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906A -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906A
KR20160033906A KR1020140124714A KR20140124714A KR20160033906A KR 20160033906 A KR20160033906 A KR 20160033906A KR 1020140124714 A KR1020140124714 A KR 1020140124714A KR 20140124714 A KR20140124714 A KR 20140124714A KR 20160033906 A KR20160033906 A KR 2016003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bowl
pottery
glass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김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규 filed Critical 김진규
Priority to KR102014012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3906A/ko
Publication of KR2016003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90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3/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13/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of glass, pottery, or other ceram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1)에 관한 것입니다.
본 발명의 도자기 와인잔(1)은 와인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흙으로 빚은 도자기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내경이 상이한 결합 홈(17)과 상기 결합 홈(17)을 둘러싸는 받침면(19)이 형성되어 있는 보울(10)과, 상기 보울(10)에 결합되며 스템과 베이스가 일체로 제작된 다리부(20)로서, 이 다리부(20)의 상단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재는 상기 받침면(19)에 밀착하는 플랜지부(29)와 이 플랜지부(29)로부터 위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17)에 삽입되어 결합 홈의 내면에서 슬라이딩되어 회전함으로써 끼워 맞춰지는 결합구(19)를 갖는 다리부를 포함합니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SEPARABLE WINE POTTERY}
본 발명은 와인잔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도자기로 제조된 분리 가능한 와인잔에 관한 것입니다.
와인잔은 포도주를 마시는 잔이며,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와인이 담겨지는 부분인 보울, 와인 잔의 다리 부분인 스템, 그리고 와인잔에 바닥에 닿는 베이스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와인잔은 잔에 담기는 와인의 색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주로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지며, 그 소재로는 대표적으로 유리나 아크릴이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보울, 스템, 베이스가 일체로 만들어지며 분리되지는 않습니다.
본 발명가는 오랫동안 도자기를 만든 도공으로서 흙으로 빚은 도자기로 와인잔을 만들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도자기로 와인잔을 만드는 경우에 투명한 유리잔에 비해서 와인의 색상을 감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도자기만의 특유한 기법과 형상과 재질과 깊이와 디자인과 멋을 와인잔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도자기 와인잔이 유리 와인잔을 모두 대체할 수는 없겠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와인잔을 경험하도록 하는 지평을 열 수는 있습니다. 다양한 기법으로 흙으로 빚은 도자기의 깊이와 와인의 맛이 서로 결합하는 도자기 와인잔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단지 도자기로 와인잔을 빚었다는 것만으로 새로운 잔이 되지는 못합니다. 전통적으로 도자기 잔은 와인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차와 술을 담아 왔습니다. 도자기 잔이 담아왔던 차와 술의 경우 와인잔처럼 스템이나 베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와인잔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찻잔이나 전통주 잔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도자기 와인잔을 빚어내는 방법을 생각했습니다. 요컨대 보울 부분과 스템과 베이스 부분을 분리하는 도자기 와인잔을 생각해볼 수 있는 것입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115호의 휴대가 용이한 와인잔은 수용부와 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는 와인잔을 제안했습니다. 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수용부의 바닥면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선된 결합홀을 형성하고, 이 결합부에 손잡이의 상단이 나사결합하도록 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와인잔은 도자기 와인잔은 아니고 투명소재의 유리 와인잔을 전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문헌의 와인잔은 도자기 와인잔에는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우선 나사산을 도자기에 형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을뿐더러, 설령 나사산을 홈에 만들었다 해도 흙으로 빚은 도자기 재질의 특성상 나사산이 깨지기 쉽고, 나사산이 깨지면 제대로 결합되지 않으며 와인을 수용한 보울이 스템으로부터 분리되어 와인을 쏟으면서 깨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도자기 와인잔에 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인을 수용하는 보울 부분과 다리 역할을 하는 스템 부분을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와인잔으로서도 기능하고 동시에 찻잔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신개념의 도자기 와인잔을 제공함에 있습니다. 분리와 결합 구성에 있어 도자기의 재질적 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합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인을 담는 부분과 그 외의 부분, 즉 스템이나 베이스 부분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도자기 와인잔을 제안하는 것입니다. 최선의 방법은 도자기 와인잔의 보울 부분은 도자기로 빚어지고, 나머지 부분은 나무로 만드는 것입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으로서:
와인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흙으로 빚은 도자기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내경이 상이한 결합 홈과 상기 결합 홈을 둘러싸는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는 보울; 및
상기 보울에 결합되며 스템과 베이스가 일체로 제작된 다리부로서, 이 다리부의 상단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재는 상기 받침면에 밀착하는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로부터 위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어 결합 홈의 내면에서 슬라이딩되어 회전함으로써 끼워 맞춰지는 결합구를 갖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목재, 플라스틱 및 크리스탈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보울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자연스러운 깊이를 주는 것은 역시 흙과 나무라는 서로 다른 자연소재의 결합입니다. 그렇다면 다리부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빼어납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인의 맛과 도자기의 멋을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인잔에 따르면 와인을 마실 때에는 와인잔으로 기능하고 와인을 마시지 않을 때에는 찻잔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보울과 다리 부분을 분리하여 와인잔을 씻거나 보관할 수 있다는 뛰어난 장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디자인의 도자기 잔을 결합하여 와인잔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물론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와인을 담은 보울 부분은 도자기로 빚고, 분리되는 다리 부분은 도자기가 아닌 부분으로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다리 부분을 나무로 제조하는 경우에 흙과 나무로 만든 와인잔에 됨으로써 멋과 깊이를 더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합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합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자기 와인잔(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도 2는 도 1의 도자기 와인잔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a)는 보울(10)을 도 2(b)는 다리부(20)를 나타냅니다.
