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604A - 독립된 화면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독립된 화면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604A
KR20160032604A KR1020140122953A KR20140122953A KR20160032604A KR 20160032604 A KR20160032604 A KR 20160032604A KR 1020140122953 A KR1020140122953 A KR 1020140122953A KR 20140122953 A KR20140122953 A KR 20140122953A KR 20160032604 A KR20160032604 A KR 2016003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creen
application
group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재
정용채
김경택
김하영
김한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2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604A/ko
Priority to CN201510591210.7A priority patent/CN105426233B/zh
Priority to EP15185499.9A priority patent/EP2998854A1/en
Priority to US14/855,945 priority patent/US20160080544A1/en
Publication of KR2016003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 그룹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은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 그룹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은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독립된 화면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having Independent screen configuration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드웨어(예: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예: 운영체제)의 발전에 따라 보다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멀티 윈도우, 멀티 태스킹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의 전체 또는 상당 부분을 차지하여, 멀티 윈도우 또는 멀티 태스킹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면 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멀티 태스킹 등의 기능을 이용하더라도 분할된 화면 간의 상호 연계성이 높아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물리적으로 하나인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 그룹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은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 그룹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은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외관상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이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독립된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단순하고 직관적인 형태의 멀티 윈도우, 멀티 태스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독립된 각각의 영역이 각각 슬립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여, 전력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영역이 슬립 상태에서 해제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영역이 슬립상태에서 화면 잠금 해제까지의 화면 예시도 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영역의 동작 화면 예시도 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예시도 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영역의 화면 보호 상태 진입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영역에서 팝업 알림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연계되어 추가 기능을 실시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연계되어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연계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영역에서 구동되는 앱의 화면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 100 내의 전자 장치 101이 기재된다. 상기 전자 장치 101은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 16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 101은,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 101은 물리적으로 하나인 디스플레이 150을 제1 영역 151 및 제2 영역 152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 151 및 제2 영역 152을 통해 직관적이고 단순화된 형태의 멀티 태스킹 또는 멀티 윈도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버스 110은,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 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은, 중앙처리장치(CPU),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 120은 제1 영역 151 및 제2 영역 152에 어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 120은 각각의 영역이 개별적으로 슬립 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진입하거나 상기 상태에서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 130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커널 131, 미들웨어 132, 또는 API 133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상기 커널 13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 132, API 133, 또는 어플리케이션 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또는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 131은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서 상기 전자 장치 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132은, 예를 들면,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132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시스템 리소스 (예: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또는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 133는,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 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 (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134는 전자 장치 101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134는 장치 내부 또는 외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134는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134는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구분되어 메모리 1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은 제1 영역 151을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제2 그룹의 실행과 관련된 화면은 제2 영역 15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 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상기 전자 장치 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제1 영역 151 및 제2 영역 152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151 및 제2 영역 152는 서로 독립하여 동작할 수 있고, 각각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151 및 제2 영역 152는 서로 독립적으로 슬립 상태에서 해제되거나 잠금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영역의 슬립 상태 또는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원하는 영역에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151 및 제2 영역 152의 동작에 관한 정보는 도 2 내지 도 13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150을 제1 영역 151 및 제 2 영역 152로 구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150은 3개 이상의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103)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16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 (예: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103)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102는 상기 전자 장치 101과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 103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103)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01이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 101은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103)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103)는 상기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전자 장치 10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 101은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1은 디스플레이 210 및 본체부 2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210(예: 디스플레이 150)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 220은 디스플레이 210을 구동하기 위한 모듈 또는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210은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210은 슬립 상태(또는 화면 꺼짐 상태, 전원 오프 상태 등)에서 외관상 하나의 화면으로 보여질 수 있으나, 슬립 상태 등이 해제되면 각각 독립하여 구동되는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210은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을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베젤(bezel)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을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각각의 영역에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의 위치 및 크기는 전자 장치 101의 제조 단계에서 미리 결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 260은 제1 영역 25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영역 250 보다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제2 영역 260은 사용자에게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120은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전자 장치 101에서 설치 및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구분하여 메모리 1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제1 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을 제1 영역 250을 통해 출력 하고, 제2 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을 제2 영역 260을 통해 출력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 그룹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은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 그룹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은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슬립 상태에서 각각 지정된 입력을 수신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화면 잠금 상태에서 각각 잠금 해제 입력을 수신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화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화면 켜짐 상태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화면 보호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화면 켜짐 상태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슬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그룹은 메시지 앱, 일정 앱, 헬스케어 앱, 음성 인식 앱, 카메라 앱, 동영상 재생 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다. 상기 호출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결과와 연관된 추가 정보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호출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10에서,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슬립 상태는 화면 꺼짐 상태, 프로세스 딥(deep) 슬립 상태(프로세스가 대기 전력을 최소화 하는 상태로 지정된 신호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는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210은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모든 영역이 슬립 상태인 경우, 외관상 하나의 화면으로 보여질 수 있다.
