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935A -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935A
KR20160032935A KR1020140123705A KR20140123705A KR20160032935A KR 20160032935 A KR20160032935 A KR 20160032935A KR 1020140123705 A KR1020140123705 A KR 1020140123705A KR 20140123705 A KR20140123705 A KR 20140123705A KR 20160032935 A KR20160032935 A KR 20160032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texture
rendering
data
t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희준
류수정
김호영
권순민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935A/ko
Priority to US14/692,472 priority patent/US20160078667A1/en
Publication of KR2016003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05General purpose rendering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함으로써, 이미지를 렌더링하는 경우, 이용되는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ndering data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및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의 이미지를 렌더링 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디바이스가 각광받고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UI(User Interface) 어플리케이션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시장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3차원의 이미지가 사용되는 분야가 확대되면서, 보다 정확한 3차원의 이미지 렌더링을 구현하기 위해 디바이스에서 처리해야 하는 렌더링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디바이스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있어, 기존보다 더 많은 메모리 공간 및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 사용되는 메모리 공간과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미지 렌더링 시, 저장 및 변경 되는 렌더링 데이터를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는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복수개의 제 2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렌더링 순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일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 빈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복수개의 타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일부 복수개의 타일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가 선택되어 변경되는 경우,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다른 복수개의 타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여, 복수개의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의 유사도에 따라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선택된 제 1 타일에 인접한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는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제어부; 및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어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하는 데이터 변경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는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복수개의 제 2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렌더링 순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일을 선택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변경부는, 사용 빈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복수개의 타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비교하고, 일부 복수개의 타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가 선택되어 변경되는 경우,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다른 복수개의 타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비교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는 복수개의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여, 복수개의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의 유사도에 따라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를 결정하는 스케쥴링부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선택된 제 1 타일에 인접한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한다.
이미지를 렌더링하는 경우, 이용되는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미지를 렌더링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가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에 기초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가 타일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타일의 렌더링 순서를 스케쥴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설정된 개수의 타일 단위로 이미지의 렌더링이 수행되는 경우,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개시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미지를 렌더링 하는 시스템(100, 이하 렌더링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렌더링 시스템(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렌더링 시스템(100)은 호스트 연산 프로세서(110) 및 일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그래픽스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더링 시스템(100)은 데스크 탑 컴퓨터, 서버,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게임 콘솔(console) 및 PDA나 셀률러 폰(cellular phone)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연산 프로세서(110)는 UI(User Interface) 어플리케이션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의 그래픽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래픽스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실행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이미지를 렌더링 하는 동작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이 그래픽스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호스트 연산 프로세서(100)는 그래픽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하이-레벨 커멘드를 생성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는 렌더링 대상이 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들의 텍스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스 프로세서(120)는 호스트 연산 프로세서(110)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래픽스 프로세서(120)는 호스트 연산 프로세서(110)로부터 수신한 하이-레벨 커맨드를 기초로 호스트 연산 프로세서(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렌더링 하여, 호스트 연산 프로세서(11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그래픽스 프로세서(120)는 그래픽스 인터페이스(121), 그래픽스 메모리(122), 그래픽스 프로세싱 파이프라인(123) 및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124, 이하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스 인터페이스(121)는 호스트 연산 프로세서(110)로부터 하이-레벨 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하이-레벨 커맨드를 그래픽스 메모리(122) 및 그래픽스 프로세싱 파이프라인(123)에 전달할 수 있다.
그래픽스 메모리(122)는 그래픽스 인터페이스(121)로부터 수신한 하이-레벨 커맨드를 저장할 수 있고, 그래픽스 프로세싱 파이프라인(123)에서 렌더링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렌더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래픽스 프로세싱 파이프라인(123)은 이미지 또는 영상을 렌더링 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래픽스 프로세싱 파이프라인(123)은 지오메트리(geometry) 프로세서(123a), 래스터라이저(123b), 타일 비닝(binning) 유닛(123c) 및 프래그먼트 쉐이더(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오메트리 프로세서(123a)는 어플리케이션 특유(application-specific)의 데이터 구조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점들을 생성할 수 있다. 지오메트리 프로세서(123a)는 각각의 정점들의 가상 공간내의 3D 위치를 화면에서 나타날 2D 좌표 및 Z 버퍼의 깊이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지오메트리 프로세서(123a)는 정점 데이터를 기초로 실행 가능한 프리미티브(예를 들어, 선, 점 및 삼각형)를 생성할 수 있다.