도 3은 보울(10)의 밑면 구성과 결합 홈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도 4는 보울(10)과 다리부(20)가 결합되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 첨부한 도면은 예시적인 것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여 어떤 부분은 설명을 위해서 다소 과장되어 있으며 그 형태나 치수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자기 와인잔(1)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보울(10)은 도자기로 제조된 것입니다. 소지의 상태와 소성 온도는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잘 반죽한 원료를 녹로를 이용하거나 석고 거푸집을 이용하여 보울(10)의 형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게 형태가 만들어진 보울(10)을 가마에 구운 다음에 그 표면에 도자기 특유의 채색이나 그림을 그려서 모양부(11)를 만들고 재벌구이를 해서 만듭니다. 다양한 재질과 기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도자기로 보울(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차이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원료들이 더해질 수도 있습니다. 도자기 보울(10)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아래쪽의 받침 부분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자기 와인잔(1)의 아래쪽 구성인 다리부(20)는 스템(21)과 베이스(23)로 우선 구분할 수 있습니다. 스템(21)과 베이스(23)는 일체로 구성됩니다. 그리고 다리부(20)의 맨 위쪽 부분이 보울(10)의 아래쪽 받침부분과 결합합니다. 중요한 것은 결합은 물론 분리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도 2는 분리된 도자기 와인잔(1)의 구성을 나타냅니다. 도 2(a)는 분리된 보울(10)입니다. 본 발명에서 이렇게 분리된 도자기 보울(10)은 도자기 잔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이 보울(10)을 찻잔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술을 마실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분리된 상태로 보울(10)을 씻고 별도로 관리, 보관할 수도 있습니다.
도 2(b)는 다리부(20)를 나타냅니다. 도면에서 다리부(20)의 예는 목재였습니다. 최선의 작품은 도자기와 나무를 사용하여 와인잔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와인의 깊은 맛과 자연의 멋이 함께 어우러지도록 했습니다. 반드시 다리부(20)가 나무여야 하는 것은 물론 아닙니다. 플라스틱일 수도 있고, 크리스탈일 수도 있습니다. 다리부(20)의 재질은 도자기 보울(10)의 재질과는 다른 것이 좋습니다. 밑에서 다시 설명하겠습니다만, 보울(10)의 결합홈과 다리부(20)의 결합부재가 선회식 결합을 할 때 밀착하여 슬라이딩 결합을 하게 되는데 결합부재에 밀착력을 더할 수 있는 탄성이 있다면 가장 좋습니다. 그런 점에서 목재가 제일 좋고, 플라스틱이 그 다음입니다. 크리스탈은 기능면에서나 심미적으로나 매우 좋습니다만 제조 원가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도 2(b)의 다리부(20)의 상단에는 평활면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29)가 있는데, 이 플랜지부(29)가 보울의 받침면에 서로 맞닿게 됩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29)의 가운데 지점에는 위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구(27)가 있습니다. 이 결합구(27)가 보울(10)의 결합 홈에 끼워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보울(10)의 결합 홈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도 3은 보울(10)의 아래쪽 구성 예를 도시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보울(10)의 바깥쪽 하부에는 안쪽으로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 홈이 바로 다리부(20)의 결합구(27)가 결합하는 결합 홈입니다. 그 깊이는 대략 7~20mm 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10~17mm의 깊이를 갖는 것이 좋습니다. 이 결합 홈(17)을 중심으로 받침면(19)이 둘러싸게 되는데, 이 받침면(19)는 평평한 면으로 사포질되어 있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받침면(19)이 연마면으로 구성됨으로써 다리부(20)의 플랜지부(29)와 평면이 서로 맞닿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사용할 때에도 좋습니다. 받침면(19)의 너비는 대략 10mm 내외인 것이 좋습니다.
이제 어떻게 보울(10)과 다리부(20)가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되는지 그 원리를 설명합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도자기라는 재질의 특성과 사용자 편의성과 안정성을 모두 고려하여 다양하게 시도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도 4의 원리가 최적의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다리부(20)의 상단에는 결합부재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결합부재는 플랜지부(29)와 결합구(27)입니다. 결합구(27)를 보울의 결합 홈(17) 안에 삽입한 다음에 결합 홈(17)의 내면을 따라 선회함으로써 결합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결합이 해제되는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하려면 적어도 결합 홈(17)의 내경이 상이해야 합니다. 원형은 안 되며 적당히 찌그러진 타원형태를 포함할 필요가 있습니다.
도 4(a)는 결합 홈(17) 안으로 결합구(27)가 삽입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냅니다. 결합구(27)는 결합 홈(17)에 적당한 위치에서 들어갑니다. 이 상태에서 도 4(b)의 화살표가 지시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회전시킬 때, 결합구(27)는 결합 홈(17)의 내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적당한 위치에서 끼워 맞춰지게 됩니다. 다시 반대방향의 화살표가 지시하는 것처럼 사용자가 회전한다면 결합이 해제되고 다리부(20)를 보울(10)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을 제조하면 여러 가지 면에서 빼어납니다. 도자기로 제조되는 보울(10)을 통해서 다양한 도자기 작품을 구현해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리부(20) 1개에 다양한 작품의 도자기 보울(10)을 착탈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껏 사람들은 와인잔을 씻고 관리할 때마다 깨지는 것에 유의해야 하는 불편함은 너무도 유명한 이야기입니다. 본 발명의 도자기 와인잔에서는 그런 불편함이 전혀 없습니다. 물론 본 발명의 도자기 와인잔은 글래스 와인잔을 모두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와인 특유의 색채를 측면에서 감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와인잔의 색깔을 위에서는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자기의 다양하고 깊은 멋을 와인의 맛과 결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함과 아울러 새로운 시장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합니다.

