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893A -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893A
KR20160033893A KR1020140124659A KR20140124659A KR20160033893A KR 20160033893 A KR20160033893 A KR 20160033893A KR 1020140124659 A KR1020140124659 A KR 1020140124659A KR 20140124659 A KR20140124659 A KR 20140124659A KR 20160033893 A KR20160033893 A KR 2016003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touch sensor
phase difference
bond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788B1 (ko
Inventor
임유석
김명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78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치센서, 광학필름, 및 편광판을 구비한다. 터치센서는 표시패널의 상면에 접합되고, 광학필름은 터치센서의 상면에 접합되며, 편광판은 광학필름의 상면에 접합된다. 광학필름은 λ/4 위상차 광을 발생시키고, 편광판은 광학필름으로부터 발생되는 λ/4 위상차 광을 원편광시킨 후 선편광하여 출력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시장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중 OLED 표시장치는 LCD와 다르게 스스로 빛를 발현하는 자발광소자로서, LCD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고, 경량 박형화가 가능해 점차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플라스틱이나 메탈 호일(metal foil)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기판으로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OLED 표시장치가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 급부상중이다.
이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의 기판은 경량이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저렴한 장점을 갖는 반면,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가 용이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는 적어도 3층으로 이뤄진 보호필름(13)을 포함한다.
이하,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OLED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a의 OLED 표시장치에 적용된 터치 센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들, 게이트 라인들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표시소자가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판(10)과, TFT 기판(10)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11)와, TFT 기판(10)과 OLED(11)를 인캡슐레이트하는 보호막(13)을 포함한다.
보호막(13)은 외부로부터 산소 및 수분이 OLED(1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보호막(13)은 2층의 무기 보호막(13a, 13c)과, 2층의 무기 보호막(13a, 13c) 사이에 배치되는 1층의 유기 보호막(13b)으로 이뤄진다. 무기 보호막(13a, 13c)은 산소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데 있어 유기 보호막(13b)보다 적합하며, 유기 보호막(13b)은 무기 보호막(13a, 13c)의 내충격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무기 보호막(13a, 13c)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 질화물(SixNy), 실리콘 산화질화물(SiON), 알루미늄 산화물(AlOx), 알루미늄 질화물(AlNx),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x) 등으로 이뤄지며, 유기 보호막은 모노머(monomer) 또는 고분자 박막이 사용된다. 모노머로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acrylate monomer), 페닐아세틸렌(phenylacetylene), 디아민(diamine) 및 디안하이드라이드(dianhydride), 실록산(siloxane), 실란(silane), 파릴렌(parylene) 등이 사용된다. 고분자 박막으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올레핀계 폴리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플루오로 수지(fluororesin),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등이 사용된다.
플렉서블 OLED는 이처럼 구성된 3층 구조의 보호막(13)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가 OLED(1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에서, 미설명부호 14는 반사방지막으로, 일반적으로 선편광필름 및 원편광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15는 윈도우 커버(window cover)이고, 18은 TFT 기판(10)과 윈도우 커버(15) 사이에 형성되어 내부를 밀봉하기 위한 실런트(sealant)이며, DP는 표시패널을 나타낸다.
도 1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는 윈도우 커버(W)와 OLED 표시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는 일반적으로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상판 또는 하판에 금속 전극을 형성하여 직류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터치된 위치를 저항에 따른 전압 구배(voltage gradient)로 판단하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도전막에 등전위를 형성하고 터치에 따른 상하판의 전압 변화가 일어난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펜이 도전막을 터치함에 따라 유도되는 LC값을 읽어들여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type) 등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요즘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은 X축 전극패턴들과 Y축 전극패턴들을 교차시켜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매트릭스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매트릭스 상의 X축과 Y축의 좌표를 찾아내어 터치 위치를 검출하므로 접촉력이 작은 경우에도 터치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b의 플렉서블 OLED에 적용된 터치 센서는 정정용량 방식 터치 센서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는 투명 기판(20) 상의 일면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들(Tx)과, 투명 기판(20)의 타면 상에 형성되며,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들(T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들(Rx)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터치 센서의 상면(터치 센싱 전극들(RX)이 형성된 면)에는 제 1 접착제(A1)에 의해 윈도우 커버(W)가 부착되고, 터치 센서의 하면(터치 구동 전극들(Tx)이 형성된 면)에는 제 2 접착제(A2)에 의해 표시장치(DP)가 부착된다. 한편, 터치 센서(TS) 상부에는 폴리이미드막과 편광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에 따르면 터치 센서에 폴리이미드막이 부착되고 외부광으로부터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편광판 등이 부착되어 두께 및 무게, 그리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의 두께와 무게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터치센서, 광학필름, 및 편광판을 구비한다. 터치센서는 표시패널의 상면에 접합되고, 광학필름은 터치센서의 상면에 접합되며, 편광판은 광학필름의 상면에 접합된다. 광학필름은 λ/4 위상차 광을 발생시키고, 편광판은 광학필름으로부터 발생되는 λ/4 위상차 광을 원편광시킨 후 선편광하여 출력한다.
