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419A -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419A
KR20160032419A KR1020140122487A KR20140122487A KR20160032419A KR 20160032419 A KR20160032419 A KR 20160032419A KR 1020140122487 A KR1020140122487 A KR 1020140122487A KR 20140122487 A KR20140122487 A KR 20140122487A KR 20160032419 A KR20160032419 A KR 20160032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storage
housing
contain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286B1 (ko
Inventor
주재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리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리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리존
Priority to KR102014012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2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된 용기를 오존으로 살균하는 살균장치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서 상기 수납부 방향으로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 공급부 및 상기 용기의 마개가 수납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오존 공급부로부터 오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수납공간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도어부에 형성되는 마개 수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장치{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존을 이용하여 용기를 살균하는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음료 등을 충전하는 플라스틱제 용기로 소위 PET 병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PET 병에 음료를 충전하기 전에는 이 PET 병의 내면을 살균 처리해야 한다. 또, 음료 용기의 살균 처리는 세균을 완전하게 사멸시키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살균, 세균을 필요한 수준까지 감소 또는 무력화시키는 멸균 등 각종 처리가 있다. 이러한 살균 처리로는 PET 병의 내면에 열수를 분사하여 가열 살균 처리하는 방법이 있으나, 용기에 내열성이 필요하며, 용기의 내면에 열수를 균일하게 분사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오존은 산소분자가 분해되어 발생되는 강력한 산화력을 가진 기체로서 염소의 6-7배에 달하는 살균력을 지니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공기살균, 물살균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수년전부터 음료용기 살균을 위하여 염소 대체용도로 많이 적용하고 있다.
오존은 비중이 1.6이고 분자량이 48g 이나 공기중에서는 빠르게 퍼져 공기가 통하는 모든 공간에 유입되므로 비중과 관련없이 구석구석에 유입되어 살균작용과 탈취작용을 한다.
오존발생방식 중 UV Lamp의 짧은 파장인 184.9nm의 파장을 이용하여 ozone을 발생시키는 방식은 유해한 Nox 성분발생이 없어 매우 위생적이며 경제적인 방식이다.
병을 살균하기 위한 다른 방법중,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식은 병목이 좁기 때문에 내부에 자외선을 직사시킬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이고, 앞서 살펴본 열수방식이나 열풍방식은 사용자가 매우 불편하고 연료비도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냉각과정에서 다시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염소살균방식은 이에 더하여 환경문제까지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오존을 이용하여 용기를 살균하는 효율적인 살균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병을 꺼꾸로 삽입할 수 있는 특수한 형태의 tray를 장착하여 병 내부의 세척수가 빠질 수 있게하고 병 내부에 오존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을 살균하면서 병뚜껑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된 용기를 오존으로 살균하는 살균장치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서 상기 수납부 방향으로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 공급부 및 상기 용기의 마개가 수납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오존 공급부로부터 오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수납공간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도어부에 형성되는 마개 수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마개 수납부는 착탈가능하게 상기 도어부에 결합되며, 상기 마개 수납부는, 상기 마개가 배치되는 마개 수납면 및 상기 오존과 접촉할 수 있게 상기 마개 수납면을 관통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수납면과, 상기 용기가 거꾸로 세워진 채로 상기 용기의 주둥이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용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마개 수납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슬롯부는 복수로 형성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슬롯부는 각각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 일면에 오존 발생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존 발생부는 상기 오존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오존이 배출되는 오존배출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슬롯부를 통해 상기 용기로부터 누출되거나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마개로부터 누출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살균장치는 별도의 준비공정없는 단순한 살균공정을 거치며 소비전력이 100W 미만이기 때문에,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용기를 살균할 수 있으며, 살균장치의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오존이 일정 압력차를 가지고 수납공간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크기나 중량을 가진 용기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살균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살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살균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의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살균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수납부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마개 수납부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살균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살균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살균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살균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살균장치(100)는 하우징(110), 도어부(120), 수납부(130), 오존 발생부(150), 오존 공급부(160) 및 마개 수납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중공의 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공간(S)을 구비한다. 하우징(110)의 일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는 수납부(130)를 장착할 수 있으며, 용기(190)들을 수납할 수 있다. 개구부는 도어부(120)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수납부(130)는 착탈가능하게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내측 일면과 타면에 안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03)는 수납부(1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안착부(103)는 제1 지지대(101)와 제2 지지대(102)를 구비하며, 제1 지지대(101)와 제2 지지대(102) 사이에 수납부(1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10)과 결합하며, 슬라이드 이동한 수납부(130)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수납부(130)는 각각 다른 크기의 용기(190)를 수납할 수 있게 다양한 형상의 수납부(130)가 복수로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오존 발생부(150)는 저온 플라즈마 방식으로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저온 플라즈마 방식으로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해, 오존 발생부(150)는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배열되는 방전전극에 전원 공급부로부터 AC 혹은 DC 전원을 인가받아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덕트 내 HEPA 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 산소의 일부를 활성산소(O)로 해리하고, 해리된 활성산소를 산소분자(O2)와 결합시켜 오존(O3)을 발생시킨다.