동작 320에서, 프로세서 120은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의 슬립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지정된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입력은 사용자의 버튼 입력(예: 전원 버튼, 홈 버튼, 볼륨 버튼 등의 입력) 또는 전자 장치 101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를 통한 입력(예: 음성 입력, 모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입력은 전자 장치 101에 대한 호 또는 메시지의 수신,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른 알림, 알람 알림 또는 스케줄 알림 등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지정된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현재의 슬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프로세서 120은 상기 지정된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 중 하나의 영역은 슬립상태이고, 다른 영역은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 모두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 120은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을 상기 입력의 종류 또는 방식에 따라 독립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20은 제1 영역 250과 연계된 버튼(예: 볼륨 하단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면 제1 영역 250을 활성화하고, 제2 영역 260과 연계된 버튼(예: 볼륨 상단 버튼)을 사용자가 누르면 제2 영역 260을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된 영역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하나의 영역에 터치 입력 등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한 영역을 활성화 하고, 다른 영역을 슬립 상태로 유지하여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동작 340 및 동작 350에서, 프로세서 120은 제1 영역 25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제1 그룹)의 실행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제1 그룹의 실행이 있으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제1 영역 2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 260은 슬립 상태이거나 별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영역 260은 제1 그룹의 실행과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동작 360 및 동작 370에서, 프로세서 120은 제2 영역 26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제2 그룹)의 실행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제2 그룹의 실행이 있으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제2 영역 260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은 독립적으로 슬립 상태에서 해제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을 활용하여, 단순하고 직관적인 형태의 멀티 윈도우 또는 멀티 태스킹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1 및 제2 그룹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1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화면 켜짐 상태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화면 보호 상태로 진입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화면 켜짐 상태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슬립 상태로 진입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슬립 상태에서 각각 지정된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슬립 상태에서 각각 지정된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서로 독립적으로 화면 잠금 상태로 진입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화면 잠금 상태에서 각각 지정된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서로 독립적으로 잠금 해제 상태로 진입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영역이 슬립 상태에서 해제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슬립 상태일 수 있다. 모든 영역이 슬립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210은 외관상 하나의 화면으로 보여질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슬립 상태를 해제하는 지정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의 슬립 상태를 각각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입력은 사용자의 버튼 입력(예: 전원 버튼, 홈 버튼, 볼륨 버튼 등) 또는 전자 장치 101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를 통한 입력(예: 음성 입력, 동작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입력이 플릭(flick) 입력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은 플릭 입력 410 및 420에 의해 슬립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모든 영역의 슬립 상태에서, 제1 영역 250에 플릭 입력 410이 입력된 경우, 프로세서 120은 제1 영역 250을 활성화하고, 제2 영역 260을 슬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그룹의 실행을 원하는 경우, 제1 영역 250을 활성화하고 제2 영역 260을 슬립 상태로 유지하여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모든 영역의 슬립 상태에서, 제2 영역 260에 플릭 입력 420이 입력된 경우, 프로세서 120은 제2 영역 260을 활성화하고, 제1 영역 250을 슬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그룹의 실행을 원하는 경우, 제2 영역 260을 활성화하고, 제1 영역 250을 슬립 상태로 유지하여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 영역 260은 제1 영역 25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간 확인, 메시지 확인, 주가 확인 등 간단한 정보를 제2 영역 260을 활성화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영역이 슬립상태에서 화면 잠금 해제까지의 화면 예시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 510에서,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슬립 상태일 수 있다. 모든 영역이 슬립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210은 외관상 하나의 화면으로 보여질 수 있다.
