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474A -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474A
KR20160033474A KR1020140124398A KR20140124398A KR20160033474A KR 20160033474 A KR20160033474 A KR 20160033474A KR 1020140124398 A KR1020140124398 A KR 1020140124398A KR 20140124398 A KR20140124398 A KR 20140124398A KR 20160033474 A KR20160033474 A KR 2016003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dispenser
liquid storage
main body
coo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413B1 (ko
Inventor
유승희
석현
방건
최우성
Original Assignee
유승희
석현
방건
최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희, 석현, 방건, 최우성 filed Critical 유승희
Priority to KR102014012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4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에 형성시킨 슬릿 내에 관로를 설치함으로써,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로부터 관로가 쉽게 분리되므로 관로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본체 상부에 냉각판이 설치되어있어 액체저장용기 내의 음료의 신선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판에 형성된 경사로 인하여 액체저장용기 내에 저장된 액체가 용기 내에 잔존하지 않고 모두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물, 주스 또는 포도주와 같은 음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Liquids Storage Containers Dispenser For Simple Conduit Replacement}
본 발명은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에 형성시킨 슬릿 내에 관로를 설치함으로써,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로부터 관로가 쉽게 분리되므로 관로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생수통에 저장된 액체를 관로를 통해 디스펜서로 공급하여 콕으로 취출하는 구조로서, 종래의 관로는 세균이 쉽게 번식되거나, 침투되는 문제점이 있고, 물이 공급되는 관로를 정기적으로 관리하지 않을 경우 이끼 또는 물때로 인해 오염되어 비위생적이며, 또한 관로를 교체 또는 세척을 할 때 직접 빼내는 것이 번거롭고, 매번 전문가를 불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소형 냉온수기'는 본체인 하우징(10)과; 하우징(10) 전면에 냉수튜브(60)와, 온수튜브(60')와; 냉수콕(70)과 연결되는 냉수탱크(30)와; 온수콕(70')과 연결되는 온수탱크(30'); 및 냉/온수탱크(30)(30')에 저장된 생수를 냉각 및 가열되게 하는 열전소자(40)와 히터(50) 등을 포함하며, 생수 대신 음료, 주류, 차 등을 음용 하도록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냉온수기는, 생수를 공급하는 튜브가 생수가 아닌 다른 액체 음료인 주류, 차 등을 공급 시에는 이와 같은 다른 음료들에 의해 쉽게 오염되어 튜브의 교체 및 세척을 자주 해야하지만, 튜브가 하우징의 내부에 있기 때문에 교체 및 세척 시 빼내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0638147 (소형 냉온수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배경 기술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에 형성시킨 슬릿 내에 관로를 설치함으로써,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로부터 관로가 쉽게 분리되므로 관로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체 상부에 냉각판이 설치되어있어 액체저장용기 내의 음료의 신선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판에 형성된 경사로 인하여 액체저장용기 내에 저장된 액체가 용기 내에 잔존하지 않고 모두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물, 주스 또는 포도주와 같은 음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사각통 형상의 본체와; 본체 상부에 형성시킨 슬릿과; 슬릿 내에 설치되는 관로와; 본체 상부의 양 옆쪽으로 구비되어 있는 냉각판과; 본체 내부에 냉각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에 의하면,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에 형성시킨 슬릿 내에 관로를 설치함으로써,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로부터 관로가 쉽게 분리되므로 관로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상부에 냉각판이 설치되어있어 액체저장용기 내의 음료의 신선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냉각판에 형성된 경사로 인하여 액체저장용기 내에 저장된 액체가 용기 내에 잔존하지 않고 모두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물, 주스 또는 포도주와 같은 음료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디스펜서에 액체저장용기 케이스가 올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디스펜서의 액체저장용기 케이스 및 관로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디스펜서의 관로가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디스펜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100)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 형상인 본체(10)와, 앞면에는 물과 음료 등을 취출 할 수 있도록 하는 콕(12)이 설치되어 있고, 콕(12)의 아래로는 물과 음료 등을 받기 위한 컵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14)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10) 상부에는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가 올려지며,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의 밖으로는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를 덮는 커버 부재(18)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하는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는 물, 주스 또는 포도주와 같은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액체저장용기를 보호하는 케이스이다.
