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731A -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731A
KR20160034731A KR1020140126089A KR20140126089A KR20160034731A KR 20160034731 A KR20160034731 A KR 20160034731A KR 1020140126089 A KR1020140126089 A KR 1020140126089A KR 20140126089 A KR20140126089 A KR 20140126089A KR 20160034731 A KR20160034731 A KR 20160034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
preference
control
value
senso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071B1 (ko
Inventor
서호석
김정근
서명우
석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2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0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5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a comparison with predetermined threshold or range, e.g. "classical methods", carried out during normal operation; threshold adaptation or choice; when or how to compare with the thres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이동 가능하며, 외부 환경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환경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호도를 입력받는 센서 박스를 포함한다. 전자기기는 상기 센서 박스 주변 영역의 환경을 제어하고, 기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박스에 의해 측정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센서 박스 주변 영역에 대한 환경을 제어하되, 상기 센서 박스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해 상기 센서 박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호도 입력에 의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이 있는 경우 상기 선호 환경값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 USING PORTABLE SENSOR BOX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 공간내 환경은 리모콘이나 중앙 관리 장치에 의해 제어 가능한 각종의 전자기기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 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이 냉난방기나 조명의 제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제어는 일반적으로 각종의 센서, 예를 들어,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등을 통해서 감지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사무 공간내에서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들은 건물의 건축 당시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환경을 제어하는 각종의 전자기기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사무 공간내에서 위치 변동이 심한 근무 환경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정된 위치의 센서가 아닌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는 환경 센서 정보 기반의 사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은,
이동 가능하며, 외부 환경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환경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호도를 입력받는 센서 박스; 상기 센서 박스 주변 영역의 환경을 제어하는 전자기기;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기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센서 박스에 의해 측정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센서 박스 주변 영역에 대한 환경을 제어하되, 상기 센서 박스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해 상기 센서 박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호도 입력에 의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이 있는 경우 상기 선호 환경값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영역에 대해 복수의 선호 환경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선호 환경값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영역별로 초기 환경값을 설정하고, 상기 영역에 대해 선호 환경값이 없는 경우 상기 초기 환경값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호도가 좋은 선호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중인 환경 제어의 제어 환경값을 해당 영역에 대한 선호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호도가 나쁜 선호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중인 환경 제어의 제어 환경값에 대해 복수의 변경 레벨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환경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변경 레벨은 기준 제어값을 기준으로 제어값의 범위가 순차적으로 넓어지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 박스는, 주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환경 센서부;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시 센서; 사용자로부터 주변 환경 상태에 대한 선호도를 입력받는 선호도 입력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해 주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환경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환경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선호도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박스와 상기 관리 장치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박스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 수행의 결과를 통해 상기 센서 박스가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영역 판단부;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센서 박스로부터 수신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박스 주변의 환경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센서 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는 선호도 판단부; 상기 센서 박스로부터 측정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할 제어 환경값을 설정하는 환경값 설정부; 및 상기 센서 박스로부터 환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영역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영역에 대해 상기 기기 제어 장치를 통한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센서 박스 주변에 대한 환경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환경 관리 방법은,
관리 장치가 센서 박스에 의해 측정되는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 박스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선호 환경값이 설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호 환경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선호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호 환경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설정된 초기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환경값에 의한 전자기기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센서 박스 주변의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호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이 복수 개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복수 개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복수 개의 선호 환경값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되는 평균값을 상기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 환경값이 하나만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선호 환경값을 상기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센서 박스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호도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나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변경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초기 환경값 또는 상기 선호 환경값을 기준으로 상기 변경 레벨을 적용하여 변경 환경값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되는 변경 환경값을 상기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환경값에 의한 전자기기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센서 박스 주변의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호도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환경값을 상기 영역에 대한 선호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경 환경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초기 환경값 또는 상기 선호 환경값을 기준으로 복수의 변경 레벨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환경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변경 레벨은 상기 초기 환경값 또는 상기 선호 환경값을 기준으로 제어값의 범위가 순차적으로 넓어지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된 위치의 센서가 아닌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는 환경 센서 정보 기반의 사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선호 환경 기반의 개인화된 사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축 건물 대상으로 에너지 사용 최적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박스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제어 환경값의 변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제어 환경값의 변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 제어 환경값의 변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에 의한 환경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호도 입력에 의한 환경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시스템(10)은 센서 박스(100), 관리 장치(200),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300), 조명 및 냉난방기(400) 및 기기 제어 장치(500)를 포함한다.
