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782A -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782A
KR20160029782A KR1020160024268A KR20160024268A KR20160029782A KR 20160029782 A KR20160029782 A KR 20160029782A KR 1020160024268 A KR1020160024268 A KR 1020160024268A KR 20160024268 A KR20160024268 A KR 20160024268A KR 20160029782 A KR20160029782 A KR 20160029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composition
saponin
me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영
박찬웅
김완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2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9782A/ko
Publication of KR2016002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포닌을 함유하는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종래 알려진 인삼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과 다른 조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항암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에 매우 적합하다.

Description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본 발명은 사포닌을 함유하는 인삼 열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2,000여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이며, 경험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인삼의 효능 및 효과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항발암 작용, 항암활성, 면역기능 조절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항진효능, 심혈관 장해개선, 항동맥경화 작용, 혈압조절 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 작용, 항산화 활성 및 노화억제 효능 등이 있다(최신고려인삼 '성분 및 효능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56-112, 1996).
인삼의 대표적 생리활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인삼 사포닌)는 인삼의 지상 및 지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인삼 근(뿌리), 인삼엽 및 인삼 열매 등 부위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함량뿐만 아니라 조성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Attele AS et al, Biochem Pharmacol, 58; 1685-1693, 1999).
최근, 다단계로 진행되는 암 발생 과정을 독성이 없는 화합물, 식이 성분 또는 약물을 이용하여 그 진행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려는 개념의 화학적 암예방 (chemoprevention)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면서 인삼도 화학적 암 예방의 주요한 소재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인삼근을 이용한 추출물 또는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과 인삼다당체를 활용한 것일 뿐 인삼 열매의 성분에 의한 항암 효능에 대한 것은 전무한 실정이다.
인삼 열매는 인삼보다도 귀하게 여겨지는 것으로서 종자 획득을 목적으로 선별되어 수확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인삼 열매는 인삼의 재배기간 중 4년 생에 한해서 1회만 채종한다. American ginseng (Panax qllinqllcfoliwn L.)의 열매 추출물이 결장암에 대한 항암 효능 (J Agric Food Chem. 54(26):9936-42)을 가지며, 인체 유방암 세포주 (MCF-7)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음이 밝혀진 바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사용한 한국의 인삼(Panax ginseng C.A. Meyer)과는 다른 종으로 그 성분 조성이 전혀 다른 천연물이다.
이와 관련하여, 암이란 규칙적이고 절제 있는 증식과 억제를 할 수 있는 정상세포와 달리 조직 내에서 필요한 상태를 무시하고 무제한의 증식을 하는 미분화 세포로 구성되어 비대 조직을 형성하는 것 중 악성 종양인 것을 말한다.
현대 의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경의 악화와 노년인구의 증가로 세계 암 발병률이 매년 5% 이상 증가하고 있다. 2002년도 국립 암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남자는 위암, 간암, 폐암, 대장암의 순서로 암이 발생하며, 암에 의한 사망률은 간암, 폐암, 위암 순이다. 발병률과 사망률간의 이러한 순위 차이는 한번 발병하면 치료 과정이 매우 힘든 간암의 특징 때문이다. 반면, 여자의 암 발병률은 2001년 발생ㆍ등록된 암 중 전년도 2위였던 유방암이 16.1%로 위암(15.3%)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는 1995년과 비교했을 때 66%나 늘어난 수치로, 암 중에서 발병률의 증가율이 가장 높다.
