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419A -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419A
KR20160033419A KR1020140124241A KR20140124241A KR20160033419A KR 20160033419 A KR20160033419 A KR 20160033419A KR 1020140124241 A KR1020140124241 A KR 1020140124241A KR 20140124241 A KR20140124241 A KR 20140124241A KR 20160033419 A KR20160033419 A KR 2016003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il
image frame
image
information
cal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3419A/ko
Priority to US14/807,268 priority patent/US9576337B2/en
Publication of KR2016003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영상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화질 처리부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의 블러(Blur) 정보 및 그레이(Gra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질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질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보다 고성능의 전자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TV를 포함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사실적인 영상을 시청하고자하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최근에는 UHD(Ultra Hihg Definition) 이상의 고해상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고화질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고화질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고화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해상도보다 낮은 해상도의 소스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이를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때, 입력되는 소스 영상을 단순히 스케일링하는 것이 아니라, 디테일을 생성하여 생성된 디테일을 스케일링된 영상에 부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보다 고화질의 선명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고화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디테일을 생성하여 스케일링된 영상에 부가하는 등의 동작이 더 필요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경우보다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
이에 따라, 점점 대형화, 고화질화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를 위해, 전력 절감이 필요한 경우, 화면 전체를 끄는 방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보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처리 기능을 필요한 경우에만 끄도록 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시청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프레임의 블러(blur) 정보 및 그레이(gray)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된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에 따라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화질 처리부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의 블러(Blur) 정보 및 그레이(Gra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질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에지(Edge) 특성 값 및 고주파(High-Frequency) 특성 값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블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 프레임의 기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그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는 경우,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질 처리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을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 및 상기 스케일러를 통해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되는 디테일을 생성하는 디테일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테일 생성부의 입력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디테일 생성부의 입력 및 출력을 오프하도록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질 처리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휘도 처리부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의 채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채도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YCbCr 컬러 공간 및 RGB 컬러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공간에서 산출된 상기 그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마다 한번 씩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영상 프레임의 블러(blur) 정보 및 그레이(gra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에지(Edge) 특성 값 및 고주파(High-Frequency) 특성 값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블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 프레임의 기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그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는 경우,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 프레임을 스케일링하고,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될 디테일을 생성하며,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상기 디테일을 부가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될 디테일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은, 상기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의 채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YCbCr 컬러 공간 및 RGB 컬러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공간에서 산출된 상기 그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마다 한번 씩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소스 영상의 블러한 정도나 그레이한 정도에 따라 디테일 개선 기능이 필요없는 경우에만 디테일 개선 기능을 끌 수 있어, 사용자가 화면을 시청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고화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보다 자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세부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영상 처리 장치(100)는 화질 처리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화질 처리부(110)는 영상 처리 장치(100)에 입력된 영상의 화질을 처리한다. 특히, 화질 처리부(110)는 영상 프레임이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질 처리부(110)는 입력된 영상 프레임을 스케일링하고,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되는 디테일을 생성하며, 생성된 디테일을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하여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테일이란, 예를들어 저해상도의 영상을 보다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스케일링할 때, 스케일링된 영상에 부가되는 픽셀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화질 처리부(110)는 입력된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 및 채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영상 처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프레임의 블러(blur) 정보 및 그레이(gra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산출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도록 화질 처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화질 처리부(110)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프레임의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영상 프레임의 에지(Edge) 특성 값 및 고주파(High-Frequency) 특성 값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의 블러 정보를 산출하고, 영상 프레임의 기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의 그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블러 정보는 해당 영상 프레임의 블러(blur)한 정도를 의미하며, 그레이 정보는 해당 영상 프레임의 채도가 낮은 정도를 의미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매 영상 프레임마다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그레이 정보를 획득할 