그리고, 본체(10)의 양 옆면에는 본체(1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통풍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에는 콕(12)이 구비되어 있는 위치와 맞게 슬릿(40)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0) 상부의 양 옆에는 냉각판(3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 상부에 형성시킨 슬릿(40) 내에는 관로(50)가 설치되는 구조로서, 본체(10)의 상부에 형성시킨 슬릿(40)이 개방된 구조이므로 상기 슬릿(40) 내에 장착시킨 관로(50)를 슬릿(4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시킨 슬릿(40)은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므로 항상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에서 관로(50)의 형상 또는 길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 또는 다양한 길이의 관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판(30)은 좌측 냉각판(30a)과 우측 냉각판(3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냉각판(30a),(30b)은 각각 본체(10)의 중심부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완만하게 돌출되는 경사면을 갖는 삼각 프레임 구조로서, 냉각판(30)의 내부에는 냉열선(32)이 설치가 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 상부에 냉각판이 설치되어있어 액체저장용기 내의 음료의 신선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각 냉각판에 형성된 경사면이 액체저장용기의 하부 면을 경사지게 받쳐주므로 액체저장용기 내에 저장된 액체가 용기 내에 잔존하지 않고 모두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물, 주스 또는 포도주와 같은 음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디스펜서에 액체저장용기 케이스가 올려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디스펜서의 사시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디스펜서의 액체저장용기 케이스 및 관로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 사시도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100)에 사용되는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는 냉각판(30)의 면적에 대응되는 위치의 세 변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시킨 요홈에 의해 절개되는 절개부(24)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를 본체(10)에 장착시 냉각판(30)들이 각각 상기 절개부(24)에 삽입되는 구조인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를 사용하도록 하며, 절개부(24)는 액체저장용기의 하중에 의해 절개되어 냉각판(24)이 삽입되거나, 외력에 의해 절개된다.
이때,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는 액체저장용기의 형상에 따라 육면체형, 원주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용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에서 형성시키는 요홈은 외력을 가할 경우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로부터 절개부(24)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에 홈을 형성시킨 것을 의미한다.
한편, 관로(50)에는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 내의 물과 음료 등이 유입할 수 있도록 토출구(22)에 삽입되는 부분에 액체 유입공(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로(50)는 본체(10) 상부 면에 관로(5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요홈 내부의 중앙부인 고정부(60)에도 삽입되는데, 관로(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관로(50)의 크기만큼 절단되어 있는 삽입부(62)가 형성되어 있어 관로(50)를 고정시켜 주는 효과가 있고,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본체(10) 상부 면에서 형성시키는 요홈은 고정부(60)와 관로(5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오목한 홈을 형성시킨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60) 상측에는 고정부(60)와 나사결합을 하는 고정 마개(64)가 설치되며, 고정 마개(64)의 중앙에는 관로(50)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6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관로(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a)에서 관로(50)를 본체(10)에 삽입을 할 때, 우선, 도 5 (b)와 같이 콕(12)과 먼저 결합을 하게 되고, 관로(50)가 도 5 (c)와 같이 고정부(60)에 삽입이 되면, 마지막으로 고정 마개(63)와 고정부(60)의 나사 결합으로 인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50)가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액체저장용기의 신선함을 오래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 펌프(70)가 설치되어 있고, 냉각 펌프(70)는 냉열선(32) 일부가 빠져나와 냉각 펌프(70)와 연결이 되어있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디스펜서의 관로가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디스펜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을 갖는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는 슬릿을 형성시켜 슬릿 내에 관로를 설치함으로써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로부터 관로가 쉽게 분리되므로 관로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는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장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디스펜서 10 : 본체
12 : 콕 14 : 받침대
16 : 통풍구 18 : 커버 부재
20 : 액체저장용기 케이스 22 : 토출구
24 : 절개부 30 : 냉각판
32 : 냉열선 40 : 슬릿
50 : 관로 52 : 액체 유입공
60 : 고정부 62 : 삽입부
64 : 고정 마개 66 : 고정구
70 : 냉각 펌프

Claims (4)

