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879A -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879A
KR20160032879A KR1020140123549A KR20140123549A KR20160032879A KR 20160032879 A KR20160032879 A KR 20160032879A KR 1020140123549 A KR1020140123549 A KR 1020140123549A KR 20140123549 A KR20140123549 A KR 20140123549A KR 20160032879 A KR20160032879 A KR 20160032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rchant
payment
virtual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연
Original Assignee
비씨카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씨카드(주) filed Critical 비씨카드(주)
Priority to KR102014012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879A/ko
Publication of KR20160032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6Use of secure elements separate from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가 가상 가맹점의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를 통해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획득한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및 카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와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결제 승인 요청이 결제 가능 지역에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결제 승인 요청 정보와 상기 가상 가맹점의 승인 여부 기준을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결과를 상기 사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방법 및 서버{SERVER AND METHOD OF CARD PAYMENT FOR NONSTORE RETAILER USING VIRTUAL AFFILIATE}
본 발명은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가맹점 정보가 저장된 저장매체와 사업자 단말기를 통해 무점포 사업자가 카드 결제로 물건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경제 활동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물건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 방식도 점차 다양화, 복잡화되고 있다.
그 중, 카드를 통한 결제 방식은 현금 결제와 더불어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결제 방식 중 하나이며, 체크 카드, 신용 카드, 직불 카드 등 여러 형식의 카드가 쓰이고 있다.
그러나, 사업을 영위하는 자가 카드를 통해서 결제를 받기 위해서는 자신의 점포에 대해 카드 가맹점으로 등록을 하여야 하며 카드 결제를 위한 단말기도 구비하여야 한다.
전통시장 등에서 점포가 없이 사업을 영위하는, 무점포 사업자들은 카드를 통해 결제 대금을 수납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사업자 및 소비자의 불편이 야기되었다.
또한, 무점포 사업자들이 카드 결제를 통해 결제 대금을 수납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기더라도, 이러한 방법을 카드깡과 같이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할 우려가 있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무점포 사업자들의 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점포 사업자가 카드사에 가상 가맹점을 생성 신청하고, 생성된 가상 가맹점 정보가 저장된 저장 매체와, 사업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카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가맹점이 등록된 위치와 사업자의 휴대 단말기 위치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 가맹점에서 일정 횟수, 금액 한도의 결제만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가상 가맹점이 현금 융통 가맹점으로 이용되는 위험 등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드사 서버가 가상 가맹점의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를 통해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획득한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및 카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와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결제 승인 요청이 결제 가능 지역에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결제 승인 요청 정보와 상기 가상 가맹점의 승인 여부 기준을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결과를 상기 사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카드사 서버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은, 사업자로부터 가상 가맹점 생성 신청을 수신하여, 상기 생성 신청에 포함된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가상 가맹점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가맹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가맹점을 기 존재하는 상위 가상 가맹점의 하부 가상 가맹점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가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에 등록된 위치의 일정 반경 내에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이 결제 가능 지역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상기 일정 반경 외에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이 결제 불가능 지역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가맹점의 승인 여부 기준은, 결제 시각, 결제 액수 및 결제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한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사 서버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은, 상기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결제된 금액을 상기 가상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업자 단말기가 가상 가맹점을 통해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를 통해 상기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카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카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과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업자 단말기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가상 가맹점의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에 있어서,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를 