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651A -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651A
KR20160029651A KR1020150102618A KR20150102618A KR20160029651A KR 20160029651 A KR20160029651 A KR 20160029651A KR 1020150102618 A KR1020150102618 A KR 1020150102618A KR 20150102618 A KR20150102618 A KR 20150102618A KR 20160029651 A KR20160029651 A KR 20160029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seband signal
change
antenna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696B1 (ko
Inventor
유덕현
홍승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844,783 priority Critical patent/US9641231B2/en
Publication of KR2016002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2Modulated-carrier systems analog front ends; means for connecting modulators, demodulators or transceivers to a transmiss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는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는 계산된 로드 값에 대응하여, 기저대역 신호 또는 기저대역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인 제1 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TUS FOR MODULATING BASEBAND SIGNAL IN BEAM SPACE MULTI-INPUT MULT-OUTPUT}
본 발명은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통신 기술들에서 MIMO(Multi-Input Multi-Output) 기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MIMO 기법은 데이터 전송율 증가시킬 수 있고 주파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인 IEEE 802.16, IEEE 802.20뿐만 아니라 Wibro 시스템, 3GPP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도 MIMO 기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MIMO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성능은 일반적으로 안테나의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MIMO 성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개수를 늘려야 하고, 이로 인해 RF 체인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안테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구현 복잡도가 증가하고 시스템의 크기가 커지므로, 안테나 개수를 많이 늘릴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제약을 벗어나기 위해, 최근에는 하나의 RF 또는 적의 개수의 RF 체인을 이용하여 MIMO 성능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ESPAR(Electrical Steering Parasitic Array Radiation) 안테나 또는 부하 변조 안테나(Load Modulation Antenna)를 사용하는 빔 공간 MIMO 기술이 있다.
이러한 빔 공간 MIMO 기술은 안테나/RF 측면과 기저대역(Baseband) 측면에서 일반적인 MIMO 기술과 상이한 점이 있다.
먼저 안테나/RF 측면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MIMO 기술은 복수의 능동안테나 소자를 사용하여 안테나를 구성하지만, 빔 공간 MIMO 기술은 하나 또는 적은 개수의 능동안테나 소자와 복수의 기생안테나 소자를 사용하여 안테나를 구성한다. 이러한 빔 공간 MIMO 기술의 장점은 복수의 기생안테나 소자를 통해 안테나 개수의 확장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복수의 기생안테나 소자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빔 공간 MIO 기술은 하나 또는 적의 개수의 RF 체인을 사용하므로, RF 부분이 복잡하지 않고 작은 크기로 구현할 수 있다.
기저대역 측면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MIMO 기술은 복수의 능동안테나 소자를 사용하고 각각의 능동안테나 별로 변조된 기저대역 신호를 방사한다. 이에 따라 각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로 인한 위상 차이 및 크기 차이에 의해, 최종적으로 능동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신호의 위상 및 크기가 결정된다. 각 경로 별로 신호가 지난 가는 형태이며,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각 신호의 위상 및 크기는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의 페이즈 노이즈(Phase Noise) 또는 전송 경로의 IQ 불균형(IQ Imbalance) 등 RF 손상(RF Impairment)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RF 손상을 측정해서 기저대역 측면에서 보상하거나, RF를 구성할 시 이러한 스펙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RF 손상(즉, IQ Imbalance 또는 Phase Noise)들은 급격하게 바뀌지 않고 거의 상수 값을 가지므로, 긴 주기로 보상하여도 문제가 없다.
빔 공간 MIMO 기술에서 하나 혹은 소수의 능동안테나와 복수의 기생안테나에 의해 생성되는 전체 안테나 빔 패턴을 분해하면 복수의 직교(orthogonal) 빔이 생성된다. 기저대역 신호 이러한 복수의 직교 빔에 매핑된다. 기저대역 신호, 그리고 복수의 기생안테나의 임피던스 값에 의해 복수의 기생안테나에 흐르는 전류값이 변경되고, 이로 인해 빔에 매핑된 방사 신호가 최종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이 전류 값에 의해 최종적으로 방사되는 신호의 위상과 크기가 결정된다. 즉, 로드(load) 값(복수의 기생안테나의 임피던스 값)을 변경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방사되는 신호의 위상과 크기가 변경되고, 이를 통해 원하고자 하는 방사 신호가 생성된다.
