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927A -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 Google Patents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927A
KR20160033927A KR1020140124762A KR20140124762A KR20160033927A KR 20160033927 A KR20160033927 A KR 20160033927A KR 1020140124762 A KR1020140124762 A KR 1020140124762A KR 20140124762 A KR20140124762 A KR 20140124762A KR 20160033927 A KR20160033927 A KR 2016003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reflective
screen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191B1 (ko
Inventor
김진범
이승규
김영성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1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2Lenticular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반사 특성을 가지게 하여 입사된 외광이 외부로 반사되어 출력되는 것을 저감시키거나 광의 출사각도를 변형시키도록 일측에 경사진 요철을 가지는 요철 투광층; 상기 요철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층; 상기 반사층을 보호하는 보호층; 및 상기 반사층으로부터 반사된 프로젝터의 영상광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요철 투광층의 타측과 표면 접촉하여 형성된 확산층을 포함하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SCREEN FOR REFLECTIVE PROJECTOR}
본 발명은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광을 저감하여 명실에서 높은 명암비를 유지할 수 있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단초점 프로젝터용 스크린이 아닌 종래의 일반 프로젝터용 스크린은 밝은 실내에서 콘트라스트의 저하에 따른 문제가 있기 때문에 명실용으로는 상용의 한계가 있다.
명실용으로 연구되고 있는 프로젝터용 스크린의 경우에도 입사광이 큰 외광만 제어가 가능할 뿐이다. 즉, 천장에 있는 조명에서 직접적으로 스크린에 도달하는 빛들은 제어가 되지만, 실내의 벽면에서 반사되어 간접적으로 스크린에 도달하는 빛들이나, 스탠드와 같이 낮은 위치에서 스크린으로 직접적으로 도달하는 빛들은 제어가 되지 않아서 블랙휘도가 증가하여 명암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광을 저감하여 명실에서 높은 명암비를 유지할 수 있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반사 특성을 가지게 하여 입사된 외광이 외부로 반사되어 출력되는 것을 저감시키거나 광의 출사각도를 변형시키도록 일측에 경사진 요철을 가지는 요철 투광층; 상기 요철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층; 상기 반사층을 보호하는 보호층; 및 상기 반사층으로부터 반사된 프로젝터의 영상광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요철 투광층의 타측과 표면 접촉하여 형성된 확산층을 포함하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이 제공된다.
상기 확산층은 이방성 확산층 또는 등방성 확산층일 수 있다.
상기 요철 투광층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UV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요철 투광층은 상기 반사층이 형성된 요철을 통해 상기 스크린으로 입사된 외광이 외부로 반사되어 출력되는 것을 저감시키거나 광의 출사각도를 변형시키도록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 투광층은 외광 흡수를 위한 광 흡수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 투광층은 상기 반사층이 3개의 반사면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과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 투광층은 상기 반사층이 경사진 2개의 반사면과, 중간에 오목 또는 볼록한 반사면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과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 투광층은 상기 반사층이 2개의 경사진 반사면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과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 투광층은 상기 반사층이 삼각 단면을 가지도록 경사면과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사층 및 상기 요철 투광층은 수평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요철이 상하로 복수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 투광층및 반사층의 구조를 통해 외광을 저감하여 명실에서 높은 명암비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천장에 설치된 조명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스크린에 도달하는 외광 뿐 아니라, 실내의 벽면에서 반사되어 간접적으로 스크린에 도달하는 외광과, 스탠드와 같이 낮은 위치에서 스크린으로 직접적으로 도달하는 외광을 매우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음에 따라 명실에서 높은 명암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서 반사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 대하여 높은 각도로 입사하는 외광을 저감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서 작은 각도로 입사하는 외광을 저감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서 반사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100)은 프로젝터(200)와 대면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외광을 저감하여 명실에서 높은 명암비를 유지하면서 프로젝터(200)로부터 투사되는 동영상 또는 스틸 영상의 영상광을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100)은 간단하게 스크린(100)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100)은 확산층(110), 요철 투광층(120), 반사층(130), 보호층(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젝터(200)로부터 투사되어 스크린(100)으로 입사되는 영상광은 확산층(110), 요철 투광층(120)을 투과하여, 반사층(130)에 의해 반사된 후 다시 요철 투광층(120)을 투과하여 확산층(110)에 의해 확산되어 스크린(100)의 외부로 방출된다.