때, 영상 프레임의 YCbCr 컬러 공간 및 RGB 컬러 공간 각각에서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그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산출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거나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는 경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블러 정보는 해당 영상 프레임이 블러한 정도를 의미하므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해당 영상 프레임의 블러한 정도가 커서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해도 그 효과가 크지 않으므로, 제어부(120)는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레이 정보는 해당 영상 프레임의 채도가 낮은 정도를 의미하므로, 채도가 낮아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여도 그 효과가 크지 않은 정도의 값을 특정값으로 설정한다면, 제어부(120)는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과 같을 때,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지 않는 경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에 따라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도록 화질 처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되는 디테일을 생성하지 않도록 화질 처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영상 프레임에 부가되는 디테일을 생성하지 않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하여는 도 2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영상 프레임을 스케일링하고,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되는 디테일을 생성하며, 생성된 디테일을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하여 출력하도록 화질 처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지 않는 경우 즉,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에 따라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라도,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마다 한번 씩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영상 프레임 A가 화질 처리부(110)로 입력되어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된 영상 프레임 A1 또는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 프레임 A2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화질 처리부(110)의 디테일 개선 기능의 수행 여부에 관하여는 제어부(120)가 이를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영상 프레임 A를 분석하여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보다 자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세부 블럭도이다. 도 1을 설명함에 있어, 도 2를 통해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따르면, 화질 처리부(110)는 스케일러(111), 디테일 생성부(112), 온/오프부(113-1, 113-2) 및 합산부(1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처리 장치(100)의 화질 처리부(110)는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휘도 처리부 및 영상 프레임의 채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채도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먼저, 화질 처리부(110)가 휘도 처리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화질 처리부(110)는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케일러(111)는 영상 프레임을 스케일링한다. 예를 들어, 스케일러(111)는 영상 프레임 A의 휘도 데이터가 픽셀값으로 입력되면, 입력된 픽셀값을 스케일링하여 스케일링된 픽셀값을 출력한다.
한편, 디테일 생성부(112)는 스케일러(111)를 통해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되는 디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테일 생성부(112)는 영상 프레임 A의 휘도 데이터가 온/오프부(113-1)를 통해 픽셀값으로 입력되면, 스케일러(111)에 의해 스케일링된 픽셀값에 부가될 디테일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디테일은 입력 대비 출력의 차이값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디테일 생성부(112)는 픽셀값이 입력되면 이를 스케일러(111)과는 별도로 스케일링하여 스케일링된 픽셀값을 출력하고, 출력된 픽셀값과 입력된 픽셀값의 차이값을 디테일로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디테일 생성부(112)에서 생성된 디테일은 온/오프부(113-2)를 통해 합산부(114)로 전달되어 스케일러(111)를 통해 스케일링된 픽셀값과 더해져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된 영상 프레임 A1의 휘도 데이터로 출력된다.
한편, 온/오프부(113-1, 113-2)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력 및 출력을 온/오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오프부(113-1, 113-2)는 스케일러(111)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휘도 데이터를 그대로 디테일 생성부(112)로 전달하고, 디테일 생성부(112)로부터 출력되는 디테일을 그대로 합산부(114)로 전달하여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력 및 출력을 온시킬 수 있다.
특히, 온/오프부(113-1, 113-2)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디테일 생성부(112)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휘도 데이터 및 합산부(114)로 출력되는 디테일을 다른 값으로 설정하여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력 및 출력을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오프부(113-1, 113-2)는 스케일러(111)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휘도 데이터 및 디테일 생성부(112)로부터 출력되는 디테일이 어떤 값을 갖더라도, 디테일 생성부(112)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휘도 데이터 및 합산부(114)로 출력되는 디테일을 0(zero)으로 설정하여,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력 및 출력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온/오프부(113-1, 113-2)는 멀티플렉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합산부(114)는 스케일러(111)의 출력 및 온/오프부(113-2)의 출력을 더하여 영상 처리 장치(100) 외부로 출력한다. 합산부(114)는 픽셀값과 디테일을 더하는 일반적인 구성일 수 있으며, 자세한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20)는 영상 프레임 A의 휘도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를 분석하여 영상 프레임 A의 블러 정보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영상 프레임 A의 휘도 데이터로부터 영상 프레임 A의 에지(Egde) 특성값 및 고주파(High-Frequency) 특성값을 추정하고, 추정된 에지(Egde) 특성값 및 고주파(High-Frequency) 특성값을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 A의 블러 정보를 산출한다. 이때, 제어부(120)가 영상 프레임 A의 휘도 데이터로부터 영상 프레임 A의 에지(Egde) 특성값 및 고주파(High-Frequency) 특성값을 추정하는 방법은 공지의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영상 프레임 A의 에지 특성이나 고주파 특성이 좋지 않다는 것은 당해 영상이 블러(blur)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120)는 영상 프레임 A의 에지 특성값 및 고주파 특성값을 수치로 나타내어 영상 프레임 A의 블러한 정도를 표현하는 블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즉, 영상 프레임 A가 일정 수준 이상 블러하다고 판단된 경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영상 프레임 A가 블러한 경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여도 그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며, 이때, 기설정된 임계값은 사용자가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된 영상과 수행되지 않은 영상의 차이를 느끼지 못할 만큼 영상 프레임이 블러한 정도에 맞춰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력 및 출력을 오프하도록 온/오프부(113-1, 113-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디테일 생성부(112)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휘도 데이터 및 합산부(114)로 출력되는 디테일을 0으로 설정하여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력 및 출력을 오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 출력이 오프되면, 디테일 생성부(112)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 A의 휘도 데이터가 없으므로, 디테일 생성부(112)는 디테일을 생성하지 않게 되며, 설사 디테일 생성부(112)로 노이즈가 유입되어 어떤 값이 디테일로 출력된다고 하더라도 합산부(114)로 출력되는 디테일이 없으므로, 합산부(114)는 스케일러(111)의 출력에 디테일을 더하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즉, 영상 프레임 A의 휘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영상 프레임 A의 휘도 데이터는 스케일러(111)를 통해 스케일링되어 그대로 영상 프레임 A2 즉,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 프레임의 휘도 데이터로 출력된다.
