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992A -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장치, 서버, 단말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장치, 서버, 단말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992A
KR20160031992A KR1020157007210A KR20157007210A KR20160031992A KR 20160031992 A KR20160031992 A KR 20160031992A KR 1020157007210 A KR1020157007210 A KR 1020157007210A KR 20157007210 A KR20157007210 A KR 20157007210A KR 20160031992 A KR20160031992 A KR 20160031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cture
summary information
content summary
user account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714B1 (ko
Inventor
지에 류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03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동영상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단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한, 제1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1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확인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한 제2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2 단말기기에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은 필요한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실시간 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확보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단말기기{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VIDEO AND DEVICE THEREOF AS WELL AS SERVER AND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네트워크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영상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단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CN 20141012559.5이고, 출원일자가 2014년 8월 20일인 중국특허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고로서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단말기기는 갈수록 스마트해지고 갈수록 보급되고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기를 사용하여 제1 시간에 친구와 함께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공유하고 관람함으로써 흥미로운 다양한 이벤트에 참여하기를 갈망하고 있으며 현재의 네트워크 및 서버도 동영상의 실시간 전송에 유력한 기술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관련 기술에서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기가 우선 서버를 통하여 제2 단말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셋업한 후 서버를 통하여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제2 단말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제1 단말기기를 사용하는 제1 사용자와 단말기기를 사용하는 제2 사용자 사이에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공유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에서 제1단말기기와 통신 연결을 셋업하기 이전에 제2 단말기기는 동영상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 알지 못하며 제1 단말기기와 통신연결이 셋업 되고나서, 심지어는 실시간 동영상을 수신한 후에도 아주 긴 시간뒤에야 비로소 동영상의 구체적 내용을 알게 된다. 만약 상기 실시간 동영상의 내용이 제2 사용자가 관람을 원하지 않는 것일 경우에는 이번의 통신 연결을 종료해야 하므로 이는 네트워크 리소스의 낭비를 초래하고 사용자의 체험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제1 단말기기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동영상은 제1 단말기기와 통신 연결이 셋업된 제2 단말기기에만 제공하게 되므로 진정으로 해당 실시간 동영상 관람을 원하는 사용자는 관람할 수 없게 되어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체험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전술한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버, 단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한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의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요청을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획득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양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첫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1 사용자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면 상기 프레임 식별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지 않으면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셋업하여 셋업된 동영상 파일에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를 결부하면, 상기 제1양태의 두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프레임마다 제1 선택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 미리 셋업된 적어도 하나의 분류기를 사용하여, 추출된 제1 선택 특징을 인식함으로써 분류기마다 대응하는 인식결과 및 그 신뢰도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신뢰도가 가장 높은 인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두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를 결부하면, 제1양태의 세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제1 설정 개수의 장면(scene)을 결정하는 단계와; 장면마다 적어도 제1 설정 개수의 이미지를 수집하되 상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는 적어도 제2 설정 장수의 간섭 이미지가 포함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제2 선택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장면 분류기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의 두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네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제2 설정 개수의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이벤트마다 적어도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을 수집하되 상기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에는 적어도 제4 설정 개수의 간섭 동영상을 포함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에서 제3 선택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이벤트 분류기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의 두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섯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제4 설정 개수의 인물을 결정하는 단계와; 인물마다 적어도 제3 설정 장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안면 영역에 대해 검출하여 제4 선택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4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안면 분류기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여섯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한 후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하기 이전에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되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일곱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한 후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하기 이전에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콘텐츠의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내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내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1 양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여덟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는 단계와;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 및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서버가 푸쉬한 콘텐츠 요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는 서버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근거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서버가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저장함으로써 얻는 것인 단계와;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요청을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 상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양태를 결부하면, 제2 양태의 첫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기기 변경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기기 변경 지시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기기 변경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동영상 파일을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발송하도록 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거나 또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제1 단말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유닛과;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유닛과;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유닛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요청을 발송하기 위한 푸쉬유닛과; 상기 동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유닛과;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2 단말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제1 발송유닛을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제3 양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첫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서브유닛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면, 상기 프레임 식별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셋업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셋업된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서브유닛을 포함한다.
제3 양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두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유닛은, 상기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프레임마다 제1 선택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서브유닛과; 미리 셋업된 적어도 하나의 분류기를 사용하여, 추출된 제1 선택특징을 인식함으로써 분류기마다 대응하는 인식 결과 및 그 신뢰도를 얻기 위한 인식서브유닛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신뢰도가 가장 높은 인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얻기 위한 조합서브유닛을 포함한다.