통해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획득한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가맹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상 가맹점의 위치와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결제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카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가상 가맹점의 승인 여부 기준과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결제 수행부; 및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결과를 상기 사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승인 결과 알림부를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가상 가맹점을 통해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사업자 단말기에 있어서,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를 통해 상기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획득하는 가맹점 정보 수신부;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확인부;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카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카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는 결제 승인 요청부; 및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과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승인 결과 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업자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점포 사업자의 신청에 의해 카드사가 가상 가맹점을 생성하며, 무점포 사업자는 가상 가맹점 정보가 저장된 저장 매체와 사업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카드 결제로 결제 대금을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가맹점이 등록된 위치와 사업자의 휴대 단말기가 일정 거리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결제가 수행되어, 가상 가맹점이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가상 가맹점마다 일정 횟수 또는 일정 금액에 의한 결제 한도가 존재하여, 가상 가맹점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수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무점포 사업자”라 함은, 고정된 위치의 점포가 없이 물건 또는 서비스의 판매 등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수령하는 사업자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점포 사업자는 전통시장 내에서 물건을 판매하는 노점상일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무점포 사업자의 범위는 길거리 공연자, 여행 가이드 등으로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 상에서 “가상 가맹점”이라 함은, 무점포 사업자가 카드사에 생성 신청을 하여, 카드사가 생성한 가맹점으로서, 고정된 장소에 존재하는 점포가 없이, 무점포 사업자가 활동을 하는 장소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는 가맹점과 같은 개념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가상 가맹점은, 보다 큰 범위(예를 들면, 특정 전통시장)를 포괄하는 상위 가상 가맹점에 속하는 하부 가상 가맹점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시스템은,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 사업자 단말기(200) 및 카드사 서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는 RF 카드, NFC 태그와 같이 사업자 단말기(200)와의 접촉 또는 접근을 통해 사업자 단말기(200)로 가맹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이다.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는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가 저장하고 있는 가상 가맹점의 정보는, 가상 가맹점의 명칭, 업종, 영업 시간, 가상 가맹점의 카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는지 결정하는 승인 여부 기준 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에는 가상 가맹점을 나타내는 아이디만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가상 가맹점에 대한 다른 정보는 카드사 서버(300)에만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는 무점포 사업자가 가상 가맹점의 생성 신청을 수행하면, 카드사에서 해당 가상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무점포 사업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무점포 사업자가 소지하고 있을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점포 사업자가 기록 가능한 전자 기기를 통해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에 생성된 가상 가맹점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가상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무점포 사업자에 의해 판매되는 물품에 스티커 형태로 부착되어 있거나, 사업 장소 부근이 벽, 바닥과 같은 다른 물체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 단말기(200)는 무점포 사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카드사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카드사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 단말기(200)는 RF(Radio Frequenc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기능 등을 통해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 단말기(2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업자 단말기(200) 상의 GPS 수신기가 복수개의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하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세 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사업자 단말기(200) 상의 GPS 수신기까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삼각 측량법으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 단말기(200)는 3G, LTE와 같은 이동 통신망이나, 와이파이 신호를 통하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 단말기(200)는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로부터 가상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가맹점에 대한 정보는 가맹점의 명칭, 업종, 위치, 결제 가능 시간, 결제 횟수 한도, 결제 액수 한도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해당하는 가상 가맹점이 속하는 상위 가상 가맹점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에는 