레스터라이저(123b)는 지오메트리 프로세서(123a)에서 수신한 프리미티브 내의 각 정점에 정의된 화면(screen) 좌표 및 텍스트 좌표 등을 보간하여, 프리미티브 내부에 대한 프레그먼트(fragment)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 및 예들에서, 용어 ?족묽琉廊? 및 ?횝? 은 동일한 의미로 상호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타일 비닝 유닛(123c)은 렌더링 대상이 되는 렌더링 이미지를 기설정된 크기의 타일로 분할한다. 여기에서, 타일의 크기는 설정에 따라,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타일 비닝 유닛(123c)은 렌더링 이미지를 분할하는 과정에서, 타일 별로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텍스쳐 정보는 각각의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의 색상 및 질감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일 비닝 유닛(123c)에서 획득한 텍스쳐 정보는 그래픽스 메모리(122) 또는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에 저장될 수 있다.
프레그먼트 쉐이더(123d)는 타일 단위 별로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프레그먼트 각각에 대해 텍스처 매핑 및 빛의 반사 등을 계산하여, 프레그먼트의 색상 및 텍스쳐를 결정한다. 프레그먼트 쉐이더(123d)는 타일 단위 별로 각각의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의 색상 및 텍스쳐를 결정하기 위해, 그래픽스 메모리(122) 또는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로부터 텍스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한 렌더링 데이터를 기초로 프레그먼트 각각에 대한 텍스쳐를 결정할 수 있다. 프레그먼트 쉐이더(123d)는 렌더링 순서에 따라 선택된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타일들의 텍스쳐 데이터를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로부터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복수개의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데이터의 집약 정도(locality)를 고려하여 타일의 텍스쳐 렌더링에 필요한 텍스쳐 데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데이터의 집약 정도는 타일 비닝 유닛(123c)에서 획득한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선택된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선택된 타일(이하,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이 수행되는 타일(이하, 제 2 타일)들의 타일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어떤 텍스쳐 데이터를 변경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2 타일에서 렌더링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미리 저장된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저장된 텍스쳐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그래픽스 메모리(122)로부터 텍스쳐 데이터를 획득해야 하는 동작의 횟수를 줄일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렌더링 데이터는 이미지를 렌더링 하는데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지만, 다음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텍스쳐 데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21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타일 비닝 유닛(123c)으로부터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그래픽스 메모리(122)로부터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1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를 렌더링하는데 이용되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와 제 2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를 렌더링하는데 이용되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를 비교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와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지 않는 텍스쳐 데이터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1 타일과 제 2 타일 간의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 이외에 텍스쳐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복수개의 제 2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렌더링이 수행되지 않은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제 2 타일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제 2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정보를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교 대상이 되는 제 2 타일들의 개수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2 타일을 한 개만 선택할 수도 있고, 2개 또는 4개와 같이 복수개의 제 2 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2 타일을 선택하는데 있어,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를 고려할 수도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타일 비닝 유닛(123c) 또는 그래픽스 메모리(122)로부터 복수개의 타일들이 렌더링 되는 순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렌더링 순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선택된 타일 이후에 첫 번째로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부터 네 번째로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까지 모두 4개의 제 2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렌더링 이미지 내에서 선택된 타일에 인접한 타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그래픽스 프로세싱 파이프 라인(123)에서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타일들 중에서 일부 타일들을 단위로 렌더링이 수행되는 경우, 선택된 타일에 인접한 타일들에 대한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래픽스 프로세싱 파이프 라인(123)에서 일부 타일들을 단위로 렌더링이 수행되는 경우, 타일들간의 물리적인 거리에 따라 렌더링이 수행되는 타일들의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14개의 타일들 중에서, 4개의 2X2 타일 단위로 렌더링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선택된 타일에 인접한 타일들 중에서, 제 2 타일을 선택하여,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획득한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선택된 제 1 텍스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제 1 텍스쳐 데이터, 제 2 텍스쳐 데이터 및 제 3 텍스쳐 데이터가 이용되고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제 1 텍스쳐 데이터 및 제 3 텍스쳐 데이터가 이용되는 경우,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지 않는 제 2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결정된 우선순위에서는 기 저장된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렌더링 데이터가 선순위에 위치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우선 순위가 결정된 기 저장된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렌더링 되는 타일들의 단위와 같은 설정 정보에 따라 변경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링 이미지에서 인접한 타일들의 단위로 렌더링이 수행되는 경우, 제 1 타일 단위에 포함된 타일들에 대한 렌더링이 완료되면, 제 2 타일 단위에 포함된 타일들의 렌더링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우선 순위에서 제 1 순위부터 중간 순위에 위치하는 텍스쳐 데이터들을 모두 변경할 수 있다. 