제3 양태의 두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세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1 설정 개수의 장면을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유닛과; 장면마다 적어도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를 수집하되 상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는 적어도 제2 설정 장수의 간섭 이미지가 포함되는 제1 수집유닛과; 상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제2 선택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제1 추출유닛과; 상기 제2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장면 분류기를 얻기 위한 제1 트레이닝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의 두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네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2 설정 개수의 이벤트를 결정하는 제3 결정유닛과; 이벤트마다 적어도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을 수집하되 상기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에는 적어도 제4 설정 개수의 간섭 동영상이 포함되는 제2 수집유닛과; 상기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에서 제3 선택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제2 추출유닛과; 상기 제3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이벤트 분류기를 얻기 위한 제2 트레이닝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의 두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다섯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4 설정 개수의 인물을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유닛과; 인물마다 적어도 제3설정 장수의 이미를 수집하기 위한 제3 수집유닛과; 상기 제3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안면 영역을 검출하여 제4 선택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제3 추출유닛과; 상기 제4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안면 분류기를 얻기 위한 제3 트레이닝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여섯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지리적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유닛과;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를 추가하기 위한 추가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를 결부하면, 제3양태의 일곱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유닛은, 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결정서브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3 양태를 결부하면, 제3 양태의 여덟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상기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제4 수신유닛과;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기 위한 제2 발송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서버가 푸쉬한 콘텐츠 요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는 서버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근거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서버가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프레 임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에 저장함으로써 얻는 것인 제1 수신유닛과;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유닛과;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기 위한 제1 발송유닛과;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유닛을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제4 양태를 결부하면, 제4양태의 첫번째 실시 가능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기기 변경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기기변경 지시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변경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3 수신유닛과; 상기 서버에 기기 변경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동영상 파일을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발송하도록 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거나 또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는 제2 발송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렉션을 저정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며,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며, 상기 동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2 단말기기에 발송하도록 구성되는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테렉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가 푸쉬한 콘텐츠 요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는 서버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근거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서버가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프레임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저장함으로써 얻는 것이며,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요청을 발송하며, 상기 동영 상파일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동영 상프레임을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여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제2 단말기기는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하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며, 서버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동영상파일을 제2 단말기기에 발송한다.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2사용자는 콘텐츠 요약정보에 근거하여 실시간 동영상의 구체적인 콘텐츠를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간 동영상 관람을 원하면 상기 동영상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제2 단말기기는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서버에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실시간 동영상의 동영상 파일을 획득함으로써 필요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간 동영상을 관람하도록 확보하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고, 제2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관람을 원하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무시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 요약정보에 근거하여 바로 관람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제2 단말기기와 제1 단말기기가 통신 연결을 셋업하고 상기 실시간 동영상을 관람한 후 관람하지 않음을 결정할 필요가 없어 네트워크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켰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실행 주체가 서버인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실시간 동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실행 주체가 단말기기인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도 1과 대응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도3과 대응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단말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서버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해 설명할 때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실행 주체가 서버인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고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실시간 동영상 제공 시스템에 기반하여 실현할 수 있으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는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기(21), 서버(22), 제2 단말기기(23)를 포함하고, 서버(22)는 다수의 제1 단말기기(21)와 제2 단말기기(23)를 연결할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단지 하나의 제1 단말기기(21)와 두개의 제2 단말기기(23)를 도시하였는 바, 서버(22)는 제1 단말기기(21) 및 제2 단말기기(23)와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었고 여기에서 무선 인터넷 연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이러한 기기 사이에도 유선 연결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단말기기(21)는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업로드 하고 서버(22)는 수신된 동영상을 저장하며 동영상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제2단말기기(23)로 푸쉬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서버에 사용되는 것이고 서버는 제1 단말기기에 대하여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1에서는,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제1 사용자는 미리 서버에 제1 사용자 계정을 등록할 수 있고, 제1 사용자가 제1 단말기기로 동영상을 촬영하여 촬영한 동영상을 실시간 공유할 때, 서버에 제1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한 다음 제1 단말기기는 촬영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발송 할 수 있으며 동영상 프레임은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는 다양할 수 있으며, 하기 두가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하나는 제1 단말기기가 촬영할 때 동영상 프레임마다 부여한 번호이고, 두번째는 제1 단말기기가 촬영할 때 기록한 촬영 시간이다.
서버는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2에서는,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한다.
서버는 동시에 다수의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동영상프 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동영상프 레임마다 상기 동영상 프레임에 구비된 제1 사용자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후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한다.
단계 S13에서는 동영상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한다.
콘텐츠 요약정보는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의 주요 콘텐츠를 요약할 수 있다.
단계 S14에서는 제1 사용자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한다.
일반적으로 제1 사용자 계정은 다수의 제2 사용자 계정과 관련될 수 있고,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관련된 방식도 상이하다. 예를 들어, QQ에 있어서, 제1 사용자 계정은 다수의 친구 설정이 가능한 바, 이러한 친구는 모두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사 용자 계정이고, 또 예를 들어, 위채트에 있어서, 제1 사용자는 모멘트의 설정이 가능한 바, 모멘트의 사용자 계정이 바로 제1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사용자 계정이다.
서버는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을 획득한 후 결정된 콘텐츠 요약정보를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발송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링크에 추가하여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할 수 있으며, 직접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할 수 도 있다. 제2 단말기기는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하여 제2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며 서버가 푸쉬하는 방식이 상이함에 따라 제2 단말기기가 표시하는 방식도 상이한 바, 예를 들어, 링크를 거는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할 수 도 있다.
만약 제2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을 관람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무시할 수 있고, 만약 제2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의 관람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기가 마우스, 키보드 등 외부기기와 연결되었을 때 제2 사용자는 외부기기를 통하여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만약 제2 단말기기에 터치스크린이 설치되면 제2 사용자는 직접 손가락을 이용하거나 또는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단말기기는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제2 사용자가 관람을 원하는지를 결정하고 서버에 동영상 획득요청을 발송하여 서버가 상기 동영상파일을 발송하도록 한다.
단계 S15에서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제2 단말기기에 동영상 파일을 발송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며 동영상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여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며, 서버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동영상 파일을 제2 단말기기에 발송한다.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콘텐츠 요약정보에 근거하여 실시간 동영상의 구체적인 콘텐츠를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간 동영상 관람을 원하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제2 단말기기는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서버에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실시간 동영상 동영상 파일을 획득함으로써 필요한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 동영상을 관람하도록 확보하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고, 제 2사용자가 상기 실시간 동영상 관람을 원하지 않으면 해당 콘텐츠 요약정보를 무시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 요약정보에 근거하여 바로 관람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제2 사용자와 제1 단말기기가 통신 연결을 셋업하고 상기 실시간 동영상을 관람한 후 관람하지 않음을 결정할 필요가 없어 네트워크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켰다.