한편, 복수의 기생안테나는 가변 임피던스 소자에 의해 구현되며, 이 가변 임피던스 소자의 값은 기적대역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영향을 받는다. 즉, 기저대역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값이 변경될 때마다 로드 값을 변경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기적대역 신호가 변경될 때마다 튜닝이 필요하며, 빔 공간 MIMO기술은 일반적인 MIMO 기술보다 더욱 빠른 주기로 튜닝을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빔 공간 MIMO에서는 각 기저대역 신호의 심볼이 다른 경우, 각 심볼마다 위상 차이(변화) 및 크기 차이(변화)가 일정하지 않게 방사된다. 이로 인해 최종 방사되는 신호의 위상 및 크기가 기저대역의 위상과 크기를 보존하지 못하게 된다.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로 채널의 위상과 크기를 측정하는 경우, 기준 신호가 없는 부분에서는 기준 신호와 다른 위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채널 추정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의 위상 또는 크기를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저대역 변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저대역 변조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빔 공간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어레이,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기저대역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인 제1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대역 변환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로드 값을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설정하는 로드 계산부, 상기 계산된 로드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대한 변경 값을 설정하는 신호 변경 제어부, 그리고 상기 변경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제1 대역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신호 변경하는 신호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변경 제어부는, 각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및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변경 제어부는, 위상이 같은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변경 제어부는, 크기가 같은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변경부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신호 변경부는 상기 기저대역부와 상기 대역 변환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변경부가 상기 제1 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신호 변경부는 상기 대역 변환부와 상기 안테나 어레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변경부는 페이즈 쉬프터, 증폭기 및 감쇄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능동 안테나 소자, 복수의 기생안테나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역 변환부는 단일 RF체인일 수 있다.
상기 제1 대역 신호는 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 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저대역 변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저대역 변조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빔 공간 MIMO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어레이,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기저대역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RF 체인부, 그리고 각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및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인 제1 로드 값을 계산하며, 상기 제1 로드 값을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설정하는 로드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 계산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인 제2 로드 값은 계산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및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2 로드 값을 상기 제1 로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능동 안테나 소자, 복수의 기생안테나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F 체인부는 단일 RF체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빔 공간 MIMO(Multi-Input Multi-Ouput)에서 기저대역 신호를 변조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있다. 상기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인 제1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을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계산된 로드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또는 상기 제1 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로드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또는 상기 제1 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에 대한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경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또는 제1 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위상이 같은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크기 같은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역 신호는 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 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 값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또는 크기를 보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빔 공간 MIMO에서도 정상적인 채널 추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빔 공간 MIMO에서 위상 손상(impairment)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는 빔 공간 MIMO에서 크기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은 빔 공간 MIMO에서 위상 및 크기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은(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HR-R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빔 공간 MIMO에서는 복수의 기생 안테나의 조향 벡터(steering vector)를 분해하여 기저대역 신호가 전송될 직교(orthogonal) 기초(basis) 빔을 생성하고, 이 기초 빔에 기저대역 신호가 실어진다. 이때, 각 안테나 소자의 조향 벡터는 안테나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결정되고, 안테나의 기하학적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안테나의 조향 벡터도 변경된다. 기초 빔에 기저대역 신호를 실어주는 동작은 기저대역 신호를 참고하여 각 안테나(즉, 기생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 값을 설정하여 이루어 진다. 이때, 로드 값(기생 안테나의 로드 값)을 변경함으로써, 각 안테나 소자에 흐르는 전류 값이 설정된다.