현재까지 암의 치료를 위해서 외과적 치료, 생물 요법, 방사선 요법 등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고전적 치료법이 암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방법이 되지 못함이 인식되면서 면역 기능 증진을 통해 생체 방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화학적 암 예방제 (chemoprevention agent)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이러한 화학적 암 예방이란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비교적 안전한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정상 세포의 암세포화를 억제, 지연 또는 역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화학적 암 예방제는 일차적으로 독성이 없거나 있더라도 극히 미약해야 한다. 따라서, 인류가 오랫동안 경험을 통해 안전성이 검증된 천연 유래 성분들이 유망한 화학 암 예방제 후보 물질로써 연구되고 있으며, 실제로 화학적 암 예방제로 알려진 물질의 대부분은 식물에서 유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포닌을 함유하는 Panax ginseng C.A. Meyer의 인삼 열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 없으며,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우수한 암 치료 효과 특히, 발병 증가율이 매우 높은 유방암 및 간암 치료에 유의적 효과를 보이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사용되던 인삼근이 아닌, 사포닌을 함유하는 Panax ginseng C.A. Meyer 인삼 열매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통해, 우수한 항암 효능을 발휘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사포닌을 함유하는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의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한 군의 유방암 세포 억제 효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한 군의 간암 세포 억제 효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anax ginseng C.A. Meyer의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암 세포주에 적용하는 경우,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암의 치료 또는 예방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0 중량%로 포함된 경우, 상기 조성물은 암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발휘하는 유효 성분인 추출물만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건조 예를 들어, 일광 건조 또는 열풍건조한 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자를 제거하고,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하는 공정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를 전처리하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제조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건조물은 용매 바람직하게 물 또는 에탄올로 처리하여 추출하고, 감압 농축함으로써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의 열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전처리 및 추출 단계를 거쳐 제조된 추출물에 다시 용매를 처리하고,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의 조사포닌을 추출 및 농축하여 제조된 조사포닌 분획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처리 및 추출 단계를 거쳐 제조된 추출물에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테르를 처리함으로써, 지용성 성분을 제거하고, 부탄올(BuOH)로 조사포닌을 추출 및 농축하여 조사포닌 분획을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상기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의 조사포닌 분획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특히 우수한 암세포 성장 억제 효능 즉, 항암 효능을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추출물에 포함된 사포닌의 총량은 추출물 전체에 대하여 20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은 PT(Protopanaxatriol)계 사포닌(진세노사이드)에 대한 PD(Protopanaxadiol)계 사포닌의 비율이 0.5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칼륨, 칼슘, 철, 인, 마그네슘 및 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풍부한 미네랄, 및/또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K, 나이아신(비타민 B3) 및 엽산(비타민B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풍부한 비타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인삼근에 비해 사포닌의 함량이 매우 높고, PD(Protopanaxadiol)계 사포닌인 "사포닌 Rb1, Rb2, Rc 및 Rd" 와 PT(Protopanaxatriol)계 사포닌인 "사포닌 Re, Rg1 및 Rg2"의 조성이 전혀 다름을 나타내는 것이고, 풍부한 미네랄 성분과 비타민 성분 역시 과실로서의 특성을 나타내는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고유한 조성이며, 이는 종래 알려진 인삼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의 조성과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확연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암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하며, 상기 암은 유방암 및 간암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특히 유방암 및 간암 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료품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 하거나,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錠劑), 환제 (丸劑), 과립제 (顆粒劑), 연·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乳濁濟), 시럽제, 펠렛제,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坐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대략 2000mg/kg/일의 범위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의 제조
1)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전처리: 생(生)인삼 열매를 수확하고,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하여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건조원료를 제조하였다.
2)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 제조: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건조물 1kg에 물 3L를 가하여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0∼45℃에서 감압 농축하여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 300g을 얻었다.
[실시예 2]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의 조사포닌 분획의 제조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와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 추출물에 에테르(ether)를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부탄올(BuOH)로 조사포닌을 추출, 농축하였다.
[비교예 1] 인삼근 추출물 제조
실시예 1에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대신에 인삼근(뿌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의 성분비교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와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인삼사포닌) 성분분석>
실시예 1, 2와 비교예 1을 이용하여 HPLC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조사포닌 분획은, 총 사포닌 함량에 있어서,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인삼근 추출물에 비해 각각 약 2배, 4배의 함량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진세노사이드를 PD(Protopanaxadiol: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계 진세노사이드 및 PT(Protopanaxatriol: 진세노사이드 Re, Rg1 및 Rg2)계 진세노사이드의 비율로 구분하였을 때,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의 값이 각각 3.54, 1.78, 0.76으로 그 조성에 있어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와 인삼근은 뚜렷한 차이 및 특징을 나타내었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의 미네랄 성분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이 인삼과는 다른 '과실'로서의 특징을 가짐을 구분하기 위하여 비타민을 비롯한 미네랄 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의 성분적 특성은 인삼근 보다 많은 인삼사포닌을 함유함과 동시에, 사포닌 조성의 성질이 정반대이고, 또한 인삼근과 달리 열매로서 비타민과 미네랄 16 종의 함량이 풍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의 항암 효능에 대한 하기 실험들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2]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의 항암 효과 평가