선택적으로, 단계 S12에서의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제1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면 프레임 식별자의 크기에 따라 동영상 프레임을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지 않으면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셋업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셋업한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버는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한 후 우선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검색하여 만약 상기 동영상 프레임이 제1 단말기기에서 촬영된 동영상의 첫번째 동영상 프레임이면, 서버에는 제1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셋업되지 않았으므로 이때에는 제1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검색할 수 없는 바 우선 동영상 파일을 셋업한 후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셋업된 동영상 파일에 저장해야 하며, 상기 동영상 프레임이 제1 단말기기에서 촬영한 첫번째 동영상 프레임이 아니면 서버에는 이미 제1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셋업되었으므로 이때에는 제1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검색할 수 있는 바 직접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검색된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면 된다.
선택적으로, 단계 S13에서의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프레임마다 제1 선택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 미리 셋업된 적어도 하나의 분류기를 사용하여, 추출된 제1 선택 특징을 인식함으로써 분류기마다 대응하는 인식결과 및 그 신뢰도를 얻는 단계와 제1 사용자 계정과 신뢰도가 가장 높은 인식결과를 조합하여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동영상 프레임이 포함되는 바, 우선 동영상 프레임에서 추출할 제1 선택 특징을 결정할 수 있는데 제1 선택 특징은 미리 셋업된 다수의 분류기가 인식할 때 필요한 특징이고, 다음 동영상파일의 동영상 프레임마다 제1 선택 특징을 추출하고, 미리 셋업된 다수의 분류기를 사용하여, 추출된 제1 선택 특징을 인식함으로써 인식결과 및 그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분류기는 장면 분류기, 이벤트 분류기, 안면 분류기 등을 포함하는 바, 만약 장면 분류기에 대하여 추출 할 특징이 컬러 히스토그램 특징이고 이벤트 분류기에 대하여 추출 할 특징이 SIFT(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크기불변특징변환)특징이고 안면 분류기에 대하여 추출 할 특징이 LBP(Local Binary Patterns,국부 이진 패턴)특징이라고 가정하면 제1 선택 특징은 컬러 히스토그램 특징, SIFT 특징 및 LBP 특징일 수 있다.
미리 셋업된 적어도 하나의 분류기를 사용하여, 추출된 제1 선택 특징을 인식한 후 분류기마다 하나의 인식 결과 및 상기 인식 결과의 신뢰도를 얻고, 서버는 신뢰도가 가장 높은 인식 결과를 획득한 후 제1사용자 계정과 선택된 신뢰도가 가장 높은 인식 결과를 조합하여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얻는 바, 신뢰도는 0과 1사이의 임의의 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면 분류기의 인식결과는 A, 신뢰도는 80%이고, 이벤트 분류기의 인식 결과는 B, 신뢰도는 50%이고, 안면 분류기의 인식 결과는 배우C, 신뢰도는 90%라면 최종 얻게 되는 콘텐츠 요약정보는 “제1 사용자 계정이 배우C를 만남”이다.
여기서는 단지 하나의 조합에 의해 얻어진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의 방식을 설명하였을 뿐이고 더 많은 기타 조합 방식이 가능하나 여기서는 일일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장면 분류기, 이벤트 분류기, 안면 분류기 이 세가지 분류기의 셋업과정을 상세히 소개한다.
첫째, 장면 분류기에 대한 셋업 과정은 하기와 같다.
제1 설정 개수의 장면을 결정하고, 장면마다 적어도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를 수집하되,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는 적어도 제2 설정 장수의 간섭 이미지를 포함하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제2 선택 특징을 추출하고, 제2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장면 분류기를 얻는다.
미리 제1 설정 개수의 장면을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농구 시합서 출현 가능한 장면은 비포 백보드, 아프터 백보드, 어시스트, 반칙, 인터셉트 등이고 기타 이벤트에 있어서는 기타 장면이 있을 수 있는데 여기에서 일일이 예시하지 아니하고, 장면마다 제1 설정 개수의 이미지를 수집하여야 하며 수집한 이미지가 많을수록 셋업된 장면 분류기의 정확도가 높고, 제1 설정 개수의 이미지에는 또한 제2설정 개수의 간섭 이미지가 포함되어야 하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제2 선택 특징을 선택하는 바, 예를 들어, 컬러 히스토그램 등 선택한 특징이 많을수록 셋업된 장면 분류기의 정확도가 높고, 제2 선택 특징에 근거하면 트레이닝함으로써 장면 분류기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이벤트 분류기에 대한 셋업과정은 하기와 같다.
제2 설정 개수의 이벤트를 결정하고, 이벤트마다 적어도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을 수집하되,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에는 적어도 제4 설정 개수의 간섭 동영상이 포함되며,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에서 제3 선택 특징을 추출하고, 제3 선택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이벤트 분류기를 얻는다.
미리 제2 설정 개수의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농구시합, 축구시합, 드라마 촬영 등이다. 이벤트마다 모두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을 수집하여야 하고 수집한 동영상이 많을 수록 셋업된 이벤트 분류기의 정확도가 높으며 제3설정 개수의 동영상에는 또한 제4 설정 개수의 간섭동 영상이 포함되어야 하고, 제3설정 개수의 동영상에서 제3 선택 특징을 선택하는 바, 예를 들어 SIFT 특징 등 선택한 특징이 많을 수록 셋업된 이벤트 분류기의 정확도가 높으며, 제3 선택 특징에 근거하면 트레이닝하여 이벤트 분류기를 얻을수 있다.