가상 가맹점을 나타내는 아이디 형식의 정보만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가상 가맹점에 대한 다른 정보는 카드사 서버(300)에만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 단말기(200)는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에 저장된 가맹점의 위치 정보와,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가상 가맹점의 위치로부터, 기 정해진 일정 반경 내에 있으면,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가상 가맹점의 위치로부터, 기 정해진 일정 반경 외에 있으면, 결제를 수행하는 대신 사용자에게 결제 가능 지역이 아님을 통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판단을 통해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사업자 단말기(200)는 구매자가 결제에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의 번호와 결제 금액 등을 입력 받아,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가맹점 정보와 상기 카드 번호, 결제 금액 등을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기(200)에 입력되는 카드 번호는 사용자가 직접 사업자 단말기(200) 상의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구매자의 카드가 사업자 단말기(200)와 접촉 또는 접근을 통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사업자 단말기(200)에 입력되는 결제 금액은 상기 카드 번호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무점포 사업자가 판매하는 물품의 목록과 각각의 물품에 대한 가격 정보가 가맹점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를 수신한 사업자 단말기(200)상에서 구매 물품의 종류와 개수 등을 선택함으로써 결제 금액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 단말기(200)는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카드 결제에 대한 승인이 완료된 경우, 사업자 단말기(200)는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승인 액수, 승인 가맹점의 명칭, 승인 시각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카드 결제에 대한 승인이 거부된 경우, 승인이 거부된 사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300)는 가상 가맹점 정보를 관리하고,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결제 승인 정보를 분석하여 실질적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300)는 무점포 사업자로부터 가상 가맹점에 대한 생성 요청을 수신하여, 이에 대한 심사를 진행하고 가상 가맹점을 생성하여 해당 정보를 등록하고,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에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가맹점은 다른 상위 가상 가맹점에 속하는 하부 가상 가맹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전통시장에서 노점상을 하는 무점포 사업자가 가상 가맹점을 등록할 경우에는, 특정 전통시장이 상위 가상 가맹점일 수 있고, 해당하는 노점상이 이에 속하는 하부 가상 가맹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상 가맹점을 계층적으로 관리함에 따라, 카드사가 가상 가맹점들에 대한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으며, 하부 가상 가맹점에서의 카드 결제시에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와 상위 가상 가맹점의 위치를 비교하여 결제 가능 지역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300)는 사업자 단말기(200)로부터의 결제 승인 요청을 수신하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와, 결제를 수행하려고 하는 가상 가맹점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기(200)가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에 저장된 가맹점의 위치 정보와,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가맹점의 위치에서 일정 반경 내에 있을 때에만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300)에 전송하더라도, 카드사 서버(300)는 이에 대한 확인을 재차 수행함으로써 결제 가능 지역 판단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상 가맹점의 위치는 무점포 사업자가 생성 요청한 하부 가상 가맹점의 위치일 수 있으며, 하부 가상 가맹점이 속하는 상위의 가상 가맹점의 위치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300)는 결제 가능 위치에서 결제를 수행한 경우에 있어서도, 미리 정해진 승인 여부 기준에 따라 결제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인 여부 기준은 결제가 이루어지는 시각, 하나의 가상 가맹점에서 수행되는 결제 금액의 총 액수, 결제가 시도되는 총 횟수 등을 한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점포 사업자가 등록한 가상 가맹점은, 특정 전통시장을 상위 가상 가맹점으로 하는 하위 가맹점일 수 있고, 전통시장의 영업시간이 지난 후에 결제가 시도된 경우에는 결제 수행이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카드로 하나의 가상 가맹점에서 일정 횟수 또는 일정 금액 이상의 결제를 시도하는 경우, 이를 부정 결제로 인식하고 결제 수행을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일정 횟수 또는 일정 금액에 대한 기준은 가상 가맹점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카드사 서버(30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카드사 서버(300)는 상기 일정 횟수 또는 일정 금액에 대한 기준을 정하는데 있어, 해당 가상 가맹점의 업종, 과거 매출 규모 등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300)는 사업자 단말기(200)로부터의 승인 요청이 기 설정된 승인 여부 기준을 모두 통과한 경우, 카드 정보와 금액 정보 등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300)는 결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사업자 단말기(200) 및 구매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결제가 거부된 경우에는, 그 거부 사유를 사업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거부 사유는, 해당 가상 가맹점에서의 결제 금액 한도 초과, 결제 횟수 한도 초과, 결제 가능 시간 도과, 결제 가능 지역 외 위치, 결제 대상 카드의 잔액 부족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300)는 정상적으로 카드 결제가 승인된 건들에 대해서, 결제 금액에서 일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해당 가상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할 수 있다. 