반면에, 제 1 타일 단위에 포함된 타일들의 렌더링이 수행되는 중에는, 제 1 순위에 위치하는 텍스쳐 데이터만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사용 빈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변경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가 텍스쳐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23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2 타일에서의 사용 빈도가 적은 텍스쳐 데이터를 제 1 타일 이후의 렌더링 과정에서 이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제 1 텍스쳐 데이터, 제 2 텍스쳐 데이터 및 제 3 텍스쳐 데이터가 이용되고, 제 2-1 타일의 렌더링에 제 1 텍스쳐 데이터, 제 3 텍스쳐 데이터가 이용되고, 제 2-2 타일의 렌더링에 제 1 텍스쳐 데이터, 제 3 텍스쳐 데이터 및 제 4 텍스쳐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사용 빈도가 적은 제 2 텍스쳐 데이터를 제 4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그래픽스 메모리(122) 또는 타일 비닝 유닛(123c)으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는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렌더링 이미지(300)는 16개의 타일들(예를 들어, 310, 320 및 330)로 분할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16개의 타일들 각각에 관한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선택된 제 1 타일(310)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예를 들어, 320, 330)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대상이 되는 제 2 타일(예를 들어, 320, 330)은 렌더링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링 순서가 제 1 타일(310), 제 2-1 타일(320) 및 제 2-2타일(330)의 순서로 진행되는 경우,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1 타일(310)의 텍스쳐 정보와 제 2-1 타일(320)의 텍스쳐 정보 및 제 2-2 타일(330)의 텍스쳐 정보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렌더링 순서 및 비교 대상이 되는 타일의 개수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각각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기초로, 제 1 타일(310)의 렌더링에는 제 1 텍스쳐 데이터가 이용되고, 제 2 타일(320)의 렌더링에는 제 1 텍스쳐 데이터, 제 2 텍스쳐 데이터 및 제 3 텍스쳐 데이터가 이용되고, 제 3 타일(330)의 렌더링에는 제 3 텍스쳐 데이터가 이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정치(124)는 각각의 타일들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를 비교하여, 텍스쳐 데이터의 사용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타일 이후의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사용 빈도는 제 2 텍스쳐 데이터가 0으로 가장 낮고, 그 다음이 사용 빈도 1인 제 1 텍스쳐 데이터이다.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텍스쳐 데이터는 사용 빈도 2인 제 2 텍스쳐 데이터이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2 타일(320, 330)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제 1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2 타일들(320, 330)에서의 사용 빈도가 적은 제 1 텍스쳐 데이터를 이후의 렌더링 과정에서 이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가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에 기초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41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한다. 여기에서 텍스쳐 정보에는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 및 텍스쳐 데이터의 크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타일 비닝 유닛(123c)으로부터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그래픽스 메모리(122)로부터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1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를 렌더링하는데 이용되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 및 텍스쳐 정보의 크기와 제 2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를 렌더링하는데 이용되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 및 텍스쳐 정보의 크기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를 비교하여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와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지 않는 텍스쳐 데이터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1 타일과 제 2 타일 간의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 이외에 텍스쳐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교 대상이 되는 제 2 타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2 타일을 한 개만 선택할 수도 있고, 2개 또는 4개와 같이 복수개의 제 2 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2 타일을 선택하는데 있어,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를 고려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렌더링 이미지 내에서 선택된 타일에 인접한 타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결정된 우선순위에서는 기 저장된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렌더링 데이터가 선순위에 위치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선택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택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사용 빈도에 따라 우선 순위가 결정된 기 저장된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선 순위에 위치한 택스쳐 데이터들 간에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사용 빈도가 낮은 순서대로 제 1 텍스쳐 데이터 및 제 2 텍스쳐 데이터가 선택된 경우,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1 텍스쳐 데이터와 제 2 텍스쳐 데이터 각각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2 텍스쳐 데이터가 제 1 텍스쳐 데이터 보다 큰 경우,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 내에 텍스쳐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제 2 텍스쳐 데이터를 변경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을 참조하면, 제 1 텍스쳐 데이터의 크기가 15비트이고, 제 2 텍스쳐 데이터의 크기가 100비트, 제 3 텍스쳐 데이터의 크기가 25비트인 경우, 제 1 텍스쳐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가 제 2 텍스쳐 데이터의 사용 빈도수 보다 낮지만,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 2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2 타일에서의 사용 빈도가 적은 텍스쳐 데이터를 제 1 타일 이후의 렌더링 과정에서 이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단계 440은 도 2의 단계 230과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가 타일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타일의 렌더링 순서를 스케쥴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복수개의 제 2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타일 비닝 유닛(123c)으로부터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그래픽스 메모리(122)로부터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1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를 렌더링하는데 이용되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와 제 2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를 렌더링하는데 이용되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를 비교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와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지 않는 텍스쳐 데이터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1 타일과 제 2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여, 텍스쳐 정보의 유사도에 따라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를 결정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타일들 각각에 대해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타일들간에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가 유사한 순서대로 렌더링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링 이미지에 16개의 타일이 포함되어 있고, 제 1 타일부터 렌더링을 시작하는 경우, 제 1 타일의 텍스트 데이터와 동일한 텍스트 데이터를 가장 많이 렌더링에 이용하는 제 3타일을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하도록 렌더링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렌더링 순서에 기초하여, 제 2 타일들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한다.