셋째, 안면 분류기에 대한 셋업과정은 하기와 같다.
제4 설정 개수의 인물을 결정하고, 인물마다 적어도 제3 설정 장수의 이미지를 수집하며, 제3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안면 영역을 검출하여 제4 선택 특징을 추출하고, 제4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안면 분류기를 얻는다.
미리 제4 설정 개수의 인물을 결정할 수 있고, 인물마다 모두 제3 설정 장수의 이미지를 수집하여야 하며 수집한 이미지가 많을 수록 셋업된 안면 분류기의 정확도가 높고, 제3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제4 선택 특징을 선택하는 바, 예를 들어 LBP 특징 등 선택한 특징이 많을수록 셋업된 안면 분류기의 정확도가 높고, 제4 선택 특징에 근거하면 트레이닝하여 안면 분류기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설정 개수, 제2 설정 개수, 제3 설정 개수, 제1 설정 장수, 제2 설정 장수, 제3 설정 장수, 제1 선택 특징, 제2 선택 특징, 제3 선택 특징 및 제4 선택 특징은 실제 수요에 근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S13에서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한 후 단계 S14에서는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하기 전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지리적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콘텐츠 요약정보에 지리적 위치정보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단말기기는 지리적 위치정보 획득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위치 확인 시스템)정보 등이고, 그 다음 상기 지리적 위치 정보를 서버에 발송하면 서버는 콘텐츠 요약정보에 지리적 위치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예를 계속하여 사용하여 지리적 위치정보를 D라고 가정하면 콘텐츠 요약정보에 상기 지리적 위치 정보 D를 증가한 후 얻어진 콘텐츠 요약정보는 “제1 사용자 계정은 D에서 배우 C를 만남”이였는 바, 이로부터 더욱 정확하게 실시간 동영상 정보를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S13에서의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다.
주기를 설정하여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고, 동영상 파일에 하나의 동영상 프레임을 증가 후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에 변화가 없을 수 있으므로 주기를 설정함으로써 동영상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되, 주기 설정은 실제 수요에 의해 설정이 가능한 바, 예를 들어 5초, 10초, 15초 등이다.
단계 S13에서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가 결정된 후 단계 S14에서는 제1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하기 이전에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에서 결정된 콘텐츠 요약정보와 일치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에서 결정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대응되게, 서버는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하기 전에 현재 설정 주기내에서 결정된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에서 결정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한지의 여부를 우선적으로 결정하여 만약 일치하면, 제2 단말기기에 현재 설정 주기내 결정된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 할 필요가 없고, 만약 일치하지 않으면, 다시 제2 단말기기에 현재 설정 주기내에서 결정된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한다.
상기 판단 과정을 증가함으로써 제2 단말기기에 동일한 콘텐츠 요약정보를 중복되게 푸쉬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되,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는 단계와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단말기기를 사용하는 제2 사용자는 간혹 단말기기를 전환 할 필요가 있는 바, 예를 들어, 원래 객실 텔레비전으로 동영상을 관람하다가 침실로 가게 되면 단말기기의 전환이 필요한데 제2 단말기기는 서버에 기기 변경 정보를 발송하고 서버는 상기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 후 제2 단말기기에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는 것을 정지하고 변경 후 단말기기에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게끔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계속 동영상을 관람하도록 담보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예시한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단말기기에 응용되는데 상기 단말기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간 동영상 제공 시스템의 제2 단말기기로서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31에서는, 서버가 푸쉬한 콘텐츠 요약정보를 수신하되 콘텐츠 요약정보는 서버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근거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서버가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저장함으로써 얻은 것이다.
단계 S32에서는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한다.
단계 S33에서는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서버에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한다.
단계 S34에서는 동영상 파일을 수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여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며, 서버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동영상 파일을 제2 단말기기에 발송한다.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콘텐츠 요약정보에 근거하여 실시간 동영상의 구체적인 콘텐츠를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간 동영상 관람을 원하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제2 단말기기는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서버에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실시간 동영상의 동영상 파일을 획득함으로써 필요한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 동영상을 관람할수 있게 하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고, 제2 사용자가 상기 실시간 동영상 관람을 원하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무시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 요약정보에 근거하여 바로 관람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제2 사용자가 제2 단말기기와 제1 단말기기가 통신 연결을 셋업하고 상기 실기간 동영상을 관람한 후 관람하지 않음을 결정할 필요가 없어 네트워크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켰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기기를 사용하는 제 2사용자는 간혹 단말기기를 전환 할 필요가 있는 바, 예를 들어, 원래 객실 텔레비전으로 동영상을 관람하다가 침실로 갈 필요가 있게 될 경우 단말기기의 전환이 필요한데 전환 방법에는 하기의 두가지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방식은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기기 변경 지시를 수신하되, 기기 변경 지시는 변경 후 단말기기를 지정하고, 서버에 기기 변경 정보를 발송하되,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여 서버가 동영상 파일을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발송하도록 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는 것이다.
제2 단말기기는 실시간 동영상을 방송 할 때 기기 변경 기능을 제공 할 수 있는 바, 제2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선택 후 제2 단말기기는 기기변경 지시를 수신하는데 상기 기기 변경 지시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고, 제2 단말기기는 서버에 기기 변경 정보를 발송하는데 상기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고, 서버는 상기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한 후 동영상 파일을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발송할 수 있으며 방송을 개시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계속하여 동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켰다.
두번째 방식은,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기기 변경 지시를 수신하되, 기기 변경 지시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고,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며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는 것이다.