센서 박스(100)는 이동 가능하며, 주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관리 장치(200)로 전달한다. 이러한 환경 정보로는 센서를 통해 주변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정보로써, 예를 들어, 온도, 습도, 조도, 산소 포화도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온도, 습도 및 조도만을 측정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센서 박스(100)는 주변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주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한다. 여기서 주변으로는 예를 들어 센서 박스(100)를 기준으로 대략 1m 정도의 반경 내를 말한다.
또한, 센서 박스(100)는 환경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입력을 받아서 관리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센서 박스(100)를 통해 현재의 온도, 습도 또는 조도의 상태가 좋은지 또는 나쁜지 등의 선호도를 입력할 수 있다.
관리 장치(200)는 센서 박스(100)에 의해 측정되는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을 제어한다. 이러한 환경의 제어는 센서 박스(100)를 통한 사용자의 선호도 입력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박스(100)를 통한 사용자의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센서 박스(100)의 주변 환경을 그대로 유지하지만, 만약 사용자의 선호도가 나쁜 것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센서 박스(100)의 주변 환경을 사용자의 선호도가 좋아질 때까지 변경하는 환경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관리 장치(200)는 기기 제어 장치(500)를 통해 전자기기, 특히 조명 및 냉난방기(4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조명 및 냉난방기(400)는 센서 박스(100)를 포함하는 주변에 설채된 조명 및 냉난방기를 의미한다.
기기 제어 장치(500)는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제어하여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조명 제어에 의해 조도를 제어하고, 냉난방기의 제어를 통해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박스(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박스(100)는 환경 센서부(110), 움직임 감지 센서(120), 근거리 통신부(130), 선호도 입력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환경 센서부(110)는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센서로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11),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113),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115)가 포함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120)는 센서 박스(100)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움직임 감지 센서(120)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근거리 통신부(130)는 센서 박스(100)와 액세스 포인트(300)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으로는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선호도 입력부(140)는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선호도 입력은 버튼 형식의 선택을 통해 입력이 가능하며, 환경 상태 별로 선호도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환경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 가능한 환경 정보, 즉 온도, 습도 및 조도별로 선호도를 별도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선호도로는 다양한 입력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호도가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만 구분하여 입력 가능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표시부(150)는 사용자에게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 상태를 알려주거나 또는 사용자 선호도 입력을 위한 정보 표시를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움직임 감지 센서(120)에 의해 센서 박스(100) 주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환경 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되는 환경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 장치(200)로 전달하고, 사용자 선호도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또한 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 장치(200)로 전달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장치(200)는 통신부(210, 220), 영역 판단부(230), 저장부(240), 선호도 판단부(250), 환경값 설정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센서 박스(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20)는 기기 제어 장치(5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영역 판단부(230)는 센서 박스(100)와 액세스 포인트(300) 사이의 통신 수행의 결과를 통해 센서 박스(100)가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한다. 이러한 영역 판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가 수행되는 사무 공간내 전체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상태에서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센서 박스(100)의 위치가 확인되는 경우 해당 위치가 속하는 영역 판단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300)가 센서 박스(100)와의 통신을 통해 센서 박스(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00)는 센서 박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방향과 전파의 신호 세기를 통해서 센서 박스(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300)가 이러한 위치 확인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은 당연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저장부(240)는 관리 장치(200)가 센서 박스(100)로부터 수신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240)는 선호 환경값 저장부(241), 초기 환경값 저장부(243), 제어 환경값 저장부(245) 및 변경 단계 저장부(247)를 포함한다.