광학필름은 비액정성 폴리머 위상차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비액정성 폴리머 위상차 수지는 폴리이미드를 베이스로 한 이무수화물 공중합체이며, 다음의 화학식(화학식에서 R3, R4, R5, R6은 각각 치환기를 나타냄)을 갖는다.
Figure pat00001
또한, 폴리이미드를 베이스로 한 물질은 다음의 화학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λ/4 위상차판, 터치센서 및 광학필름을 포함한다. λ/4 위상차판은 표시패널의 상면에 접합된다. 터치센서는 λ/4 위상차판의 상면에 접합된다. 광학필름은 터치센서의 상면에 접합된다. λ/4 위상차판은 λ/4 위상차 광을 발생시키고, 광학필름은 λ/4 위상차판으로부터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입사되는 λ/4 위상차 광을 선편광하여 출력한다.
상기 구성에서 광학필름은 일축 이방성을 갖는 두께 방향 위상차 보상 폴리이미드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 보상 폴리이미드 수지는 폴리이미드에 테트라카르복산 이무수물을 첨가하고, 디아민과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다음의 화학식(화학식에서 R1, R2, R3, R4, R5는 각각 치환기를 나타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3
상기 구성에서 표시패널은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표시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에 의하면, 광학필름이 터치센서의 상부에서 λ/4 위상차판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편광판이 λ/4 위상차판과 함께 타 광학요소와 접합하기 위해 필요한 점착제층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특히 λ/4 위상차판은 다른 광학소자에 비해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편광판의 두께를 절감하여 전체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종래의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구비한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장치(이하, 간략히,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라 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구비한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는 OLED 표시패널(DP), 접착제(A1)에 의해 OLED 표시패널(DP)에 접착되는 터치센서(TS), 및 제 1 감압 점착제(PSA1)에 의해 터치센서(TS)에 접착되는 편광판(POL)을 포함한다.
OLED 표시패널(DP)로는 현존하는 모든 OLED 표시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TS)는 지금까지 개발된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과 같은 종래의 모든 터치센서들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TS)는 열경화성 접착제와 같은 제 1 접착제(A1)에 의해 OLED 표시패널(TS)에 부착된다. 터치센서(TS)는 그 일면에 형성되는 광학필름(O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OF)은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직선 편광 사이에 λ/4 파장의 위상차를 일으킨다. 광학필름(OF)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비액정성 폴리머 위상차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비액정성 폴리머 위상차 수지는 폴리이미드(polyimide)를 베이스로 한 이무수화물의 공중합체(copolymer)이며, 이 공중합체에 치환기를 치환하면 위상차(retardation)를 제어할 수 있다. 비액정성 폴리머 위상차 수지는 또한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고내열성을 갖는다. 비액정성 폴리머 위상차 수지는 또한 코팅 또는 도포가 용이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비액정성 폴리머 위상차 수지의 화학 구조식은 다음의 화학식 1과 같다. 화학 구조식에서 R3, R4, R5, R6은 각각 치환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또한 비액정성 폴리머 위상차 수지의 베이스가 되는 폴리이미드로는 다음의 화학 구조식을 갖는 화학식 2의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필름(OF)은 종래의 폴리이미드막보다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가지므로 공정성이 양호하고, 광지연 특성이 양호하여 편광판의 λ/4 위상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OLED 표시장치의 편광판(POL)은 λ/4 위상차판는 물론 타 광학요소와 접합하기 위해 필요한 점착제층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λ/4 위상차판은 다른 광학소자에 비해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본 발명의 광학필름(OF)에 의하면 편광판의 두께를 절감하여 전체 OLED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편광판(POL)은 λ/2 위상차판(HWP), 제 1 기재필름(BF1) 및 제 2 기재필름(BF2) 사이에서 연신되어 제 1 기재필름(BF1) 및 제 2 기재필름(BF2)과 라미네이팅된 연신 위상차 필름(PVA), 제 2 기재필름(BF2) 상에 부착된 하드코팅막(HC)을 포함한다.
