(143)를 통해 인입되는 외부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여기서, 음성 인식 결과는 사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도 있다.
얼굴 인식 모듈(170)은 카메라(141)를 통해 촬상된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 인식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여기서, 얼굴 인식 결과는 사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모바일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게임 모드, 광고 모드, 방송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 서버와의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각종 응용 프로그램 및 위젯의 설치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하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모듈은 상술한 통신부(110), 모션 센싱 모듈(120), 출력부(130), A/V 입력부(140), 접근 감지 모듈(145), 메모리부(150), 음성 인식 모듈(160), 얼굴 인식 모듈(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한 템플릿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세하게, 도 3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 표시될 템플릿을 새롭게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사용자의 소정 메뉴 선택에 따라 관리자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관리자 모드로 전환되면,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관리자 인증 화면(310)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관리자 인증 화면(310) 미리 설정된 비밀 키 값(Password)을 입력한 후, 확인 버튼(311)을 클릭하여 관리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 인증이 완료되면,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템플릿을 선택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 화면(320)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템플릿 선택 화면(320)은 새로운 템플릿을 추가하기 위한 템플릿 새로 추가 버튼(321), 최근 작업중인 템플릿을 확인하기 위한 최근 작업 템플릿 보기 버튼(323), 기 작업 완료된 템플릿을 선택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하기 버튼(3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템플릿 선택 화면(320)상에서 템플릿 새로 추가 버튼(321)이 선택되면,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새로운 템플릿을 구성하기 위한 디폴트 템플릿 화면(330)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폴트 템플릿 화면(330)은 크게 템플릿 구성 영역(331)과 위젯 선택 영역(33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위젯 선택 영역(333)에 표시된 위젯 중 원하는 위젯을 선택하고, 선택된 위젯을 드래그앤드랍(Drag and Drop)하여 도면 번호 3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릿 구성 영역(331)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템플릿 구성 영역(331)은 격자 모양의 셀들로 구분되며, 사용자는 셀 단위로 원하는 영역에 선택한 위젯을 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젯 선택 영역(333)에는 위젯 별 격자 크기 및 형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시계 위젯(335)의 격자 크기 및 형태는 2*2 이고, 하단 배너 광고(337)의 격자 크기 및 형태는 3*1일 수 있다.
또한, 템플릿 구성 영역(331)의 일측에는 연속된 템플릿을 추가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추가 생성 버튼(339)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화면상에 표시된 템플릿의 구성이 완료된 후, 구성 완료된 템플릿에 연결된 템플릿 화면을 추가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템플릿 추가 생성 버튼(339)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템플릿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템플릿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템플릿 화면은 사용자 메뉴 설정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교차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선택 버튼(339)은 반투명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한 템플릿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세하게, 도 4는,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하여 기 구성된 템플릿을 수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템플릿 선택 화면(410)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근 작업 템플릿 보기 버튼(323)이 선택되면, 해당 버튼 하단 일측에 최근 작업중인 템플릿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작업중인 템플릿은 이마트_오전 템플릿과 원마운트_오전 템플릿을 포함한다고 가정하자. 만약, 표시된 최근 작업중인 템플릿 리스트 중 이마트_오전 템플릿이 선택되면,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이마트_오전 템플릿의 구성을 도면 번호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이마트_오전 템플릿은 4*3 형태의 동영상 재생 위젯(421) 및 1*3 형태의 배너 광고 위젯(42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자.
동영상 재생 위젯(421)이 이마트_오전 템플릿으로부터 제거되길 원할 경우,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위젯(421)을 선택한 후 화면 상단으로 밀어 올려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재생 위젯(421)은 위젯 선택 영역(333)에는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다시 동영상 재생 위젯(421)을 템플릿 구성 영역(331)에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위젯 선택 영역(333)상에서 동영상 재생 위젯(421)을 찾아 템플릿 구성 영역(331)의 원하는 영역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한 도 4에서는 최근 작업중인 템플릿을 수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템플릿 선택하기 버튼(325)을 이용하여 수정할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 구성을 수정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한 컨텐츠 삽입 및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템플릿 구성 영역(331)에 표시된 동영상 재생 위젯(511)을 선택하면, 동영상 재생 위젯(511)에 삽입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가 도면 번호 530-이하, 컨텐츠 선택 팝업 창-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선택 팝업 창(530)에는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기 위한 컨텐츠 추가 버튼(531) 및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 유지되어 있는 바로 삽입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533)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리스트(533)에는 해당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서 삭제하기 위한 컨텐츠 삭제 버튼(535)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리스트(533)는 동영상 재생 위젯(511)을 통해 최근 재생된 시간 순서로 정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컨텐츠 리스트(533)에 포함된 'Adc.wmv'에 상응하는 컨텐츠 삭제 버튼(535)이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삭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삭제 확인 팝업 알림 창(54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삭제를 원할 경우, 삭제 확인 팝업 알림 창(540)의 "예" 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 추가 버튼(531)을 선택하여 직접 파일을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 업로드하거나 클라우드 서버(80)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사용자는 컨텐츠 추가 버튼(531)을 선택하여 유투스(Youtube)와 같은 SNS 서버(70)의 동영상 링크 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 업로드함으로써, 동영상 재생 위젯(511)의 재생 리스트에 특정 동영상 컨텐츠를 삽입할 수도 있다.