제2 단말기기는 실시간 동영상을 방송 할 때 기기변경 기능을 제공 할 수 있는 바, 제2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선택한 후 제2 단말기기는 기기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데 상기 기기변경 지시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고, 제2 단말기기는 자체로 저정한 동영상 파일을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발송하고 또 방송을 개시할 동영상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계속해서 동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켰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예시한 다른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의 흐름도로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실시간 동영상 제공 시스템을 위한 것이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41에서, 제1 단말기기는 서버에 제1사용자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발송한다.
단계 S42에서, 서버는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면 상기 프레임 식별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셋업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셋업된 동영상 파일에 저장한다.
단계 S43에서, 서버는 주기를 설정하여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프레임마다 제1선택 특징을 추출하고, 미리 셋업된 적어도 하나의 분류기를 사용하여, 추출된 제1선택 특징을 인식함으로써 분류기마다 대응하는 인식결과 및 그 신뢰도를 얻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 및 가장 높은 신뢰도의 인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동영상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얻는다.
단계 S44에서, 제1 단말기기는 서버에 지리적 위치정보를 발송한다.
단계 S45에서, 서버는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지리적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콘텐츠 요약정보에 지리적 위치정보를 추가한다.
단계 S46에서, 서버는 콘텐츠 요약정보가 바로 전의 설정 주기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와 일치하지 않음을 결정한 후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한다.
제2 단말기기는 다수일 수 있으며 이하 하나의 제2 단말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계 S47에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한다.
단계 S48에서, 서버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제2단말기기에 발송한다.
단계 S49에서, 제2 단말기기는 동영상 파일을 방송한다.
단계 S50에서, 제2 단말기기는 제2사용자의 기기 변경 지시를 수신하고, 서버에 기기 변경 정보를 발송하는데 기기변경 지시 및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한다.
단계 S51에서, 서버는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한다.
단계 S52에서, 변경 후의 단말기기는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지정된 프레임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프레임을 시작으로 동영상 파일을 방송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2사용자는 콘텐츠 요약정보에 근거하여 실시간 동영상의 구체적인 콘텐츠를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간 동영상 관람을 원하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선택하여 제2 단말기기로부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서버에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여 상기 실시간 동영상의 동영상 파일을 획득함으로써 필요한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간 동영상을 관람할수 있게 하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고, 제2 사용자가 상기 실시간 동영상 관람을 원하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무시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츠 요약정보에 근거하여 바로 관람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제2 사용자가 제2 단말기기와 제1 단말기기가 통신 연결을 셋업하고 상기 실기간 동영상을 관람한 후 관람하지 않음을 결정할 필요가 없어, 네트워크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켰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예시한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도 1이 도시한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과 서로 대응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1 수신유닛(51), 저장유닛(52), 제1 결정유닛(53), 푸쉬유닛(54), 제2 수신유닛(55) 및 제1 발송유닛(5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신유닛(51)은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상기 저장유닛(52)은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제1사용자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한다.
상기 제1 결정유닛(53)은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푸쉬유닛(54)은 제1 사용자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한다.
상기제2 수신유닛(55)은 동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제1 발송유닛(56)은 동영상파일을 제2 단말기기에 발송한다.
선택적으로, 저장유닛(52)은 검색서브유닛 및 저장서브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검색서브유닛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검색한다.
상기 저장서브유닛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면, 상기 프레임 식별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셋업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셋업된 동영상 파일에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제1 결정유닛(53)은 추출서브유닛, 인식서브유닛 및 조합서브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서브유닛은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프레임마다 제1 선택 특징을 추출한다.
상기 인식서브유닛은 미리 셋업된 적어도 하나의 분류기를 사용하여, 상기 추출된 제1 선택 특징을 인식함으로써 분류기마다 대응하는 인식 결과 및 그 신뢰도를 얻는다.
상기 조합서브유닛은, 제1 사용자 계정과 신뢰도가 가장 높은 인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얻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2 결정유닛, 제1 수집유닛, 제1 추출유닛 및 제1 트레이닝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결정유닛은 제1 설정 개수의 장면을 결정한다.
상기 제1 수집유닛은, 장면마다 적어도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를 수집하되 상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는 적어도 제2 설정 장수의 간섭 이미지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추출유닛은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제2 선택 특징을 추출한다.
상기 제1 트레이닝유닛은, 제2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장면 분류기를 얻는다.
선택적으로,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3 결정유닛, 제2 수집유닛, 제2 추출유닛 및 제2 트레이닝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결정유닛은 제2 설정 개수의 이벤트를 결정한다.
상기 제2 수집유닛은 이벤트마다 적어도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을 수집하되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에는 적어도 제4 설정 개수의 간섭 동영상이 포함된다.
상기 제2 추출유닛은 제3 설정개수의 동영상에서 제3 선택 특징을 추출한다.
상기 제2 트레이닝유닛은 제3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장면 분류기를 얻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4 결정유닛, 제3 수집유닛, 제3 추출유닛 및 제3 트레이닝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4 결정유닛은 제4 설정 개수의 인물을 결정한다.
상기 제3 수집유닛은 인물마다 적어도 제3설정 장수의 이미를 수집한다.
상기 제3 추출유닛은 제3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안면 영역을 검출하여 제4선택특 징을 추출한다.
상기 제3 트레이닝유닛은 제4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안면 분류기를 얻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3 수신유닛 및 추가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수신유닛은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지리적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추가유닛은 콘텐츠 요약 정보에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를 추가한다.
선택적으로, 제1 결정유닛(53)은 결정서브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결정서브유닛은 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주기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4 수신유닛 및 제2 발송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4 수신유닛은,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기기변경 지시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한다.