확산층(110)은 반사층(130)으로부터 반사되는 영상광을 표면에서 확산시킴으로써 스크린(100)의 시야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층(110)은 이방성 확산층 또는 등방성 확산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요철 투광층(120)은 요철 단면을 가지는 광구조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광구조체로 구현될 수 있다. 요철 투광층(120)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UV 경화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요철 투광층(120)은 확산층(110)과 접하는 부분에 평평한 면을 가진다. 요철 투광층(120)의 다른 쪽에는 요철(121)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 투광층(120)의 요철(121) 표면에는 반사층(130)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 투광층(120)은 반사층(130)이 형성된 요철 구조를 통해 프로젝터(200)로부터 스크린(100)으로 입사된 영상광과 함께, 스크린(100)으로 입사된 외광이 스크린(100)의 외부로 반사되어 출력되는 것을 저감시키거나 광의 출사각도를 변형시킬 수 있다.
요철 투광층(120)은 외광 흡수를 위한 광 흡수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 입자들은 예를 들어 검정색 염료로 제조될 수 있다. 외광은 프로젝터(20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요철 투광층(120)에 포함된 광 흡수 입자들에 의해 외광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요철 투광층(120)의 요철은 스크린의 수직 높이에 따라서 스크린이 최적의 성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요철 투광층(120)의 경우에 사용하는 레진은 열경화성 또는 UV 경화성 레진을 사용할 수 있다. 합리적으로는 열경화성 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반사층(130)은 요철 투광층(120)의 요철(121)에 형성되어 있다. 반사층(130)은 프로젝터(20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을 스크린의 앞쪽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사층(130)은 영상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물질이 요철 투광층(120)의 요철(121)에 적절한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물질은 예를 들어 은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서 반사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서 반사층(130)은 수평 배열된 복수개의 층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배열되어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된 각 반사층(130)은 제1 반사면(131), 제2 반사면(132), 제3 반사면(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반사면(131)은 수평면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제2 반사면(132)은 제1 반사면(131)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수직면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제3 반사면(133)은 제2 반사면(132)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수평면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반사층(130)은 요철 투광층(120)의 요철(121)의 표면상에 형성됨에 따라 제1 반사면(131), 제2 반사면(132), 제3 반사면(133)은 요철 투광층(120)에서 요철(121)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 대하여 높은 각도로 입사하는 외광을 저감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높은 곳에서 큰 입사각으로 입사되는 외광(102)의 경우, 반사층(130)의 제1 반사면(131), 제2 반사면(132), 제3 반사면(133)에 의해 여러번 반사를 하게 된다. 반사층(130)의 반사율은 100%보다 작음으로 반사횟수가 증가할 수록 광량은 지수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아울러, 반사층(130)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높이보다 아랫쪽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높은 곳에서 큰 입사각(예:입사각 45도)으로 입사되는 외광(102)의 경우에는 제1 반사면(131), 제2 반사면(132), 제3 반사면(133)의 반사층(130) 구조를 통해 10회 반사를 한 후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반사층(130)의 반사율을 80%라고 가정하면 90% 정도의 광량이 반사층(130)에서의 다중 반사를 통해서 흡수될 수 있다.
높은 곳에서 큰 입사각으로 입사되는 외광(102)은 예를 들어 천장에 설치된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200)가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천장에 설치된 조명은 스크린(100)에 대하여 프로젝터(200)의 앞쪽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200)가 천정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높은 곳에서 큰 입사각으로 입사되는 외광은 천정에 설치된 모든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에 비하여, 또는 스크린(100)에 대하여 프로젝터(200)보다 앞선 위치에 설치된 조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입사각으로 입사되는 프로젝터(200)의 영상광은 2-3회 반사가 일어나므로 광량의 감소량 또한 작아진다. 이는 입사하는 각도에 입사각이 큰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광량을 저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입사각이 큰 외광의 경우 반사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요철 투광층(120)과 반사층(130)내에서의 광경로가 길어지는데 이로 인해 광량이 선택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가능해진다.