Claims (2)

  1. 와인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흙으로 빚은 도자기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내경이 상이한 결합 홈과 상기 결합 홈을 둘러싸는 받침면이 형성되어 있는 보울; 및
    상기 보울에 결합되며 스템과 베이스가 일체로 제작된 다리부로서, 이 다리부의 상단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재는 상기 받침면에 밀착하는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로부터 위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되어 결합 홈의 내면에서 슬라이딩되어 회전함으로써 끼워 맞춰지는 결합구를 갖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목재, 플라스틱 및 크리스탈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보울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
KR1020140124714A 2014-09-19 2014-09-19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 Ceased KR20160033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14A KR20160033906A (ko) 2014-09-19 2014-09-19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14A KR20160033906A (ko) 2014-09-19 2014-09-19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906A true KR20160033906A (ko) 2016-03-29

Family

ID=5566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714A Ceased KR20160033906A (ko) 2014-09-19 2014-09-19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39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6147A (zh) * 2020-11-10 2021-02-09 翁兆德 一种陶瓷玻璃结合的高脚杯及其容器部和杯脚部的黏结方法
CN115959919A (zh) * 2022-08-03 2023-04-14 翁兆德 一种高脚杯加工用的自动化黏结装置及黏结方法
KR20240012017A (ko) 2022-07-20 2024-01-29 소여정 받침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주방 용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6147A (zh) * 2020-11-10 2021-02-09 翁兆德 一种陶瓷玻璃结合的高脚杯及其容器部和杯脚部的黏结方法
KR20240012017A (ko) 2022-07-20 2024-01-29 소여정 받침대의 탈부착이 가능한 주방 용품
CN115959919A (zh) * 2022-08-03 2023-04-14 翁兆德 一种高脚杯加工用的自动化黏结装置及黏结方法
CN115959919B (zh) * 2022-08-03 2023-09-15 翁兆德 一种高脚杯加工用的自动化黏结装置及黏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3906A (ko) 분리 가능한 도자기 와인잔
CN205758219U (zh) 菱形加强外壁饮具
CN204813114U (zh) 一种新型冲泡碗具和公道杯组合
McIver Banqueting at the Lord's Table in Sixteenth-Century Venice
CN204600045U (zh) 保温茶杯
CN216089934U (zh) 一种具有东方元素的手工杯
Pryke et al. Design and Create Contemporary Tableware: Making Pottery You Can Use
CN213829504U (zh) 一种新的模具套
CN206596979U (zh) 陶瓷味具置放架及使用该置放架的陶瓷味具置放组合结构
CN204032989U (zh) 一种茶盘
CN202312536U (zh) 一种新型陶瓷容器改良结构
CN204813116U (zh) 一种新型公道杯
Mertens New Zest in Dinnerware Designs
CN203226563U (zh) 一种多功能茶具
CN208550877U (zh) 一种陶瓷茶壶
CN206333694U (zh) 一种手柄上有瓢羹插孔的瓷质口杯
CN108618525A (zh) 一种建水紫陶的哈尼壶制造方法及应用
CN201216409Y (zh) 多用茶壶
CN203609133U (zh) 造型茶具
KR200449117Y1 (ko) 다기 세트
CN206182908U (zh) 一种组合式象形泡茶瓷具
CN204838902U (zh) 一种陶瓷茶具
CN205457763U (zh) 一种儿童组合餐具
CN202589113U (zh) 新型茶杯
Garson A cup of kind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4444

Request date: 201607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4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28

Effective date: 2018053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5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0728

Decision date: 20180531

Appeal identifier: 201610100444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S0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S06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S06012S01I

Patent event date: 20180601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PS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S06012S01I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