이 때, 방전전극으로 철, 구리, 황동, 알루미늄, 금속페이스트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전극물질을 알루미나, 운모, 플라스틱, 유리, 오일, 종이, 고분자, 세라믹, 합성수지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존으로 1차 살균하고, 활성산소를 이용하여 2차 살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존 발생부(150)는 UV-광촉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V-광촉매부는 금속, 금속 산화물, 반도체, 반도체 산화물,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세라믹 등을 광촉매로 사용하고, 여기에 UV 램프로 파장 영역이 320 nm 이상의 UV-A 영역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UV 광촉매부를 지나는 잔류 오존을 활성산소와 산소분자로 분해하고, 이때 생성된 활성산소에 의해 미살균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2차 살균한다.
오존 공급부(160)는 오존 발생부(150)에서 발생한 오존을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오존 공급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팬을 구비한다. 오존 공급부(160)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오존 공급부(160)는 수납부(13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오존을 방사하도록 형성된다.
오존 발생부(150)는 하우징(110)의 내측 일면에 형성되며, 오존 발생부(150)와 오존 공급부(160)는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오존이 배출되는 오존배출밸브(112)가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용기 마개(195)나 용기(190)로부터 누출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1)가 형성된다.
수납부(130)와 마개 수납부(14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110)의 외벽에는 스위치(106), 압력계(107), 알림 램프(108), 알람 스피커(109), 타이머(10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장치는 제어부(미도시,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됨)를 통해 자동 또는 반자동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마이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오존 발생부(150)와 오존배출밸브(112) 및 배출구(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오존 발생부(150)와 오존배툴밸브 및 배출구(1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과도한 오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존을 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수납부(130)의 개념도이다.
수납부(130)는 수납공간(S)에 배치되어, 용기(190)가 거꾸로 세워진 채로 배치된다. 용기(190)는 대표적으로 PET 재질의 용기(190)를 들 수 있지만, 유리나 합성수지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30)는 수납면(131), 슬롯부(132) 및 지지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수납면(131)은 오존의 유입과 유출이 용이하도록 일정 기울기(θ)를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수납면(131)은 지면을 기준으로 5° 내지 15°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5°이하에서는 용기(190)의 주둥이가 지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므로, 오존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된 오존을 포함한 공기압으로 인해 수납면(131)으로부터 용기(190)가 들려지게 되어 용기(190)의 위치를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15°이상에서는 오존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된 오존이 용기(190)의 주둥이를 통해 용기(190) 내부로 유입되기가 어려워, 오존의 유입과 유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수납부(130)의 수납면은 전면에서 배면의 하측을 향하여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에 접하는 수납면의 전면부가 하우징(110)의 배면에 접하는 수납면의 후면부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용기(190)를 삽입하면 용기(190)가 수납면을 따라 수납면의 후면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슬롯부가 형성되는 방향과 수납면이 기울기를 갖는 방향은 동일하다. 그리고, 오존 공급부(140)와 오존 발생부(150)는 개구부의 맞은편인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롯부(132)는 용기(190)의 주둥이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수납면(131)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일측에서 타측까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면, 슬롯부(132)는 제1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형성된다. 슬롯부(132)는 수납면(13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슬롯부(132)는 복수로 수납부(13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부(132)는 제2 방향을 따라 긴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제2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슬롯부(132)가 복수로 형성될 때, 슬롯부(132)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슬롯부(132)는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190) 내부의 세척수는 용기(190)의 주둥이를 거쳐 슬롯부(132)를 통해 하우징(110)의 하부로 누출될 수 있다.
수납면(131)이 일정 기울기를 가지므로, 거꾸로 세워진 용기(190)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133)가 형성된다. 지지부(133)는 수납면(131)으로부터 돌출되며, 바람직하게는 수납면(131)과 직교하도록 형성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마개 수납부(140)의 개념도이다.
마개 수납부(140)는 도어부(120)에 형성된다. 일 예로 마개 수납부(140)는 도어부(120)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개 수납부(140)는 마개 수납면(141)과 접촉부(142)를 구비한다.