편광판(POL)은 제 1 감압 점착제(PSA1)에 의해 터치센서(TS)의 광학필름(OF) 에 부착된다.
라미네이팅된 제 1 기재필름(BF1)에는 제 2 감압 점착제(PSA2)에 의해 λ/2 위상차판(HWP)이 접합되고, 라미네이팅된 제 2 기재필름(BF2) 상에는 편광판(POL)을 보호하기 위한 하드코팅막(HC)이 부착된다.
제 1 및 제 2 감압 점착제(PSA1, PSA2)는 탄성율과 접착 특성이 좋고, 접착되는 대상과의 사이에 미세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줄여 점착제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판(POL)의 λ/2 위상차판(HWP)은 광학필름(OF)에서 λ/4 위상차가 발생되어 입사되는 광을 원편광시킨다.
연신 위상차 필름(PVA)은 λ/2 위상차판(HWP)에 의해 원 편광된 광을 1축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선편광 소자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신 위상차 필름(PVA)은 배향된 이색성 물질 또는 배향된 고분자 사슬 자체의 공액 구조에 의하여 비편광 상태인 백색광의 어느 한 성분은 흡수하고, 그와 직각인 다른 성분은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신 위상차 필름(PVA)은 예를 들어 요오드계 편광 필름, 염료계 편광 필름 및 폴리엔계 편광 필름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요오드계 편광 필름은 요오드 이온 사슬(polyiodide)이 연신 배향된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며, 염료계 편광 필름도 역시 이색성 염료가 연신 배향된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PVA 필름의 탈수반응 또는 PVC 필름의 탈염산 반응에 의해 폴리엔을 형성시켜 편광성을 나타낸다.
연신 위상차 필름(PVA)은 흡수축과 편광축을 구비하는데, 흡수축은 요오드 이온 사슬이 연신 배향된 축으로서, 임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의 수직한 두개의 성분 중 한쪽 성분이 연신 위상차 필름(PVA)의 전자와 상호 작용하여 빛의 전기적 에너지가 전자의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에서 빛의 성분을 소멸시키는 축이다. 편광축은 이러한 흡수축에 수직인 축으로서, 편광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에 따르는 OLED 표시장치에서는 광학필름(OF), 편광판(POL)의 λ/2 위상차판(HWP) 및 연신 위상차 필름(PVA)에 의해 외부광이 터치센서(TS) 또는 OLED 표시패널(DP)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이하, 간략히,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라 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구비한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플렉서블 OLED 표시장치는 OLED 표시패널(DP), 접착제(A1)에 의해 OLED 표시패널(DP)에 접착되는 터치센서(TS)를 포함한다.
OLED 표시패널(DP)로는 현존하는 모든 OLED 표시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TS)는 지금까지 개발된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과 같은 종래의 모든 터치센서들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TS)는 열경화성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A1)에 의해 OLED 표시패널(TS)에 부착된다. 터치센서(TS)는 OLED 표시패널(DP)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λ/4 위상차판(QWP)과 그 반대면에 접합되는 광학필름(OF)을 포함한다.
λ/4 위상차판(QWP)은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직선 편광 사이에 λ/4 파장의 위상차를 일으킨다.