화면 520에서, 프로세서 120은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의 슬립 상태를 해제하는 지정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의 슬립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입력은 사용자의 버튼 입력(예: 전원 버튼, 홈 버튼, 볼륨 버튼 등) 또는 전자 장치 101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를 통한 입력(예: 음성 입력, 모션 입력 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상기 지정된 입력에 따라 동시에 슬립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홈 버튼을 누르는 경우,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동시에 슬립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이 동시에 슬립 상태에서 해제되더라도, 각각의 영역은 각각 분리된 잠금 화면 또는 배경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화면 520은 슬립 상태가 동시에 해제된 이후, 각각 화면 잠금 상태로 진입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화면 520 및 530에서, 프로세서 120은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에 잠금 해제 입력(예: 플릭 입력, 비밀번호 입력, 패턴 입력 등) 501 또는 502를 수신하면, 지정된 영역의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잠금 해제 입력 501이 제1 영역 250에 입력되면 제1 영역 250의 화면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제1 영역 250에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선택화면 등 제1 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화면 530 및 화면 540에서, 프로세서 120은 잠금 해제 입력 502가 제2 영역 260에 입력되면 제2 영역 260의 화면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제2 영역 260에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선택화면 등 제2 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화면 540에서, 모든 영역 잠금 해제된 경우, 프로세서 120은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위젯 화면(또는 바로가기 화면, 홈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장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식에 의한 멀티 윈도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영역의 동작 화면 예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영역 260은 활성화 상태 일 수 있고, 제1 영역 250은 슬립 상태일 수 있다. 제2 영역 260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제1 영역 250은 상기 이벤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슬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영역 260은 제2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그룹에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예: 챗 온(Chat ON))이 포함된 경우, 상기 메신저 앱과 관련된 화면은 제2 영역 260을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제1 영역 25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메시지 수신 팝업 또는 알림 등은 제2 영역 260에서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알림이 발생하더라도 제1 영역 250은 계속적으로 슬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입력 610을 통해 메시지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 목록(예: 수신 메시지 함)이 표시되면 터치 입력 620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영역 260에 터치 입력 610 또는 620의 조작을 하더라도, 제1 영역 25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과 무관하게 슬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1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210의 일부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멀티 태스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예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영역 250은 제1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제2 영역 260은 제2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제1 영역 250에는 메신저 앱(예:챗 온(Chat ON))이 구동될 수 있고, 제2 영역 260에는 문자 메시지 앱이 구동될 수 있다.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각자 별개로 구동되며, 상대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동일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예: 키보드 앱)이 동시에 활성화되더라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은 키보드 앱의 경우, 사용자가 제1 영역 250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키보드 앱 710이 호출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제2 영역 260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키보드 앱 720이 호출될 수 있다. 키보드 앱 710과 720은 각각 별개의 프로그램일 수 있고, 각각의 앱 동작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앱에서 입력한 결과는 각각의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동일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활성화되더라도 서로 다른 설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앱 710은 천지인 방식의 한글 입력으로 설정되고, 키보드 앱 720은 쿼티 방식에 의한 한글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영역에 별개의 키보드 입력을 할 수 있어, 동시에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영역의 화면 보호 상태 진입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각각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제1 영역 250에서는 웹 브라우저 앱이 구동될 수 있고, 제2 영역 260에서는 스케줄 앱이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영역에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 250을 통해 웹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고, 제2 영역 260을 통해서는 오늘의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영역 250 또는 제2 영역 260은 지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스케줄 알림 등의 별도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독립적으로 화면 보호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영역 250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웹 페이지를 검색하고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 제1 영역 250은 화면 보호 상태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제2 영역 260에 대해서는 지정된 시간 동안 별도의 입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제2 영역 260은 화면 보호 상태 810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제2 영역 260에 발생하는 경우, 제2 영역 260의 화면 보호 상태 810이 해제될 수 있다.