빔 공간 MIMO에서는 각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을 결정할 시, 기준이 되는 안테나 소자와 다른 안테나 소자 간의 비율을 통해 로드 값이 결정된다. 하지만 기준이 되는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이 각 심볼 별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위상 변화(차이) 및 크기 변화(차이)가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및 크기로 정규화 하더라도 심볼별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MIMO(능동안테나가 복수 개인 경우)는 RF가 이상적인 경우 기저 대역 신호와 안테나를 통해 방사되는 심볼이 동일한 점에 위치하게 된다. 즉, 심볼 별로 정규화를 할 경우에도 하나의 점에 매핑된다. 그리고 RF가 이상적이지 않는 경우(즉, 위상 또는 크기가 이상적이지 않을 경우)에도 모든 심볼에 대해 움직이는 위상의 회전 각도 및 원점과의 거리 비율이 동일하다.
그러나, 빔 공간 MIMO에서는 RF가 이상적이라도 기저대역에서 전송되는 신호와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동일한 점에 위치하지 않는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빔 공간 MIMO에서는 로드(load) 값에 따라, 기저대역에서 전송되는 신호와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신호의 위치가 바뀌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빔 공간 MIMO에서 위상 손상(impairment)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2는 빔 공간 MIMO에서 크기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3은 빔 공간 MIMO에서 위상 및 크기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값(기생 안테나에 설정되는 로드 값)이 위상에만 영향을 줄 경우에는 안테나 신호(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신호)는 한 원호 중에 한 점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값이 크기에만 영향을 줄 경우에는 안테나 신호는 각 심볼(즉, 기저대역 신호)과 원점을 이은 직선상에서 한 점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 값이 위상 및 크기에 모두 영향을 줄 경우에는 안테나 신호는 부채꼴 형태 중에 한 점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부채꼴 형태 대신에 도넛 모양, 원형 조각 모양, 원 모양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인 MIMO와 다르게 빔 공간 MIMO에서는, 각 심볼 별로 회전하는 각도, 그리고 움직인 점과 원점과의 거리의 비율이 이상적인 RF라도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각 심볼 별로 다른 load 값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며, 이 로드 값에 따라 안테나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위상 차이(변화)와 크기 비율(차이 또는 변화)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는 로드 값에 따른 위상 또는 크기의 변화를 보상해준다. 이러한 보상은 송신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 값에 따른 위상 또는 크기를 보상하는 방법은 2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신호 자체를 변경하는 방법이며, 두 번째 방법은 로드 값 계산에 추가적인 조건을 부여하는 것이다.
첫 번째 방법은 로드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로드 값에 대한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를 계산하며, 각 신호(심볼) 별로 같은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를 가지도록 해당 신호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첫 번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100)는 기저대역부(110), 로드 계산부(120), 신호 변경 제어부(130), 신호 변경부(140), 단일 RF 체인부(150) 및 안테나 어레이(160)를 포함한다.
기저대역부(110)는 전송할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기저대역부(110)가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로드 계산부(120)는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안테나 어레이(160)에 포함된 각 안테나 소자(기생안테나 소자)에 대한 로드 값을 계산한다. 즉, 로드 계산부(120)는 기저대역 신호(심볼)에 대응하는 각 로드 값을 계산한다. 로드 계산부(120)는 계산한 로드 값에 대응하여 안테나 어레이(160)의 로드 값을 설정하며, 이를 통해 빔 공간 MIMO 기술이 구현될 수 있다. 로드 계산부(120)가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로드 값을 계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로드 계산부(120)에 의해 계산된 로드 값을 입력 받으며, 입력 받은 로드 값을 이용하여 각 기저대역 신호(심볼)별로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위상 또는 크기 변경 값을 설정한다.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설정한 위상 또는 크기 변경 값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시키기 위해, 신호 변경부(140)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각 심볼 별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변경 값(위상 또는 크기 변경 값)을 설정한다. 한편,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위상이 같은 기저대역신호에 대해서만 위상 차이(변화)를 계산하고 위상이 같은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변화가 일정하도록 위상 변경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크기가 같은 기저대역신호에 대해서만 크기 비율(변화 또는 차이)을 계산하고 크기가 같은 기저대역신호의 크기 변화가 일정하도록 크기 변경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로드 계산부(120)에 의해 계산된 로드 값과 안테나 어레이(160)에 실제 구현되는 로드 값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안테나 어레이(160)의 실제 로드 값을 입력 받아서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신호 변경부(140)는 신호 변경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기저대역 신호(심볼)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한다.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서, 신호 변경부(140)는 페이즈 시프트(phase shifter)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크기를 변경하기 위해서, 신호 변경부(140)는 증폭기(amplifier) 또는 감쇄기(attenuator)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변경부(140)는 신호 변경 제어부(130)에 설정된 변경 값(위상 또는 크기 변경 값)에 대응하여,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또는 크기를 보상한다.