광학필름(OF)은 광학적으로 일축 이방성을 가지며, 광축이 박막면에 대해 수직인 두께 방향 위상차 보상 폴리이미드 수지로 형성된다. 두께 방향 위상차 보상 폴리이미드 수지는 폴리이미드에 테트라카르복산 이무수물을 첨가하고, 디아민과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두께 방향 위상차 보상 폴리이미드 수지 또한 코팅 또는 도포가 용이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 보상 폴리이미드 수지의 화학 구조식은 다음의 화학식 3과 같다. 화학 구조식에서 R1, R2, R3, R4, R5는 각각 치환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 보상 폴리이미드 수지의 베이스가 되는 폴리이미드 수지로는 상술한 화학식 2의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광학필름(OF)은 선편광이 가능한 1축 이방성 광학적 특성을 가지므로, 터치센서(TS) 하부에서 λ/4 위상차가 발생한 광을 선편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에 따르는 OLED 표시장치에서는 λ/4 위상차판(QWP)과 광학필름(OF)에 의해 외부광이 OLED 표시패널(DP)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광학필름(OF)이 터치센서(TS)의 상부에서 편광판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편광판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OLED 표시장치에 비해 편광판의 두께에 준하는 두께를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OLED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터치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OLED 표시장치나, 액정 표시장치, 전기영동 표시장치, 전계효과 표시장치 등의 평판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P: OLED 표시패널 TS: 터치센서
BF1, BF2: 기재필름 PSA1, PSA2: 감압필름
POL: 편광판 OF: 광학필름
HWP:λ/2 위상차판 QWP: λ/4 위상차판
PVA: 연신 위상차 필름

Claims (7)

  1. 표시패널의 상면에 접합된 터치센서;
    상기 터치센서의 상면에 접합된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상면에 접합된 편광판을 구비하며,
    상기 광학필름은 λ/4 위상차 광을 발생시키고, 상기 편광판은 상기 광학필름으로부터 발생되는 λ/4 위상차 광을 원편광시킨 후 선편광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재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광학필름에 접합되는 λ/2 위상차판과, 상기 λ/2 위상차판에 접합되는 연신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비액정성 폴리머 위상차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비액정성 폴리머 위상차 수지는 폴리이미드를 베이스로 한 이무수화물 공중합체이며, 다음의 화학식(화학식에서 R3, R4, R5, R6은 각각 치환기를 나타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Figure pat00007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를 베이스로 한 물질은 다음의 화학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Figure pat00008
  5.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에 접합된 λ/4 위상차판; 및
    상기 λ/4 위상차판의 상면에 접합된 터치센서;
    상기 터치센서의 상면에 접합되는 광학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λ/4 위상차판은 λ/4 위상차 광을 발생시키고, 상기 광학필름은 상기 λ/4 위상차판으로부터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입사되는 λ/4 위상차 광을 선편광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일축 이방성을 갖는 두께 방향 위상차 보상 폴리이미드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 보상 폴리이미드 수지는 폴리이미드에 테트라카르복산 이무수물을 첨가하고, 디아민과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다음의 화학식(화학식에서 R1, R2, R3, R4, R5는 각각 치환기를 나타냄)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Figure pat00009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표시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24659A 2014-09-18 2014-09-18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233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59A KR102233788B1 (ko) 2014-09-18 2014-09-18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59A KR102233788B1 (ko) 2014-09-18 2014-09-18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893A true KR20160033893A (ko) 2016-03-29
KR102233788B1 KR102233788B1 (ko) 2021-03-31

Family

ID=5566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659A KR102233788B1 (ko) 2014-09-18 2014-09-18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7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510A (ko) * 2016-04-27 2019-01-09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센서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원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KR20190078224A (ko) * 2017-12-26 2019-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20026563A (ko) * 2020-08-27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1693272B2 (en) 2016-11-28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054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부착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126524A (ko) * 2012-05-10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형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054A (ko) * 2010-11-03 2012-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부착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126524A (ko) * 2012-05-10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형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510A (ko) * 2016-04-27 2019-01-09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센서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원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US11693272B2 (en) 2016-11-28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90078224A (ko) * 2017-12-26 2019-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20026563A (ko) * 2020-08-27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788B1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2939B2 (en)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97056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1920447B1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40078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19179049A1 (zh) 触控偏光结构及柔性显示装置
US10890994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33788B1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60106802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89077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6011843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0078678A (ja) 表示装置
CN203720393U (zh) 一种偏光片及触控显示器
KR20180057586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3003126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609309B (zh) 觸控偏光單元、可撓性觸控顯示裝置以及可撓性觸控顯示裝置之製造方法
US20130050617A1 (en) Display apparatus
KR20190087699A (ko) 편광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6723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40078182A (ko) 플렉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80155B1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668507B (zh) 觸控顯示裝置
US20190250317A1 (en) Polarizing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unit
TW201510816A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JP2008009397A5 (ko)
KR20200024062A (ko) 광학식 지문센서의 지문인식률 개선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 센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