특히, 클라우드 서버(80)에서 컨텐츠를 내려 받는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특정 클라우드 서비스 계정과 연동될 수 있으며, 연동된 계정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운 받아 동영상 재생 위젯(511)의 재생 리스트에 특정 동영상 컨텐츠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동영상 재생 위젯(511)을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컨텐츠 재생 위젯들은 각각의 미리 지정된 각각의 서버와 실시간 연동하여 해당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날씨 위젯은 날씨 서버와, 뉴스 위젯은 언론사 또는 포털 서버와 각각 연동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위젯은 광고 위젯, 게임 위젯, 뉴스 위젯, 날씨 위젯, 방송 위젯, 동영상 재생 위젯, 시계 위젯, 달력 위젯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다수의 서버와 연동되되, 각 위젯은 대응되는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위젯에 표시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이용한 컨텐츠 송출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템플릿 구성 및 컨텐츠 삽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확인 및 송출(610) 버튼을 이용하여, 삽입된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빠르게 확인하거나 송출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확인 및 송출(610) 버튼이 선택되면, 고속 미리 보기 버튼(621), 단말 송출 버튼(623), 그룹 송출 버튼(625)을 포함하는 확인 및 송출 제어 팝업 창(62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고속 미리 보기(621)을 선택하여, 해당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상에서 구성된 템플릿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에 노출되는 광고를 모두 한번씩 송출하는데 30분 가량의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를 통해 사용자는 2배속 4배속 등의 고속 재생을 통해 보다 빠르게 광고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 송출 버튼(623)을 이용하여, 자신이 조작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으로 구성된 템플릿을 송출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송출 버튼(623)이 선택되면, 해당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의 단말 정보 및 해당 템플릿 구성에 포함된 위젯 정보가 해당 서버로 전송된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단말 식별자, 매체 접속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 및 위젯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서버에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서버는 수신된 XML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수신된 XML을 표준 규격인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HTML5 등의 형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그룹 송출 버튼(625)을 이용하여 현재 조작중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20)과 네트워크(30)를 통해 그룹으로 연동되는 모든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서 작성된 템플릿 구성이 그룹으로 묶인 모든 단말에서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그룹 송출 버튼(625)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단말: 10 디지털 사이니지: 20
네트워크: 30 광고 서버: 40
게임 서버: 50 방송 서버: 60
SNS 서버: 70 모션 센싱 모듈: 120
출력부: 130 접근 감지 모듈: 145
음성 인식 모듈: 160 얼굴 인식 모듈: 170
템플릿 구성 영역: 331 위젯 표시 영역: 333

Claims (34)

  1.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서 템플릿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작업 대상 템플릿을 선택 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템플릿을 구성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측에 표시된 위젯(Widget)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템플릿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템플릿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템플릿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위젯을 포함하되, 상기 위젯에 사용자 선택된 컨텐츠가 삽입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위젯에 삽입된 컨텐츠의 고속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템플릿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템플릿 구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템플릿은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만 송출되거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과 네트워크 연동된 제1 내지 제N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 송출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선택된 템플릿을 설계하기 위한 템플릿 구성 영역과 상기 선택된 템플릿을 설계하기 위해 이용되는 위젯이 표시되는 위젯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템플릿 구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표시된 위젯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으로 드래그앤드롭(Drag and Drop)되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 삽입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은 격자 모양의 셀로 구성되되, 상기 위젯이 상기 셀 단위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 구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상기 셀 단위로 상기 위젯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가 표시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속된 템플릿을 추가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추가 생성 버튼이 표시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추가 생성 버튼은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의 일측에 표시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 표시된 위젯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 밖으로 터치 이동되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서 삭제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된 위젯은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유지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 표시된 위젯이 터치 선택되면, 상기 터치 선택된 위젯에 삽입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팝업 창이 표시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컨텐츠 선택 팝업 창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 유지되어 있는 바로 선택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 상기 위젯에 표시될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전송 받기 위한 컨텐츠 추가 버튼,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를 삭제하기 위한 컨텐츠 삭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템플릿 구성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새로운 템플릿을 추가하기 위한 템플릿 새로 추가 버튼, 최근 작업중인 템플릿을 확인하기 위한 최근 작업 템플릿 보기 버튼, 작업 완료된 템플릿을 선택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하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템플릿 구성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동작되는, 템플릿 구성 방법.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9. 템플릿 구성을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가 탑재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서 있어서,