선호 환경값 저장부(241)는 영역별 그리고 각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별로 사용자 선호도가 좋은 때의 제어 환경값을 선호 환경값으로 저장한다. 이러한 선호 환경값은 복수 개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선호 환경을 가질 수 있으므로, 각 사용자별로 선호되는 환경에 따른 선호 환경값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선호 환경값은 온도, 습도 및 조도별로 각각 설정된다.
초기 환경값 저장부(243)는 영역별 그리고 각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별로 선호 환경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초기 환경값을 저장한다. 즉, 이러한 초기 환경값은 온도, 습도 및 조도별로 각각 저장된다.
제어 환경값 저장부(245)는 관리 장치(200)에 의해 환경 제어가 수행되는데 사용되는 환경값을 저장한다. 이러한 환경값은 사무 공간내 분할된 영역별로 저장되며, 또한, 각 영역에 대해 온도, 습도 및 조도별로 각각 저장된다.
변경 단계 저장부(247)는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환경값을 변경하는 단계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단계 정보는 영역별 그리고 각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별로 각각 저장된다. 변경 단계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선호도 판단부(250)는 센서 박스(10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선호도의 좋고 나쁨을 판단한다.
환경값 설정부(260)는 센서 박스(100)로부터 측정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 제어 장치(500)를 통해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제어할 환경값을 설정한다.
이러한 환경값 설정부(260)는 선호 제어 판단부(261), 변경 단계 판단부(263) 및 설정부(265)를 포함한다.
선호 제어 판단부(261)는 선호 환경값 저장부(241)에 선호 환경값의 저장 여부에 따라 선호 제어를 판단한다. 즉, 선호 환경값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선호 제어로 판단한다.
변경 단계 판단부(263)는 변경 단계 저장부(247)에 저장되어 있는 영역별 및 온도, 습도 및 조도별 변경 단계 정보에 의해 각 영역의 온도, 습도 및 조도별 변경 단계를 판단한다.
설정부(265)는 선호 제어 판단부(261)에 의해 선호 제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초기 환경값 저장부(243)에 저장되어 있는 온도, 습도 및 조도별 초기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여 기기 제어 장치(500)로 전달하여 초기 환경값으로 조명 및 냉난방기(400)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설정부(265)는 선호 제어 판단부(261)에 의해 특정 영역에 대한 제어가 선호 제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선호 환경값 저장부(24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영역에 대한 선호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여 기기 제어 장치(500)를 통해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제어한다. 이 때, 특정 영역에 대해 저장되어 있는 선호 환경값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복수 개의 선호 환경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평균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여 기기 제어 장치(500)를 통해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제어한다.
또한, 설정부(265)는 사용자 선호도가 나쁜 것으로 입력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해 제어 환경값 저장부(245)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환경값과 변경 단계 저장부(247)에 저장되어 있는 변경 단계 정보를 사용하여 새로운 제어 환경값으로 변경 설정하여 기기 제어 장치(500)로 전달하여 변경 설정된 제어 환경값으로 조명 및 냉난방기(400)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70)는 센서 박스(100)로부터 환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영역 판단부(230)에 의해 판단되는 영역에 대해 기기 제어 장치(500)를 통한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사용하여 센서 박스(100) 주변에 대한 환경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저장부(240)와 설정부(250)를 통해서 제어 환경값을 설정하여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제어할 기기 제어 장치(50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센서 박스(100)로부터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영역 판단부(230)에 의해 판단되는 영역에 대해 기기 제어 장치(500)를 통한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사용하여 센서 박스(100) 주변에 대한 환경 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선호도 판단부(250)에 의해 사용자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제어 환경값으로 기기 제어 장치(500)를 통한 조명 및 냉난방기(400)의 제어가 계속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제어부(270)는 선호도 판단부(250)에 의해 사용자 선호도가 나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환경값 설정부(260)를 통해 제어 환경값을 변경 설정하여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제어하도록 한다.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환경값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제어 환경값의 변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제어 환경값의 변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도 제어 환경값의 변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온도, 습도 및 조도에 대한 제어 환경값의 변경은 변경 레벨의 단위만이 온도의 경우 ℃, 습도의 경우 %, 그리고 조도의 경우 룩스로써 상이할 뿐 레벨 변경의 방식이 동일하므로 도 4에 도시된 온도의 경우만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선호 환경 온도나 초기 설정 온도의 사용이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초기 설정 온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현재 사무실의 온도가 a℃인 상태에서 센서 박스(100)를 통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초기 설정 온도인 b℃로 온도 제어가 시작된다(S1)
이와 같이, 온도 제어가 수행되는 중에 센서 박스(100)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가 나쁨으로 입력되면 변경 적용될 온도를 알 수 없으므로 우선 현재 설정된 제어 온도인 b℃보다 한 단계, 즉 1℃ 높은 온도가 적용되어 실질적으로 +1 변경 레벨이 적용되어 b+1℃ 제어 온도로써 온도 제어가 수행된다(S2).