한편,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블러 정보를 이용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매 영상 프레임마다 블러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블러 정보를 적절하게 처리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매 영상 프레임마다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며, 이는 사용자의 영상 시청에 불편한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디테일 개선 기능의 수행 여부를 기설정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마다 판단하여 적용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N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블러 정보를 LPF(Low Pass Filtering) 처리하여 최종 블러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종 블러 정보에 기초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화질 처리부(110)가 채도 처리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화질 처리부(110)는 영상 프레임의 채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화질 처리부(110)의 동작은 화질 처리부(110)로 입력되어 처리되고 출력되는 데이터가 영상 프레임의 채도 데이터인 것을 제외하고, 위에서 설명한 휘도 처리부의 동작과 동일하다.
즉, 영상 프레임 A의 채도 데이터가 화질 처리부(110)로 입력되고 처리되어,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된 영상 프레임 A1의 채도 데이터 또는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영상 프레임 A2의 채도 데이터로 출력되는 것을 제외하고, 화질 처리부(110)의 스케일러(111), 디테일 생성부(112), 온/오프부(113-1, 113-2) 및 합산부(114)의 동작은 화질 처리부(110)가 휘도 처리부인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20)는 영상 프레임 A의 채도 데이터가 입력되면, 영상 프레임 A의 기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값을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 A의 그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영상 프레임 A의 기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의 채도값을 평균하여 영상 프레임 A의 그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영역은 영상 처리 장치(100) 제조자에 의해 실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그레이 정보는 해당 영상 프레임의 채도가 낮은 정도 즉, 해당 영상 프레임이 그레이(gray)한 정도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는 경우, 즉, 영상 프레임 A의 채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다고 판단된 경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영상 프레임 A의 채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은 경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여도 그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며, 이때, 기설정된 특정값은 사용자가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된 영상과 수행되지 않은 영상의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영상 프레임의 채도가 낮은 정도에 맞춰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 개 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력 및 출력을 오프하도록 온/오프부(130-1, 130-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디테일 생성부(112)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채도 데이터 및 합산부(114)로 출력되는 디테일을 0으로 설정하여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력 및 출력을 오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 출력이 오프되면, 디테일 생성부(112)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 A의 채도 데이터가 없으므로, 디테일 생성부(112)는 디테일을 생성하지 않게 되며, 설사 디테일 생성부(112)로 노이즈가 유입되어 어떤 값이 디테일로 출력된다고 하더라도 합산부(114)로 출력되는 디테일이 없으므로, 합산부(114)는 스케일러(111)의 출력에 디테일을 더하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즉, 영상 프레임 A의 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는 경우, 영상 프레임 A의 채도 데이터는 스케일러(111)를 통해 스케일링되어 그대로 영상 프레임 A2 즉,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 프레임의 채도 데이터로 출력된다.