단일(single) RF 체인부(150)는 하나의 RF 체인을 형성하며 크기 또는 위상이 변경된 기저대역 신호를 RF대역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하나의 RF 체인은 DAC(Digital Analog Converter), 필터, 오실레이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단일 RF 체인부(150)은 하나의 RF 체인이 아니라 적은 수의 RF 체인 일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160)는 빔 공간 MIMO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하나의 능동안테나와 복수의 기생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160)는 ESPAR, SPA(Switched Parasitic Array), 부하 변조 안테나(Load Modulation Antenna)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빔 공간 MIMO를 구현하기 위해 기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160)는 로드 계산부(120)에 계산된 로드 값에 따라 복수의 기생안테나의 로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첫 번째 방법과 같이 신호 자체를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도 4에서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RF 대역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F 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기저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것이 RF 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것은 제외하고 도 4와 동일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100')는 기저대역부(110), 로드 계산부(120), 신호 변경 제어부(130), 신호 변경부(140'), 단일 RF 체인부(150') 및 안테나 어레이(16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달리, 신호 변경부(140')가 단일 RF 체인부(150)'의 뒷 단에 위치한다.
기저대역부(110)는 전송할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로드 계산부(130)는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안테나 어레이(160)에 포함된 각 안테나 소자(기생안테나 소자)에 대한 로드 값을 계산한다.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로드 계산부(120)에 의해 계산된 로드 값을 입력 받으며, 입력 받은 로드 값을 이용하여 각 기저대역 신호(심볼)별로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위상 또는 크기 변경 값을 설정한다.
단일 RF 체인부(15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단일 RF 체인부(150')는 기저대역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IF 대역 변환부(도시 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 RF체인부(150')가 IF 대역 변환부를 포함하는 경우, 단일 RF 체인부(150')는 IF 대역 신호를 RF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IF 대역 신호 및 RF 대역 신호는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로 높은 주파수 이다. 따라서, 단일 RF 체인부(150') 및 IF 대역 변환부는 대역 변환부로 통칭될 수 있다.
신호 변경부(140')는 신호 변경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RF대역 신호(심볼)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한다. 한편, 신호 변경부(140')는 신호 변경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IF 대역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RF 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RF 대역 신호 대신에 IF 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도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160)는 빔 공간 MIMO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하나의 능동안테나와 복수의 기생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160)는 로드 계산부(120)에 계산된 로드 값에 따라 복수의 기생안테나의 로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위상 또는 크기 중에서 하나만을 변경하거나 위상 및 크기를 모두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위상만 변경하는 경우에는 신호 변경부(140)는 페이즈 시프터(phase shifter)로만 구현될 수 있으며, 크기만 변경하는 경우에는 신호 변경부(140)는 증폭기 또는 감쇄기로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신호 변경부(140')는 단일 RF 체인부(150)에 포함되어, 단일 RF 체인부(150)내에서 RF대역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로드 계산부(120)는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로드 값을 계산한다(S610). 로드 계산부(120)는 기저대역 신호에 대응하는 각 기생안테나(안테나 어레이(160)의 기생안테나)의 로드 값을 계산한다.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S610 단계에서 계산한 로드 값을 이용하여, 각 심볼(기저대역 신호) 별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위상 또는 크기 변경 값을 설정한다(S620). 즉,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각 심볼 별로 안테나를 통해 최종적으로 방사되는 신호에 대한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변경 값(위상 또는 크기 변경 값)을 설정한다. 한편,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위상이 같은 기저대역신호에 대해서만 위상 차이(변화)를 계산하고 위상이 같은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변화가 일정하도록 위상 변경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변경 제어부(130)는 크기가 같은 기저대역신호에 대해서만 크기 비율(변화 또는 차이)을 계산하고 크기가 같은 기저대역신호의 크기 변화가 일정하도록 크기 변경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신호 변경부(140 또는 140')는 S620 단계에서 설정된 변경 값을 이용하여 기저대역 신호 또는 RF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한다(S630).