  1. 앞면에 설치된 콕(12)과, 콕(12)의 밑으로는 컵을 놓을 수 있는 받침대(14)가 구비되어 있는 사각통 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올려지는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시킨 슬릿(40)과;
    상기 슬릿(40) 내에 설치되는 관로(50)와;
    상기 본체(10) 상부의 양 옆으로 구비되어 있는 냉각판(30);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냉각 펌프(70);
    를 포함하는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부 면에 관로(50)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 내부의 중앙부에 관로(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을 관로(50)의 크기만큼 절단한 삽입부(62)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60)와, 고정부(60)와 나사결합되며 중앙에는 관로(50)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66)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마개(64)를 더 포함하는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30) 내부에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 펌프(70)와 연결된 냉열선(32)을 더 포함하는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는 냉각판(30)의 면적에 대응되는 위치의 세 변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시킨 요홈에 의해 절개되는 절개부(24)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액체저장용기 케이스(20)를 본체(10)에 장착시 냉각판(30)들이 각각 상기 절개부(24)에 삽입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KR1020140124398A 2014-09-18 2014-09-18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KR101632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398A KR101632413B1 (ko) 2014-09-18 2014-09-18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398A KR101632413B1 (ko) 2014-09-18 2014-09-18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74A true KR20160033474A (ko) 2016-03-28
KR101632413B1 KR101632413B1 (ko) 2016-06-21

Family

ID=5635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398A KR101632413B1 (ko) 2014-09-18 2014-09-18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461A (ko) * 2016-08-22 2018-03-05 김동호 냉온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0425A (ja) * 1994-12-02 1997-10-21 ヴォルフガング、ジョブマン、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優れた冷却能力を有する飲料用ディスペンサ
KR100638147B1 (ko) 2004-08-23 2006-10-30 양원동 소형 냉온수기
KR100728340B1 (ko) * 2005-12-12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음료 취출 장치의 배관구조
KR20100037902A (ko)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85029A (ko) * 2011-01-21 2012-07-31 이종용 예약 기능을 구비한 미니 커피 냉온수기 또는 미니 커피 냉온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0425A (ja) * 1994-12-02 1997-10-21 ヴォルフガング、ジョブマン、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優れた冷却能力を有する飲料用ディスペンサ
KR100638147B1 (ko) 2004-08-23 2006-10-30 양원동 소형 냉온수기
KR100728340B1 (ko) * 2005-12-12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음료 취출 장치의 배관구조
KR20100037902A (ko)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85029A (ko) * 2011-01-21 2012-07-31 이종용 예약 기능을 구비한 미니 커피 냉온수기 또는 미니 커피 냉온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461A (ko) * 2016-08-22 2018-03-05 김동호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413B1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00B1 (ko) 물분배기
US6758058B1 (en) Removable cooling device and integrated vessels
US20170341920A1 (en) Space-saving liquid dispensing and filtration container
US3698603A (en) Water-distributing system for a hot and cold drinking water dispenser
US20160131418A1 (en) Refrigerator with a detachable water tank
KR20130017265A (ko)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US10492639B1 (en) Convective heating system for a portable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
KR101632413B1 (ko)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TWI401053B (zh) 飲品裝置及其容器
JP5656733B2 (ja) 冷却庫
US2929228A (en) Cabinet cooling means
US9709321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replacing water tank for refrigerator
JP3537222B2 (ja) ビールディスペンサ
US9643831B1 (en) Ceramic water cooler
KR200409982Y1 (ko) 은나노 필터가 설치된 냉온수기
KR102038196B1 (ko) 음료 분배 장치
KR102025672B1 (ko) 음료 냉각 장치
KR101480076B1 (ko)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CN210710710U (zh) 一种防溢流的双层竹制酒具
KR101576440B1 (ko) 빙결관을 이용한 멀티형 음료 냉각 인출 장치
AU2020100335A4 (en) Fridge with internal bladder system
KR200486280Y1 (ko)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
JP2017081600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709295B1 (ko) 냉온음료 공급기
KR20210150575A (ko) 음료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