한편, 프로젝터(200)로부터 입사되는 영상광(101)은 입사각이 상대적으로 낮음에 따라 제1 반사면(131), 제2 반사면(132), 제3 반사면(133)에 의해 반사되는 횟수가 적다. 이에 따라, 반사층(130)에 의한 광량의 감소가 적고, 반사층(130)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높이로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서 작은 각도로 입사하는 외광을 저감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탠드와 같은 개인용 조명으로부터 스크린(100)으로 향하는 외광(103)이나 벽면에서 산란되어 스크린(100)으로 향하는 외광(103)의 경우 프로젝터(200)의 영상광(101)보다 입사각이 작은 경우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요철 투광층(120)에 형성된 제3 반사면(133)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의 출사각이 변형되어 시청자의 눈 높이가 아닌, 시청자의 눈높이보다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광이 진행하게 되어 시청자의 위치에서 시인되는 외광의 광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입사각이 작은 경우 (입사각 0도)는 반사층(130)에서의 반사 후 20도로 출사될 수 있다. 이는 프로젝터(200)의 입사각(7.3도 가정)의 출사각인 2.3도와 비교할 때에 매우 큰 값으로, 이 경우 시청자에게 도달되는 광량은 입사광 대비 50% 수준으로 감소하게 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200)로부터 입사되는 영상광(101)은 입사각이 상대적으로 낮음에 따라 제1 반사면(131), 제2 반사면(132), 제3 반사면(133)에 의해 반사되는 횟수가 적다. 이에 따라, 반사층(130)에 의한 광량의 감소가 적고, 반사층(130)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높이로 출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서 반사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에서 반사층(130)에서 제1 반사면(131)은 제1 수평축(1)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θ1)를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제2 반사면(132)은 제1 반사면(131)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수직축(3)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θ2)로 경사져 있다. 제3 반사면(133)은 제2 반사면(132)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제2 수평축(2)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θ3)를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반사층(130)은 요철 투광층(120)에서 요철(121)의 형상에 따라 결정됨에 따라 요철 투광층(120)에서 요철(121)의 형성시, 제1 반사면(131), 제2 반사면(132), 제3 반사면(133)에 해당하는 각도들(θ1, θ2, θ3)이 조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축에 대하여 시야각 40도 가정 기준 예의 경우 θ1 = 5도, θ2 = 7.5도, θ3 = 15도, 피치는 100㎛, 깊이는 270㎛ 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치는 제1 수평축(1)과 제2 수평축(2)간의 거리를 의미하며, 깊이는 제1 수평축(1)과 교차하는 제1 반사면(131)의 지점으로부터 제1 반사면(131)이 수직축(3)과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요철 투광층(120) 및 반사층(130)에서 일부 형상이 변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요철 투광층(120)에 형성된 요철(121)의 형상에 대하여 상하로 대칭되는 요철(121a) 형상을 가지는 요철 투광층(120a)을 구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요철 투광층(120) 및 반사층(130)에서 일부 형상이 변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요철 투광층(120)에 형성된 요철(121)은 3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형상임에 반하여, 도 8에 도시된 요철 투광층(120b)은 2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요철(121b)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때, 윗쪽에 있는 반사면에 비하여 아랫쪽에 있는 반사면이 더 경사진 것을 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서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요철 투광층(120b) 및 반사층(130)에서 일부 형상이 변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요철 투광층(120b)는 윗쪽에 있는 반사면에 비하여 아랫쪽에 있는 반사면이 더 경사져 있지만, 도 9에 도시된 요철 투광층(120c)은 윗쪽에 있는 반사면이 아랫쪽에 있는 반사면에 비하여 더 경사진 요철(121c)를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요철 투광층(120b, 120c) 및 반사층(130)에서 일부 형상이 변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요철 투광층(120b, 120c)는 윗쪽에 있는 반사면과 아랫쪽에 있는 반사면의 경사가 서로 다르지만, 도 10에 도시된 요철 투광층(120d)은 윗쪽에 있는 반사면과 아랫쪽에 있는 반사면이 서로 같은 경사를 가지는 요철(121d)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서는 아래 위로 경사진 반사면을 가지고, 중간에 경사면의 연장선 방향으로 볼록한 반사면을 가지는 요철(121e)을 가지는 요철 투광층(120e)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서는 아래 위로 경사진 반사면을 가지고, 중간에 경사면의 역진행 방향으로 삼각 단면을 가지고 오목한 반사면을 가지는 요철(121f)을 가지는 요철 투광층(120f)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에서는 아래 위로 경사진 반사면을 가지고, 중간에 경사면의 역진행 방향으로 오목한 반사면을 가지는 요철(121g)을 가지는 요철 투광층(120g)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반사 특성을 가지게 하여 입사된 외광이 외부로 반사되어 출력되는 것을 저감시키거나 광의 출사각도를 변형시키도록 일측에 경사진 요철을 가지는 요철 투광층;
    상기 요철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층;
    상기 반사층을 보호하는 보호층; 및