이렇게 +1 변경 레벨로 온도 제어가 수행되는 중에 다시 센서 박스(100)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가 나쁨으로 입력되면 현재 +1 변경 레벨이 적용 중이므로 다음 변경 레벨인 -1이 적용되어 초기 온도인 b℃보다 1℃ 낮은 b-1℃ 온도가 변경 온도로써 적용되어 온도 제어가 수행된다(S3).
다음, -1 변경 레벨로 온도 제어가 수행되는 중에 다시 센서 박스(100)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가 나쁨으로 입력되면 현재 -1 변경 레벨이 적용 중이므로 다음 변경 레벨인 +2가 적용되어 초기 온도인 b℃보다 2℃ 높은 b+2℃ 온도가 변경 온도로써 적용되어 온도 제어가 수행된다(S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제어시 사용자 선호도의 나쁨으로 인해 온도의 레벨을 변경할 때 기준 온도, 여기에서는 초기 온도를 기준으로 +1, -1, +2, -2, +3, -3, +4, -4, … 와 같이 변경되는 온도 폭이 순차적으로 넓어지는 방식으로 변경 레벨을 적용하여 온도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한 방식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 및 조도에도 적용되어 습도와 조도의 변경 레벨이 순차적으로 넓어지는 방식으로써 습도 및 조도 제어가 수행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센서 박스(100)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어 관리 장치(200)에 의해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 제어가 수행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에 의한 환경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환경 제어가 수행되는 사무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속하는 위치 정보에 의해 해당 영역이 판단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장치(200)는 관리자에 의해 사무 공간 전체에 대한 초기 환경값이 미리 설정된다(S100). 여기서, 초기 환경값을 복수의 영역별로 각각 설정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무 공간 전체에 대해 초기 환경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또한 초기 환경값은 온도, 습도 및 조도별로 각각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 센서 박스(100)가 특정 영역으로 이동되어 위치한 후 움직임 감지 센서(120)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S110), 센서 박스(100)는 센서부(110)의 온도 센서(111), 습도 센서(113) 및 조도 센서(115)를 통해 센서 박스(100)의 주변 환경 정보, 즉 온도, 습도 및 조도를 측정하여(S120),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관리 장치(200)로 전달한다(S130).
관리 장치(200)는 센서 박스(100)로부터 환경 정보가 수신되면, 영역 판단부(230)를 통해 센서 박스(100)가 위치한 영역을 판단한다(S140).
그 후, 관리 장치(200)는 선호 환경값 저장부(241)에서 상기 단계(S140)에서 판단된 영역에 해당하는 선호 환경값이 있는지를 판단하고(S150), 만약 선호 환경값이 있으면 선호 환경값이 복수 개인지를 판단한다(S160).
만약 복수 개의 선호 환경값이 있는 경우에는 평균값을 산출하여(S165) 산출되는 평균값을 선호 환경값으로 설정한다(S170).
그러나, 하나의 선호 환경값만이 있거나 또는 상기 단계(S170)에서 평균값으로 선호 환경값이 설정된 후에는 선호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한다(S175).
한편, 상기 단계(S150)에서 선호 환경값 저장부(241)에 상기 단계(S140)에서 판단된 영역에 해당하는 선호 환경값이 없으면 초기 환경값 저장부(243)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영역에 해당하는 초기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한다(S180).