한편,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그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매 영상 프레임마다 그레이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그레이 정보를 적절하게 처리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매 영상 프레임마다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며, 이는 사용자의 영상 시청에 불편한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디테일 개선 기능의 수행 여부를 기설정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마다 판단하여 적용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N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그레이 정보를 LPF(Low Pass Filtering) 처리하여 최종 그레이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종 그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YCbCr 컬러 공간 및 RGB 컬러 공간에서의 영상 프레임의 그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YCbCr 컬러 공간에서 그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 Y, Cb, Cr각각 10bit의 뎁스를 갖는다고 가정할 때,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YCbCr=(512, 512, 512)등과 같이, 채도가 낮은 것으로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는 경우, 제어부(120)는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RGB 컬러 공간에서 그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 역시 위와 같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YCbCr 컬러 공간 및 RGB 컬러 공간에서 산출된 각각의 그레이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두 그레이 정보를 조합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의 예에서는 온/오프부(130-1, 130-2)가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력 및 출력 양쪽의 온/오프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디테일 생성부(112)의 입력 및 출력 중 한 쪽에만 온/오프부를 배치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2의 예와 같이,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휘도 데이터 및 채도 데이터로 나누어 화질을 처리하는 것은 화질 처리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이며,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서 휘도 데이터 및 채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이나, 획득된 휘도 데이터 및 채도 데이터가 각각 화질 처리부(110)에서 처리된 후 더해지는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휘도 처리부 및 채도 처리부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영상 처리 장치(300)는 휘도 처리부(310), 제어부(320) 및 채도 처리부(330)를 포함한다. 이때, 휘도 처리부(310) 및 채도 처리부(33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화질 처리부(110)가 휘도 처리부 및 채도 처리부인 경우와 동일하다.
즉, 영상 프레임 I의 휘도 데이터는 휘도 처리부(310)를 통해 스케일링된 휘도 데이터로 출력되고, 영상 프레임 I의 채도 데이터는 채도 처리부(330)를 통해 스케일링된 채도 데이터로 출력된다.
이때, 스케일링된 휘도 데이터 및 스케일링된 채도 데이터는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된 것일 수도 있고,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휘도 처리부(310) 및 채도 처리부(330)에서 처리되어 출력된 스케일링된 휘도 데이터 및 채도 데이터는 서로 더해져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된 영상 프레임 I1 또는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 프레임 I2가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입력된 휘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블러 정보를 산출하고, 입력된 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레이 정보를 산출한다. 이때, 제어부(320)는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거나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는 경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휘도 처리부(310) 및 채도 처리부(330)을 제어한다. 이 경우, 휘도 처리부(310) 및 채도 처리부(330)에서 출력된 스케일링된 휘도 데이터 및 채도 데이터는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것이 되며, 이후 서로 더해져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 프레임 I2가 된다.
반면,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지 않는 경우 제어부(320)는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도록 휘도 처리부(310) 및 채도 처리부(330)를 제어하고, 이 경우, 휘도 처리부(310) 및 채도 처리부(330)에서 출력된 스케일링된 휘도 데이터 및 채도 데이터는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된 것이 되며, 이후 서로 더해져 디테일 개선 기능이 수행된 영상 프레임 I1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지 않는 경우 즉,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에 따라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라도, 기설정된 개수의 영상 프레임마다 한번 씩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휘도 처리부(310) 및 채도 처리부(3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개수는, 연속된 영상 프레임에 대해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다가 하나의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정도의 연속된 개수이며, 이는 영상 처리 장치(300) 제조자에 의해 실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SOC(System On Chip)와 같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TV, 휴대폰, 전자 액자, 노트북, 모니터, 랩탑, 태블릿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장치(100, 300)의 제어부(120, 320)의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따르면,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영상 프레임의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다(S410).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영상 프레임이 입력되면, 영상 프레임의 에지 특성값 및 고주파 특성값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값을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의 블러 정보를 산출하고, 영상 프레임의 기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값을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의 그레이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블러 정보는 해당 영상 프레임의 블러(blur)한 정도를 의미하며, 그레이 정보는 해당 영상 프레임의 채도가 낮은 정도를 의미한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매 영상 프레임마다 해당 프레임에 대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산출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된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거나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는 경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산출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YCbCr 컬러 공간 및 RGB 컬러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공간에서 산출된 그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지 않는 경우라도,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마다 한번 씩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디테일 개선 기능은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 및 영상 프레임의 채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입력된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420, Y), 입력된 영상 프레임을 스케일링하고(S430),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될 디테일을 생성하며,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생성된 디테일을 부가(S440)하여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420, N), 영상 처리 장치(100, 300)는 영상 프레임을 스케일링하고(S450),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될 디테일을 생성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소스 영상의 블러한 정도나 그레이한 정도에 따라 디테일 개선 기능이 필요없는 경우에만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어, 사용자가 화면을 시청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고화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이나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들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탑재되는 영상 처리 장치는 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블러(blur) 정보 및 그레이(gra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화질 처리부 111 : 스케일러