한편, 단계 530은, 도 2의 단계 220과 대응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2 타일에서의 사용 빈도가 적은 텍스쳐 데이터를 제 1 타일 이후의 렌더링 과정에서 이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단계 540은, 도 2의 단계 230과 대응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설정된 개수의 타일 단위로 이미지의 렌더링이 수행되는 경우,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61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 중에서, 렌더링 대상이 되는 단위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타일들 내에서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단위 타일들 내에서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타일 비닝 유닛(123c)으로부터 렌더링 대상이 되는 단위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그래픽스 메모리(122)로부터 렌더링 대상이 되는 단위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1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를 렌더링하는데 이용되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와 제 2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를 렌더링하는데 이용되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를 비교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와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지 않는 텍스쳐 데이터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렌더링 순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한다.
단계 63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제 2 타일에서의 사용 빈도가 적은 텍스쳐 데이터를 제 1 타일 이후의 렌더링 과정에서 이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단계 64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렌더링 대상이 되는 단위 타일에 포함된 타일들에 대해 렌더링을 모두 수행한 경우, 다른 단위 타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650에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다른 단위 타일 내에서 기설정된 렌더링 순서에 따라 소정 타일을 제 1 타일로 선택하고, 다른 단위 타일 내에서,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일을 결정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다른 단위 타일에 포함된 타일들에 대해 단계 610 내지 단계 640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렌더링 대상이 되는 다른 단위 타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 하는 동작을 종료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어부(710), 메모리(720) 및 데이터 변경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한다. 제어부(710)는 타일 비닝 유닛(123c)으로부터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710)는 그래픽스 메모리(122)로부터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부(710)는 제 1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를 렌더링하는데 이용되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와 제 2 타일에 포함된 프레그먼트를 렌더링하는데 이용되는 텍스쳐 정보의 종류를 비교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와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지 않는 텍스쳐 데이터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는 제 1 타일과 제 2 타일 간의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 이외에 텍스쳐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복수개의 제 2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렌더링이 수행되지 않은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개의 제 2 타일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제 2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정보를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제 2 타일을 선택하는데 있어,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를 고려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710)는 렌더링 이미지 내에서 선택된 타일에 인접한 타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메모리(720)는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720)는 그래픽스 메모리(122)로부터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타일 비닝 유닛(123c)으로부터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데이터 변경부(730)는 제어부(710)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변경부(730)는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결정된 우선순위에서는 기 저장된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렌더링 데이터가 선순위에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 변경부(730)는 우선 순위가 결정된 기 저장된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렌더링 되는 타일들의 단위와 같은 설정 정보에 따라 변경되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변경부(730)는 사용 빈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변경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변경부(73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한다. 데이터 변경부(730)는 제 2 타일에서의 사용 빈도가 적은 텍스쳐 데이터를 제 1 타일 이후의 렌더링 과정에서 이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8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800)는 도 1의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214)와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800)는 제어부(810), 메모리(820), 데이터 변경부(830) 및 스케쥴링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8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한다.
한편, 제어부(810)는, 도 7의 제어부(710)와 대응될 수 있다.
스케쥴링부(820)는 복수개의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여, 복수개의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의 유사도에 따라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를 결정한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타일들 각각에 대해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124)는 타일들간에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종류가 유사한 순서대로 렌더링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메모리(830)는 도 7의 메모리(720)와 대응될 수 있다.