전자 장치 101은 각각의 영역이 독자적으로 화면 보호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여 데이터를 보호하고,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영역에서 팝업 알림을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각각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제1 영역 250에서는 웹 브라우저 앱이 구동될 수 있고, 제2 영역 260에서는 스케줄 앱이 구동될 수 있다.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각각의 그룹에 속한 앱에서 신규 메시지 수신, 새로운 이메일 수신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팝업 창 910 또는 920을 통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1 그룹에 이메일 앱이 속하는 경우, 신규 이메일 수신 알림은 제1 영역 250에서 팝업 창 910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고, 제2 영역 26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2 그룹에 문자 메시지 앱이 속하는 경우, 신규 메시지 수신 알림은 제2 영역 260에서 팝업 창 920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고, 제1 영역 25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각각의 팝업 화면은 각각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수신 팝업 910은 제1 영역 내에서 발생할 수 있고, 팝업 910을 이동하더라도 제1 영역을 벗어나서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시지 수신 팝업 920은 제2 영역 내에서 발생할 수 있고, 팝업 920을 이동하더라도 제2 영역을 벗어나서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팝업 창을 터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팝업 창이 생성된 영역 내에서 출력되고, 다른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연계되어 추가 기능을 실시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지만, 상대 영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하거나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각각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와 같이, 제1 영역 250에서는 메시지 앱이 구동될 수 있고, 제2 영역 260에서는 음성 인식 앱이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수신자 Tom에 대한 음성 입력 1010을 제2 영역 260의 음성 인식 앱에 제공하는 경우, 프로세서 120은 음성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제1 영역 260의 주소록 앱 또는 통화 연결 앱을 호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주소록 앱에서 음성 인식된 수신자 Tom의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통화 연결 앱을 통해 호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발신 정보 1020을 제1 영역 25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연계되어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지만, 상대 영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하거나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각각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와 같이, 제1 영역 250에서는 메시지 앱, 주소록 앱 등이 구동될 수 있고, 제2 영역 260에서는 통화 연결 앱이 구동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2)로부터 호를 수신하는 경우, 통화 연결 앱이 실행되어 제2 영역 260에 호의 수신 및 발신자 정보 1110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통화 연결 앱은 발신자 정보 1110을 기반으로 제1 그룹에 속하는 주소록 앱을 호출 할 수 있다. 제1 그룹에 속하는 주소록 앱은 발신자 정보 1110을 기반으로 주소록 앱에 포함된 추가 정보 1120(예: 주소, 이메일 정보, SNS 정보 등)을 제1 영역 25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가 정보를 확인하고, 전화를 수신하거나 통화 거절할 수 있다. 통화가 연결되면, 연결 시간 정보 등은 제2 영역 26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연계되는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지만, 상대 영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하거나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영역 250 및 제2 영역 26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각각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와 같이, 제1 영역 250에서는 메시지 앱, 이메일 앱 등이 구동될 수 있고, 제2 영역 260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한 위젯 또는 가젯 앱 1210이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영역 260에서 신규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고, 내용 확인을 위해 메시지 아이콘 1220a를 터치하는 경우, 가젯 앱 1210은 제1 그룹에 속하는 메시지 앱을 호출할 수 있다. 메시지 앱은 제1 영역 25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 앱은 신규 메시지 1220b를 제1 영역 25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영역 260에서 신규 이메일의 수신을 확인하고, 내용 확인을 위해 이메일 아이콘 1230a를 터치하는 경우, 가젯 앱 1210은 제1 그룹에 속하는 이메일 앱을 호출할 수 있다. 이메일 앱은 제1 영역 25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메일 앱은 신규 이메일 1230b를 제1 영역 25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영역 260에서 가젯 앱 1210을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변화 내용을 간편하게 확인하고,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제1 영역 250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직관적이고 간편한 방식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영역에서 구동되는 앱의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영역 260은 제1 영역 25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영역 260은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간단한 조작으로 동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제2 그룹)을 출력하고, 제1 영역 250은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이용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제1 그룹)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분류는 전자 장치 101의 제조 단계, 서비스 단계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단계 등에서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그룹은 메시지 앱 1310, 스케줄 앱 1320, 헬스케어 앱 1330, 음성 인식 앱 1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룹은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내용 확인에 큰 화면을 필요로 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그룹은 카메라 앱 1350, 동영상 재생 앱 136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작은 화면을 통해 영상이나 이미지를 간단하게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영역 260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그룹은 뉴스 알림 앱 1370, 주식 알림 앱 1380, 환율 알림 앱 1390 등 간단한 정보를 제공하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앱들은 선택하는 경우, 별도의 확장 앱이 제1 영역 250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예: 프로세서 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130이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 그룹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은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 그룹의 실행과 연관된 화면은 상기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슬립 상태에서 각각 지정된 입력을 수신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화면 잠금 상태에서 각각 잠금 해제 입력을 수신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화면 잠금이 해제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화면 켜짐 상태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화면 보호 상태로 진입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화면 켜짐 상태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슬립 상태로 진입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은
    메시지 앱, 스케줄 앱, 헬스케어 앱, 음성 인식 앱, 카메라 앱, 동영상 재생 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결과와 연관된 추가 정보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전자 장치.
