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687A - 음료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687A
KR20160031687A KR1020140121399A KR20140121399A KR20160031687A KR 20160031687 A KR20160031687 A KR 20160031687A KR 1020140121399 A KR1020140121399 A KR 1020140121399A KR 20140121399 A KR20140121399 A KR 20140121399A KR 20160031687 A KR20160031687 A KR 2016003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everage
link member
mounting spac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863B1 (ko
Inventor
정희도
홍영훈
송민섭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8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장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추출부 및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부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추출 장치{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료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추출 장치는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음료 추출 장치는 커피나 녹차 등의 음료분말이 저장된 음료 캡슐을 사용할 수 있다.
음료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추출 장치에서는 온수공급원으로부터 소정 압력의 온수를 음료 캡슐에 공급하여 소정 압력의 온수와 음료분말이 혼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소정 압력의 온수와 음료분말이 혼합되면 음료가 생성된다. 즉, 음료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 추출 장치로부터 음료가 추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료 추출 장치에는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공간을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도록 별도의 덮개가 사용된다.
사용자는 덮개를 열어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공간을 확보한 뒤에 음료 캡슐을 음료 추출 장치에 장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덮개의 자중에 의하여 사용자가 음료 캡슐을 장착시키는 과정에서 덮개가 닫히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음료 캡슐의 장착 과정에서 개폐부가 닫히지 않도록 개폐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음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장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추출부 및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부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추출부는 상기 장착 공간이 형성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지지부에는 요철 모양의 고정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고정부는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고정부는 상측과 하측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좌측과 우측이 상기 지지부와 이격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고정부에서 오목한 부분은 상기 회전축의 곡률 반경에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며, 상기 고정부의 오목한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장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는 덮개 및 상기 덮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레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 일측이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 및 일측이 상기 덮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3 링크부재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 캡슐의 장착 과정에서 개폐부가 닫히지 않도록 개폐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개폐부를 닫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를 닫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개폐부를 닫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는 추출부(200), 개폐부(300), 링크부(400) 및 천공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추출부(200)에는 장착 공간(MS)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 공간(MS)에는 음료 캡슐(C)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추출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장착 공간(MS)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추출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300)를 닫을 경우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될 수 있고, 상기 개폐부(300)를 열 경우 상기 장착 공간(MS)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 공간(MS)에 상기 음료 캡슐(C)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 공간(C)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300)를 통해 고압의 온수가 상기 음료 캡슐(C)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0)를 닫을 경우 상기 천공부(500)에 의하여 상기 음료 캡슐(C)이 천공되며, 이를 통해 상기 음료 캡슐(C)로부터 음료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료 캡슐(C)을 천공하기 위하여 상기 천공부(500)는 제1 펀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는 상기 추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개폐부(300)가 열리지 않고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링크부(4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부(200)는 바디(210), 홀더(220) 및 토출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10)에는 상기 홀더(22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211)이 제공되며, 상기 안착홈(211)에 상기 홀더(220)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홀더(220)에는 상기 장착 공간(MS)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장착 공간(MS)에는 상기 음료 캡슐(C)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장착 공간(MS)은 상기 음료 캡슐(C)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음료 캡슐(C)이 상기 장착 공간(MS)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상기 장착 공간(MS)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장착 공간(MS)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11)의 바닥면과 상기 홀더(220)의 바닥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출홀(213, 221)이 관통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음료 캡슐(C)로부터 추출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재(230)는 상기 바디(2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구(2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상기 안착홈(211)의 바닥면과 상기 홀더(220)의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배출홀(213, 221)을 통해 상기 토출부재(230)에 제공되며, 상기 음료는 상기 토출구(2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재(230)에는 삽입홀(23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233)에는 상기 제1 펀치(51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233)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삽입홀(233)의 형상과 대응되는 스토퍼(511)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홀(233)은 상기 제1 펀치(510)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제1 펀치(510)는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배출홀(213, 221)을 통해 상기 장착 공간(MS)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음료 캡슐(C)을 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음료 캡슐(C)을 천공한 뒤에는 상기 장착 공간(MS)의 외부로 이동하고 상기 스토퍼(511)가 상기 삽입홀(233)을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부재(230)에 제공된 상기 음료는 상기 삽입홀(23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토출구(2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 제1 펀치(510)의 왕복 운동에 대하여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추출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장착 공간(MS)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폐부(300)는 덮개(310) 및 레버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310)는 상기 레버부재(32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320)와 연동하여 회전하여 상기 장착 공간(MS)의 개방된 상부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거나,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공간(MS)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덮개(310)가 상기 레버부재(320)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덮개(310)는 상기 레버부재(3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310)와 상기 레버부재(3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310)와 상기 레버부재(320)는 연결핀(P)에 의해서 상기 바디(2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덮개(310)와 상기 레버부재(3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P)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레버부재(32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레버부재(320)와 함께 상기 