데이터 변경부(840)는 제어부(810)의 비교 결과 및 결졍된 렌더링 순서에 기초하여,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 1 타일의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한다. 한편, 데이터 변경부(840)는 도 7의 데이터 변경부(730)와 대응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예들에 병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개시된 실시예들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개시된 실시예들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개시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개시된 실시예들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214: 렌더링 데이터 처리 장치
710: 제어부
720: 메모리
730: 데이터 변경부

Claims (17)

  1.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상기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는 상기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상기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복수개의 제 2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렌더링 순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일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빈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복수개의 타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부 복수개의 타일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가 선택되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다른 복수개의 타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개의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제 1 타일에 인접한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상기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9.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상기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한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복수개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다른 텍스쳐 데이터로 변경하는 데이터 변경부를 포함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에 따라,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변경 대상이 되는 텍스쳐 데이터는 상기 제 2 타일의 렌더링에 이용되는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상기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복수개의 제 2 타일들 각각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렌더링 순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일을 선택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경부는,
    상기 사용 빈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제 1 타일의 텍스쳐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를 선택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복수개의 타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비교하고,
    상기 일부 복수개의 타일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텍스쳐 데이터가 선택되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렌더링 이미지에 포함된 다른 복수개의 타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비교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개의 타일들간의 텍스쳐 정보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타일들의 렌더링 순서를 결정하는 스케쥴링부를 더 포함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 1 타일에 인접한 타일들의 텍스쳐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 1 타일의 텍스쳐 정보와 상기 제 1 타일 이후에 렌더링 되는 제 2 타일의 텍스쳐 정보를 비교하는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123705A 2014-09-17 2014-09-17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160032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705A KR20160032935A (ko) 2014-09-17 2014-09-17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14/692,472 US20160078667A1 (en) 2014-09-17 2015-04-2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nder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705A KR20160032935A (ko) 2014-09-17 2014-09-17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935A true KR20160032935A (ko) 2016-03-25

Family

ID=5545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705A KR20160032935A (ko) 2014-09-17 2014-09-17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78667A1 (ko)
KR (1) KR201600329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1252A1 (zh) * 2021-07-23 2023-01-26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应用提醒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3096208A1 (ko) * 2021-11-25 2023-06-01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실감형 패션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 그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4431B2 (en) * 2015-06-10 2019-07-16 Apple Inc. Level of detail offset determination
CN106780292A (zh) * 2016-12-12 2017-05-31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航空计算技术研究所 一种低开销纹理对象管理方法
GB2561807B (en) * 2017-01-12 2019-09-25 Imagination Tech Ltd Comput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graphics data using cost indications for sets of tiles of a rendering space
GB2570743B (en) * 2018-06-29 2021-06-23 Imagination Tech Ltd Tile assignment to processing cores within a graphics process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3943B2 (en) * 2008-04-30 2015-01-13 Intel Corporation Technique for performing load balancing for parallel rendering
US8244986B2 (en) * 2009-12-30 2012-08-1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ata storage and access in multi-core processor architectures
US20130229440A1 (en) * 2012-03-01 2013-09-05 Microsoft Corporation State aware tile visualiz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1252A1 (zh) * 2021-07-23 2023-01-26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应用提醒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3096208A1 (ko) * 2021-11-25 2023-06-01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실감형 패션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 그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78667A1 (en)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2935A (ko) 렌더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JP6709038B2 (ja) グラフィックス・パイプラインを遂行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
CN106127848B (zh) 对视点视差图像执行渲染的设备和方法
US20180365885A1 (en) Assigning primitives to tiles in a graphics processing system
US9684995B2 (en) Setting a display list pointer for primitives in a tile-based graphics processing system
CN106548498B (zh) 用于处理压缩纹理的方法和设备
KR102637736B1 (ko) 그래픽스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10121275B2 (en) Tile-based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60125649A1 (en) Rendering apparatus and rendering method
KR102245137B1 (ko) 렌더링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는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US100961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CN105550973B (zh) 图形处理单元、图形处理系统及抗锯齿处理方法
WO20181273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an effect of an augmented or mixed reality application
KR102482874B1 (ko) 렌더링 장치 및 방법
KR102005492B1 (ko) 3차원 메쉬 데이터 간소화 방법 및 장치
US20150103072A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ndering object
KR20160143936A (ko) 선택적 3d 렌더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029706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ndering frame by adjusting processing sequence of draw commands
JP2017523497A (ja) 縮小ピクセルシェーディングのための技術
US201501030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object and recording medium for rendering
US10026216B2 (en) Graphics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GB2531936A (en) Graphic processing unit, a graphic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n anti-alias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2855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ragment in graphic rendering
KR20160143935A (ko) 3d 렌더링 성능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10109356A (ko) 전자기기에서 3차원 영상 렌더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