  1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1 및 제2 그룹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1 영역과 구분되는 제2 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화면 켜짐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서로 독립적으로 화면 보호 상태로 진입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화면 켜짐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서로 독립적으로 슬립 상태로 진입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슬립 상태에서 각각 지정된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슬립 상태에서 각각 지정된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서로 독립적으로 화면 잠금 상태로 진입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화면 잠금 상태에서 각각 지정된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서로 독립적으로 잠금 해제 상태로 진입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40122953A 2014-09-16 2014-09-16 독립된 화면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KR20160032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953A KR20160032604A (ko) 2014-09-16 2014-09-16 독립된 화면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CN201510591210.7A CN105426233B (zh) 2014-09-16 2015-09-16 多画面相互独立显示型电子装置及其应用程序运行方法
EP15185499.9A EP2998854A1 (en) 2014-09-16 2015-09-16 Electronic device having independent screen configurations
US14/855,945 US20160080544A1 (en) 2014-09-16 2015-09-16 Electronic device having independent screen configur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953A KR20160032604A (ko) 2014-09-16 2014-09-16 독립된 화면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604A true KR20160032604A (ko) 2016-03-24

Family

ID=5423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953A KR20160032604A (ko) 2014-09-16 2014-09-16 독립된 화면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80544A1 (ko)
EP (1) EP2998854A1 (ko)
KR (1) KR20160032604A (ko)
CN (1) CN1054262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3860S1 (en) * 2013-03-04 2016-08-16 Tixtrack,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6315S1 (en) * 2014-11-28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0788S1 (en) * 2015-03-06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6231218A (zh) * 2016-09-14 2016-12-1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可局部显示的oled显示屏电路系统
CN108701037A (zh) * 2017-02-23 2018-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清理终端的应用任务列表的方法、装置及终端
US11079919B1 (en) 2018-05-10 2021-08-03 Wells Fargo Bank, N.A. Personal computing devices with improved graphical user interfaces
USD916862S1 (en) 2018-05-10 2021-04-20 Wells Fargo Bank, N.A.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839176A (zh) * 2018-08-16 2020-02-25 青岛海尔多媒体有限公司 一种视频付费信息提示的方法及装置、视频播放系统
CN110858927A (zh) * 2018-08-23 2020-03-03 青岛海尔多媒体有限公司 电视机及用于电视机的控制方法
CN117037380B (zh) * 2023-10-08 2023-12-19 深圳市铭智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医用自助打印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21B1 (ko) *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4796017B2 (ja) * 2007-07-30 2011-10-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8600446B2 (en) * 2008-09-26 2013-12-03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interface with dual windows
CN102045436A (zh) * 2009-10-22 2011-05-04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及其操作方法
KR20120126161A (ko) * 2011-05-11 201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US8875051B2 (en) * 2011-12-08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navigation bar for expanded communication service
EP2618246B1 (en) * 2012-01-19 2020-03-18 BlackBerry Limited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maximized applications on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s
KR101957173B1 (ko) * 2012-09-24 2019-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멀티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US9588674B2 (en) * 2012-11-30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 automated split-screen user interface on a device
EP2741199B1 (en) * 2012-12-06 202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lication individual lock mechanism for a touch screen device
US9436371B2 (en) * 2014-08-29 2016-09-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8854A1 (en) 2016-03-23
CN105426233B (zh) 2019-11-01
US20160080544A1 (en) 2016-03-17
CN105426233A (zh)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787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by electronic device
US1086027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bend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32604A (ko) 독립된 화면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US11847292B2 (en) Method of process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462856B1 (ko) 디스플레이의 확장 영역에 대한 사용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91772B1 (ko)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KR102468314B1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00434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KR102485448B1 (ko) 제스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86424B1 (ko) 이벤트 알림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03217B1 (ko)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60099897A1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44716B1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27775A (ko)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10712909B2 (en) Method for providing object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026525B1 (en) Case of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and method therefor
KR20170137404A (ko)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46401A (ko)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16071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20160083691A (ko) 컨텐츠 선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40205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in electronic device
KR20160068494A (ko)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US9918207B2 (en)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20160100100A1 (en) Method for Configuring Scree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503942B1 (ko)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