    작업 대상 템플릿을 선택 받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사용자 선택된 템플릿을 구성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위젯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된 템플릿의 구성에 이용 가능한 위젯(Widget)을 표시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된 위젯이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템플릿 구성 영역으로 이동되어 상기 선택된 템플릿이 구성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으로 이동된 위젯이 터치 선택되면, 상기 터치 선택된 위젯에 삽입될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팝업 창이 표시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에 삽입된 컨텐츠의 재생 화면을 고속으로 확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템플릿을 송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성된 템플릿은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만 송출되거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과 네트워크 연동된 제1 내지 제N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 송출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표시된 위젯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으로 드래그앤드롭(Drag and Drop)되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 삽입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은 격자 모양의 셀로 구성되되, 상기 위젯이 상기 셀 단위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상기 셀 단위로 상기 위젯의 크기 정보 및 형태 정보가 표시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연속된 템플릿을 추가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추가 생성 버튼이 표시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추가 생성 버튼은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의 일측에 표시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 표시된 위젯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 밖으로 터치 이동되면 상기 템플릿 구성 영역에서 삭제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된 위젯은 상기 위젯 표시 영역에 유지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30. 제20항에 있어서,
    컨텐츠 선택 팝업 창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에 유지되어 있는 바로 선택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 상기 위젯에 삽입될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전송 받기 위한 컨텐츠 추가 버튼,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를 삭제하기 위한 컨텐츠 삭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새로운 템플릿을 추가하기 위한 템플릿 새로 추가 버튼, 최근 작업중인 템플릿을 확인하기 위한 최근 작업 템플릿 보기 버튼, 작업 완료된 템플릿을 선택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하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안드로이드 운용 체제가 탑재되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가 상기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에 의해 실행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3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은 광고 위젯, 게임 위젯, 뉴스 위젯, 날씨 위젯, 방송 위젯, 동영상 재생 위젯, 시계 위젯, 달력 위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3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동되되, 상기 위젯은 대응되는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위젯에 표시될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KR1020140125745A 2014-09-22 2014-09-22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 KR20160035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745A KR20160035130A (ko) 2014-09-22 2014-09-22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745A KR20160035130A (ko) 2014-09-22 2014-09-22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130A true KR20160035130A (ko) 2016-03-31

Family

ID=5565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745A KR20160035130A (ko) 2014-09-22 2014-09-22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1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044A1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クレア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044A1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クレア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9159155A (ja) * 2018-03-14 2019-09-19 株式会社クレア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15012B (zh) 直播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102572096B (zh) 移动终端及其应用控制方法
CN103460723B (zh) 用于更新多个动态图标面板的推送通知
KR101899548B1 (ko) 휴대단말에서 피드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WO2019072096A1 (zh) 视频直播中的互动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1018528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886920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adata applying method thereof
KR20130022023A (ko)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N103595756A (zh) 产生和利用基于云服务的内容快捷方式对象的方法和设备
US101628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globally communicating and evaluating digital images of sports fans, public displays of affection and miscellaneous groups from entertainment venues
CN103595755A (zh) 用于显示使用云服务的便携式终端的内容的方法和装置
KR20140119609A (ko)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103727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globally communicating and evaluating, digital still and video images of sports and event spectators, including augmented reality images from entertainment and gathering venues
KR20150049900A (ko)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4679621A (zh) 一种视频展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20140009851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613905B1 (ko) 컨텐츠에 포함된 요소의 클립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40024114A (ko) 스마트 tv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탬플릿을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866793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01735B1 (ko) 외부 서버와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60035130A (ko) 디지털 사이니지 런쳐
CN114222155B (zh) 资源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210488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5607958B (zh) 信息输入方法及装置
CN114025317A (zh) 多媒体资源的传播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