1. 인삼( Panax ginseng C.A . Meyer) 열매 추출물의 유방암 세포주의 성장 억제 효능
<세포 배양과 물질 처리>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의 암 세포 성장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MTT assay를 위하여 유방암(MDA-MB-231) 또는 간암(HepG2)세포를 48-well dish에 1x104개/well의 density로 깐 다음 10% FBS, 100IU/ml 페니실린과 100g/ml 스트렙토 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Sigma Co.)을 배양액으로 하여 37℃ 배양기에서 공기(95%)와 CO2(5%)의 혼합기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주며 배양하였다. 세포를 배양용기에 이식하고 24시간 후 배양액을 FBS free DMEM으로 교체하고 활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100, 250 μg/ml의 최종 농도로 배양 세포에 처리하였고,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시험 시료를 넣고 48시간 배양을 한 후, MTT solution (최종농도 1 mg/ml)을 가하고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에 배양액을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 (DMSO)를 가하여 540 nm에서 optical density를 microplate reader로 측정하였고, 측정된 흡광도를 이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1로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유방암 및 간암 세포 증식 억제 효능 결과를 표 3 및 도 1에, 간암 세포 증식 억제 효능 결과를 표 4 및 도 2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세포 생존율(% of control) = (물질 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표 3 및 도 1를 통해,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이 인삼근 추출물 보다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의 조사포닌 분획은 더욱 효과적으로 유방암 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4 및 도 2를 통해 인삼근 추출물은 간암 세포주의 증식을 거의 억제하지 못하는 반면,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250 μg/ml가 되도록 처리하였을 때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의 조사포닌 분획의 최종 농도가 100, 250 μg/ml가 되도록 처리하였을 때, 간암 세포주의 증식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유방암, 간암 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항암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3] 환제의 제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 30 중량%, 옥수수전분 30 중량%, 글리세린 20 중량% 및 솔비톨 분말 20 중량%를 혼합하고, 제환기를 사용하여 환을 제조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3.5g 이었다.
[실시예 4]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 30 중량%, 유당 20.5 중량%, 덱스트린 20 중량%, 말티톨 분말 20 중량% 및 자일리톨 분말 7 중량%를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한 다음, 슈거 에스테르(sugar ester) 2.5 중량%를 첨가하여 타정기로 타정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2g이었다.
[실시예 5]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 30 중량%, 자일리톨 5 중량% 및 이소말트 65 중량%를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에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2g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삼의 지상부 중에서 인삼근과 차별적 성분과 조성을 갖는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암 특히 유방암 및 간암에 대한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사포닌을 함유하는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
    상기 사포닌은 Rb1, Rb2, Rc 및 Rd을 포함하는 PD(Protopanaxadiol)계 사포닌;및 Re, Rg1 및 Rg2를 포함하는 PT(Protopanaxatriol)계 사포닌이고,
    상기 추출물은 PT(Protopanaxatriol)계 사포닌에 대한 PD(Protopanaxadiol)계 사포닌의 비율이 0.5 내지 0.7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건조 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 의 조사포닌을 추출 및 농축하여 제조된 조사포닌 분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포닌은 추출물 전체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칼륨, 칼슘, 철, 인, 마그네슘 및 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PT(Protopanaxatriol)계 사포닌에 대한 PD(Protopanaxadiol)계 사포닌의 비율이 0.6 내지 0.7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K, 나이아신(비타민 B3) 및 엽산(비타민B9)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타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또는 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160024268A 2016-02-29 2016-02-29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60029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268A KR20160029782A (ko) 2016-02-29 2016-02-29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268A KR20160029782A (ko) 2016-02-29 2016-02-29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21138A Division KR20150032680A (ko) 2015-02-11 2015-02-11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371A Division KR20160102368A (ko) 2016-08-17 2016-08-17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782A true KR20160029782A (ko) 2016-03-15

Family

ID=5554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268A KR20160029782A (ko) 2016-02-29 2016-02-29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97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3332B2 (en) Anti-obesity composition
RU235874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бработанного женьшеня с повышенным количеством гинзенозида rg5
JP2015164955A (ja) サポニンの生体利用率増進組成物
KR101496834B1 (ko)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06131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Vayalil Bioactive compounds,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date fruit
KR102081984B1 (ko)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13170A (ko)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인삼열매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02368A (ko)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60029782A (ko)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032680A (ko)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090126432A (ko)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14284B1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30910B1 (ko) 세복수초 추출물 또는 그 유효물질을 이용한 항암제 조성물
KR101528871B1 (ko) 세포 활성화 효능을 통한 항노화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160065304A (ko) 오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4581B1 (ko) 홍경천과 차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092729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97398B1 (ko) 맥문동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기관지 염증 질환의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
KR20130043767A (ko) 가공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간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51643B1 (ko) 표고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4778A (ko)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408908B1 (ko) 복합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230129313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우울증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