이러한 입금 절차는 일정 주기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드사 서버(300)는 정해진 기간 동안의 결제 금액을 합산하여 입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 단말기(200) 및 카드사 서버(300)간의 통신은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등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 단말기(2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 단말기(200)는 가맹점 정보 수신부(210), 위치 정보 확인부(220),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0), 결제 승인 요청부(240) 및 승인 결과 수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 정보 수신부(210), 위치 정보 확인부(220),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0), 결제 승인 요청부(240) 및 승인 결과 수신부(25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사업자 단말기(2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정보 수신부(210)는, RF 카드 또는 NFC 태그 등의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로부터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은 사업자 단말기(200)의 RF 기능, NFC 기능, 블루투스 기능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맹점 정보 수신부(210)가 획득하는 가상 가맹점의 정보에는, 가상 가맹점의 명칭, 업종, 위치, 결제 가능 시간, 결제 횟수 한도, 결제 액수 한도 및 해당 가상 가맹점이 속하는 상위 가상 가맹점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확인부(220)는 사업자 단말기(200)에 포함된 GPS를 통하여 사업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확인부(220)는 GPS가 아닌, 통신사의 통신망(예를 들어, 3G, LTE 망)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통하여 사업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0)는 가맹점 정보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가상 가맹점의 위치와, 위치 정보 확인부(220)에서 확인된 사업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0)는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로부터 획득된 가상 가맹점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 반경 내에 사업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가 존재하면, 사업자 단말기(200)가 결제 가능 지역에 있다고 판단하고,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가상 가맹점의 위치는, 무점포 사업자가 생성 요청한 하부 가상 가맹점의 위치 또는 하부 가상 가맹점이 속하는 상위 가상 가맹점의 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0)는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로부터 획득된 가상 가맹점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 반경 내에 사업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사업자 단말기(200)가 결제 불가능 지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업자 단말기(200)에 결제 가능 지역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0)는 상기 메시지와 함께 결제 가능 지역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 및 결제 가능 지역 및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함께 표시하는 지도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고,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되는 경우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결제 어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결제 승인 요청 모듈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승인 요청부(24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30)에 의해 실행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으며, 구매자의 카드 정보 및 결제 금액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드는 신용 카드, 체크 카드, 직불 카드 등일 수 있고, 카드 타입의 상품권일 수도 있으며, 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카드 명의자 정보, 유효 기간, CV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금액은 사업자 단말기(200) 상의 키패드,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미리 입력되어 있는 물품들에 대해, 구매하는 물품의 종류와 개수가 선택됨으로써 자동적으로 계산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승인 결과 수신부(250)는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결제 승인 요청부(240)가 전송한 승인 요청에 대한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제 승인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승인 결과 수신부(250)는 거래 시각, 판매금액, 부가가치세 등을 포함한 결제 정보를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승인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사업자 단말기(200)에 포함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영수증 출력 장치에 의해 해당 결제에 대한 영수증이 출력되어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승인이 카드사 서버(300)에서 거부된 경우, 승인 결과 수신부(250)는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결제 승인 거부의 결과와 함께, 거부 사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 거부 사유는, 해당 가상 가맹점에서의 결제 금액 한도 초과, 결제 횟수 한도 초과, 결제 가능 시간 도과, 결제 불가능 지역 위치, 결제 대상 카드의 잔액 부족 등일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300)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3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300)는 가맹점 정보 관리부(310), 위치 정보 수신부(320), 결제 수행부(330), 승인 결과 알림부(340), 결제 금액 입금부(350), 제어부(360) 및 통신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 정보 관리부(310), 위치 정보 수신부(320), 결제 수행부(330), 승인 결과 알림부(340), 결제 금액 입금부(350), 제어부(360) 및 통신부(37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카드사 서버(3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정보 관리부(310)는 가상 가맹점 생성부(311)와 가상 가맹점 정보 수신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가맹점 생성부(311)는 무점포 사업자로부터 가상 가맹점 생성 신청을 수신하여, 가상 가맹점을 생성하고 해당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가상 가맹점 생성 신청에는 가상 가맹점의 업종, 위치, 사업자의 신상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점포 사업자로부터의 가상 가맹점 생성 신청은 사업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사 방문이나 전화 통화를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가상 가맹점 생성부(311)는 무점포 사업자로부터의 