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319A -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319A
KR20160032319A KR1020140121885A KR20140121885A KR20160032319A KR 20160032319 A KR20160032319 A KR 20160032319A KR 1020140121885 A KR1020140121885 A KR 1020140121885A KR 20140121885 A KR20140121885 A KR 20140121885A KR 20160032319 A KR20160032319 A KR 20160032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se plate
flow
cultivation
hydroponic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971B1 (ko
Inventor
박상운
Original Assignee
철원샘통물고추냉이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철원샘통물고추냉이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철원샘통물고추냉이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4012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9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내에 설치하기 편리하고 관리가 편리한 물 고추냉이 수경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경재배장치에 있어서,
하부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은 물이 경사면을 따라 상부에서 흐를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의 낙차가 2~20cm의 경사각(θ)으로 물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형성하고, 상부에는 전체면에 물이 공급되어 물이 일정한 흐름을 주도록 형성하되 동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재배지의 가로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한 상부저수조; 상기 상부저수조에 공급되는 수온 17℃이하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베이스판을 통한 물을 집수하도록 형성한 하부저수조;로 형성된 재배단지; 상기 재배단지를 고정하도록 형성한 수직지지보; 상기 재배단지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물이 흐르도록 형성하고, 상기 재배단지의 상부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 공급펌프와 수온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한 제어부;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WASABIA AND MAKING METHOD FOR MASS-PRODUCING WASABIA}
본 발명은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설물 내에 설치하기 위한 편리성과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하고 특히 최적화된 환경을 유지하여 품질이 좋은 물 고추냉이를 수경재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水耕栽培)는 식물체를 지지할 수 있는 인공배지나 용기를 이용하여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을 이용하여 식물을 키우는 방법을 일컫는 말로, hydroponic culture, soilless culture, water culture라고 한다. 수경재배의 장점은 뿌리의 상태와 성장모습을 직접 관찰할 수 있고,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채소나 식물을 연속해서 생산해낼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다목적 실내 수경재배 장치는 집안에서도 누구나 손쉽게 재배가 가능하여, 생활 원예로 활용과 정서 함양의 역할도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수경재배가 가능한 식물에는 수경재배를 할 수 있는 식물은 쌍떡잎식물이나 대부분 수염뿌리가 많은 외떡잎식물들이 포함되고 오이, 토마토, 고추, 파프리카, 딸기 같은 과채류, 상추, 양상추, 케일, 미나리 같은 엽채류, 국화, 장미, 거베라, 나리, 베고니아, 안스리움 등 화훼류나 인삼, 일부 약용식물까지 모두 수경재배가 가능하다.
최근, 실내수경 재배장치는 도시민들의 취미나 정서함양을 위한 생활원예용이나 식물의 생장에 따른 환경을 실험할 수 있는 실험용, 학습용 등으로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식물을 흙에서 재배할 때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미리 계산하여 주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토양에는 이미 여러 가지의 영양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미리 분석해 보지 않고는 인위적으로 영양분(비료성분)을 얼마만큼 주어야 할지 제대로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넣은 배양액 속에서 자라는 식물과 특정 영양소를 빼고 만든 배양액으로 수경재배를 하여 키운 식물을 서로 비교해보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와 그들의 기능을 알아볼 수 있음에 따라 식물의 생장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서 수경 재배 방법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수경 재배 기술을 통해서 사포닌 성분이 향상된 인삼을 재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가정에서도 인삼을 수경 재배하여 먹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 기술의 수경 재배 장치는 수경 재배되는 식물에 양액을 공급하는 별도의 양액탱크와 공급장치가 외부에 설치되어 필요한 양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후에 사용된 양액은 외부로 배수되는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장치가 커지고 시설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경 재배되는 식물에 생육 단축을 위해서 조사되도록 설치된 LED램프는 식물과 떨어진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생육에 따라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LED램프 자체의 광량을 전기적으로 조절하여야 함으로써, LED램프의 수명이 짧아지고, 에너지 소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경 재배에 사용되는 양액이 공급되는 장치와 배수되는 장치가 분리되어 각각 작동됨에 따라 공급수의 사용량이 증대되어 관리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물 고추냉이는 재배가 어렵고 병충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면 근경이 썩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재배환경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10896호(1994.06.20)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물 