덮개(31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320)에 하측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가 상기 덮개(310)에 의해서 닫히도록 상기 레버부재(320)와 함께 상기 덮개(310)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료 캡슐(C)이 상기 장착 공간(MS)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될 때, 상기 장착 공간(MS)에 장착된 상기 음료 캡슐(C)의 상부를 천공하도록 상기 덮개(310)에는 제2 펀치(3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펀치(311)는 끝부분이 날카롭게 구성되어 상기 음료 캡슐(311)을 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310)와 상기 제2 펀치(311)에는 서로 연통되는 온수 공급 유로(310a, 311a)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 공급 유로(310a,, 311a)를 통해 상기 음료 캡슐(C)에 고압의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400)는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개폐부(300)가 열리지 않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링크부(400)는 제1 링크부재(410), 제2 링크부재(420) 및 제3 링크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일측은 상기 레버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일측은 상기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일측은 상기 덮개(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타측과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링크부재(410), 상기 제2 링크부재(420) 및 상기 제3 링크부재(430)는 상기 개폐부(30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버부재(3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타측이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타측이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타측이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300)가 상기 장착 공간(MS)을 밀폐시켰을 때,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1 중심가상선(L1)과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3 중심가상선(L3) 사이에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2 중심가상선(L2)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320)를 올렸을 때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이동으로 인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회전방향과,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여 상기 덮개(310)를 밀어올릴 때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이동으로 인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회전방향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중심가상선(L3)은 상기 제1 중심가상선(L1)보다 상기 추출부(200)의 상기 토출구(23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310)에 의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었을 때 상기 레버부재(320)를 들어올리면, 상기 제1 링크부재(410)의 이동으로 인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회전방향은 도 2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재(320)를 들어올리면, 상기 덮개(310)가 열릴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장착 공간(MS)을 밀폐하도록 상기 레버부재(320)를 내리면,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회전방향은 도 2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재(320)를 내리면 상기 덮개(310)가 닫힐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10)에 의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었을 때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면, 상기 덮개(310)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의 상기 제3 링크부재(430)의 이동으로 인한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회전방향은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310)는 제3 링크부재(430)에 의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의 상부를 더 닫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링크부재(430)에는 톱니 형상의 홈(43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디(210)에도 톱니 형상의 홈(215)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310)에 의해서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면 상기 제3 링크부재(430)와 상기 바디(210)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장착 공간(MS)에 작용하는 고압에 의해 상기 덮개(310)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때, 상기 제2 링크부재(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3 링크부재(430)를 당기게 되므로, 상기 제3 링크부재(430)는 상기 바디(210)에 더욱 밀착되게 되고, 결국 상기 장착 공간(MS)에 고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덮개(310)가 열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링크부재(410), 상기 제2 링크부재(420) 및 상기 제3 링크부재(430)는 각각 상기 추출부(200)와 상기 개폐부(300)의 양쪽에 대칭되게 두 개씩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부재(420)의 타측에는 두 개의 상기 제2 링크부재(420)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축(RS)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상기 개폐부(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천공부(500)가 왕복 운동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를 닫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천공부(500)는 상기 개폐부(300)의 회전에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천공부(500)는 상기 제1 펀치(510) 및 가이드 링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펀치(510)의 일측은 상기 배출부재(230)의 상기 삽입홀(233)을 통해 상기 배출부재(2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홀(233)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펀치(510)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홀(233)과 대응되는 형상의 상기 스토퍼(511)가 구비되어 상기 제1 펀치(510)가 상기 삽입홀(233)에서 빠지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일측은 상기 추출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은 상기 제1 펀치(5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이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나,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에는 상기 제1 펀치(51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이 자중에 의해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1 펀치(510)의 상기 스토퍼(511)에 의하여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삽입홀(233)에 밀착된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링크(520)도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정지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4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링크부재(420)에 연결된 상기 회전축(RS)은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 중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일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1 걸림턱(5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 중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걸림턱(5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300)를 닫을 때 상기 제2 링크부재(4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링크부재(420)와 연결된 상기 회전축(RS)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RS)은 상기 제1 걸림턱(521)에 걸리게 되고, 이때 상기 회전축(RS)이 상기 제1 걸림턱(521)을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이 회전하므로,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에 연결된 상기 제1 펀치(510)가 상측으로 올려지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장착 공간(MS)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 공간(MS)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음료 캡슐(C)이 천공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공간(MS)이 밀폐되도록 상기 개폐부(300)를 닫으면, 상기 회전축(RS)은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2 걸림턱(523)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링크(5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에 연결된 상기 제1 펀치(510)는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천공부(500)에는 탄성 부재(5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30)의 일측은 상기 추출부(200)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530)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 링크(5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상기 회전축(RS)이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저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때, 상기 탄성 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링크(520)의 타측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펀치(51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삽입홀(233)과 밀착되게 된다.