마개 수납면(141)의 상면에 용기 마개(195)가 배치된다. 접촉부(142)는 마개 수납부(140)의 관통홀을 지칭하는 것이며, 용기 마개(195)가 오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용기 마개(195)의 내벽에 잔류한 세척수는 접촉부(142)를 통해 하우징(110)의 하부로 누출될 수 있다.
마개 수납면(141)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마개 수납면(141)은 수납면(131)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마개 수납면(141)도 수납면(131)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마개 수납면(141)과 수납면(131)은 하우징(110)의 내부 수납공간(S)을 상측과 하측로 구획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존 공급부(160)로부터 배출된 오존이 따라 흐를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측과 하측이 일정한 압력차를 가지게 된다. 즉, 마개 수납면(141)과 수납면(131)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됨으로써, 무게가 많이 나가는 용기(190)는 하우징(110)의 하부 수납공간(S)에 배치하고, 무게가 좀더 적게 나가는 용기(190)는 하우징(110)의 상부 수납공간(S)에 배치하여, 수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살균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6)

  1. 수납된 용기를 오존으로 살균하는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도어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서 상기 수납부 방향으로 오존을 방사하는 오존 공급부; 및
    상기 용기의 마개가 수납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오존 공급부로부터 오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도어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수납공간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도어부에 형성되는 마개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수납부는 착탈가능하게 상기 도어부에 결합되며,
    상기 마개 수납부는,
    상기 마개가 배치되는 마개 수납면; 및
    상기 오존과 접촉할 수 있게 상기 마개 수납면을 관통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수납면;
    상기 용기가 거꾸로 세워진 채로 상기 용기의 주둥이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납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롯부; 및
    상기 용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납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마개 수납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는 복수로 형성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슬롯부는 각각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일면에 오존 발생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존 발생부는 상기 오존 공급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오존이 배출되는 오존배출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슬롯부를 통해 상기 용기로부터 누출되거나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마개로부터 누출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
KR1020140122487A 2014-09-16 2014-09-16 살균장치 KR101667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487A KR101667286B1 (ko) 2014-09-16 2014-09-16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487A KR101667286B1 (ko) 2014-09-16 2014-09-16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419A true KR20160032419A (ko) 2016-03-24
KR101667286B1 KR101667286B1 (ko) 2016-10-19

Family

ID=5565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487A KR101667286B1 (ko) 2014-09-16 2014-09-16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2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777A (ko) * 2004-03-31 2005-10-06 공종일 주방용 살균건조장치
KR100761986B1 (ko) * 2007-06-12 2007-10-04 장철원 신발 건조 살균기
KR20110074160A (ko) * 2009-12-24 2011-06-30 김주태 신발 살균소독기
KR101063631B1 (ko) * 2009-03-04 2011-09-07 오일영 젖병 소독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777A (ko) * 2004-03-31 2005-10-06 공종일 주방용 살균건조장치
KR100761986B1 (ko) * 2007-06-12 2007-10-04 장철원 신발 건조 살균기
KR101063631B1 (ko) * 2009-03-04 2011-09-07 오일영 젖병 소독건조기
KR20110074160A (ko) * 2009-12-24 2011-06-30 김주태 신발 살균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286B1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864B1 (ko) 워터 서버
US9415124B2 (en) Bill sterilizer equipped with counting machine
US9895458B2 (en) Ultraviolet disinfecting device for food and beverage dispensers
US9156067B2 (en) Toothbrush steam cleaning container
KR20130063326A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가지는 미스트 발생장치
WO2017221719A1 (ja) 飲料水サーバー
KR101667286B1 (ko) 살균장치
JP6074487B1 (ja) 陰イオン発散部を用いた計数器収納型紙幣消毒機
WO2016132703A1 (ja) 給水器及び蓋
CN112656967A (zh) 便携式智能消毒盒
KR20190041113A (ko) 젖병 소독기
JP2009050582A (ja) 汚れ分解装置
KR20160115585A (ko) 칫솔용 스팀 살균 장치
KR20140010528A (ko) 광 균일 조사장치를 이용한 살균수단을 구비한 가습기
KR101266318B1 (ko) 멀티 가습기
KR20190112169A (ko) 음료 공급 장치
KR20140084965A (ko) 살균된 중화제 공급이 가능한 중화제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EP2999668A1 (en) Optical fluid treatment device
KR100780816B1 (ko) 살균케이스 및 저수부 어셈블리
KR101400070B1 (ko) 살균 램프를 구비한 가습기 구조
CN209790437U (zh) 一种便携式杀菌消毒盒
KR20190047594A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가전 제품
KR20190105699A (ko) 자외선 led모듈을 가진 정수장치
JP2002066199A (ja) 多利用型蒸気発生装置
CN219409353U (zh) 一种新型氢水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