상기 제2 발송유닛은,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한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예시한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도 3이 도시한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과 서로 대응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1 수신유닛(61), 표시유닛(62), 제1 발송유닛(63) 및 제2 수신유닛(6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신유닛(61)은 서버가 푸쉬한 콘텐츠 요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는 서버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근거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저장함으로써 상기 동영상 파일을 얻는다.
상기 표시유닛(62)은,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제1 발송유닛(63)은,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요청을 발송한다.
상기 제2 수신유닛(64)은 동영상 파일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는 제3 수신유닛과 제2 발송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수신유닛은 제2 사용자계정으로부터 기기변경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기기변경 지시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발송유닛은 서버에 기기 변경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동영상 파일을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발송하도록 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거나 또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한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 있어서, 각 모듈이 동작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과 관련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800)를 위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8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기기, 의료기기, 휘트니스기기 및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치(8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802), 메모리(804), 전원 어셈블리(8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 오디오 어셈블리(8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12), 센서 어셈블리(814) 및 통신 어셈블리(816)와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통상적으로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한 장치(8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교류가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과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사이의 교류가 편리하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장치(800)의 작동을 지지하도록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는 장치(800)에서 작동하기 위한 그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의 인스트럭션, 연락인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806)는 장치(8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806)은 전원관리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장치(800)에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것과 관련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는 상기 장치(8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와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터치, 슬라이딩과 터치패널의 손동작을 감지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과 관련한 지속시간과 압력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는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8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촬영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일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매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거리와 광학 줌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는 바, 장치(8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호출모드, 기록모드 및 음성 인식모드 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신호는 진일보로 메모리(8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어셈블리(816)를 거쳐 발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와 주변 인터페이스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버튼, 음량버튼, 작동버튼과 잠금버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장치(800)에 여러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814)는 장치(800)의 온오프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위치, 예를 들어, 상기 어셈블리는 장치(800)의 모니터와 키패드를 검출할 수 있고, 센서 어셈블리(814)는 장치(800) 또는 장치(800)의 한 어셈블리의 위치변화, 사용자와 장치(800)의 접촉여부, 장치(800) 방위 또는 가속/감속과 장치(8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아무런 물리적 접촉이 없을 경우, 주변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는 COMS 또는 CCD영상 센서와 같은 광센서를 더 포함하여 영상응용에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814)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자기센서,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816)는 장치(800)와 기타 기기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방식의 통신이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800)는 통신표준에 의한 무선인터넷, 예를 들어, WiFi, 2G 또는3G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접입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816)는 방송신호를 거쳐 외부방송관리시스템의 방송신호 또는 방송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8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인식(RFID)기술, 적외선 통신 규격(IrDA)기술, 초광대역(UWB)기술, 블루투스(BT)기술과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실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800)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DSP), 디시털 신호 처리기기(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부품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인스트렉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예를 들어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을 완성하도록 장치(800)의 프로세서(820)가 실행하는 인스트렉션을 포함하는 메모리(804)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켓과 광 데이터 저장기기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기록매체의 인스트럭션이 단말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기기가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서버가 푸쉬한 콘텐츠 요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는 서버가 제1사용자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파일에 근거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서버가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프레임식 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저장함으로써 얻는 것인 단계와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획득요청을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예시한 실시간 동영상 제공을 위한 장치(19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1900)는 하나의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치(1900)는 프로세서 어셈블리(1922)를 포함하고 이는 진일보로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 어셈블리(1922)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932)를 대표로 하는 메모리 리소스를 포함한다. 메모리(193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각각 하나의 인스트럭션과 대응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프로세서 어셈블리(1932)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스트럭션을 실행한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동영상 프레임을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와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제2 단말기기에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요청을 발송하는 단계와 동영상 획득요청을 수신한 후 제2 단말기기에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장치(1900)는 실행장치(1900)의 전원과리인 하나의 전원 어셈블리(1926), 장치(19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50), 하나의 입출력(I/O) 인터페이스(19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1900)는 메모리(1932)에 저장된 운영체제, 예를 들어 Windows ServerTM,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 등과 같은 것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서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수정과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4)

  1.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1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획득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면 상기 프레임 식별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지 않으면 제1 사용자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셋업하여 셋업된 동영상 파일에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프레임마다 제1 선택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