그 후, 관리 장치(200)는 상기 단계(S175) 또는 상기 단계(S180)에서 설정된 제어 환경값을 기기 제어 장치(500)로 전달하고(S185), 기기 제어 장치(500)는 이러한 제어 환경값을 사용하여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제어하여(S190)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을 제어한다(S195).
다음, 관리 장치(200)에 의해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 제어가 수행되는 중에 센서 박스(100)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가 입력되는 경우의 환경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호도 입력에 의한 환경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관리 장치(200)가 제어 환경값을 사용하여 기기 제어 장치(500)를 통해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제어하여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을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S200), 센서 박스(100)의 선호도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가 입력되면(S210), 센서 박스(100)는 입력되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관리 장치(200)로 전달한다(S220).
이와 같이, 센서 박스(100)로부터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수신되면, 관리 장치(200)는 영역 판단부(230)를 통해 센서 박스(100)가 위치한 영역을 판단한다(S230).
그 후, 관리 장치(200)는 센서 박스(10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통해 사용자 선호도가 나쁜 것인지를 판단한 후(S240), 만약 사용자 선호도가 나쁜 것으로 입력된 것이면 변경 레벨 저장부(240)에서 상기 단계(S230)에서 판단되는 영역에 대한 변경 레벨을 확인한다(S250).
다음, 관리 장치(200)는 확인되는 변경 레벨과 제어 환경값 저장부(24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영역에 대한 제어 환경값을 사용하여 다음 제어에서 사용된 변경 환경값을 산출한다(S260).
그리고, 관리 장치(200)는 변경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여(S270) 기기 제어 장치(500)로 전달한다(S280).
따라서, 기기 제어 장치(500)는 사용자 선호도의 나쁨으로 인해 변경된 환경값으로 재설정된 제어 환경값을 사용하여 조명 및 냉난방기(400)를 제어하여(S290) 센서 박스(100) 주변의 환경을 새로이 제어한다(S295).
한편, 상기 단계(S240)에서 사용자 선호도가 나쁜 것으로 입력된 것이 아니라 좋은 것으로 입력된 것이면 관리 장치(200)는 현재 제어 중인 제어 환경값을 해당 영역에 대한 선호 환경값으로써 선호 환경값 저장부(241)에 저장한다(S297).
상기에서는 센서 박스(100)의 주변 환경을 온도, 습도 및 조도에 기초해서만 환경 제어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환경 정보에 의해 환경 제어가 가능한 환경 상태에 대해서는 상기한 설명을 참조하는 경우 당업자에 의해 쉽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이동 가능하며, 외부 환경을 측정하여 대응되는 환경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호도를 입력받는 센서 박스;
    상기 센서 박스 주변 영역의 환경을 제어하는 전자기기;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기기 제어 장치; 및
    상기 센서 박스에 의해 측정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센서 박스 주변 영역에 대한 환경을 제어하되, 상기 센서 박스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해 상기 센서 박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호도 입력에 의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이 있는 경우 상기 선호 환경값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관리 장치
    를 포함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영역에 대해 복수의 선호 환경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선호 환경값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영역별로 초기 환경값을 설정하고, 상기 영역에 대해 선호 환경값이 없는 경우 상기 초기 환경값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호도가 좋은 선호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중인 환경 제어의 제어 환경값을 해당 영역에 대한 선호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박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호도가 나쁜 선호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행중인 환경 제어의 제어 환경값에 대해 복수의 변경 레벨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환경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경 레벨은 기준 제어값을 기준으로 제어값의 범위가 순차적으로 넓어지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박스는,
    주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환경 센서부;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시 센서;
    사용자로부터 주변 환경 상태에 대한 선호도를 입력받는 선호도 입력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해 주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환경 센서부를 통해 측정되는 환경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선호도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박스와 상기 관리 장치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센서 박스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 수행의 결과를 통해 상기 센서 박스가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하는 영역 판단부;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센서 박스로부터 수신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박스 주변의 환경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센서 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는 선호도 판단부;
    상기 센서 박스로부터 측정되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기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할 제어 환경값을 설정하는 환경값 설정부; 및