신청을 수신하여 가상 가맹점을 생성하는 경우에 있어, 생성하고자 하는 가상 가맹점을 상위 가상 가맹점의 하부 가상 가맹점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전통시장이 상위 가상 가맹점으로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당 전통시장에서 활동하는 무점포 사업자가 가상 가맹점을 생성하는 경우, 해당 전통시장을 상위 가상 가맹점으로 하는 하부 가상 가맹점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가맹점의 계층화를 통해 카드사 입장에서는 가맹점 관리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특정 상위 가맹점에서 결제를 하는 경우의 혜택을 설정하여 사업자와 소비자가 가상 가맹점의 카드 결제 서비스를 보다 많이 이용하도록 하는 유인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가맹점 정보 수신부(312)는, 사업자 단말기(200)로부터의 결제 승인 요청에서 가상 가맹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는, 가상 가맹점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일 수 있으며, 이는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가맹점 정보 관리부(310)는 수신한 아이디를 통해 해당 가상 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수신부(320)는 사업자 단말기(200)로부터의 승인 요청에서 가상 가맹점의 정보와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수신부(320)는 사업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가맹점 아이디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가맹점 정보 관리부(31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320)는 상기와 같이, 결제가 이루어지는 가상 가맹점 또는 그 가맹점의 상위 가맹점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사업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결제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가상 가맹점의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있다면 결제 수행 가능 지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일정 반경 밖이라면 결제 수행 불가능 지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업자 단말기(200)가 가상 가맹점의 위치와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300)에 전송하더라도, 위치 정보 수신부(320)는 이에 대한 확인을 재차 수행하여 결제 가능 위치 판단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수행부(330)는 사업자 단말기로부터의 결제 승인 요청에 담긴 정보들을 분석하여,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결제를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결제 수행부(330)는 각 가상 가맹점마다 결제가 이루어지는 조건에 대한 정보를 가맹점 정보 관리부(3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가 이루어지는 조건은 하나의 카드에 대한 결제 금액 제한, 결제 횟수 제한, 결제가 이루어지는 시각에 대한 제한, 위치에 대한 제한 등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제 조건에 대한 제한은 가상 가맹점의 업종, 과거 매출 등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가상 가맹점에서 하나의 카드로 하루에 일정 금액 이상의 결제를 시도하면, 이를 현금 융통의 가능성이 있는 거래로 판단하여 해당 결제에 대한 승인을 거부할 수 있다. 또한, 영업시간이 아닌 자정에 이루어지는 카드 결제에 대한 승인도 거부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결제 승인 요청이 기 설정된 승인 여부 기준을 모두 통과하면, 결제 수행부(330)는 수신한 카드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토대로 결제를 수행한다. 이 경우, 결제 수행부(330)는 할부 정보, 포인트 사용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수신하여 할부 결제를 수행하거나 결제 대금 일부를 카드의 포인트로 대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승인 결과 알림부(340)는 결제 수행부(330)에 의해 수행된 결제 승인의 결과를 사업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승인 결과 알림부(340)는 결제 승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해당 취지와 결제 시각, 결제 금액, 부가가치세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으며, 결제 승인이 거부된 경우, 결제 승인이 거부되었다는 취지와 거부 사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거부 사유는, 해당 가상 가맹점에서의 결제 금액 한도 초과, 결제 횟수 한도 초과, 결제 가능 시간 도과, 결제 가능 지역 외 위치, 결제 대상 카드의 잔액 부족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금액 입금부(350)는 정상적으로 카드결제가 승인된 건들에 대한 결제 금액을 가상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 처리할 수 있다.
결제 금액 입금부(350)는 카드사의 가상 가맹점에서 카드 결제로 결제된 금액을 일정 주기 마다 합산하여, 합산된 금액을 가상 가맹점의 계좌 또는 가상 가맹점을 운영하는 사업자의 계좌로 입금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금액 입금부(350)는 결제된 금액의 합산에서, 카드사의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를 입금할 수 있으며, 카드사의 수수료는 가상 가맹점의 업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60)는 가맹점 정보 관리부(310), 위치 정보 수신부(320), 결제 수행부(330), 승인 결과 알림부(340), 결제 금액 입금부(350) 및 통신부(37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60)는 가맹점 정보 관리부(310), 위치 정보 수신부(320), 결제 수행부(330), 승인 결과 알림부(340), 결제 금액 입금부(350) 및 통신부(370)에서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70)는 카드사 서버(300)와 외부 장치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드사 서버(300)와 사업자 단말기(200)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카드사 서버(300)는 구매자의 단말기 또는 금융권 서버와도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수행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수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수행 방법은, 무점포 사업자가 사업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가상 가맹점 생성 신청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발급되는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도 4에 도시된 가상 가맹점 생성 방법 이외에도, 무점포 사업자는 카드사의 지점에 방문하거나, 전화 통화를 이용하여 자신이 영위하는 사업에 대한 가상 가맹점에 대한 생성 신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점포 사업자는 자신의 사업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가상 가맹점에 대한 생성 신청을 카드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410).