내에서 수경재배할 수 있는 물 고추냉이의 수경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장 내에서 재배가 가능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실시간적으로 중점관리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물 고추냉이의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닐 하우스 내 노지면에 물 고추냉이 재배지를 형성하고 상부에 수경재배지를 형성하여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수경재배장치에 있어서, 하부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은 물이 경사면을 따라 상부에서 흐를 수 있도록 2cm~20cm 경사면(θ)을 형성하여 물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형성하고, 상부에는 전체 면에 물이 공급되어 물이 일정한 흐름을 주도록 형성한 전체 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한 상부저수조; 상기 상부저수조에 공급되는 수온 17℃이하의 물공급부; 상기 베이스판을 통한 물을 집수하도록 형성한 하부저수조;로 형성된 재배단지;상기 재배단지를 고정하도록 형성한 수직지지보; 상기 재배단지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물이 흐르도록 형성하고, 상기 재배단지의 상부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 공급펌프와 수온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한 제어부;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물 고추냉이의 수경재배방법은 근교농업과 소비자가 가까운 곳에서 생산하므로 물류비용과 신속한 유통으로 인한 신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 재해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특히 생산성을 예측할 수 있어 수요에 따른 공급을 조절할 수 있어 적정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어 물가변동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 장치를 도시한 일부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 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3단으로 적층한 상태의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은 노지재배의 상부에 수경재배를 일렬로 배열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노지재배와 수경재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비닐 하우스 내에 설치한 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의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는 수경재배장치에 있어서,
하부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100)은 물이 경사면을 따라 상부에서 흐를 수 있도록 2cm~20cm 경사면을 형성하여 물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형성하고, 상부에는 전체면에 물이 공급되어 물이 일정한 흐름을 주도록 형성하되 전체면이 동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재배지의 가로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한 상부저수조(110); 상기 상부저수조에 공급되는 수온 17℃이하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30); 상기 베이스판을 통한 물을 집수하도록 형성한 하부저수조(120);로 형성된 재배지(200); 상기 재배단지를 고정하도록 형성한 수직지지보(170); 상기 재배단지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물이 흐르도록 형성하고, 상기 재배단지의 상부저수조(110)에 탱크(220)로 부터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 공급펌프(180)와 수온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한 제어부(28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방수층이 형성되어 물이 새지않도록 형성하고, 물이 일정한 속도로 흐를 수 있도록 경사각(θ)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경사각(θ)은 상단부와 하단부의 낙차가 2cm~20cm로 형성하였으나 베이스판의 경사각은 통상적으로 0.5~5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저수조(110,120)는 전체면이 동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재배지의 가로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시작과 끝이 같은 속도로 유입되고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동일하게 상부저수조를 형성하였다. 하부저수조 역시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저수조(110,120)에 공급되는 수온 17℃이하의 물을 공급하도록 지하수 또는 냉각된(냉각기를 통한 물)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하여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고추냉이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하부에 물유입구(340)와 배출구(350)가 형성된 수경재배 배드(250)와 하부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베이스판(100)을 형성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분사노즐(360)을 상부에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적층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재배단지는 물 고추냉이 고정할 수 있도록 고추냉이 재배토(190)와 하부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베이스판(100); 상기 베이스판을 수직으로 배열된 적층구조로 적층하되 상하 간격이 20cm이상으로 형성하고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엘이디 등(160)이 형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하부에 탱크부(220)를 형성하고, 상부의 상부저수조(110)에 물을 공급하도록 물순환 공급펌프(180)를 형성하였다. 상기 물순환 공급펌프(180)는 탱크물을 물 상부의 상부저수조(110)에 공급하고, 공급된 물은 재배지를 통하여 하부저수조(120)로 집수되고 다시 연결관(270)을 통하여 상부저수조(110-1)로 공급되고, 공급된 물은 재배지를 통하여 하부저수조(120-1)에 다시 집수가 된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물은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흐르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 저수조를 형성한 것은 물의 낙차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산소용적률을 높이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는 베이스판에 재배지에 고추냉이 재배토(190)를 형성하였다. 