즉, 상기 개폐부(3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링크(520)는 회전 왕복 운동하게 되며, 상기 제1 펀치(510)는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는 상기 제1 펀치(510)가 상기 음료 캡슐(C)을 천공한 뒤에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음료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가 상기 천공된 부분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 캡슐(C) 내부에서 음료분말들이 고압축되어 상기 음료의 추출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는 상기 음료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가 상기 천공된 부분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음료의 추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상기 개폐부(30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RS)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사용자는 상기 개폐부(300)가 열린 상태에서 개방된 상기 장착 공간(MS)에 상기 음료 캡슐(C)을 삽입하여 장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30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300)가 회전하며 닫힐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개폐부(30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00)는 상기 추출부(200)에 지지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240)는 상기 추출부(200)의 상기 바디(2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210)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240)는 상기 개폐부(30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RS)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300)가 열릴 때 상기 회전축(RS)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축(RS)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경로 상에 상기 지지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300)가 열릴 때 상기 회전축(RS)은 상기 지지부(240)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40)에는 요철 모양으로 형성된 고정부(2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RS)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고정부(241)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41)는 상측과 하측이 상기 지지부(240)와 연결되고, 좌측과 우측이 상기 지지부(240)와 이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241)는 탄성력을 구비하게 되며, 상기 개폐부(300)가 열릴 때, 상기 회전축(RS)은 요철 모양의 상기 고정부(241)에서 볼록한 부분을 밀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300)가 완전히 열리면, 상기 회전축(RS)은 요철 모양의 상기 고정부(241)에서 오목한 부분에 안착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요철 모양의 상기 고정부(241)에서 오목한 부분은 상기 회전축(RS)의 곡률 반경과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부(30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RS)이 요철 모양의 상기 고정부(241)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RS)의 고정에 따라 상기 회전축(RS)과 연결된 상기 제1 링크부재(410), 상기 제2 링크부재(420) 및 상기 제3 링크부재(430)도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300)도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음료 캡슐(C)을 장착한 뒤에 상기 개폐부(300)를 닫으면, 상기 회전축(RS)이 요철 모양의 상기 고정부(241)에서 볼록한 부분을 밀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고정부(241)와 멀어지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개폐부(300)를 닫음으로써 상기 장착 공간(MS)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음료 캡슐의 장착 과정에서 개폐부가 닫히지 않도록 개폐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음료 추출 장치 200: 추출부
210: 바디 220: 홀더
230: 배출부재 240: 지지부
241: 고정부 300: 개폐부
310: 덮개 320: 레버부재
400: 링크부 410: 제1 링크부재
420: 제2 링크부재 430: 제3 링크부재
500: 천공부 510: 제1 펀치
520: 가이드 링크 530: 탄성 부재

Claims (11)

  1. 음료 캡슐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장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추출부 및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부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음료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장착 공간이 형성된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음료 추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요철 모양의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는 음료 추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력을 구비하는 음료 추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측과 하측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좌측과 우측이 상기 지지부와 이격된 형상인 음료 추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서 오목한 부분은 상기 회전축의 곡률 반경에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구비하는 음료 추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하며, 상기 고정부의 오목한 부분에 안착되는 음료 추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장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는 덮개 및 상기 덮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레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부재;
    일측이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 및
    일측이 상기 덮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3 링크부재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음료 추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링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는 음료 추출 장치.
KR1020140121399A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KR10229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99A KR102292863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99A KR102292863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687A true KR20160031687A (ko) 2016-03-23
KR102292863B1 KR102292863B1 (ko) 2021-08-25

Family

ID=5564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399A KR102292863B1 (ko) 2014-09-12 2014-09-12 음료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8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410A (ko) * 2012-11-09 2014-05-20 코웨이 주식회사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410A (ko) * 2012-11-09 2014-05-20 코웨이 주식회사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863B1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862B1 (ko)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RU25015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CN104890996B (zh) 饮料用容器的盖体
KR102646117B1 (ko) 맞춤형 화장품 생산 장치
CN109107487B (zh) 用于制造化妆产品的设备
DK1700548T4 (en) Beverage Production System
KR20110053368A (ko) 핸드 로딩 커피 기계의 커피 홀딩 아암
EP3009053A1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20090088924A (ko) 단회 캡슐로 음료를 만드는 기계용 디스펜싱 헤드, 및 상기 디스펜싱 헤드를 가진 기계
JP5833641B2 (ja) カプセルを使用する飲料製造システム
BR112016006538B1 (pt) Módulo de infusão para um aparelho de extração, aparelho de extração e processo para a infusão de uma bebida de infusão
KR101572956B1 (ko)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CN102730297A (zh) 饮料用容器的栓体
CN107550253B (zh) 烹饪器具
KR102064177B1 (ko)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CN110169720A (zh) 一种保温瓶组装方法
KR20160031687A (ko) 음료 추출 장치
KR102292864B1 (ko)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6307609B2 (ja) 粉末食品を収容するカプセルを用いて飲料を作るための水平ユニット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102015281B1 (ko) 휴대용 진공보관용기
KR200402880Y1 (ko) 펀치부재가 장착된 진공포장기
KR101781112B1 (ko) 화장품용기
KR101289339B1 (ko) 음료 추출장치
KR102307151B1 (ko) 음료 추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