    상기 센서 박스로부터 환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영역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영역에 대해 상기 기기 제어 장치를 통한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센서 박스 주변에 대한 환경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9. 관리 장치가 센서 박스에 의해 측정되는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 박스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선호 환경값이 설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호 환경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선호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호 환경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설정된 초기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환경값에 의한 전자기기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센서 박스 주변의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경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환경값을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이 복수 개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복수 개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복수 개의 선호 환경값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되는 평균값을 상기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 환경값이 하나만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선호 환경값을 상기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경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센서 박스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호도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나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변경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초기 환경값 또는 상기 선호 환경값을 기준으로 상기 변경 레벨을 적용하여 변경 환경값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되는 변경 환경값을 상기 제어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환경값에 의한 전자기기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센서 박스 주변의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환경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환경값을 상기 영역에 대한 선호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환경값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초기 환경값 또는 상기 선호 환경값을 기준으로 복수의 변경 레벨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환경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경 레벨은 상기 초기 환경값 또는 상기 선호 환경값을 기준으로 제어값의 범위가 순차적으로 넓어지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제어 방법.
KR1020140126089A 2014-09-22 2014-09-22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089A KR102398071B1 (ko) 2014-09-22 2014-09-22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089A KR102398071B1 (ko) 2014-09-22 2014-09-22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731A true KR20160034731A (ko) 2016-03-30
KR102398071B1 KR102398071B1 (ko) 2022-05-12

Family

ID=5566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089A KR102398071B1 (ko) 2014-09-22 2014-09-22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0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9206A (ja) * 2007-03-29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調制御システム
KR20090030393A (ko) * 2007-09-20 2009-03-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3962A (ko) * 2009-12-24 2011-06-3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의 냉난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106075A (ko) * 2011-03-17 2012-09-26 (주)시리우스소프트 실내환경정보 제공 이동 단말기와 실내환경 제어 컴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9206A (ja) * 2007-03-29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調制御システム
KR20090030393A (ko) * 2007-09-20 2009-03-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3962A (ko) * 2009-12-24 2011-06-3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의 냉난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106075A (ko) * 2011-03-17 2012-09-26 (주)시리우스소프트 실내환경정보 제공 이동 단말기와 실내환경 제어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071B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217B1 (ko) 스타일러스와 스타일러스 센서 컨트롤러 사이의 쌍방향 통신에 기초한 스타일러스 틸트 검출
US20180151060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targeted devices
AU2017219020B2 (en) Electric device, air conditioner, external controller, portable terminal,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790084B1 (ko) 블루투스 단말의 거리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130166069A1 (en) Robot and power consumption estimating system
CA2944142A1 (en) Process variable transmitter with loop-powered wireless transceiver
CN108518820A (zh) 空调器控制方法、终端、空调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865137A (zh) 一种密钥卡以及密钥卡传输补偿方法
JP5801108B2 (ja) 無線システム
KR20160005977A (ko) 체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온 측정 방법
KR101165067B1 (ko) 냉난방 시스템 및 온습도 조절 방법
EP3726492B1 (en) Controlled applianc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via the ble standard
KR20160034731A (ko)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5509A (ko) 기기 식별 장치 및 그 기기의 제어 방법
WO2017208344A1 (ja) 空調システム
US20190196704A1 (en) Setting device, lighting system, method for setting up communication configuration in lighting fixture, and recording medium
US202300535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issioning environmental sensors
JP5535125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EP3726493B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led appliance via the ble standard
KR101989471B1 (ko) 오작동 문제 해결을 위한 실외형 인체 감지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2856733A (zh) 基于移动终端的空调器控制方法和移动终端
KR102282593B1 (ko) 에어컨의 제어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에어컨
US20230164466A1 (en) FACILITY DEVICE CONTROL SYSTEM, USER TERMINAL, FACILITY DEVIC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s amended]
JP2012251707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20220221180A1 (en)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