    미리 셋업된 적어도 하나의 분류기(Classifier)를 사용하여, 추출된 제1 선택 특징을 인식함으로써 분류기마다 대응하는 인식 결과 및 그 신뢰도를 얻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신뢰도가 가장 높은 인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설정 개수의 장면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장면마다 적어도 제1 설정 장수(張數)의 이미지를 수집하되 상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는 적어도 제2 설정 장수의 간섭 이미지가 포함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제2 선택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장면 분류기를 얻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제2 설정개수의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마다 적어도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을 수집하되 상기 제3 설정개 수의 동영상에는 적어도 제4 설정 개수의 간섭 동영상이 포함되는 단계와;
    상기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에서 제3 선택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3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이벤트 분류기를 얻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제4 설정 수의 인물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인물마다 적어도 제3 설정 장수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제3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안면 영역을 검출하여 제4 선택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4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안면 분류기를 얻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한 후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하기 이전에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지리적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한 후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하기 이전에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10. 서버가 푸쉬한 콘텐츠 요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는 서버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근거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동영상파일은 상기 서버가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저장함으로써 얻는 것인 단계와;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기기 변경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기기 변경 지시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기기 변경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동영상 파일을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발송하도록 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거나 또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12.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유닛과;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유닛과;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유닛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기 위한 푸쉬유닛과;
    상기 동영상 획득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유닛과;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2 단말기기에 발송하기 위한 제1 발송유닛
    을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제1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서브유닛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면, 상기 프레임 식별자의 크기에 따라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고, 상기 제1사 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을 셋업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셋업된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유닛은,
    상기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프레임마다 제1 선택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서브유닛과;
    미리 셋업된 적어도 하나의 분류기를 사용하여, 추출된 제1 선택 특징을 인식함으로써 분류기마다 대응하는 인식 결과 및 그 신뢰도를 얻기 위한 인식서브유닛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신뢰도가 가장 높은 인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얻기 위한 조합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설정개수의 장면을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유닛과;
    상기 장면마다 적어도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를 수집하되 상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는 적어도 제2 설정 장수의 간섭 이미지가 포함되는 제1 수집유닛과;
    상기 제1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제2 선택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제1 추출유닛과;
    상기 제2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장면 분류기를 얻기 위한 제1 트레이닝유닛
    을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제2 설정 개수의 이벤트를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유닛과;
    상기 이벤트마다 적어도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을 수집하되 상기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에는 적어도 제4 설정 개수의 간섭 동영상이 포함되는 제2 수집유닛과;
    상기 제3 설정 개수의 동영상에서 제3 선택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제2 추출유닛과;
    상기 제3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이벤트 분류기를 얻기 위한 제2 트레이닝유닛
    을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제4 설정 개수의 인물을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유닛과;
    상기 인물마다 적어도 제3 설정 장수의 이미를 수집하기 위한 제3 수집유닛과;
    상기 제3 설정 장수의 이미지에서 안면 영역을 검출하여 제4 선택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제3 추출유닛과;
    상기 제4 선택 특징에 근거하여 트레이닝함으로써 안면 분류기를 얻기 위한 제3 트레이닝유닛
    을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지리적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수신유닛과;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상기 지리적 위치정보를 추가하기 위한 추가유닛
    을 더 포함하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유닛은,
    주기를 설정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 주기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와 바로 전의 설정주기에서 결정한 콘텐츠 요약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푸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결정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기가 발송한 기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기 위한 제4 수신유닛과;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기 위한 제2 발송유닛
    을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21. 서버가 푸쉬한 콘텐츠 요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는 서버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근거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서버가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프레임식 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저장함으로써 얻는 것인 제1 수신유닛과;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유닛과;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요청을 발송하기 위한 제1 발송유닛과;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유닛
    을 포함하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기기 변경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기기 변경 지시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변경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제3 수신유닛과;
    상기 서버에 기기 변경 정보를 발송하되 상기 기기 변경 정보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를 지정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동영상 파일을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발송하도록 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거나 또는 변경 후의 단말기기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발송하고 방송을 시작할 동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자를 지정하는 제2 발송유닛
    을 더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제공 장치.
  23.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단말기기가 발송한, 제1 사용자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저장하며,
    상기 동영상 파일의 콘텐츠 요약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 관련한 제2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기에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요청을 발송하며,
    상기 동영상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 2 단말기기에 발송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24.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가 푸쉬한 콘텐츠 요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는 서버가 제1 사용자 계정과 대응하는 동영상 파일에 근거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동영상파일은 상기 서버가 제1 단말기기에서 발송한, 상기 제1 사용자 계정 및 프레임 식별자를 구비한 동영상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상기 프레임 식별자에 근거하여 상기 동영상 프레임을 저장함으로써 얻는 것이며,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콘텐츠 요약정보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상기 서버에 상기 동영상 파일을 획득하고자 하는 동영상 획득 요청을 발송하며,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기.
KR1020157007210A 2014-08-20 2015-01-22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장치, 서버, 단말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680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412559.5 2014-08-20