가상 가맹점에 대한 생성 신청을 할 때 필요한 정보는, 영위하려는 사업의 업종, 위치, 사업자의 신상 정보, 속하고자 하는 상위 가상 가맹점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300)는 가상 가맹점에 대한 생성 신청을 수신하여, 이에 대한 심사를 진행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가상 가맹점 정보를 카드사 서버(300) 상에서 생성할 수 있다(S420).
이 경우, 생성되는 가상 가맹점은 상위 가상 가맹점과 연계된 하부 가상 가맹점일 수 있으며, 카드사로부터 등록된 가상 가맹점의 정보가 입력된 RF 카드 또는 NFC 태그와 같은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가 발급될 수 있다.
또한, 사업자가 자신이 카드사 서버(300)에 생성 요청한 가맹점 정보를,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에 기록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카드사 서버(300)에 의해 생성된 가상 가맹점을 지닌 무점포 사업자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 받은 구매자가 카드 결제를 통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금을 지불하려고 하면, 무점포 사업자는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에 자신의 사업자 단말기(200)를 접촉 또는 접근하여, 사업자 단말기(200)에 가상 가맹점 정보가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S430).
사업자 단말기(200)는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로부터 가상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면, 사업자 단말기(200)에 포함된 GPS 등을 통하여 획득한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와, 가상 가맹점 정보에 포함된 가상 가맹점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S440).
상세하게는,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가상 가맹점 위치에서 일정 반경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가상 가맹점 위치에서 일정 반경 안에 있게 되면, 사업자 단말기(200)가 결제 가능 지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가 가상 가맹점 위치에서 일정 반경 밖에 있으면, 사업자 단말기(200)가 결제 불가능 지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결제가 불가능 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S450)하게 된다.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면,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구매자의 카드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정보와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100)에서 획득한 가맹점 정보(예를 들면, 가맹점 아이디)를 카드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S460).
카드사 서버(300)는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을 수신하여, 결제가 거부될지에 대해 승인 여부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S470). 결제 승인과 거부를 나누는 기준은, 각각의 가상 가맹점 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가상 가맹점의 업종, 과거 매출, 가상 가맹점이 속하는 상위 가상 가맹점의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300)는 현재 사업자 단말기(200)의 위치와 가상 가맹점의 위치를 재차 비교할 수 있으며, 해당 가상 가맹점에서의 총 결제 금액 한도, 총 결제 횟수 한도, 해당 가상 가맹점에서 하나의 카드로 결제한 총 금액 및 횟수 한도, 결제 가능 시간, 결제 카드의 신용도, 결제 카드의 잔액 등을 기초로 해당 카드 승인 요청을 거절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70).
카드사 서버(300)는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거절 사유를 한 개라도 발견하면, 해당 결제 승인을 거절 처리하고, 결제 거부 사유를 사업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480).