상기 고추냉이 재배토는 하부에는 지면에 가로와 세로 면을 형성하되 가로면 보다 세로면을 길게 형성하고, 깊이를 60cm이내의 공간부를 형성한 재배지(200); 상기 재배지의 공간부의 바닥면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방수층에 자갈층(150)을 65~80%을 형성하고, 상기 자갈층의 상부에 마사토(140)를 20~35%를 채워지도록 형성하고, 작토점토분이 모래 점토의 비율 적정 작토의 감수심이 0.8cm~4.2cm/sec한 고추냉이 재배토(190); 상기 재배지는 원수에서 공급된 물이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물의 흘러내려 가도록 유속을 발생하는 경사각(θ)을 형성하고, 상기 고추냉이 재배토가 단단하지 않도록 담수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물 고추냉이의 근경이 쉽게 뿌리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재배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공급된 물이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형성하여 물의 산소용적률을 높이도록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재배지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물이 흐르도록 형성하고, 상기 재배단지의 상부저수조(110)에 탱크부(220)로 부터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 공급펌프(180)와 수온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한 제어부(28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물 고추냉이를 상기와 같이 재배하여 물 고추냉이의 근경을 먹을 수 있도록 근경을 키울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단 이상으로 적층하여 재배가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부는 수경재배구조로 형성하고, 하부면은 노지에 형성한 2단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노지재배의 구조의 고추냉이 재배토는 하부에는 지면에 가로와 세로 면을 형성하되 가로면 보다 세로면을 길게 형성하고, 깊이를 60cm이내의 공간부를 형성한 재배지(200); 상기 재배지의 공간부의 바닥면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방수층에 자갈층(150)을 65~80%을 형성하고, 상기 자갈층의 상부에 마사토(140)를 20~35%를 채워지도록 형성하고, 작토점토분이 모래 점토의 비율 적정 작토의 감수심이 0.8cm~4.2cm/sec한 고추냉이 재배토(190); 상기 재배지는 원수에서 공급된 물이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물의 흘러내려 가도록 유속을 발생하는 경사각(θ)을 형성하고, 상기 고추냉이 재배토가 단단하지 않도록 담수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물 고추냉이의 근경이 쉽게 뿌리 내릴 수 있도록 하고, 물에 산소용적률을 높이기 위해 설치한 지면으로 배수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구가 형성된 배수관(260); 상기 재배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공급된 물이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형성하고, 일부는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260)으로 배수하여 물의 산소용적률을 높이도록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비닐하우스 내에 노지에 재배지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수경재배방식으로 재배지를 형성하고 하부면에는 노지 재배방식을 이용하여 경작지를 최대한 활용한 물 고추냉이 재배장치를 형성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는 상부의 베이스판과 노지의 베이스판의 재배지에 고추냉이 재배토(190)를 형성하거나. 하부의 베이스판엔 고추냉이 재배토(190)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고추냉이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경재배 배드(250)와 하부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베이스판(100)을 형성하였다.

100 : 베이스판 110 : 상부저수조
120 : 하부저수조 130 : 물공급부
140 : 마사토 150 : 자갈층
190 : 고추냉이 재배토 200 : 재배지

Claims (5)

  1. 수경재배장치에 있어서,
    하부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은 물이 경사면을 따라 상부에서 흐를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의 낙차가 2~20cm의 경사각(θ)으로 물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형성하고, 상부에는 전체면에 물이 공급되어 물이 일정한 흐름을 주도록 형성하되 동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재배지의 가로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한 상부저수조;
    상기 상부저수조에 공급되는 수온 17℃이하의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베이스판을 통한 물을 집수하도록 형성한 하부저수조;로 형성된 재배단지; 상기 재배단지를 고정하도록 형성한 수직지지보; 상기 재배단지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물이 흐르도록 형성하고, 상기 재배단지의 상부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순환 공급펌프와 수온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한 제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형성하도록 분사노즐을 상부에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단지는
    상하부에 물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며 물 고추냉이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경재배 배드와 하부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을 수직으로 배열된 적층구조로 적층하되 상하 간격이 20cm 이상으로 형성하고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엘이디 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단지의 하부에는
    지면에 가로와 세로 면을 형성하되 가로면 보다 세로면을 길게 형성하고, 깊이를 60cm이내의 공간부를 형성한 재배지;
    상기 재배단지의 공간부의 바닥면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방수층에 자갈층을 65~80%을 형성하고, 상기 자갈층의 상부에 마사토를 20~35%를 채워지도록 형성하고, 작토점토분이 모래 점토의 비율 적정작토의 감수심이 0.8cm~4.2cm/sec한 고추냉이 재배토;