CN201410412559.5A CN104219785B (zh) 2014-08-20 2014-08-20 实时视频提供方法、装置及服务器、终端设备
PCT/CN2015/071274 WO2016026269A1 (zh) 2014-08-20 2015-01-22 实时视频提供方法、装置及服务器、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992A true KR20160031992A (ko) 2016-03-23
KR101680714B1 KR101680714B1 (ko) 2016-11-29

Family

ID=5210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210A KR101680714B1 (ko) 2014-08-20 2015-01-22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장치, 서버, 단말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88065B2 (ko)
EP (1) EP2988513A1 (ko)
JP (1) JP6117446B2 (ko)
KR (1) KR101680714B1 (ko)
CN (1) CN104219785B (ko)
BR (1) BR112015007163A2 (ko)
MX (1) MX353220B (ko)
RU (1) RU2597232C1 (ko)
WO (1) WO2016026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DE212014000045U1 (de) 2013-02-07 2015-09-24 Apple Inc. Sprach-Trigger für einen digitalen Assistenten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CN104219785B (zh) 2014-08-20 2018-07-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实时视频提供方法、装置及服务器、终端设备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CN106534955A (zh) * 2015-09-10 2017-03-2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智能电视设备的切换控制方法和移动终端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KR102592904B1 (ko) * 2016-02-19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요약 장치 및 방법
US10586535B2 (en) *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CN106372620B (zh) * 2016-09-29 2021-06-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视频信息的共享方法及装置
CN108124167A (zh) * 2016-11-30 2018-06-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播放处理方法、装置和设备
DK201770427A1 (en) 2017-05-12 2018-12-20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US10715883B2 (en) 2017-09-06 2020-07-14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ummaries of missed portions of media assets
WO2019117880A1 (en) * 2017-12-12 2019-06-20 Google Llc Proactive detection of media item matching
US10182271B1 (en) * 2017-12-20 2019-01-1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yback of summary media content
CN108391179B (zh) * 2018-04-26 2021-07-2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直播数据处理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CN108632391B (zh) * 2018-05-21 2022-03-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共享方法及装置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CN109598188A (zh) * 2018-10-16 2019-04-09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252483B2 (en) 2018-11-29 2022-02-1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mmarizing missed portions of storylines
US11089356B2 (en) 2019-03-26 2021-08-1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content hand-off based on type of buffered data
US11468890B2 (en) 2019-06-01 2022-10-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CN112333488A (zh) * 2020-07-23 2021-02-0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视频信息同步方法、装置、系统、设备和存储介质
US11870830B1 (en) * 2020-12-10 2024-01-09 Twitch Interactive, Inc. Embedded streaming content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8122B2 (en) * 2002-03-11 2007-03-06 Microsoft Corporation Live image server and client
US20040252197A1 (en) 2003-05-05 2004-12-16 News Iq Inc. Mobile device management system
JP2006157235A (ja) * 2004-11-26 2006-06-15 Canon Inc 撮像装置、画像転送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N101360118B (zh) * 2007-08-02 2013-05-22 广东新支点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适合移动终端多媒体文件共享与搜索的方法和协议
US8528028B2 (en) * 2007-10-25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personal video content
JP2009278481A (ja) * 2008-05-16 2009-11-26 Hitachi Ltd 映像コンテンツ受信装置、映像コンテンツ配信装置および映像コンテンツ配信方法
RU90230U1 (ru) * 2009-04-02 2009-1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ВИН" Система видеонаблюдения с общим сервером в сети интернет
US8661353B2 (en) * 2009-05-29 2014-02-25 Microsoft Corporation Avatar integrated shared media experience
CN101626481B (zh) 2009-08-11 2014-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间共享文件的方法及其终端
CN101707686B (zh) * 2009-10-30 2015-05-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之间共享视频的方法及系统
KR20110047399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기 및 컨텐츠 업로드 방법
US8838696B2 (en) 2010-09-15 2014-09-16 Synivers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n ecosystem for mobile video
US20120303834A1 (en) * 2010-10-07 2012-11-29 Stellatus, LLC Seamless digital streaming over different device types
US9100667B2 (en) * 2011-02-18 2015-08-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fe streaming
CN102307295B (zh) 2011-03-15 2013-10-30 陈建国 基于pstn-ip双网协作的远程视频监控系统及方法
CN102207966B (zh) * 2011-06-01 2013-07-10 华南理工大学 基于对象标签的视频内容快速检索方法
WO2012173267A1 (ja) 2011-06-13 2012-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処理システム、映像処理方法、映像処理用データベースの作成方法とそのデータベース、映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US8412772B1 (en) * 2011-09-21 2013-04-02 Color Labs, Inc. Content sharing via social networking
US8699852B2 (en) * 2011-10-10 2014-04-15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Video concept classification using video similarity scores
JP2013101559A (ja) * 2011-11-09 2013-05-23 A1 Communication Corp 監視システム
CN103209248B (zh) 2012-01-11 2014-12-10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共享多媒体内容的手机终端和方法
CN102664943A (zh) * 2012-04-17 2012-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播放信息共享系统及方法
US9317751B2 (en) * 2012-04-18 2016-04-19 Vixs Systems, Inc. Video processing system with video to text description generation, search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2013229644A (ja) * 2012-04-24 2013-11-07 Alfredcore Inc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およ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CN103259938A (zh) 2013-06-03 2013-08-21 贝壳网际(北京)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的处理方法及系统
CN103596017B (zh) * 2013-11-28 2017-02-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视频下载方法及系统
CN104219785B (zh) * 2014-08-20 2018-07-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实时视频提供方法、装置及服务器、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7475A1 (en) 2016-02-25
CN104219785B (zh) 2018-07-24
MX2015003603A (es) 2016-04-01
RU2597232C1 (ru) 2016-09-10
US9788065B2 (en) 2017-10-10
CN104219785A (zh) 2014-12-17
JP2016537747A (ja) 2016-12-01
JP6117446B2 (ja) 2017-04-19
BR112015007163A2 (pt) 2017-07-04
MX353220B (es) 2018-01-08
WO2016026269A1 (zh) 2016-02-25
KR101680714B1 (ko) 2016-11-29
EP2988513A1 (en)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714B1 (ko) 실시간 동영상 제공 방법, 장치, 서버, 단말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6165430B (zh) 视频直播方法及装置
US20200077035A1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6405470B2 (ja) 動画撮影方法及びその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WO2017084182A1 (zh) 图片处理方法及装置
WO2017054358A1 (zh) 导航方法及装置
WO2022037307A1 (zh) 信息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153400B (zh) 直播互动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263263B2 (ja) 関連ユーザー確定方法および装置
JP6474393B2 (ja) 顔アルバムに基づく音楽再生方法、装置および端末デバイス
CN104112129A (zh) 图像识别方法及装置
US11949979B2 (en) Image acquisition method with augmented reality anchor, devi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6095465B (zh) 设置身份图像的方法及装置
CN107423386B (zh) 生成电子卡片的方法及装置
CN109309843A (zh) 视频发布方法、终端及服务器
CN105549300A (zh) 自动对焦方法及装置
CN108848303A (zh) 拍摄提示方法及装置
CN107872620B (zh) 视频录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027821B (zh) 处理图片的方法及装置
CN112087653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364965A (zh) 基于多摄像头的拍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769282A (zh) 短视频生成方法、终端及服务器
WO2021237744A1 (zh) 拍摄方法及装置
WO2021237592A1 (zh) 锚点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825544A (zh) 图片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