카드사 서버(300)가 결제 거절 사유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S490), 결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는 취지를 사업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5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 서버(300)가 무점포 사업자로부터 생성 신청을 받아 가상 가맹점을 생성하고, 무점포 사업자는 사업자 단말기(200)를 통해 카드 결제로 결제 대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가맹점이 등록된 위치와 사업자 단말기(200)가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결제가 수행됨으로써, 가상 가맹점이 불법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상 가맹점에 대한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
200: 사업자 단말기
300: 카드사 서버

Claims (14)

  1. 카드사 서버가 가상 가맹점의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를 통해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획득한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 및 카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와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결제 승인 요청이 결제 가능 지역에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결제 승인 요청 정보와 상기 가상 가맹점의 승인 여부 기준을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결과를 상기 사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업자로부터 가상 가맹점 생성 신청을 수신하여, 상기 생성 신청에 포함된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가상 가맹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가맹점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가맹점을 기 존재하는 상위 가상 가맹점의 하부 가상 가맹점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가능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에 등록된 위치의 일정 반경 내에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이 결제 가능 지역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상기 일정 반경 외에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이 결제 불가능 지역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가맹점의 승인 여부 기준은,
    결제 시각, 결제 액수 및 결제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한도를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결제된 금액을 상기 가상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
  7. 사업자 단말기가 가상 가맹점을 통해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를 통해 상기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카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카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과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업자 단말기의 카드 결제 수행 방법.
  8. 가상 가맹점의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에 있어서,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를 통해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획득한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가맹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상 가맹점의 위치와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결제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카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가상 가맹점의 승인 여부 기준과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결제 수행부; 및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결과를 상기 사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승인 결과 알림부를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정보 관리부는,
    사업자로부터 가상 가맹점 생성 신청을 수신하여, 상기 생성 신청에 포함된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가상 가맹점을 생성하는 가상 가맹점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생성부는, 상기 가상 가맹점을 기 존재하는 상위 가상 가맹점의 하부 가상 가맹점으로 생성하는, 카드사 서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는,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에 등록된 위치의 일정 반경에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이 결제 가능 지역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상기 일정 반경 외에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이 결제 불가능 지역에서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카드사 서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행부는, 결제 시각, 결제 액수 및 결제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한도를 상기 가상 가맹점의 승인 여부 기준으로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결제된 금액을 상기 가상 가맹점의 계좌에 입금하는 결제 금액 입금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사 서버.
  14. 가상 가맹점을 통해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사업자 단말기에 있어서,
    가맹점 정보 저장 매체를 통해 상기 가상 가맹점의 정보를 획득하는 가맹점 정보 수신부;
    상기 사업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확인부;
    상기 가상 가맹점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결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카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카드 정보를 포함한 결제 승인 요청을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는 결제 승인 요청부; 및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결과를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승인 결과 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업자 단말기;
KR1020140123549A 2014-09-17 2014-09-17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방법 및 서버 KR20160032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49A KR20160032879A (ko) 2014-09-17 2014-09-17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49A KR20160032879A (ko) 2014-09-17 2014-09-17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879A true KR20160032879A (ko) 2016-03-25

Family

ID=5564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549A KR20160032879A (ko) 2014-09-17 2014-09-17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28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935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financial account
TWI591560B (zh) 用於具有即時購買支援的行動商務之方法及系統
RU2589373C2 (ru) Доверенный внутренний интерфейс
US98649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US8204825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payments
US20150278810A1 (en) Device commerce using trusted computing system
US20130204785A1 (en) Mobile managed service
US201301106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mobile payments
KR20140099676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N106462849A (zh) 用于令牌域控制的系统和方法
CN109643418A (zh) 用于增强授权响应的系统和方法
JP2016522925A (ja) ネットワークに頼らない携帯装置による不正検出
JP6900509B2 (ja) 共通料金支払い及び収受システム
US10176464B2 (en) Point of sale device leveraging a payment unification service
US201703008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assistance in provisioning payment tokens to mobile devices
US20170300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uthorization and payment rules regarding usage of payment tokens
US20230376931A1 (en) Payment device and process
KR20140099814A (ko) Qr 코드를 이용한 즉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395896B1 (ko) 소셜커머스에서의 매매보호를 위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20100283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3575A (ko)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30142021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앱을 이용한 다이렉트 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101692234B1 (ko) 신용한도를 포함한 정보를 제공받아 ict를 활용한 간편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WO2017180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ken based employee corporate cards
KR20160032879A (ko) 가상 가맹점을 이용한 무점포 사업자의 카드 결제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