    상기 반사층으로부터 반사된 프로젝터의 영상광을 확산시키도록 상기 요철 투광층의 타측과 표면 접촉하여 형성된 확산층을 포함하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이방성 확산층 또는 등방성 확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투광층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UV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투광층은 상기 반사층이 형성된 요철을 통해 상기 스크린으로 입사된 외광이 외부로 반사되어 출력되는 것을 저감시키거나 광의 출사각도를 변형시키도록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을 가지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투광층은 외광 흡수를 위한 광 흡수 입자들을 포함하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투광층은 상기 반사층이 3개의 반사면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과 요철을 가지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투광층은 상기 반사층이 경사진 2개의 반사면과, 중간에 오목 또는 볼록한 반사면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과 요철을 가지는 가지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투광층은 상기 반사층이 2개의 경사진 반사면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과 요철을 가지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투광층은 상기 반사층이 삼각 단면을 가지도록 경사면과 요철을 가지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및 상기 요철 투광층은 수평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요철이 상하로 복수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KR1020140124762A 2014-09-19 2014-09-19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KR10230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62A KR102303191B1 (ko) 2014-09-19 2014-09-19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62A KR102303191B1 (ko) 2014-09-19 2014-09-19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927A true KR20160033927A (ko) 2016-03-29
KR102303191B1 KR102303191B1 (ko) 2021-09-15

Family

ID=5566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762A KR102303191B1 (ko) 2014-09-19 2014-09-19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1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588A (ja) * 2005-02-02 2006-11-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及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2006337944A (ja) * 2005-06-06 2006-12-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半透過型反射スクリーン
JP2007293171A (ja) * 2006-04-27 2007-11-08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型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および映像表示装置
JP2011118035A (ja) * 2009-12-01 2011-06-16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4013369A (ja) * 2012-06-06 2014-01-2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588A (ja) * 2005-02-02 2006-11-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スクリーン、及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2006337944A (ja) * 2005-06-06 2006-12-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半透過型反射スクリーン
JP2007293171A (ja) * 2006-04-27 2007-11-08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型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および映像表示装置
JP2011118035A (ja) * 2009-12-01 2011-06-16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4013369A (ja) * 2012-06-06 2014-01-2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191B1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16263U (zh) 全反射屏幕和投影系统
US11092847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JP6508531B2 (ja) 採光部材、採光器、および採光部材の設置方法
RU2480801C2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ветильник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светки
CN104298063A (zh) 透明投影屏幕
TW200925507A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WO2013156905A1 (en) A lighting device with a light guide
JP2014509433A (ja) 拡散光を発するための発光素子
CN203849450U (zh) 一种导光板
CN109388013A (zh) 投影屏幕和投影系统
CN109388015A (zh) 全反射屏幕和投影系统
KR20160138984A (ko) 다중 광원을 갖는 비대칭적 터닝 필름
TWI617835B (zh) 透光率調整元件
JP6167315B2 (ja) スクリーン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TW201400879A (zh) 背光模組及其光學透鏡
CN109388012A (zh) 投影屏幕和投影系统
JP2018510468A (ja) 光ガイドを用いる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方法
JP2005300907A (ja) スクリーン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投影システム
TWM577512U (zh) Short focal length projection anti-light curtain
TWM445701U (zh) 背光模組及導光板
CN109388014B (zh) 投影屏幕和投影系统
US20190101774A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TWI655463B (zh) Lighting device
JP4545673B2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2303191B1 (ko) 반사형 프로젝터용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