112 : 디테일 생성부 113 : 온/오프부
120,320 : 제어부 300 : 영상 처리 장치
310 : 휘도 처리부 330 : 채도 처리부

Claims (18)

  1.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화질 처리부;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의 블러(Blur) 정보 및 그레이(Gra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질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에지(Edge) 특성 값 및 고주파(High-Frequency) 특성 값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블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 프레임의 기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그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는 경우,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처리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을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 및
    상기 스케일러를 통해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되는 디테일을 생성하는 디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처리부는,
    상기 디테일 생성부의 입력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온/오프하기 위한 온/오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디테일 생성부의 입력 및 출력을 오프하도록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처리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휘도 처리부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의 채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채도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YCbCr 컬러 공간 및 RGB 컬러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공간에서 산출된 상기 그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마다 한번 씩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0.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영상 프레임의 블러(blur) 정보 및 그레이(gra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프레임의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에지(Edge) 특성 값 및 고주파(High-Frequency) 특성 값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블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 프레임의 기설정된 영역에 포함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그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거나 상기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는 경우,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 프레임을 스케일링하고,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부가될 디테일을 생성하며,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상기 디테일을 부가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프레임에 대한 디테일을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은,
    상기 영상 프레임의 휘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 및 상기 영상 프레임의 채도에 대한 디테일 개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복수 개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블러 정보 및 그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YCbCr 컬러 공간 및 RGB 컬러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공간에서 산출된 상기 그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블러 정보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산출된 그레이 정보가 기설정된 특정값을 갖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개수의 프레임마다 한번 씩 상기 디테일 개선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124241A 2014-09-18 2014-09-18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33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241A KR20160033419A (ko) 2014-09-18 2014-09-18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14/807,268 US9576337B2 (en) 2014-09-18 2015-07-23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241A KR20160033419A (ko) 2014-09-18 2014-09-18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19A true KR20160033419A (ko) 2016-03-28

Family

ID=5552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241A KR20160033419A (ko) 2014-09-18 2014-09-18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76337B2 (ko)
KR (1) KR201600334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04A1 (ko) * 2016-10-26 2018-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2125B1 (en) * 2015-06-01 2020-03-03 Amazon Technologies, Inc. Panoramic image generation from video
CN110475149B (zh) * 2019-08-30 2020-04-03 广州波视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超高清视频的处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7762B1 (en) * 1999-10-26 2003-06-10 Xerox Corporation Background surface thresholding
US7082218B2 (en) * 2001-07-27 2006-07-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 correction of images
US7447405B1 (en) * 2006-10-23 2008-1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errule for optical wave guide
US8639050B2 (en) * 2010-10-19 2014-01-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adjustment of noise filter strengths for use with dynamic range enhancement of images
US9237257B1 (en) * 2013-06-14 2016-01-12 Xilinx, Inc. Circuits for and methods of generating a digital im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04A1 (ko) * 2016-10-26 2018-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1257186B2 (en) 2016-10-26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86302A1 (en) 2016-03-24
US9576337B2 (en)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8532B2 (en) Display devic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9189831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local brightness gain to enhance image quality
US1052879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KR20190107217A (ko) 이미지-적응 톤 맵핑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KR201600742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58847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11954765B2 (en) Applying random patches to pixel block of an image utilizing different weights
JP652764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重畳画像生成方法
KR20160033419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JP2023052085A (ja) 画素コントラスト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US10762604B2 (en) Chrominance and luminance enhancing systems and methods
US10109077B2 (en) Image gener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200043139A1 (en) Directional scaling systems and methods
US10114447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n low-power mode
US20190080437A1 (en) Artifact detection in a contrast enhanced output image
US10719916B2 (en) Statistical noise estimation systems and methods
TW201618032A (zh) 影像處理方法與顯示裝置
US11321813B2 (en) Angular detection using sum of absolute difference statistics systems and methods
CN106020607B (zh) 一种图像显示方法以及电子设备
EP2682936A1 (en) Image processing
JP201506111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5099203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5496043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5079180A (ja)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