이와 같이 위상 또는 크기가 보상된 기저대역 신호(또는 RF 대역 신호)가 최종적으로 안테나 어레이(160)에 입력되며, 이를 통해 로드 값에 따른 위상 또는 크기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두 번째 방법인 로드 값 계산에 추가적인 조건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두 번째 방법은 로드 값에 따른 위상 또는 크기에 대한 조건을 로드 값 계산시에 추가하는 방법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100'')는 기저대역부(110), 로드 계산부(120''), 단일 RF 체인부(150) 및 안테나 어레이(160)를 포함한다.
기저대역부(110)는 전송할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로드 계산부(120'')는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안테나 어레이(160)에 포함된 각 안테나 소자에 대한 로드 값을 계산한다. 이때, 로드 계산부(120'')는 로드 값 계산에 추가적인 조건을 부여한다. 이 추가적인 조건 부여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로드 계산부(120'')는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로드 값을 계산한다(S810). 여기서, 제1 로드 값은 위상 또는 크기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기저대역 신호만을 고려한 로드 값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 로드 값만이 안테나 어레이(160)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각 심볼 별로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로드 계산부(120'')는 각 기저대역 신호(심볼) 별로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제1 로드 값을 제2 로드 값으로 변경한다(S820). 여기서, 위상 또는 크기가 변경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2 로드 값은 제1 로드 값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로드 계산부(120'')는 제2 로드 값을 안테나 어레이(160)에 설정한다(S830). 즉, 최종적으로 제2 로드 값이 안테나 어레이(160)의 로드 값으로 설정되며, 이를 통해 빔 공간 MIMO에서 발생될 수 있는 로드 값에 따른 위상 또는 크기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단일 RF 체인부(15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안테나 어레이(160)는 하나의 능동안테나와 복수의 기생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어레이(160)는 로드 계산부(120)에 계산된 제2 로드 값에 따라 복수의 기생안테나의 로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을 보상해주어야 하는 경우는 위상을 통해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이다. 대표적인 예로 PSK(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이 있다. 기저대역 신호의 크기를 보상해주어야 하는 경우는 크기를 통해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이다. 대표적인 예로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 방식이 있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모두 보존되어야 하는 경우는 크기 및 위상을 통해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이다. 대표적인 예로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이 있다.
ASK 변조 방식인 경우에는 위상 정보를 보상해주지 않아도 정보 전달이 될 수 있다. 그리고 PSK 변조 방식인 경우에는 크기 정보를 보상해주지 않아도 정보 전달이 될 수 있다. 다만, 크기의 경우에는 파워 앰프(Power Amp)의 용량의 한계가 있으므로, PSK 방식이라도 상황에 따라 특정 크기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한을 둘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빔 공간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어레이,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기저대역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인 제1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대역 변환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로드 값을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설정하는 로드 계산부,
    상기 계산된 로드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대한 변경 값을 설정하는 신호 변경 제어부, 그리고
    상기 변경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제1 대역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신호 변경하는 신호 변경부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 제어부는, 각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및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 제어부는, 위상이 같은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 제어부는, 크기가 같은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부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신호 변경부는 상기 기저대역부와 상기 대역 변환부 사이에 위치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부가 상기 제1 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신호 변경부는 상기 대역 변환부와 상기 안테나 어레이 사이에 위치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부는 페이즈 쉬프터, 증폭기 및 감쇄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능동 안테나 소자, 복수의 기생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대역 변환부는 단일 RF체인인 기저대역 변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신호는 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 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인 기저대역 변조 장치.