    상기 재배지는 원수에서 공급된 물이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물의 흘러내려 가도록 유속을 발생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고추냉이 재배토가 단단하지 않도록 담수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물 고추냉이의 근경이 쉽게 뿌리 내릴 수 있도록 하고, 물에 산소용적률을 높이기 위해 설치한 지면으로 배수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구가 형성된 배수관;
    상기 재배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공급된 물이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형성하고, 일부는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으로 배수하여 물의 산소용적률을 높이도록 형성하고,
    저수조에는 외부로 물을 배출하도록 배출밸브가 형성된 외부 배수로;로 이루어져 상부는 수경재배구조와 하부면은 노지에 형성한 2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
    바닥면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방수층에 자갈층을 65~80%을 형성하고, 상기 자갈층의 상부에 마사토를 20~35%를 채워지도록 형성하고, 작토점토분이 모래 점토의 비율 적정작토의 감수심이 0.8cm~4.2cm/sec인 물 고추냉이 재배토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KR1020140121885A 2014-09-15 2014-09-15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KR10164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885A KR101649971B1 (ko) 2014-09-15 2014-09-15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885A KR101649971B1 (ko) 2014-09-15 2014-09-15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319A true KR20160032319A (ko) 2016-03-24
KR101649971B1 KR101649971B1 (ko) 2016-08-24

Family

ID=5565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885A KR101649971B1 (ko) 2014-09-15 2014-09-15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96B1 (ko) 2020-03-04 2021-03-25 철원군 미세 분사 방식의 물고추냉이 근경생산 시스템
KR20210037838A (ko) 2019-09-28 2021-04-07 철원군 물고추냉이 근경 생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580B1 (ko) * 2021-10-29 2024-04-19 임형기 통합 배수로를 구비한 다단형 식물 재배 장치
KR102467384B1 (ko) 2021-12-03 2022-11-14 안중근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는 수직형 수경재배장치
KR102436872B1 (ko) 2021-12-03 2022-08-25 안중근 자유로운 수평이동으로 식재와 수확이 용이한 수직형 수경재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832A (ja) * 1990-06-18 1992-02-20 Nippon Cement Co Ltd ワサビの人工栽培方法
KR940010896A (ko) 1992-11-17 1994-06-20 정경균 수경 재배기
JPH07123877A (ja) * 1993-11-05 1995-05-16 Takaoka Electric Mfg Co Ltd 植物栽培用かん水装置
JP3215517B2 (ja) * 1992-09-04 2001-10-09 株式会社テクノ大手 ワサビ栽培用圃場およびワサビの栽培方法
JP4218052B2 (ja) * 2006-02-07 2009-02-04 株式会社生物機能工学研究所 培養液節減型害虫駆除室つき栽培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832A (ja) * 1990-06-18 1992-02-20 Nippon Cement Co Ltd ワサビの人工栽培方法
JP3215517B2 (ja) * 1992-09-04 2001-10-09 株式会社テクノ大手 ワサビ栽培用圃場およびワサビの栽培方法
KR940010896A (ko) 1992-11-17 1994-06-20 정경균 수경 재배기
JPH07123877A (ja) * 1993-11-05 1995-05-16 Takaoka Electric Mfg Co Ltd 植物栽培用かん水装置
JP4218052B2 (ja) * 2006-02-07 2009-02-04 株式会社生物機能工学研究所 培養液節減型害虫駆除室つき栽培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838A (ko) 2019-09-28 2021-04-07 철원군 물고추냉이 근경 생산 시스템
KR20220002821A (ko) 2019-09-28 2022-01-07 철원군 물고추냉이 근경 생산 시스템
KR102231796B1 (ko) 2020-03-04 2021-03-25 철원군 미세 분사 방식의 물고추냉이 근경생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971B1 (ko)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971B1 (ko) 물 고추냉이의 기능성 수경재배장치
US8973301B2 (en) Environment-friendly planting device with automatic percolation and irrigation of hermetic liquid
US20140144079A1 (en) Plant culturing equipment
Waiba et al. Soil-less vegetable cultivation: A review
KR20170000080A (ko) 초음파 수분에 의한 이동식 농법 장치
Gautam et al. Advances in soilless cultivation technology of horticultural crops
CN105123165B (zh) 一种可调控水位的地槽式草莓安全育苗方法
JP5984071B2 (ja) 静止液法を栽培方式とした乾燥地でのジャガイモ露地水耕栽培の方法
Goswami et al. Soil-less culture (hydroponics)—A review
Agrawal et al. Hydroponic systems for cultivation of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CA2853147C (en) Plant nursery and storage system for use in the growth of field ready plants
CN202819215U (zh) 一种蔬菜家用栽培机
KR101869777B1 (ko) 인삼 수경 재배 장치
CN206274926U (zh) 自动化气耕栽培装置
KR20160024445A (ko) 요철이 형성된 화분 수직 재배장치
CN211020163U (zh) 一种阳台楼顶有机仿大田栽培设备
JP2014045669A (ja) 水耕栽培装置
US20220071111A1 (en) Vertical Farm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Vertical Farming
JP2002253054A (ja) 植物栽培用装置及びこの装置を使用した植物栽培方法
CN211607574U (zh) 血橙培育大棚
CN107343454A (zh) 一种农业大棚用智能灌溉装置
JP7064768B2 (ja) 水耕栽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の作付け方法
US20240023500A1 (en) A system for indoor cultivation of plants with simulated natural lighting conditions
CN208639144U (zh) 一种具有抗虫功能的有机蔬菜大棚
Verma et al. Soil less cultivation of vegetables cro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