  10.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빔 공간 MIMO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어레이,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기저대역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RF 체인부, 그리고
    각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및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인 제1 로드 값을 계산하며, 상기 제1 로드 값을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설정하는 로드 계산부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계산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인 제2 로드 값은 계산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및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2 로드 값을 상기 제1 로드 값으로 변경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능동 안테나 소자, 복수의 기생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RF 체인부는 단일 RF체인인 기저대역 변조 장치.
  13.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빔 공간 MIMO(Multi-Input Multi-Ouput)에서 기저대역 신호를 변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인 제1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을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계산된 로드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또는 상기 제1 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로드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또는 상기 제1 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에 대한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경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또는 제1 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위상이 같은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크기 같은 기저대역 신호 별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신호는 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 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인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KR1020150102618A 2014-09-05 2015-07-20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 KR102375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44,783 US9641231B2 (en) 2014-09-05 2015-09-03 Method and appartus for modulating baseband signal in beam space multi-input multi-out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9332 2014-09-05
KR1020140119332 2014-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651A true KR20160029651A (ko) 2016-03-15
KR102375696B1 KR102375696B1 (ko) 2022-03-17

Family

ID=5554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618A KR102375696B1 (ko) 2014-09-05 2015-07-20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6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388A (ko) * 2000-07-14 2003-02-20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캘리브레이션 장치, 어댑티브 어레이 장치, 캘리브레이션방법, 프로그램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KR20060009028A (ko) * 2000-04-03 2006-01-2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어댑티브 어레이 장치 및 그 캘리브레이션 방법
US20080122723A1 (en) * 2006-09-22 2008-05-29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poration Programmable antenna with programmable impedance matching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130135163A1 (en) * 2008-03-05 2013-05-30 Ethertronics, Inc. Active mimo antenna configuration for maximizing throughput in mobile devices
US20130147681A1 (en) * 2008-09-24 2013-06-13 Research In Motion Rf, Inc. Methods for tuning an adaptive impedance matching network with a look-up tab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028A (ko) * 2000-04-03 2006-01-2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어댑티브 어레이 장치 및 그 캘리브레이션 방법
KR20030015388A (ko) * 2000-07-14 2003-02-20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캘리브레이션 장치, 어댑티브 어레이 장치, 캘리브레이션방법, 프로그램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US20080122723A1 (en) * 2006-09-22 2008-05-29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poration Programmable antenna with programmable impedance matching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130135163A1 (en) * 2008-03-05 2013-05-30 Ethertronics, Inc. Active mimo antenna configuration for maximizing throughput in mobile devices
US20130147681A1 (en) * 2008-09-24 2013-06-13 Research In Motion Rf, Inc. Methods for tuning an adaptive impedance matching network with a look-up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696B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4663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and full-duplex wireless transceiver
US10027354B2 (en) Phased array weighting for power efficiency improvement with high peak-to-average power ratio signals
US9445282B2 (en) Transceiver architecture for multiple antenna systems
EP2396854B1 (en)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element and method for antenna array calibration
US2017033224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Beam Pattern with Wider Beam Width in Phased Antenna Array
US9287960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ter,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200245412A1 (en) Remote radio head, beam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6167781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EP296243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eam steering crest factor reduction (cfr) clip noise
EP3869757B1 (en) Sending terminal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250506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패턴을 복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6924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baseband signal in beam space multi-input multi-output, and method for receiving therein
US9548822B2 (en) Techniques for linearizing phase independently of amplitude in a communications system
EP3063878B1 (en) A radio transmitter for distortion mitigation
US9641231B2 (en) Method and appartus for modulating baseband signal in beam space multi-input multi-output
KR10246956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75696B1 (ko)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
KR102375697B1 (ko)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
KR102327815B1 (ko) 부하 변조 기반 빔공간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24008306A1 (en) Dual polarity power amplifier with nonlinear supply modulation
JP2015065565A (ja) 信号送信装置及び信号送信方法
WO2019048058A1 (en) DEVICE FOR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FOR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99530A (ko) 다중 스트림 송신회로를 이용한 선택적 빔포밍을 수행하는 송신 장치 및 그의 송신 방법
JP2016213782A (ja) アクティブアンテナシステム
KR20160050490A (ko) 심볼의 변조 방법, 배열 안테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